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562B1 - 미세입자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미세입자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562B1
KR100921562B1 KR1020080017341A KR20080017341A KR100921562B1 KR 100921562 B1 KR100921562 B1 KR 100921562B1 KR 1020080017341 A KR1020080017341 A KR 1020080017341A KR 20080017341 A KR20080017341 A KR 20080017341A KR 100921562 B1 KR100921562 B1 KR 100921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fluid
filter
particle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2062A (ko
Inventor
박제균
이명권
최성용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80017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562B1/ko
Publication of KR20090092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81Apparatus for treatment of blood or blood constituents prior to transfusion, e.g. washing, filtering or tha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39White blood cells; Leucocy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입자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미세유체 내에 존재하는 미세입자 중 특정 미세입자를 유체의 흐름에 방해됨 없이 여과하는 미세입자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구성은 미세입자가 포함된 유체가 주입되는 주입부; 상기 주입부로 주입된 유체 내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분리시키는 입자 분리부; 상기 입자 분리부에 연결되는 채널 중 일부 채널에 상기 분리된 미세입자를 거르도록 형성되는 필터부; 상기 분리된 유체 또는 미세입자가 이동하는 채널들이 다시 교차되도록 이루어지는 교차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미세입자 여과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입자가 포함된 미세유체에서 특정한 입자를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유체의 흐름을 원활히 하면서도 미세유체 내에 포함된 특정한 입자를 확실하게 걸러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미세유체가 혈액인 경우 크기가 작은 백혈구 등을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수혈 시 혈액의 흐름을 변화시키지 않으며, 높은 효율로 불순물 제거를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미세채널, 혈액, 여과, 응괴, 수혈, 필터링, 경사미세구조물

Description

미세입자 여과장치{APPARATUS FOR FILTERING MICRO-PARTICLES}
본 발명은 미세입자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미세유체 내에 존재하는 미세입자 중 특정 미세입자를 유체의 흐름에 방해됨 없이 여과하는 미세입자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혈은 빈혈 또는 각종 대량 실혈과 수술시 피할 수 없는 출혈에 따라 혈액이 부족한 환자에게 이루어지며 수혈은 혈액검사를 통해 공여된 혈액과 수혈자의 혈액이 맞는지를 검사하고 공여된 혈액이 수혈자에게 맞는 경우에만 이루어지게 된다.
통상적으로 수혈될 혈액은 미리 건장한 사람에게서 미리 헌혈을 받아 보관중인 혈액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헌혈된 혈액은 보관 중 일부 혈액이 응고되서 생기는 혈액응괴 및 기타 불순물이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혈액응괴는 수혈자에게 수혈되기 전에 제거되어야 한다.
혈액 응괴는 보관의 상태 및 기간 등의 요인에 의해 그 크기가 다양하게 형성되는데 다양한 크기의 혈액 응괴를 거르기 위해 크기가 다른 다공성 막을 이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즉, 수혈 환자에게 혈액을 주입할 때, 혈액 응괴 및 기타 불 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터를 통하여 주입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때 이용되는 필터는 크기가 다른 다공성 막을 이용하여, 크기가 큰 입자들을 걸러내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표준혈액 필터의 경우에는, 여과 홀(Hole)의 크기가 170마이크로미터로, 이에 비해 크기가 다소 큰 혈구 응괴(Macro-Aggregates)는 걸러내지만, 혈액 보관 5일 이후부터 점진적으로 형성되는 작은 혈구 응괴(Micro-Aggregates)는 걸러내지 못한다.
따라서, 소 응괴제거용 혈액 필터의 경우에는, 상기 홀의 크기가 20 내지 40 마이크로미터 정로로, 작은 혈구 응괴는 걸러낼 수 없도록 이루어진다.
반대로, 혈구 응괴의 크기가 상기 필터 홀의 크기 보다 작은 경우, 즉 약 20 마이크로미터 이하 또는 약 2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가지는 적혈구는 주입되어야 하나, 약 5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의 SUSPENSION된 상태인 백혈구는 주입되어서는 안되는 환자의 경우에는 기존의 혈액 필터로 걸러낼 수 없다.
즉, 백혈구를 주입받지 말아야 하는 환자는 장기 이식 환자와 같은 면역 억제제를 투여받았거나 또는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의 경우이며, 다공성 막을 이용한 필터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홀의 크기를 작게 제작할 경우에는 모든 막에 있어서, 균일한 홀의 크기를 가지는 막을 제작하기 쉽지 않으며, 혈액 응괴 및 기타 불순물을 걸러낼 혈구가 많은 경우, 상기 막의 구멍을 막아 흐름을 일정치 않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미세채널 내에 형성된 구조적 특징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입자가 포함된 미세유체에서 특정 크기의 미세입자를 걸러낼 수 있는 미세입자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미세유체가 혈액인 경우, 수혈 환자에게 혈액을 주입할 때, 혈액 응괴 및 기타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미세입자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미세채널 내에 여과할 불순물의 크기보다 작은 미세채널을 형성하도록 경사미세구조물을 형성시키고, 미세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불순물의 크기보다 작은 간격으로 미세기둥을 미세채널 내에 형성시키며, 여과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경사미세구조물 또는 미세기둥을 다수개 형성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입자가 포함된 미세유체에서 특정한 입자를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체의 흐름을 원활히 하면서도 미세유체 내에 포함된 특정한 입자를 확실하게 걸러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세유체가 혈액인 경우 크기가 작은 백혈구 등을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수혈 시 혈액의 흐름을 변화시키지 않으며, 높은 효율로 불순물 제거를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세입자가 포함된 유체가 주입되는 주입부; 상기 주입부로 주입된 유체 내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분리시키는 입자 분리부; 상기 입자 분리부에 연결되는 채널 중 일부 채널에 상기 분리된 미세입자를 거르도록 형성되는 필터부; 상기 분리된 유체 또는 미세입자가 이동하는 채널들이 다시 교차되도록 이루어지는 교차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자 분리부의 후단에는 상기 분리된 유체 또는 미세입자가 각각 서로 다른 채널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채널 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널 분리부는 상기 입자 분리부에서 분리된 미세입자가 포함된 유체가 이동하는 제1 채널; 및 상기 분리된 미세입자가 제외된 유체가 이동하는 제2 채널을 포함하여 다수의 채널이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2 채널에 마련되되, 상기 필터부는 상기 미세유체 내 입자를 여과하기 위하여, 상기 채널의 상부 또는 하부에 요홈이 형성된 요홈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홈 구조물은 상기 유체 내 입자의 크기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2 채널에 마련되되, 상기 필터부는 상기 유체 내 입자를 여과하기 위하여, 상기 채널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미세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기둥의 간격은 상기 미세유체 내 입자를 여과하기 위하여, 상기 미세유체 내 입자의 크기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자 분리부에서 분리된 유체 또는 미세입자를 분리하기 위해 제2 입자분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입자 분리부는 상기 입자 분리부와 상기 필터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3 채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입자 분리부의 후단에는 제2 입자 분리부에서 분리된 유체 또는 미세입자가 각각 서로 다른 채널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제2 채널 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자 분리부 또는 제2 입자 분리부는 유체가 이동하는 채널 내 상층 또는 하층에 유체의 일차유동방향에 대해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경사미세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미세구조물은 채널높이보다 일정 배율만큼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자 분리부와 제2 입자 분리부에 마련된 경사미세구조물은 각각 서로 다른 크기의 입자를 분리하도록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채널의 후단에는 상기 제3채널이 상기 제1채널과 다시 교차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교차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입자 여과장치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는 생체적합성이 좋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여과장치가 적용된 수혈 세트를 도시한 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세입자 여과장치(1)가 적용된 수혈 세트는 환자에게 주입할 혈액이 담긴 팩으로부터 혈액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상기 혈액은 전혈, 적혈구 제제, 혈소판 제제, 백혈구 제제, 혈장 제제 등의 혈액 성분 제제로 이루어지고, 이는 혈액 필터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약 20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크기의 혈구 응괴 및 찌꺼기가 걸러진다.
그리고 나서, 혈액 필터와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여과장치(1)를 통과하면서 혈액 필터에서 걸러지지 않은 크기가 약 20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혈구 응괴 또는 선택적으로 원하는 크기의 혈구가 여과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여과장치(1)를 통해 걸러진 혈액은 관을 따라 이동하며, 환자에게 수혈하도록 주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여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미세입자 여과장치 중 입자 분리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세입자 여과장치(1)는 주입부(10)와, 입자 분리부(20)와, 채널 분리부(30)와, 제1 채널(41)과, 제2 채널(43)과, 필터부(45)와, 교차부(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주입부(10)는 환자에게 주입할 혈액인 혈액성분 제제와, 생리 식염수가 혼합된 유체가 주입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입자 분리부(20)는 상기 주입부(10)에 주입된 혈액 내의 미세입자인 혈구를 크기별로 분리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채널 분리부(30)는 상기 입자 분리부(20)에서 크기별로 분리된 혈구를 제1 채널(41)과, 제2 채널(43)로 분리 및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45)는 상기 제1 채널(41)과 제2 채널(43)로 이동된 미세혈구 응괴 또는 백혈구 등의 혈구의 흐름을 막도록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교차부(50)는 상기 제1 채널(41)로 이동된 유체와, 상기 제2 채널 및 필터부(50)를 통해 이동된 유체가 교차되도록 채널이 형성된다.
우선, 수혈이 필요한 환자에게 적혈구 제제 등의 혈액이 상기 주입부(10)에 주입되면, 주입된 혈액은 입자 분리부(20)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입자 분리부(20)는 미세입자 여과장치(1)의 입자 분리부(20)는 입자를 크기에 따라, 정렬 및 분리하기 위해 채널 높이의 1/2를 그 높이로 갖는 경사미세구조물을 포함한 다.
여기서, 경사미세구조물은 채널의 하위 및 상위에 교대로 형성되는데, 하위에 하위 경사미세구조물(21)과, 상위에 상위 경사미세구조물(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체의 일차유동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차압력구배장을 형성시켜주어 입자와 구조물 간의 유체역학적 상호 작용을 발생시킴으로써, 입자가 분리되는 원리를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주입부(10)로부터 주입된 혈액 용액이 상기 분리부(20)를 통과하면서 혈액 용액(유체) 내의 혈구(입자)가 분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주입부(10)에 로딩된 혈액 용액은 부압(Negative Pressure)을 이용하여 주입부(10)로 로딩된 혈액 용액을 상기 분리부(20)로 이동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20)를 통과한 혈액은 혈액 내의 혈구의 크기에 따라 분리되며, 분리부(20)를 통과하면서 분리된 혈구는 미세채널이 분리되어 상기 혈구의 흐름을 나누도록 형성된 채널 분리부(30)를 통과한다.
그리고 나서, 채널 분리부(30)에서 A 방향 및 B 방향으로 나뉘어 이동되는 주입된 혈액 중에서, 시간이 지나면서 발생되는 응집 반응으로 인해, 혈구 응괴가 발생할 수 있으며, 혈구 응괴는 혈액 중의 다른 혈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기 때문에, 입자 분리부(20)를 통과하면서 A 방향으로 향하게 되고, 나머지 혈액 내의 혈구들은 B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이때, 혈구 응괴 또는 백혈구 등의 여과하고자 하는 미세입자는 걸러낼 피요가 없는 적혈구와 같은 미세입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며, 이는 A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A 방향으로 흘러가도록 하는 미세입자의 크기와, B 방향으로 이동하는 미세입자의 크기의 기준이 되는 크기는 상기 입자 분리부(20)의 경사 구조물의 경사 각도, 경사 구조물 간의 간격, 경사 구조물의 길이 등을 조절하여 설정가능하다.
예를 들면, 면역 억제제를 투여받은 장기 이식 환자 또는 면역력이 약한 환자의 경우에는, 백혈구가 환자에게 주입되지 않아야 하는데, 상기 입자 분리부(20)의 경사 구조물을 조절하여 약 5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의 SUSPENSION 상태의 백혈구의 크기보다 큰 혈구들은 A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백혈구 및 상기 백혈구 크기보다 큰 혈구 응괴는 A 방향으로 향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채널 분리부(30)로부터 분리된 혈구 중 혈구 응괴 또는 백혈구와 같은 크기가 큰 혈구는 A 방향으로 흘러 제2 채널(43)로 유입되며, 적혈구와 같은 크기가 작은 혈구는 B 방향으로 흘러 제1 채널(41)로 유입된다.
또한, 제2 채널(43)로 유입된 혈구는 필터부(45)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필터부(45)를 미세기둥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상기 미세기둥이 특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백혈구가 통과할 수 없는 간격인 5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제2 채널(43)로 유입된 크기가 큰 혈구는 상기 필터부(45)의 미세기둥에 여과되어 통과하지 못하지만, 제2 채널(43)로 함께 유입된 백혈구 이외의 혈액인 유체의 경우에는 상기 필터부(45)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45)를 통과한 생리 식염수와 같은 유체는 교차부(50)를 통해, 제1 채널(41)을 통과하는 적혈구와 같은 크기가 작은 혈구와 교차하게 되며, C 방향으로 흘러 환자에게 주입되게 된다.
도 4는 도 2의 미세입자 여과장치 중 필터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미세입자 여과장치 중 필터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미세입자 여과장치 중 필터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미세입자 여과장치 중 필터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여과장치(1)는 혈액을 장치 내로 흐르도록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생체 적합성이 좋고, 주입자가 혈액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폴리다이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등의 폴리머 계열 물질을 이용한 몰딩으로 제작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필터부(45)의 상층 또는 하층에 유체의 유동 방향에 대해 일정한 요홈 구조물(45a)을 구비하게 되며, 상층에 형성된 요홈 구조물(45a)을 채널의 하부면과의 간격이 약 2 마이크로미터로 설정한다.
이렇게 되면, 제2 채널(43)로 유입된 크기가 약 5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인 백혈구와 같은 혈구는 상기 필터부(45)의 요홈 구조물(45a)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반대로, 제2 채널(43)로 유입된 크기가 약 2 마이크로미터 이하인 혈구 또는 생리식염수와 같은 유체는 상기 필터부(45)의 요홈 구조물(45a)을 통과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부(45)를 거치면서 상기 요홈 구조물(45a)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입자 여과가 가능해진다.
도 6은 도 2의 미세입자 여과장치 중 필터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미세입자 여과장치 중 필터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필터부(45)는 미세기둥(45b)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게 되며, 여과하고자 하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간격은 조절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미세기둥(45b)의 간격을 약 2 마이크로미터로 제작한다고 가정하면, 제2 채널(43)로 유입된 약 5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의 백혈구와, 약 5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혈액 응괴는 상기 필터부(45)를 통과하면서 미세기둥(45b) 사이를 통과하지 못한다.
반대로, 제2 채널(43)로 유입된 약 2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적혈구와, 그외의 유체는 상기 필터부(45)를 통과하면서 상기 미세기둥(45b)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8은 도 2의 미세입자 여과장치에 제2 입자 분리부가 부가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세입자 여과장치(1)는 제3 채널에 제2 입자 분리부(60)를 더 포함시킨다.
여기서, 주입부(10)로부터 이동된 혈액은 입자 분리부(20)를 통과하여 주입된 혈액 내의 혈구 크기별로 분리되며, 상기 분리된 혈구 중에서, 그 크기가 큰 혈구는 제3 채널상에 마련된 제2 입자 분리부(60)를 통과하면서, 한번 더 혈구 크기별로 분리가 되도록 이루어진다.
제2 입자 분리부(60)의 후단에는 필터부(45)가 마련된 제2 채널과 제1 채널로 유체를 이동하는 채널로 분기되는 제2 채널 분리부가 마련된다. 또한, 제1 채널 상에는 제3 채널에서 이동한 유체가 제1 채널에 합쳐지도록 제2 교차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크기별로 분리된 혈구를 제2 입자 분리부(60)를 통해 한번 더 혈구를 크기별로 분리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걸러내고자 하는 원하는 크기 이상의 혈구들을 필터부(45)로 이동시켜 높은 효율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입자 분리부(60)를 다수개 형성하여, 원하는 효율로 조절가능하며, 다수개의 입자 분리부들의 미세경사구조물의 경사 각도, 경사 구조물 간의 간격, 경사 구조물의 길이 등을 조절하여 분리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여과장치가 적용된 수혈 세트를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여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미세입자 여과장치 중 입자 분리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미세입자 여과장치 중 필터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미세입자 여과장치 중 필터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2의 미세입자 여과장치 중 필터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미세입자 여과장치 중 필터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2의 미세입자 여과장치에 제2 입자 분리부가 부가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미세입자 여과장치 20: 입자 분리부
21: 하위 경사미세구조물 23: 상위 경사미세구조물
25: 미세유동궤적 30: 채널 분리부
41: 제1 채널 43: 제2 채널
45: 필터부 45a: 요홈 구조물
45b: 미세기둥 50: 교차부
60: 제2 입자 분리부

Claims (14)

  1. 미세입자가 포함된 유체가 주입되는 주입부;
    상기 주입부로 주입된 유체 내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분리시키는 입자 분리부;
    상기 입자 분리부에 연결되는 채널 중 일부 채널에 상기 분리된 미세입자를 거르도록 형성되는 필터부;
    상기 분리된 유체 또는 미세입자가 이동하는 채널들이 다시 교차되도록 이루어지는 교차부를 포함하는 미세입자 여과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 분리부의 후단에는 상기 분리된 유체 또는 미세입자가 각각 서로 다른 채널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채널 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여과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분리부는 상기 입자 분리부에서 분리된 미세입자가 포함된 유체가 이동하는 제1 채널; 및
    상기 입자 분리부에서 분리된 미세입자 중 상기 제1 채널로 이동하는 미세입자를 제외한 나머지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유체가 이동하는 제2 채널을 포함하여 다수의 채널이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여과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2 채널에 마련되되,
    상기 필터부는 상기 유체 내 미세입자를 여과하기 위하여, 상기 채널의 상부 또는 하부에 요홈이 형성된 요홈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여과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요홈 구조물은 상기 유체 내 미세입자의 크기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여과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2 채널에 마련되되,
    상기 필터부는 상기 유체 내 미세입자를 여과하기 위하여, 상기 채널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미세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여과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둥의 간격은 상기 유체 내 미세입자를 여과하기 위하여, 상기 미세유체 내 입자의 크기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여과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입자 분리부에서 분리된 유체 또는 미세입자를 분리하기 위해 제2 입자분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입자 분리부는 상기 입자 분리부와 상기 필터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3 채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여과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자 분리부의 후단에는 제2 입자 분리부에서 분리된 유체 또는 미세입자가 각각 서로 다른 채널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제2 채널 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여과장치.
  10. 청구항 1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입자 분리부 또는 제2 입자 분리부는 유체가 이동하는 채널 내 상층 또는 하층에 유체의 일차유동방향에 대해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경사미세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여과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경사미세구조물은 채널높이보다 일정 배율만큼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여과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입자 분리부와 제2 입자 분리부에 마련된 경사미세구조물은 각각 서로 다른 크기의 입자를 분리하도록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여과장치.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 채널의 후단에는 상기 제3채널이 상기 제1채널과 다시 교차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교차부를 더 포함하는 미세입자 여과장치.
  14. 청구항 1 내지 9 또는 11 내지 13에 있어서,
    상기 미세입자 여과장치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여과장치.
KR1020080017341A 2008-02-26 2008-02-26 미세입자 여과장치 KR100921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341A KR100921562B1 (ko) 2008-02-26 2008-02-26 미세입자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341A KR100921562B1 (ko) 2008-02-26 2008-02-26 미세입자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062A KR20090092062A (ko) 2009-08-31
KR100921562B1 true KR100921562B1 (ko) 2009-10-12

Family

ID=4120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341A KR100921562B1 (ko) 2008-02-26 2008-02-26 미세입자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5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4678A (ja) * 1993-09-15 1995-08-01 Biofil Srl 血液濾過用使い捨て滅菌済み器具
JPH1176397A (ja) 1997-09-12 1999-03-23 Asahi Medical Co Ltd 白血球除去血液フィルターユニットおよびその使用法
KR20030092680A (ko) * 2002-05-30 2003-12-06 주식회사 디지탈바이오테크놀러지 혈액형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
KR20080052036A (ko) * 2006-12-07 2008-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혈액 중의 혈장 분리를 위하여 마이크로채널을 이용한혈장분리기 및 이에 의한 혈장분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4678A (ja) * 1993-09-15 1995-08-01 Biofil Srl 血液濾過用使い捨て滅菌済み器具
JPH1176397A (ja) 1997-09-12 1999-03-23 Asahi Medical Co Ltd 白血球除去血液フィルターユニットおよびその使用法
KR20030092680A (ko) * 2002-05-30 2003-12-06 주식회사 디지탈바이오테크놀러지 혈액형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
KR20080052036A (ko) * 2006-12-07 2008-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혈액 중의 혈장 분리를 위하여 마이크로채널을 이용한혈장분리기 및 이에 의한 혈장분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062A (ko) 2009-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85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asing convective clearance of undesired particles in a microfluidic device
KR101038248B1 (ko) 백혈구 제거 방법, 백혈구 제거 필터 및 그의 용도
CA2237019C (en) System for filtering medical and biological fluids
KR100845063B1 (ko) 백혈구 제거 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필터
US108068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ertial focusing microfiltration for intra-operative blood salvage autotransfusion
JP6859351B2 (ja) 血小板を産生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11513909A (ja) 管腔外横断流の血漿分離交換装置
EP319122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asing convective clearance of undesired particles in a microfluidic device
WO2014017604A1 (ja) 血液処理フィルター、血液回路、及び血液処理方法
AU763879B2 (en) Biological fluid filter and system
KR20160081825A (ko) 혈액 필터 및 그 제조방법
EP0887098B1 (en) Gas plasma treated porous medium and method of separation using same
US103429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asing convective clearance of undesired particles in a microfluidic device
KR100921562B1 (ko) 미세입자 여과장치
JP2012139347A (ja) 血液処理フィルター
JP2019505324A (ja) マイクロ流体装置中の望まれない粒子の対流クリアランスを増す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6479868A (zh) 一种基于多级透析法清除细胞低温保护剂的微装置
KR102074799B1 (ko) 백혈구제거용 혈액필터 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20230173147A1 (en) Blood separation system and blood products
CZ343991A3 (cs) Způsob zpracování biologické tekutiny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