KR100924212B1 -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4212B1
KR100924212B1 KR1020070138660A KR20070138660A KR100924212B1 KR 100924212 B1 KR100924212 B1 KR 100924212B1 KR 1020070138660 A KR1020070138660 A KR 1020070138660A KR 20070138660 A KR20070138660 A KR 20070138660A KR 100924212 B1 KR100924212 B1 KR 100924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rope
tunnel portion
bottom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0599A (ko
Inventor
김주룡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70138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4212B1/ko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JP2010539769A priority patent/JP5296094B2/ja
Priority to AU2008338358A priority patent/AU2008338358B2/en
Priority to EP10172819A priority patent/EP2284079B1/en
Priority to ES10172819T priority patent/ES2407664T3/es
Priority to PCT/US2008/087326 priority patent/WO2009079614A2/en
Priority to EP08861671A priority patent/EP2234888A2/en
Priority to CN200880122168.2A priority patent/CN101903248B/zh
Priority to US12/743,826 priority patent/US8261394B2/en
Publication of KR20090070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212B1/ko
Priority to HK11105210.0A priority patent/HK1151011A1/xx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 B64F1/305Bridges extending between terminal building and aircraft, e.g. telescopic, vertic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 B64F1/305Bridges extending between terminal building and aircraft, e.g. telescopic, vertically adjustable
    • B64F1/3055Bridges extending between terminal building and aircraft, e.g. telescopic, vertically adjustable with hinged head interface between aircraft and passenger b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터널부, 제2터널부, 제3터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터널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터널부와 제3터널부가 상호 접철되게 이동가능한 터널을 구비한 탑승교에 설치되는 터널부 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터널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3터널부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1로프; 상기 제1로프의 양단부보다 타단부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로프를 걸어 상기 제2터널부상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제1로프의 타단부의 이동변위에 따라 연동이동되는 제1풀리; 상기 제1로프와 별도로 설치되며, 상기 제1터널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3터널부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2로프; 및 상기 제2로프의 양단부보다 일단부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로프를 걸어 상기 제2터널부상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제2로프의 타단부의 이동변위에 따라 연동이동되는 제2풀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제2터널부와 제3터널부간의 접속상태가 순간적으로 가변됨에 따른 소음발생과, 무리한 접속에 의해 제2터널부 및 제3터널부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 수명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리프트 칼럼 및 구동장치에 걸리는 부하를 보다 감소시키고, 제2터널부와 제3터널부의 이동이 보다 신속하고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탑승교 터널 로프 스프링 풀리

Description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Apparatus moving tunnel part of boarding bridge}
본 발명은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객이 공항건물과 여객기 사이를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탑승교에서 상호 접철가능한 다수의 터널부를 구비한 터널 하부에 결합되어 다수의 터널부를 안정되게 이동시키는 데 이용되는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탑승교는 공항에서 공항건물과 여객기 사이에 설치되어 탑승객이 여러가지 기상조건이나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공항건물에서 여객기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며, 공항건물과 여객기간의 거리와 여객기 출입문의 위치에 맞추어 길이의 신축 및 방향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탑승교는 내부에 사람이 이동가능한 통로를 형성하며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호 접철가능한 다수의 구획을 가지는 터널, 상기 터널이 비행기의 위치에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회전축의 기능을 하는 로툰다(rotunda), 비행기의 크기 및 출입문의 위치에 따라 상기 터널을 승강이동시키는 리프트 칼럼, 상기 로 툰다의 반대측에서 비행기의 출입구측으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캐빈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진다.
상기 터널(100)이 상호 접철가능한 3개의 구획(이하 제1터널부(110), 제2터널부(120), 제3터널부(130)라 한다)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2터널부(120)와 제3터널부(130)가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상기 제1터널부(110)의 일단부측으로 인접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터널부(110)와 제2터널부(120), 제3터널부(130)가 함께 형성하는 터널(100)의 길이가 조정된다.
상기 터널을 신축 및 방향전환시키는 구동장치는 상기 리프트 칼럼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리프트 칼럼은 상기 제3터널부(130)상에 결합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 제2터널부(120)는 구동장치로부터 이동에 필요한 가압력을 직접적으로 전달받게 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3터널부(130)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받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 제2터널부(120)와 제3터널부(130)를 함께 이동시킴에 있어서, 상기 제2터널부(120) 또는 제3터널부(130)상에 돌출 및 복귀가 가능한 작동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걸림구를 상기 제2터널부(120) 또는 제3터널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하여, 상기 제3터널부(130)의 위치에 따라 상기 걸림구의 돌출위치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제3터널부(130)가 상기 걸림구를 통해 상기 제2터널부(120)를 밀어 상기 제2터널부(120)를 특정한 폭만큼 상기 제1터널부(110)와 접철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작동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2터널부(120)와 제3터널부(130)가 상기 걸림구에 의해 접속되는 순간 상기 제2터널부(120)와 걸림구 또는 상기 제3터널부(130)와 걸림구간의 충돌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걸림구와의 충돌에 의해 제2터널부(120) 및 제3터널부(130), 걸림구에 충격이 가해져 장치 수명을 저하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제3터널부(130)가 상기 제2터널부(120)의 하중 및 마찰력을 그대로 부담할 수 있는 가압력으로 지정변위만큼 상기 제2터널부(120)를 밀어 이동시켜야만 상기 제2터널부(120)가 지정변위만큼 이동될 수 있어, 상기 리프트 칼럼 및 구동장치에 무리한 부하가 걸리게 될 뿐 아니라 상기 제2터널부(120)와 제3터널부(130)의 이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제2터널부와 제3터널부간의 접속상태가 순간적으로 가변됨에 따른 소음발생과, 무리한 접속에 의해 제2터널부 및 제3터널부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 수명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제3터널부가 제2터널부에 가압력을 전달하여 이동시킴에 있어서, 리프트 칼럼 및 구동장치에 걸리는 부하를 보다 감소시키고, 제2터널부와 제3터널부의 이동이 보다 신속하고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일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터널부(110), 제2터널부(120), 제3터널부(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터널부(110)를 기준으로 상기 제2터널부(120)와 제3터널부(130)가 상호 접철되게 이동가능한 터널(100)을 구비한 탑승교에 설치되는 터널부 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터널부(110)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3터널부(130)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1로프(210); 상기 제1로프(210)의 타단부보다 터널 길이의 신장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로프(210)가 감겨질 수 있도록 상기 제2터널부(120)상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제1로프(210)의 타단부의 이동변위에 따라 연동이동되는 제1풀리(220); 상기 제1로프(210)와 별도로 설치되며, 상기 제1터널부(110)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3터널부(130)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2로프(230); 및 상기 제2로프(230)의 일단부보다 터널 길이의 축소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로프(210)가 감겨질 수 있도록 상기 제2터널부(120)상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제2로프(230)의 타단부의 이동변위에 따라 연동이동되는 제2풀리(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로프(210)와 제2로프(230)는, 상기 제1로프(210)와 제2로프(230)의 양단부를 상기 제1터널부(110)와 제3터널부(130)의 정위치에 구속하도록 상기 제1터널부와 제3터널부의 바닥판(111, 131)에 설치된 로프지지구(251)에 형성된 관통홀을 말단부가 관통하도록 연장형성되는 로프부재(211); 및 상기 로프지지구(251)를 관통한 상기 로프부재(211)의 말단부를 상기 로프부재(211)의 연장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로프부재(211)에 결합되는 스프링부재(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터널부(110), 제2터널부(120), 제3터널부(130)는, 상기 제1터널부의 바닥판(111) 하측에 상기 제2터널부의 바닥판(121)이 대향되고, 상기 제2터널부의 바닥판(121) 하측에 상기 제3터널부의 바닥판(131)이 대향되도록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2터널부(120)와 제3터널부(130)가 연동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로프(210)는, 일단부는 상기 제1터널부의 바닥판(111) 하부에서 상기 제3터널부의 바닥판(131)과 수평한 위치까지 하향연장되는 로프지지구(251)상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일단부와 수평한 위치선상에서 상기 제3터널부의 바닥판(131) 상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풀리(220)는, 상기 제2터널부의 바닥판(121)과 제3터널부의 바닥판(131) 사이에 상기 제2터널부(120) 및 제3터널부(130)의 이동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축을 가지도록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풀리(220)는, 상기 제2터널부의 바닥판(121) 하부에 원주형 돌출부를 형성하며 고정결합되는 베어링 베이스(221); 상기 베어링 베이스(221)의 외주부에 결합되는 베어링(222); 상기 제1로프(210)의 연장방향을 선회가능한 접속면을 구비하여 상기 베어링(222) 외주상에 결합되는 롤러(223); 및 상기 베어링(222)을 상기 베어링 베이스(221)상에 결속고정시키는 베어링 덮개(2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로프(230)는, 일단부는 상기 제1터널부의 바닥판(111)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일단부와 다른 높이에서 상기 제3터널부의 바닥판(131) 상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풀리(240)는, 상기 제1터널부의 바닥판(111)과 제3터널부의 바닥판(131) 사이에 상기 제2로프(230)의 일단부와의 접촉부와 상기 제2로프(230)의 타단부와의 접촉부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2터널부(120) 및 제3터널부(130)의 이동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진 회전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풀리(240)는, 상기 제1터널부의 바닥판(111)과 제3터널부의 바닥판(131) 사이에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돌출부를 형성하며 고정결합되는 회전축고정구(252)상에 상기 제2터널부(120) 및 제3터널부(130)의 이동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되는 베어링 베이스(241); 상기 베어링 베이스(241)의 외주부에 결합되는 베어링(242); 및 상기 제2로프(230)의 연장방향을 선회가능한 접속면을 구비하여 상기 베어링(242)의 외주부에 결합되는 롤러(2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로프 또는 제2로프를 하측에서 받치는 로프받침면을 구비하여 상기 제1풀리 또는 제2풀리에 설치되는 로프받침구(253); 및 제1로프(210) 또는 제2로프(230)를 특정한 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로프(210) 또는 제2로프(230)의 연장경로상에 설치되는 로프가이더(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제3터널부가 제1터널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1로프와 제1풀리에 의해 제2터널부가 함께 제1터널부측으로 자연히 연동이동되고, 제3터널부가 제1터널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2로프와 제2풀리에 의해 제2터널부가 함께 연동이동되는 작동구조를 구현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제2터널부와 제3터널부간의 접속상태가 제1로프, 제1풀리, 제2로프 및 제2풀리에 의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매끄럽게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어, 무리한 접속 및 충돌에 의한 소음발생과 충격에 의한 장치의 수명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터널부를 직접적으로 가압하여 밀어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힘의 절 반에 해당되는 가압력만으로 제2터널부를 이동시킬 수 있고, 제3터널부가 2x만큼 이동되는 경우 제2터널부는 x만큼 자동으로 연동이동되므로, 제3터널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리프트 칼럼 및 구동장치에 걸리는 부하가 절반으로 감소되고, 제2터널부와 제3터널부의 이동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기존에 제2터널부에 가압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사이즈를 가지며 돌출 및 복귀가능한 다수의 걸림구가 이격설치된 복잡한 구조를 가지던 것과 비교해, 제1로프, 제1풀리, 제2로프, 제2풀리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1터널부, 제2터널부, 제3터널부간의 이격공간부 및 여유공간부상에 안정되게 설치가능한 작은 사이즈로 구현가능하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제2풀리가 경사지게 고정설치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다수의 풀리나 롤러부재를 구비하지 않아도 제2로프의 일측부와 타측부가 서로 다른 높이상에서 연장설치될 수 있으며, 제2로프를 무리하게 절곡시키지 않는 직경을 가지고도 제1터널부와 제3터널부 사이의 이격공간부를 활용하여 공간효율적으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의 제1실시예를 터널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요부정면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평면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Z-Z선 요부투시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가 터널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제3터널부 및 제2터널부가 연동이동되는 작동원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제1터널부상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요부정면도이고, 도 7, 8은 도 6의 요부평면도와 요부측면도이며, 도 9는 제2터널부상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요부정면도이고, 도 10, 11은 도 9의 요부평면도와 요부측면도이며, 도 12는 제1풀리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3은 제2풀리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터널부(110), 제2터널부(120), 제3터널부(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터널부(110)를 기준으로 상기 제2터널부(120)와 제3터널부(130)가 상호 접철되게 연동이동가능한 터널(100)을 구비한 탑승교에 설치되는 터널부 이동장치로, 크게 제1로프(210), 제2풀리(220), 제2로프(230), 제2풀리(240)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로프(210)와 제1풀리(220)는 상기 제3터널부(130)가 상기 제1터널 부(110)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2터널부(120)가 함께 연동하여 이동되도록 상기 제1, 2, 3터널부(110, 120, 130)상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 상기 제1로프(210)는 상기 제1터널부(110)와 제3터널부(130)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풀리(220)는 상기 제1로프(210)의 타단부보다 상기 제2, 3터널부(120, 130)가 상기 터널(300)의 길이를 신장하기 위해 이동되는 방향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로프(210)를 걸어 상기 제2터널부(120)상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제2로프(230)와 제2풀리(240)는 상기 제3터널부(130)가 상기 제1터널(1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2터널부(120)가 함께 연동하여 이동되도록 상기 제1, 2, 3터널부(110, 120, 130)상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 상기 제2로프(230)는 상기 제1로프(21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터널부(110)와 제3터널부(130)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2풀리(240)는 상기 제2로프(230)의 일단부보다 상기 제2, 3터널부(120, 130)가 상기 터널(300)의 길이를 축소하기 위해 이동되는 방향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로프(210)를 걸어 상기 제2터널부(120)상에 고정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3터널부(13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x만큼 상기 제1터널부(110)의 자유단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로프(210)의 타단부가 상기 제3터널부(130)와 함께 상기 제1터널부(110)의 자유단측으로 2x만큼 당겨지게 되며, 상기 제1로프(210)의 일단부는 상기 제1터널부(110)와 함께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제1풀리(220)는 상기 제2터널부(120)와 함께 상기 제1터널부(110)의 자유단측으로 x만큼 연동이동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3터널부(13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2x만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로프(230)의 타단부가 상기 제3터널부(130)와 함께 2x만큼 당겨져 이동되며, 상기 제2로프(230)의 일단부는 상기 제1터널부(110)와 함께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제2풀리(240)는 상기 제2터널부(120)와 함께 상기 제3터널부(130)의 자유단측으로 x만큼 연동이동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로프(210)와 제2로프(230)의 양단부를 상기 제1터널부(110)와 제3터널부(130)상의 정위치에 구속시키도록 상기 제1터널부와 제3터널부의 바닥판(111, 113)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를 로프지지구(251), 상기 제1풀리(220) 또는 제2풀리(240)를 상기 제1터널부의 바닥판(111)과 제3터널부의 바닥판(131) 사이에서 정위치에 구속시키도록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돌출부를 형성하며 고정결합되는 구성요소를 회전축고정구(252)라 한다.
상기 제1로프(210)와 제2로프(230)는 각각, 로프부재(211)와 스프링부재(212)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프부재(211)는 로프형태로 상기 제1터널부(110)에서 상기 제3터널부(130)까지 연장형성되고 상기 로프지지구(251)에 형성된 관통홀(251a)을 말단부가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부재(212)는 상기 로프지지구(251)를 관통한 상기 로프부재(211)의 말단부를 상기 로프부재(211)의 연장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로프부재(211)에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부재(212)가 상기와 같이 상기 로프부재(211)의 말단부를 상기 로프부재(211)의 연장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1로 프(210)와 제2로프(230)의 타단부는, 상기 제3터널부(130)의 이동변위 및 가압력을 상기 로프지지구(251)를 통해 전달받음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212)가 최대한 압축될 수 있는 변위까지 압축이 이루어지는 동안 점차적으로 이동변위 및 가압력을 전달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로프(210)와 제2로프(230)의 일단부는, 상기 제1터널부(110)에 설치된 로프지지구(251)에 결속된 상태로 상기 제1풀리(220)와 제2풀리(240)측으로 당겨지는 가압력을 전달받음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212)가 최대한 압축될 수 있는 변위까지 압축이 이루어지는 동안 점차적으로 가압력을 전달받게 됨에 따라, 상기 제3터널부(13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로프부재(211) 및 로프지지구(251)에 순간적으로 무리한 가압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터널부(110), 제2터널부(120), 제3터널부(130)가 상기 제1터널부의 바닥판(111) 하측에 상기 제2터널부의 바닥판(121)이 대향되고, 상기 제2터널부의 바닥판(121) 하측에 상기 제3터널부의 바닥판(131)이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구조를 가짐에 있어서, 상기 제1로프(210), 제1풀리(220), 제2로프(230), 제2풀리(240)는 상기 다수의 터널부의 바닥판(111, 121, 131)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부 및 여유공간부를 최대한 활용하여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터널부의 바닥판(111, 121, 131)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부 및 여유공간부상에 설치가 이루어짐에 있어서, 상기 제1로프(210)와 제2로프(230)는 모두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상기 제1터널부의 바닥판(111)과 제3터널부의 바닥판(131)상에 설치되는 공통점을 가지나, 상기 제1풀리(220)와 제2풀리(240)가 각 각 상기 제3터널부(130)와 인접한 위치와 상기 제1터널부(110)에 인접한 위치상에서 상기 제2터널부의 바닥판(121)상에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로프(210)의 일단부는 상기 제2터널부(120) 및 제3터널부(130)와의 접철이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에서 상기 제1터널부의 바닥판(111) 하측에 형성되는 여유공간부를 활용하여 타단부의 높이와 맞추어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제2로프(230)의 일단부는 상기 제1터널부의 바닥판(111)과 제2터널부의 바닥판(121)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부상에 항상 위치될 수 밖에 없고, 상기 제2로프(230)의 타단부는 상기 제2터널부의 바닥판(121) 하측에서 상기 제3터널부의 바닥판(131)상에 설치가 이루어질 수 밖에 없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공간적 제약 내에서 상기 다수의 터널부의 바닥판(111, 121, 131)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부 및 여유공간부를 활용하여 설치가 이루어지는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로프(210)의 일단부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터널부의 바닥판(111) 하부에서 상기 제3터널부의 바닥판(131)과 수평한 위치까지 하향연장되는 로프지지구(251)상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일단부와 수평한 위치선상에서 상기 제3터널부의 바닥판(131)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풀리(22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터널부의 바닥판(121)과 제3터널부의 바닥판(131) 사이에 상기 제2터널부(120) 및 제3터널부(130)의 이동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축을 가지도록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 상기 제1풀리(220)는 베어링 베이스(221), 베어링(222), 롤러(223), 베어링 덮개(224)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베어링 베이스(221)는 상기 제2터널부의 바닥판(121) 하부에 원주형 돌출부를 형성하며 고정결합되고, 상기 베어링(222)은 상기 베어링 베이스(221)의 외주부에 결합되며, 상기 롤러(223)는 상기 제1로프(210)의 연장방향을 선회가능한 접속면을 구비하여 상기 베어링(222) 외주상에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 덮개(224)는 상기 베어링(222)을 상기 베어링 베이스(221)상에 결속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제1풀리(220)를 상기 제2터널부의 바닥판(121)상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 베이스(221)를 상기 제2터널부의 바닥판(121) 하부에 고정설치한 후, 상기 롤러(223)와 조립된 상태의 베어링(222)을 하측으로부터 상기 베어링 베이스(221)상에 끼우고, 상기 베어링 덮개(224)가 상기 베어링(222)을 하단지지하도록 상기 베어링 베이스(221)에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풀리(220)상에 상기 제1로프(210)가 기밀하게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1로프(210)가 상기 제1풀리(220)와의 접속경로 및 연장경로로부터 완전히 복귀불가능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로프(210)를 하측에서 받칠 수 있는 로프받침면을 구비한 로프받침구(253)를 상기 제2터널부(120)와 제3터널부(130)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로프(230)의 일단부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터널부의 바닥판(111)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일단부와 다른 높이에서 상 기 제3터널부의 바닥판(131)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풀리(24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터널부의 바닥판(111)과 제3터널부의 바닥판(131) 사이에 상기 제2로프(230)의 일단부와의 접촉부와 상기 제2로프(230)의 타단부와의 접촉부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2터널부(120) 및 제3터널부(130)의 이동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진 회전축을 가지도록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 상기 제2풀리(240)는, 베어링 베이스(241), 베어링(242), 롤러(243)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베어링 베이스(241)는 상기 회전축고정구(252)상에 상기 제2터널부(120) 및 제3터널부(130)의 이동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242)은 상기 베어링 베이스(241)의 외주부에 결합되며, 상기 롤러(243)는 상기 제2로프(230)의 연장방향을 선회가능한 접속면을 구비하여 상기 베어링(242)의 외주부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제2풀리(240)를 상기 제1터널부의 바닥판(111)과 제3터널부의 바닥판(131) 사이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고정구(252)를 상기 제2터널부의 바닥판(121)상에 고정설치한 후, 상기 베어링(242)과 롤러(243) 및 제2로프(230)가 조립된 상태로 상기 베어링 베이스(241)를 지정 각도로 기울여 상기 회전축고정구(252)상에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제2풀리(240)가 경사지게 고정설치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다수의 풀리나 롤러부재를 구비하지 않아도 상기 제2로프(230)의 일측부와 타측부가 서로 다른 높이상에서 연장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로프(230)를 무리하게 절곡시키지 않는 250mm 이상 직경을 가지고도 상기 제1터널부(110)와 제3터널부(130) 사이의 이격공간부를 활용하여 공간효율적으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로프(210) 또는 제2로프(230)의 연장경로상에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로프(210) 또는 제2로프(230)를 특정한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함몰부 내지 관통부를 구비한 로프가이더(260)를 설치하여, 상기 제1로프(210)와 제2로프(230)를 상기 로프지지구(251)와 상기 제1풀리(220), 제2풀리(240)에 해당되는 위치 이외의 여러 개소에서 접속·지지하면서도 상기 제1로프(210)와 제2로프(230)를 무리하게 절곡시키지 않으면서 다른 높이나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3터널부(130)가 상기 제1터널부(110)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로프(210)와 제1풀리(220)에 의해 상기 제2터널부(120)가 함께 상기 제1터널부(110)측으로 자연히 연동이동되고, 상기 제3터널부(130)가 상기 제1터널부(1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로프(230)와 제2풀리(240)에 의해 상기 제2터널부(120)가 함께 연동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터널부(120)와 제3터널부(130)간의 접속상태가 가변되지 않고 상기 제1로프(210), 제1풀리(220), 제2로프(230) 및 제2풀리(240)에 의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상기 제2터널부(120)와 제3터널부(130)의 이동이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어, 기존에 걸림구를 이용한 구조에서 무리한 접속 및 충돌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던 현상과 충격에 의한 장치의 수명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풀리(220)와 제2풀리(240)를 기준으로 상기 제1로프(210)와 제2로프(230)의 일측부 및 타측부가 힘을 분산하여 지지하게 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제2터널부(120)를 직접적으로 가압하여 밀어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힘의 절반에 해당되는 가압력만으로 상기 제2터널부(12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3터널부(130)가 2x만큼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터널부(120)는 x만큼 자동으로 연동이동되므로, 상기 제2터널부(120)와 제3터널부(130)의 이동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가 상기 제2터널부(120)에 가압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사이즈를 가지며, 돌출 및 복귀가능한 다수의 걸림구가 이격설치된 복잡한 구조를 가지던 것과 비교해, 상기 제1로프(210), 제1풀리(220), 제2로프(230), 제2풀리(240)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1터널부(110), 제2터널부(120), 제3터널부(130)간의 이격공간부 및 여유공간부상에 안정되게 설치가능한 작은 사이즈로 구현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의 제1실시예를 터널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요부정면투시도
도 2 - 도 1의 요부평면투시도
도 3 - 도 1의 Z-Z선 요부투시단면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가 터널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 - 도 4에서 제3터널부 및 제2터널부가 연동이동되는 작동원리를 도시한 개략도.
도 6 - 제1터널부상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요부정면도
도 7 - 도 6의 요부평면도
도 8 - 도 6의 요부측면도
도 9 - 제2터널부상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요부정면도
도 10 - 도 9의 요부평면도
도 11 - 도 9의 요부측면도
도 12 - 제1풀리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정면도
도 13 - 제2풀리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터널 110 : 제1터널부
111 : 제1터널부의 바닥판 120 : 제2터널부
121 : 제2터널부의 바닥판 130 : 제3터널부
131 : 제3터널부의 바닥판 210 : 제1로프
211 : 로프부재 212 : 스프링부재
220 : 제1풀리 221 : 제1풀리의 베어링 베이스
222 : 제1풀리의 베어링 223 : 제1풀리의 롤러
224 : 베어링 덮개 230 : 제2로프
240 : 제2풀리 241 : 제2풀리의 베어링 베이스
242 : 제2풀리의 베어링 243 : 제2풀리의 롤러
251 : 로프지지구 251a : 관통홀
252 : 회전축고정구 253 : 로프받침구
260 : 로프가이더

Claims (11)

  1. 일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터널부, 제2터널부, 제3터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터널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터널부와 제3터널부가 상호 접철되게 이동가능한 터널을 구비한 탑승교에 설치되는 터널부 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터널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3터널부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1로프;
    상기 제1로프의 타단부보다 터널 길이의 신장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로프가 감겨질 수 있도록 상기 제2터널부상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1로프의 타단부의 이동변위에 따라 연동이동되는 제1풀리;
    상기 제1로프와 별도로 설치되며, 상기 제1터널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3터널부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2로프; 및
    상기 제2로프의 일단부보다 터널 길이의 축소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로프가 감겨질 수 있도록 상기 제2터널부상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제2로프의 타단부의 이동변위에 따라 연동이동되는 제2풀리;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프와 제2로프는,
    상기 제1로프와 제2로프의 양단부를 상기 제1터널부와 제3터널부의 정위치에 구속하도록 상기 제1터널부와 제3터널부의 바닥판에 설치된 로프지지구에 형성된 관통홀을 말단부가 관통하도록 연장형성되는 로프부재; 및
    상기 로프지지구를 관통한 상기 로프부재의 말단부를 상기 로프부재의 연장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로프부재에 결합되는 스프링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널부, 제2터널부, 제3터널부는,
    상기 제1터널부의 바닥판 하측에 상기 제2터널부의 바닥판이 대향되고, 상기 제2터널부의 바닥판 하측에 상기 제3터널부의 바닥판이 대향되도록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2터널부와 제3터널부가 연동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프는,
    일단부는 상기 제1터널부의 바닥판 하부에서 상기 제3터널부의 바닥판과 수평한 위치까지 하향연장되는 로프지지구상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일단부와 수평한 위치선상에서 상기 제3터널부의 바닥판 상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풀리는,
    상기 제2터널부의 바닥판과 제3터널부의 바닥판 사이에 상기 제2터널부 및 제3터널부의 이동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축을 가지도록 고정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풀리는,
    상기 제2터널부의 바닥판 하부에 원주형 돌출부를 형성하며 고정결합되는 베어링 베이스;
    상기 베어링 베이스의 외주부에 결합되는 베어링;
    상기 제1로프의 연장방향을 선회가능한 접속면을 구비하여 상기 베어링의 외주부에 결합되는 롤러; 및
    상기 베어링을 상기 베어링 베이스상에 결속고정시키는 베어링 덮개;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로프는,
    일단부는 상기 제1터널부의 바닥판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일단부 와 다른 높이에서 상기 제3터널부의 바닥판 상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
  8.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풀리는,
    상기 제1터널부의 바닥판과 제3터널부의 바닥판 사이에 상기 제2로프의 일단부와의 접촉부와 상기 제2로프의 타단부와의 접촉부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2터널부 및 제3터널부의 이동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진 회전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풀리는,
    상기 제1터널부의 바닥판과 제3터널부의 바닥판 사이에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돌출부를 형성하며 고정결합되는 회전축고정구상에 상기 제2터널부 및 제3터널부의 이동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되는 베어링 베이스;
    상기 베어링 베이스의 외주부에 결합되는 베어링; 및
    상기 제2로프의 연장방향을 선회가능한 접속면을 구비하여 상기 베어링의 외주부에 결합되는 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프 또는 제2로프를 하측에서 받치는 로프받침면을 구비하여 상기 제1풀리 또는 제2풀리에 설치되는 로프받침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프 또는 제2로프를 특정한 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로프 또는 제2로프의 연장경로상에 설치되는 로프가이더;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
KR1020070138660A 2007-12-18 2007-12-27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 KR100924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660A KR100924212B1 (ko) 2007-12-27 2007-12-27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
AU2008338358A AU2008338358B2 (en) 2007-12-18 2008-12-18 Apparatus for moving tunnel part of boarding bridge
EP10172819A EP2284079B1 (en) 2007-12-18 2008-12-18 Cable tray for telescopically retractable boarding bridge
ES10172819T ES2407664T3 (es) 2007-12-18 2008-12-18 Bandeja de cables para una pasarela de embarque telescópicamente retráctil
JP2010539769A JP5296094B2 (ja) 2007-12-18 2008-12-18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のトンネル部移動装置
PCT/US2008/087326 WO2009079614A2 (en) 2007-12-18 2008-12-18 Apparatus for moving tunnel part of boarding bridge
EP08861671A EP2234888A2 (en) 2007-12-18 2008-12-18 Apparatus for moving tunnel part of boarding bridge
CN200880122168.2A CN101903248B (zh) 2007-12-18 2008-12-18 用于移动登机桥的巷道部分的设备
US12/743,826 US8261394B2 (en) 2007-12-18 2008-12-18 Apparatus for moving tunnel part of boarding bridge
HK11105210.0A HK1151011A1 (en) 2007-12-18 2011-05-25 Apparatus for moving tunnel part of boarding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660A KR100924212B1 (ko) 2007-12-27 2007-12-27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599A KR20090070599A (ko) 2009-07-01
KR100924212B1 true KR100924212B1 (ko) 2009-10-29

Family

ID=4132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660A KR100924212B1 (ko) 2007-12-18 2007-12-27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42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705Y1 (ko) * 2018-12-10 2019-03-11 포텍주식회사 탑승교의 신축작동을 위한 플랫벨트 이퀄라이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780B1 (ko) 2009-07-31 2015-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에어백 유닛
ES2412607B1 (es) 2013-05-06 2014-05-12 Thyssenkrupp Airport Systems, S.A. Sistema de parada para la cabina de pasarelas de accionamiento a aeronaves y embarcaciones
KR101681831B1 (ko) * 2015-05-14 2016-12-13 현대로템 주식회사 배수로 노출 방지기능을 갖는 탑승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4785A (ja) * 1992-10-30 1994-05-24 Furukawa Co Ltd ケーブル伸縮機構を備えた3段ブームの伸縮装置
KR950003314Y1 (ko) * 1993-06-29 1995-04-25 현대정공 주식회사 항공기 탑승교의 길이 감지장치 취부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4785A (ja) * 1992-10-30 1994-05-24 Furukawa Co Ltd ケーブル伸縮機構を備えた3段ブームの伸縮装置
KR950003314Y1 (ko) * 1993-06-29 1995-04-25 현대정공 주식회사 항공기 탑승교의 길이 감지장치 취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705Y1 (ko) * 2018-12-10 2019-03-11 포텍주식회사 탑승교의 신축작동을 위한 플랫벨트 이퀄라이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599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212B1 (ko)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
RU215249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тажа легких панелей
US20040035645A1 (en) Elevator
US7811040B2 (en) Safety device applied to appliances for lifting boards onto ceilings and walls
RU2745638C2 (ru) Лифт, в частности в форме лифта подъемно-передвижной системы, со специально выполненной защитной крышей
KR101235674B1 (ko) 경사형 엘리베이터
EP2097347B1 (en) Arrangement in the supply of rope to the speed limiter
CN113830716B (zh) 塔筒翻转系统
US20180170712A1 (en) Foldable guide rail tracks for elevator systems
EP3071507B1 (en) Lift assembly with load cells
WO2014002326A1 (ja) ブラインド装置
KR100919514B1 (ko)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CN101549839B (zh) 导绳装置
KR200406013Y1 (ko) 수직이동장치
US10457528B2 (en) Davit arm
KR100286356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계합장치
JP2015030580A (ja) エレベータ
CN206955404U (zh) 电梯多功能防护门
JP2007290790A (ja) クレーン
EP1702877B1 (en) Elevator system
KR20110122247A (ko) 타워 리프트 및 이를 갖는 타워 리프트 시스템
JPH09194165A (ja) エレベータの調速機ロープ振れ止め装置
KR102573554B1 (ko)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KR20070046996A (ko) 수직이동장치
CN201411343Y (zh) 导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