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360B1 -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 및 그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 및 그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360B1
KR100923360B1 KR1020070047681A KR20070047681A KR100923360B1 KR 100923360 B1 KR100923360 B1 KR 100923360B1 KR 1020070047681 A KR1020070047681 A KR 1020070047681A KR 20070047681 A KR20070047681 A KR 20070047681A KR 100923360 B1 KR100923360 B1 KR 100923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plate
slit
broadband antenna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1380A (ko
Inventor
아끼오 구라모또
다꾸지 모찌즈끼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1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08Radiating ends of two-conductor microwave transmission lines, e.g. of coaxial lines, of microstrip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10Resonant slot antennas

Landscapes

  • Waveguide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에서 유효하며, 또한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소형이며 박형이고 저가인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 및 그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는, 직사각형 외부 형상을 가지며 긴 방향에 대해 직교하도록 긴 측면으로부터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판형 도체와, 판형 도체 내의 슬릿과 평행한 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제공된 측면 도체와, 측면 도체의 단부로부터 슬릿을 향해 판형 도체와 평행하게 배치된 배면 도체를 포함한다. 판형 도체 내에서, 동축 케이블의 동축 외부 도체는 그 사이에 슬릿을 구비한 측면 도체에 대향하는 측면에 연결되며, 동축 케이블의 동축 중심 도체는 측면 도체의 것과 동일한 측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판형 도체, 슬릿, 측면 도체, 배면 도체, 동축 케이블

Description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 및 그 사용 방법 {FOLDABLE BROADBAND ANTENNA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도1은 라디오 장치용 종래의 안테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3은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return loss)을 도시한 도면.
도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상단 사시도.
도6은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저부 사시도.
도7의 (a)는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평면도.
도7의 (b)는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측면도.
도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상단 사시도.
도9는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저부 사시도.
도10의 (a)는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평면도.
도10의 (b)는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측면도.
도11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상단 사시도.
도12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상단 사시도.
도13은 제7 실시예에 따른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상단 사시도.
도14의 (a)는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평면도.
도14의 (b), (c) 및 (d)는 연결부의 형상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15는 제8 실시예에 따른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16의 (a), (b) 및 (c)는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의 사용예에서 안테나, 안테나가 부착되는 의복, 및 안테나가 부착된 의복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판형 도체
2:슬릿
3:측면 도체
4:배면 도체
5:동축 케이블
6:동축 중심 도체
7:동축 외부 도체
10:인쇄 보드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번호 제2005-203830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출원 공개번호 제2004-215132호 공보
본 발명은 금속판 및 유전체 인쇄 보드에 의해 형성된 안테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소형 광대역 안테나 소자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지상파 방송용 TV 수신 안테나 및 UWB(초광대역, Ultra Wide Band)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 TV용 안테나는 매우 넓은 대역을 필요로 한다.
예컨대, UWB 기술을 사용하는 통신은 3.1 GHz 내지 4.9 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광대역 안테나가 있다. 이 안테나는 일본 특허 출원 공개번호 제2005-203830호(문헌1)의 "평판 안테나 및 이 안테나를 구비한 텔레비전 수신기(plate antenna and television receiver having the antenna)"에 개시되어 있다. 판형 도체(101)가 일측면 상에 슬릿(102)을 가지며, 전력은 동축 케이블(105)을 통해 공급된다.
USB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장치와 같은 최신 전자 장치는 USB(범용 직렬 버스, 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에 의해 대표되는 바와 같이 소형화되어야 한다.
안테나의 소형화에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 일본 특허 출원 공개번호 제2004-215132(문헌2)의 "라디오 장치(radio device)"에 개시된 안테나가 있다.
문헌1에 개시된 안테나는 광대역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큰 치수라는 단점을 가진다. 치수는 "0.3 파장 × 0.3 파장"과 등가인 470 MHz의 최저 사용 주파수에서 210 mm × 210 mm이다. 이 치수는 전자 장치의 소형화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한다.
문헌2에 개시된 발명은 광대역을 거의 커버하지 못하는 소위 노치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또한, 회로 보드 자체가 절첩되기 때문에, 두께를 감소시키기가 어렵고 회로 보드의 절첩으로 인한 높은 제조 비용이 발생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것은 넓은 대역을 커버하며 게다가 낮은 비용으로 제조가능한 소형이며 박형인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 및 그 사용 방법이다.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는 슬릿을 구비한 판형 도체와, 판형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공간을 두고 판형 도체와 평행하게 배치된 배면 도체를 포함하며, 선로를 구성하는 한 쌍의 도체 중 하나는 슬릿을 연결하며 슬릿으로부터 배면 도체까지의 도전성 루트 상에서 판형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넓은 대역에서 효과적이며 게다가 낮은 비용으로 제조되는 소형이며 박형인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 및 그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실시예의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는 슬릿(2)이 판형 도체의 긴 방향의 일단부 상에 형성되는 구성을 가진다. 측면 도체가 긴 방향에 수직으로 일단부에 추가되고, 또한 배면 도체가 추가된다. 1개의 금속판을 절첩하여 판형 도체, 측면 도체, 및 배면 도체를 형성함으로써, 안테나는 저비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력은 동축 케이블에 의해 공급된다. 동축 외부 도체가 슬릿의 일측면 상에서 판형 도체를 가로질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동축 중심 도체가 슬릿의 다른 측면 상에서 도체에 연결된다. 따라서, 광대역 내에서 효과적인 루프 안테나가 판형 도체 및 동축 케이블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유사한 전력 공급 구조가 인쇄 보드를 사용함으로써 전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의 구성을 도시한다.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는 판형 도체(1)의 짧은 방향의 일측면에 (긴 측면 중 하나에) 슬릿(2)이 형성되고, 긴 방향의 일측면 상에 (짧은 측면 중 하나 상에) 측면 도체(3)가 제공되며, 배면 도체(4)가 추가된다.
판형 도체(1)의 폭은 최저 사용 가능 주파수의 약 0.2 파장이다. 슬릿(2)의 깊이는 판형 도체(1)의 폭의 85 %(0.17 파장)이다. 슬릿(2)의 폭은 최저 사용 가능 주파수의 약 0.02 파장이다.
판형 도체(1)의 긴 방향의 길이는 최저 사용 가능 주파수의 약 0.3 파장이다.  측면 도체(3)의 길이는 약 0.04 파장이며, 배면 도체(4)의 길이는 약 0.1 파장이다.
판형 도체(1), 측면 도체(3) 및 배면 도체(4)는 단일 금속으로 형성되어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력은 동축 케이블(5)을 통해 공급된다. 동축 외부 도체(7)는 슬릿(2)의 일측면 상에서 판형 도체(1)를 가로질러 (납땜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동축 중심 도체(6)는 슬릿(2)의 타 측면 상에서 도체부에 (납땜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동축 외부 도체(7)는 슬릿(2) 앞까지 오도록 판형 도체(1)를 가로질러 납땜된다.
비록 도2에서 동축 케이블(5)이 배면 도체(4)와 대면하지 않는 판형 도체(1)의 전방 표면상에 부착되지만, 동축 케이블(5)은 배면 도체(4)와 대면하는 판형 도체(1)의 배면에 연결될 수 있다.
도3은 제1 실시예의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의 예를 도시한다. 폭은 30 mm, 길이는 20 mm, 배면 도체의 폭은 11 mm, 측면 도체의 폭은 4 mm, 슬릿의 길이는 17 mm, 슬릿의 폭은 2 mm이다.
3.1 GHz 내지 4.9 GHz의 목표 대역폭 내에서, 7.5 dB 이하(VSWR 2.5 이하)의 반사 손실이 얻어진다. 안테나는 목표 대역폭 내에서 충분한 성능을 가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목표 대역폭이 3.1 GHz 내지 4.9 GHz일 때, 대략 20 mm의 길이, 30 mm의 폭 및 4 mm의 높이를 가지는 안테나가 요구되는 안테나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파장 환산된 크기는 0.2 × 0.3 × 0.04이므로, 안테나의 면적은 종래 기술(문헌1)의 것의 약 2/3로 감소될 수 있다.
회로 보드 자체는 구부러지지 않기 때문에, 안테나는 문헌2에 개시된 것 보다 얇다.
또한 종래에는 470 MHz 내지 620 MHz의 대역폭이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표준화된 대역폭은 약 28 %이다. 실시예에서, 안테나는 3.1 GHz 내지 4.9 GHz에서 사용될 수 있어서, 표준화된 대역폭은 약 45 %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는 종래 기술의 것보다 2배 넓은 대역폭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의 구성을 도시한다.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는 동축 케이블(5)을 연결하는 방법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것과 거의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5)의 동축 외부 도체(7)의 일단부(상단부)만이 판형 도체(1)의 슬릿(2) 근방에 납땜되고, 이로 인해 루프 안테나가 형성된다.
제1 실시예에서, 동축 외부 도체(7) 및 판형 도체(1)는 선 접촉을 한다. 제2 실시예에서, 이들은 점 접촉을 한다. 또한 본 구성에서, 제1 실시예의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와 유사한 효과가 얻어진다.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제3 실시예]
도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상단 사시도이다. 도6은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저부 사시도이다. 도7의 (a) 및 (b)는 각각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는 인쇄 보드(10)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우선, 구리 포일 패턴(foil pattern)에 의해 형성된 판형 도체(11)가 인쇄 보드(10)의 저부면 상에 배치된다. 슬릿(12)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판형 도체(11) 내에 형 성된다. 판형 도체(11)의 짧은 측면의 일 단부에(도5에서 우측 단부), 표면 도체(15), 측면 도체(13), 및 배면 도체(14)에 의해 형성된 U자 형상 단면을 가지는 도체가 배치된다.
U자 형상 단면을 가지는 도체에서, 표면 도체(15)는 (납땜 등에 의해) 판형 도체(11)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력은 마이크로스트립 선로(microstrip line, 16)를 통해 공급된다. 인쇄 보드(10)의 상단 표면상에 배치된 마이크로스트립 선로(16) 및 인쇄 보드(10)의 저부면 상에 배치된 접지부(18)는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선로로서 기능한다. 마이크로스트립 선로(16) 및 접지부(18) 양측 모두는 인쇄 보드(10) 상에 구리 포일 패턴으로서 형성된다.
마이크로스트립 선로(16)의 선단부는 슬릿(12)을 지나서 연장되며 도전성 관통 구멍(17)을 통해서 판형 도체(11)에 연결된다. 판형 도체(11) 및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는 루프 안테나를 형성한다.
전력 공급 구조는 전기적인 관점에서 제1 실시예의 것과 등가이기 때문에, 유사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4 실시예]
도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상단 사시도이다. 도9는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저부 사시도이다. 도10의 (a) 및 (b)는 각각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제4 실시예는 도체가 U자 형상을 가지는 도체[표면 도체(15), 측면 도체(13) 및 배면 도체(14)에 의해 형성된 도체] 대신에 배면 도체(22 및 23) 및 관통 구멍(24)을 사용하여 구성된다는 점에서 제3 실시예와 상이하다.
배면 도체(22)는 U자 형상을 가지는 도체이다. 배면 도체(22)의 일부는 인쇄 보드 상에 구리 포일 패턴에 의해 형성된 배면 도체(23)에 납땜된다. 또한, 배면 도체(23)는 복수개의 도전성 관통 구멍(24)을 통해 판형 도체(11)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배면 도체(22 및 23) 사이의 연결부의 폭이 작을 때, 그 구조는 전기적인 관점에서 제3 실시예의 것과 등가이기 때문에, 유사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5 실시예]
도11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의 구성을 도시한다.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는 제3 실시예의 슬릿(12)의 방향이 90도 만큼 회전된 경우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판형 도체(31)는 제3 실시예의 판형 도체(11)에 상응한다.
제3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전력은 마이크로스트립 선로(36) 및 접지부(36)에 의해 형성된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선로를 통해 공급된다. 슬릿(12)의 방향이 90도 만큼 회전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스트립 선로(36)도 또한 90도 만큼 회전되며, 슬릿(12)에 걸쳐서 연장된 직후에 관통 구멍(17)을 통해 판형 도체(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5 실시예의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는 전기적인 관점에서 제3 실시예와 등가이기 때문에, 유사한 효과를 얻는다.
[제6 실시예]
도12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의 구성을 도시한다.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는 제4 실시예의 슬릿의 방향을 90도 만큼 회전시킨 경우의 것과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판형 도체(31)는 제4 실시예의 판형 도체(11)에 상응한다.
제4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에서, 전력은 마이크로스트립 선로(36) 및 접지부(38)에 의해 형성된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선로를 통해 공급된다. 슬릿(12)의 방향이 90도 만큼 회전되기 때문에, 마이크로스트립 선로(36)의 방향도 역시 90도 만큼 회전된다.
제6 실시예의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는 전기적인 관점에서 제4 실시예와 등가이기 때문에,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7 실시예]
도13은 제7 실시예에 따른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의 구성을 도시한다.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는 제3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지만, 관통 구멍이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3 실시예와 상이하다.
마이크로스트립 선로(16)의 일 단부의 형상 및 크기와 슬릿(12)으로부터의 선로(16)의 돌출부의 길이(S)를 조정함으로써, 임피던스 정합이 얻어진다.
도14의 (a) 내지 (d)는 전력 공급부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14의 (a)는 평면도, 도14의 (b), (c) 및 (d)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16)의 선단부의 변형을 도시한다. 도14의 (b)는 정방형 선단부(45)를 도시하고, 도14의 (c)는 삼각형 선단부(46)를, 도14의 (d)는 타원형 선단부(47)를 도시한다. 선단부의 길이(S), 형상 및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임피던스 정합이 얻어질 수 있다. 마이크로스트립 선 로(16)의 선단부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소정의 것과 상이할 수 있다. 요구되는 안테나 특성이 얻어지는 한, 어떤 형상도 적용될 수 있다.
[제8 실시예]
도15는 제8 실시예의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의 구성을 도시한다.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는 제7 실시예의 것과 유사하지만, 인쇄 보드(10) 대신 절연체(51)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슬릿(53)을 가지는 판형 도체(52)가 절연체(51)의 배면 측에 배치되고, 판형 도체(52)의 단부는 절연체(51)의 전방 측을 향해 되돌아 절첩된다. 절연체(51)의 전방 상에, 바아(bar)형 도체(54)가 슬릿(53)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동축 케이블(5)의 동축 중심 도체(6)가 바아형 도체(5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동축 외부 도체(7)는 판형 도체(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절연체(51)는 천, 스폰지, 필름, 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가요성 인쇄 회로 보드)와 같은 절첩가능한 절연체이다. 연성 안테나(50)는 후면 상에 벨크로(Velcro, 등록 상표) 스트랩(55) 등을 가지며, 이는 피복, 가방 등에 부착될 수 있다.
도16의 (a), (b) 및 (c)는 본 실시예의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의 사용예를 도시한다. 도16의 (a)의 벨크로(등록 상표) 스트랩(55)을 구비한 연성 안테나(50) 및 도16의 (b)의 벨크로(등록 상표) 스트랩(56)을 구비한 피복(60)은 도16의 (c)의 의복(60)에 부착되는 연성 안테나(50)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예컨대, 디지털 지상파 방송 등을 수신하기 위한 연성 안테나(50)는 피복(60)에 부착되는 안 테나(50)로서 운반된다. 이 연성 안테나(50)를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단자에 연결함으로써, 사용자는 우수한 수신 상태에서 방송을 볼 수 있다.
[제9 실시예]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는 슬릿에 평행한 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직립하는 측면 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판형 도체는 긴 측면으로부터 슬릿이 형성된 직사각형 외부 형상을 가진다. 배면 도체는 판형 도체와 평행하게 측면 도체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선로의 일단부는 측면 도체에 대향하는 슬릿의 일측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선로의 타단부는 슬릿의 다른 측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0 실시예]
선로는 동축 케이블일 수 있다. 동축 케이블의 동축 외부 도체는 측면 도체에 대향하게 슬릿의 일측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동축 케이블의 동축 중심 도체는 슬릿의 타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1 실시예]
동축 외부 도체는 일 지점에서 판형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2 실시예]
동축 외부 도체는 판형 도체와
선 접촉 상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3 실시예]
판형 도체, 측면 도체, 및 배면 도체는 단일 도체판을 절첩함으로써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4 실시예]
판형 도체는 인쇄 보드의 일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배면 도체는 인쇄 보드의 타측면 상에, 배면 도체와 인쇄 보드 사이에 공간을 두고 인쇄 보드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선로는 판형 도체에 대향하는 인쇄 보드의 표면상에 판형 도체와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선로를 형성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일 수 있다.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및 판형 도체는 슬릿에 비해 배면 도체에 더 인접한 위치에 있는 제1 관통 구멍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5 실시예]
배면 도체, 측면 도체 및 표면 도체는 연결될 수 있고, 인쇄 보드의 일부를 덮도록 표면 도체가 판형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대략 U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6 실시예]
이면 도체(rear conductor)가 인쇄 보드의 타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면 도체는 이면 도체 상에 있는 U자 형상 도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판형 도체 및 이면 도체는 제2 관통 구멍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7 실시예]
슬릿은 인쇄 보드의 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8 실시예]
판형 도체는 절연체의 표면상에 제공될 수 있다. 대략 U자 형상을 가지는 도체는 절연체의 일부를 덮도록 표면 도체, 배면 도체 및 측면 도체를 연결함으로 써 얻어질 수 있다. 판형 도체에 대향하는 절연체의 표면상의 슬릿을 가로지르는 전력 공급 도체는 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9 실시예]
도체의 시트는 굴곡되고, 판형 도체 및 대략 U자 형상을 가지는 도체는 도체의 시트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0 실시예]
절연체, 판형 도체 및 대략 U자 형상을 가지는 도체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제21 실시예]
절연체에는 다른 부재로의 부착을 위한 부착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제22 실시예]
절연체는 인쇄 보드일 수 있다. 전력 공급 도체는 판형 도체에 대향하는 표면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판형 도체와 함께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선로를 형성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일 수 있다.
[제23 실시예]
반사 손실 조정부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의 단부를 확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24 실시예]
절연체에 다른 부재로의 부착을 위한 부착 수단이 제공될 수 있는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는 부 착 수단을 사용하여 피복에 부착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이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술된 실시예에는 전력 공급을 위해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만,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twist pair cable)과 같은 다른 구조를 가지는 선로를 사용하여도 유사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 및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실시예를 변경 또는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넓은 대역에서 효과적이며 게다가 낮은 비용으로 제조되는 소형이며 박형인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 및 그 사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슬릿을 구비한 판형 도체와,
    판형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공간을 두고 판형 도체와 평행하게 배치된 배면 도체를 포함하며,
    선로를 구성하는 한 쌍의 도체 중 하나는 슬릿에 걸쳐 연장되며 슬릿으로부터 배면 도체까지의 도전성 루트 상에서 판형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슬릿의 개방단 근방에서 전력 공급되는 구조를 가지고,
    판형 도체는 인쇄 보드의 일 표면 상에 제공되고,
    배면 도체는 인쇄 보드의 타측면 상에, 배면 도체와 인쇄 보드 사이에 공간을 두고 인쇄 보드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선로는 판형 도체에 대향하는 인쇄 보드의 표면상에 판형 도체와 함께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선로를 형성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이고,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및 판형 도체는 슬릿에 비해 배면 도체에 더 인접한 위치에 있는 제1 관통 구멍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
  8. 제7항에 있어서, 측면 도체 및 표면 도체를 더 포함하며, 배면 도체, 측면 도체 및 표면 도체가 연결되어 단면이 U자 형상인 도체를 형성하고, 상기 단면이 U자 형상인 도체가 인쇄 보드의 일부를 덮도록 표면 도체가 판형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
  9. 제7항에 있어서, 인쇄 보드의 타측면 상에는 이면 도체가 배치되고,
    이면 도체 상에는 단면이 U자 형상인 도체가 배치되며,
    배면 도체는 상기 단면이 U자 형상인 도체의 일부를 형성하고,
    판형 도체 및 이면 도체는 제2 관통 구멍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
  10. 제7항에 있어서, 슬릿은 인쇄 보드의 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
  11. 슬릿을 구비한 판형 도체와,
    판형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공간을 두고 판형 도체와 평행하게 배치된 배면 도체를 포함하며,
    선로를 구성하는 한 쌍의 도체 중 하나는 슬릿에 걸쳐 연장되며 슬릿으로부터 배면 도체까지의 도전성 루트 상에서 판형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슬릿의 개방단 근방에서 전력 공급되는 구조를 가지고,
    판형 도체가 절연체의 표면상에 제공되고,
    절연체의 일부를 덮도록 표면 도체, 배면 도체 및 측면 도체를 연결함으로써 단면이 U자 형상인 도체가 얻어지고,
    판형 도체에 대향하는 절연체의 표면상에 전력 공급 도체가 배치되고, 상기 전력 공급 도체는 슬릿을 가로지르는 선로를 형성하는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
  12. 제11항에 있어서, 도체의 시트를 구부림으로써, 판형 도체와 단면이 U자 형상인 도체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
  13. 제11항에 있어서, 절연체, 판형 도체 및 단면이 U자 형상인 도체는 가요성을 가지는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
  14. 제12항에 있어서, 절연체에는 다른 부재로의 부착을 위한 부착 수단이 제공되는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
  15. 제11항에 있어서, 절연체는 인쇄 보드이고,
    전력 공급 도체는 판형 도체에 대향하는 표면상에 배치되며, 판형 도체와 함께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선로를 형성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인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
  16. 제15항에 있어서,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의 단부를 확대함으로써 반사 손실 조정부가 형성되는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
  17. 제14항에 따른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를 사용하는 방법이며,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는 부착 수단을 사용하여 피복에 부착되는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의 사용 방법.
KR1020070047681A 2006-05-17 2007-05-16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 및 그 사용 방법 KR1009233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38061A JP4328783B2 (ja) 2006-05-17 2006-05-17 折り曲げ広帯域アンテナ及びその使用方法
JPJP-P-2006-00138061 2006-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380A KR20070111380A (ko) 2007-11-21
KR100923360B1 true KR100923360B1 (ko) 2009-10-23

Family

ID=38219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681A KR100923360B1 (ko) 2006-05-17 2007-05-16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 및 그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79996B2 (ko)
JP (1) JP4328783B2 (ko)
KR (1) KR100923360B1 (ko)
CN (1) CN101075699B (ko)
AU (1) AU2007202055B2 (ko)
GB (1) GB2438292B (ko)
TW (1) TWI3416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71491B (zh) * 2007-12-24 2013-01-02 佳世达科技股份有限公司 天线装置及其相关电子装置
JP5057580B2 (ja) * 2008-03-11 2012-10-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アンテナ素子
WO2010024347A1 (ja) * 2008-08-28 2010-03-04 日本電気株式会社 物品収納用具及び接続方法
JP5246115B2 (ja) * 2008-09-30 2013-07-24 日立電線株式会社 アンテナ及びアンテナを備えた電子機器
US9774072B2 (en) 2009-10-09 2017-09-26 Htc Corporation Housing, handheld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housing
CN102299412B (zh) * 2010-05-24 2014-08-13 Tdk株式会社 接近型天线以及无线通信设备
TWM399452U (en) * 2010-09-23 2011-03-01 Hon Hai Prec Ind Co Ltd Portable device and an antenna
JP5874648B2 (ja) 2011-02-09 2016-03-02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ロットアンテナ
US9716307B2 (en) 2012-11-08 2017-07-25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antenna structure
US9655261B2 (en) 2013-03-21 2017-05-16 Htc Corporation Casing of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3718168B1 (en) * 2018-02-08 2022-03-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Antenna, antenna arrangement, and electronic device
GB2591241B (en) * 2020-01-21 2024-05-15 Prevayl Innovations Ltd Printed circuit board structure
GB2591239A (en) * 2020-01-21 2021-07-28 Prevayl Ltd Printed circuit board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7431A (ja) * 2001-03-23 2003-02-07 Hitachi Cable Ltd 平板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機器
KR20050021226A (ko) * 2003-08-27 2005-03-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전체 기판의 양면에 형성된 슬롯을 구비하는 슬롯 안테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7475A (en) 1979-10-30 1983-01-04 Ball Corporation Linearly polarized r.f. radiating slot
US5005019A (en) 1986-11-13 1991-04-02 Communications Satellite Corporation Electromagnetically coupled printed-circuit antennas having patches or slots capacitively coupled to feedlines
DE69409447T2 (de) 1993-07-30 1998-11-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ntenne für Mobilfunk
DE19817573A1 (de) * 1998-04-20 1999-10-21 Heinz Lindenmeier Antenne für mehrere Funkdienste
FR2803107B1 (fr) * 1999-12-22 2004-07-23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Antenne a composite anisotrope
US6307520B1 (en) 2000-07-25 2001-10-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oxed-in slot antenna with space-saving configuration
JP2002076757A (ja) 2000-09-01 2002-03-15 Hitachi Ltd スロットアンテナを用いた無線端末
WO2002039538A2 (en) 2000-10-20 2002-05-16 Rangestar Wireless, Inc. Compact antenna with multiple polarizations
JP2003101334A (ja) 2001-09-25 2003-04-04 Hitachi Cable Ltd 平板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機器
JP3622959B2 (ja) * 2001-11-09 2005-02-23 日立電線株式会社 平板アンテナの製造方法
JP3923847B2 (ja) 2002-05-14 2007-06-06 日本アンテナ株式会社 偏波ダイバーシチアンテナ
JP3690375B2 (ja) * 2002-07-09 2005-08-31 日立電線株式会社 板状多重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機器
JP3855893B2 (ja) 2002-09-06 2006-12-13 日立電線株式会社 アンテナ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機器
JP3912754B2 (ja) 2003-01-08 2007-05-09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無線装置
JP2005203830A (ja) 2004-01-13 2005-07-28 Yoshinobu Okano プレートアンテナ及びそのアンテナを備えるテレビ受像機
JP3103091U (ja) 2004-01-30 2004-07-22 警察庁長官 ベストアンテナ
GB2416924B (en) 2004-07-29 2007-04-25 Draeger Safety Ag & Co Kgaa Method and device for the radio transmission of signals generated close to the bod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7431A (ja) * 2001-03-23 2003-02-07 Hitachi Cable Ltd 平板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機器
KR20050021226A (ko) * 2003-08-27 2005-03-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전체 기판의 양면에 형성된 슬롯을 구비하는 슬롯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380A (ko) 2007-11-21
JP4328783B2 (ja) 2009-09-09
US20070268189A1 (en) 2007-11-22
CN101075699A (zh) 2007-11-21
TWI341622B (en) 2011-05-01
GB0708939D0 (en) 2007-06-20
GB2438292A (en) 2007-11-21
TW200810233A (en) 2008-02-16
AU2007202055A1 (en) 2007-12-06
CN101075699B (zh) 2013-09-11
AU2007202055B2 (en) 2011-06-09
US7579996B2 (en) 2009-08-25
JP2007312024A (ja) 2007-11-29
GB2438292B (en) 2008-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360B1 (ko) 절첩형 광대역 안테나 및 그 사용 방법
EP1120855B1 (en) Antenna device
KR100846260B1 (ko) 안테나 장치를 구비한 무선 통신 카드 모듈
US6404394B1 (en) Dual polarization slot antenna assembly
JP4747179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JP4332494B2 (ja) アンテナ装置
EP1921710A2 (en) Antenna
US7321333B2 (en) Antenna structure
US20100295750A1 (en) Antenna for diversity applications
US20080316108A1 (en) Compact Antennas for Ultra-Wideband Applications
JP4148126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通信機器
JP2004172912A (ja) 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
US8125404B2 (en) Monopole antenna with high gain and wide bandwidth
US8054230B2 (en) Multi-band antenna
TWI514673B (zh) 無線通訊裝置
JP5058515B2 (ja) Z型広帯域アンテナ
JP5232577B2 (ja) 広帯域アンテナ
JP2002094324A (ja) 無線端末装置
JP3237604B2 (ja) アンテナ装置
WO2002047200A1 (en) Antenna arrangement
JP2004207960A (ja) アンテ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無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