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440B1 -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440B1
KR100921440B1 KR1020090030494A KR20090030494A KR100921440B1 KR 100921440 B1 KR100921440 B1 KR 100921440B1 KR 1020090030494 A KR1020090030494 A KR 1020090030494A KR 20090030494 A KR20090030494 A KR 20090030494A KR 100921440 B1 KR100921440 B1 KR 100921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ensor
units
sensor unit
display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균
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엘이디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이디웍스 filed Critical (주)엘이디웍스
Priority to KR1020090030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1Computing infrastructure, e.g. computer clusters, blade chassis or hardwar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15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involving a public display, viewable by several users in a public space outside their home, e.g. movie theatre, information kios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각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하는 N개의 클러스터를 포함하며, n×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은 소정 간격으로 열을 지어 배치되고, 이동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과 센서부를 포함하지 않는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구분되며, 센서부들은 n×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배치되는 열을 따라 연장되는 이동 경로로 이동하는 이동체를 감지하며, 센서부들 각각에서 감지되는 이동체의 감지 순서로부터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여,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n×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이 각각 연속되는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한다(n은 2보다 큰 양의 정수이고, N은 2보다 큰 양의 정수).
Figure R1020090030494
양방향, 엘이디 바, 이동체, 센서

Description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Bidirectional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찰자가 있는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여 그에 따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광고는 신문이나 방송 등 언론 매체를 위주로 이루어졌으며, 현재도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의 발달과 광고 시장을 확대로 인하여, 정보 및 광고 등의 제공을 위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의 광고는 길거리에 설치된 광고 패널, 대형 전광판 등 다양한 방법과 다양한 장치를 이용하여 잠재 고객과의 거리를 줄이고자 하고 있다. 이에 함께 지하철과 같은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간은 광고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공간으로 인식되어 많은 방식의 광고가 시도되고 있다.
현재 지하철에서 이용되는 광고 방법들 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것들에는 역 승강장 내에 설치된 대형 전광판 또는 프로젝션 장치와 지하철 객차 내에 설치된 모니터를 통한 광고 등이 있다. 그러나 이동하는 지하철 객차 내에서의 광고 방법인 각 객차마다 설치된 모니터를 통한 광고 방법은 많은 설치 비용 및 운영 비 용을 요구하지만, 모니터의 크기 및 설치 상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많은 승객에게 노출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지하철과 같이 이동하는 공간에 있어서 광고 등과 같은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는 제약이 있으며, 다양한 정보 또는 광고의 제공도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아직까지도 인쇄된 광고문을 승객의 시야보다 높은 부분에 설치하는 광고 방법만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하는 관찰자에게 정보 또는 광고 등의 영상을 제공하는 데에 있어서,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특히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관찰자에 모두 적합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각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하는 N개의 클러스터를 포함하며, n×N개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들은 소정 간격으로 열을 지어 배치되고, 상기 이동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센서부를 포함하지 않는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구분되며, 상기 센서부들은 n×N개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배치되는 열을 따라 연장되는 이동 경로로 이동하는 이동체를 감지하며, 상기 센서부들 각각에서 감지되는 상기 이동체의 감지 순서로부터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여,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n×N개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들이 각각 연속되는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상기 n은 2보다 큰 양의 정수이고, N은 2보다 큰 양의 정수).
N개의 상기 클러스터에 각각 포함된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적어도 2개의 연속되도록 인접된 상기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센서 유닛군과, 연속되도록 인접된 상기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비센서 유닛군으로 구분되며, N개의 상기 클러스터 중 x번째 클러스터의 센서 유닛군인 제x 센서 유닛군과 x-1번째 클러스터의 비센서 유닛군인 제x-1 비센서 유닛군이 인접하도록 열을 지어 배치될 수 있다(상기 x는 2와 N 사이의 정수).
제N+1 센서 유닛군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N+1 센서 유닛군은, N개의 상기 클러스터 중 N번째 클러스터의 비센서 유닛군인 제N 비센서 유닛군으로부터 제N 센서 유닛군이 인접한 측의 반대측에 인접하도록 상기 소정 간격으로 열을 지어 배치되며 각각 센서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센서 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N개의 상기 클러스터 중 동일한 클러스터 내의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연결하고 다른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 유닛들과 이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들에서 표시할 디스플레이 데이터가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선, N개의 상기 클러스터 중 동일한 클러스터 내의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연결하고 다른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 유닛들과 이격되어, 연결된 상기 센서 유닛군으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제1 센서 신호선 및 제x 센서 유닛군과 제x-1 비센서 유닛군을 이루는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연결하거나 제N+1 센서 유닛군을 이루는 적어도 2개의 상기 센서 유닛과 제N 비센서 유닛군을 이루는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연결하고, 다른 센서 유닛군 및 다른 비센서 유닛군과는 이격되어, 연결된 센서 유닛군으로부터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제2 센서 신호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서 신호선으로부터의 감지 신호가 상기 제2 센서 신호선으로부터의 감지 신호보다 먼저 전달될 때와 상기 제2 센서 신호선으로부터의 감지 신호가 상기 제1 센서 신호선으로부터의 감지 신호보다 먼저 전달될 때에, n×N개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서로 반대 방향 순서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는 n×N개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들이 배치되는 열을 사이에 두고 연장되는 2개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각각 상기 2개의 이동 경로를 향하는 2개의 디스플레이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는 n×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이 배치되는 열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서로 다른 거리가 떨어지도록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각각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며 적어도 2개의 상기 이동 경로에 각각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표시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2개의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부의 크기 비율은 적어도 2개의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이 배치되는 열로부터 떨어진 거리의 비율에 비례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부는, 각각 일체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 전체와 일부분, 또는 표시부 전체와 일부분들일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부는, 각각 일체인 엘이디 바의 엘이디 픽셀 전체와 일부분, 또는 , 표시부 전체와 일부분들일 수 있다.
상기 이동체는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이 배치되는 열을 사이에 두고 연장되는 2개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각각 상기 2개의 이동 경로 중 하나의 이동 경로에서 보이도록 향하는 디스플레이 표시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부를 상기 2개의 이동 경로 중 다른 이동 경로에서 보이도록 하는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부는 엘이디 바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신호선들은 각각 연결된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에 상기 서로 반대 방향 순서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프레임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로 전달하고, 상기 n×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1 센서 신호선으로부터의 감지 신호와 상기 제2 센서 신호선으로부터의 감지 신호 중 먼저 도달하는 감지 신호에 따라서 상기 2개의 프레임 데이터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N개의 클러스터가 각각 포함된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데이터 신호선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하철과 같이 폐쇄된 공간을 이동하는 관찰자에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장치로 양방향을 이동하는 관찰자에게 모두 적합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어서 제한된 공간 내에 장치의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하나의 장치로 양방향을 이동하는 관찰자에게 모두 적합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어서, 비용의 추가없이 두개의 장치를 사용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지하철의 지하 운행 구간과 같이 정속 운행 구간이 아닌 고속 엘리베이터, 고속도로의 터널, 도로의 야간 운행 시 등 다양한 곳에 활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 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1)는 나열되도록 열을 지어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100)들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00)는 예를 들면, 엘시디(LCD, Liquid Crystal Display), 피디피(PDP, Plasma Display Panel), 오엘이디(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 등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0)들은 예를 들면, 터널의 벽면, 지하철 철로의 주변 등 주위가 어둡거나 밀폐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100)들은 야간과 같은 어두운 시간대에 사용될 수 있도록, 도로 변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0)들의 앞을 비교적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에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의 운영이 편리하므로, 지하철의 지하 운행 구간의 벽면에 설치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일 수 있다. 그러나 길이가 비교적 길고 교통 정체가 심하지 않은 고속도로에 있는 터널 구간의 벽면 등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것은 디스플레이 유닛(100)들이 주로 수평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고층 건물의 엘리베이터 통로의 벽면에 수직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100)을 보면서 시속 70㎞의 속도로 이동하는 관찰자의 경우, 초당 약 19.4m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초당 24 프레임을 가지는 영상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1개의 프레임이 약 0.8m 이내의 폭에 나타내야 한다. 이를 기초로 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프레임 수와 영상의 폭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00)들의 배치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속 70㎞의 속도로 이동하는 관찰자가 있는 경우, 0.8m 마다 디스플레이 유닛(100)을 배치하면 초당 24 프레임을 가지는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그러나 영상의 높이에는 제한이 없으므로, 관찰자가 인식하기에 적절한 크기로 영상이 가지는 하나의 프레임의 높이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하철을 타고 이동하는 관찰자에게 지하철 지하 구간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지하철의 창문의 높이에 맞는 디스플레이 유닛(100)를 배치하여 영상의 높이로 결정할 수 있 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일 예를 나타내는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예시한 것과 달리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1)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유닛(100)들은 엘이디 바(LED bar)와 같은 선형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엘이디 바는 일반적으로 엘이디 픽셀(pixel)이 일렬로 나열되게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엘이디 바의 각 엘이디 픽셀(pixel)은 풀컬러를 표현하도록 할 수 있도록 RGB(Red, Green, Blue) 3가지 색의 개별 엘이디 소자를 적어도 하나씩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0)으로 사용되는 엘이디 바는 하나의 영상의 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픽셀들을 한 방향의 줄(line) 단위로 스캔(scan)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엘이디 바에 의하여 적당한 속도로 스캔이 되는 경우 잔상의 효과로 하나의 화면을 이루는 프레임 전체를 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잔상의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열을 지어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100)에 의하여 반복될수록 더욱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024픽셀×768픽셀의 프레임 사이즈를 가지고 초당 24 프레임인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하나의 프레임은 약 41.7㎳(1/24sec) 동안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엘이디 바는 약 41.7㎳ 동안 1024개의 라인을 스캔함으로 하나의 프레임을 표시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향 디스플레이 장치는 엘이디 바 자체가 이동하는 것이 아니고, 고정된 엘이디 바 앞을 관찰자가 이동하여 관찰자의 입장에서 볼 때 엘이디 바가 스캔하며 지나가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따라서 엘이디 바는, 관찰자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을 하는 경우에는 수직 방향의 줄 단위로 스캔을 하고, 관찰자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을 하는 경우에는 수평 방향의 줄 단위로 스캔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관찰자보다 이동체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 이는 이동체에 관찰자가 타고 있다는 개념으로 설명의 용이성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관찰자가 이동한다는 것과 이동체가 이동한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개념이며, 발명의 본질과 관련이 없음은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1)는 각각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100)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클러스터(C)를 포함한다.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예를 들면, 1번째 클러스터(C-1)에서부터 N번째 클러스터(C-N)의 N개의 클러스터(C)를 포함할 수 있다(여기서 N은 2보다 큰 양의 정수). 하나의 클러스터(C-1 내지 C-N 중 하나로, 이하에서는 C라 표기함)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각각 적어도 2개의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과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클러스터(C)가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100)을 포함하는 경우(여기서 n은 2보다 큰 양의 정수), 2개의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과 n-2개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세 디 스플레이 유닛(100-S)은 센서부가 포함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의미한다. 따라서 센서부를 제외하고는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과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은 디스플레이 유닛(100)으로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100)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로부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전달받는 역할을 하는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100-L)일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되는 하나의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100-L)은 따로 표시되지는 않았으나 디스플레이 유닛(100) 중 하나일 수 있다. 또는 n-2개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로부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전달받는 역할을 하는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100-L)일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되는 하나의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100-L)은 따로 표시되지는 않았으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도시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각 디스플레이 유닛(100), 즉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 또는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100-L)의 배치 순서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실제 각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클러스터(C)에 포함되는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들을 총칭하여 비센서 유닛군(NSU-1 내지 NSU-N 중 하나로 이하에서는 NSU라 표기함)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클러스터(C)의 비센서 유닛군(NSU)에 포함되는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들은 각각 연속되도록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클러스터(C)에 포함되는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들을 총칭하여 센서 유닛군(SU-1 내지 SU-N 중 하나로 이하에서는 SU라 표기함)이라 할 수 있다. i번째 클러스터(C-i)에 포함되는 비센서 유닛군(NSU)과 센서 유닛군(SU)은 각각 i번째 비센서 유닛군(NSU-i)과 번째 센서 유닛군(SU-i)이라 호칭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클러스터(C)의 센서 유닛군(SU)에 포함되는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들은 각각 연속되도록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1)는 N번째 클러스터(C-N)에 인접하여, N+1번째 센서 유닛군(SU-(N+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N+1번째 센서 유닛군(SU-(N+1)은 도시된 것과 같이, 센서부가 포함되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되지 않은 적어도 2개의 센서 유닛(102-S)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N+1번째 센서 유닛군(SU-(N+1))은 도시된 것과 달리, 적어도 2개의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N+1번째 센서 유닛군(SU-(N+1))이 2개의 센서 유닛(102-S)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2개의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의 센서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경우에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센서 유닛(102-S)의 동작에 대한 설명으로 이해할 수 있다.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1번째에서 N+1번째 센서 유닛군(SU-1에서 SU-(N+1))과 1번째에서 N번째 비센서 유닛군(NSU-1에서 NSU-N)는 서로 번갈아가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센서 유닛군(SU)들 및 비센서 유닛군(NSU)들은 1번째 센서 유닛군(SU-1), 1번째 비센서 유닛군(NSU-1), 2번째 센서 유닛군(SU-2), 2번째 비센서 유닛군(NSU-1), …, N번째 센서 유닛군(SU-N), N번째 비센서 유닛군(NSU-N), N+1번째 센서 유닛군(SU-(N+1))의 순으로 배열되도록 배 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i번째 클러스터(C-i)의 i번째 센서 유닛군(SU-i)은 (i-1)번째 비센서 유닛군(NSU-(i-1))과 i번째 비센서 유닛군(SU-i)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i번째 비센서 유닛군(NSU-i)은 i번째 센서 유닛군(SU-i)과 i+1번째 센서 유닛군(SU-(i+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여기서, i는 1보다 크고, N보다 작은 정수이다).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100)이 배치되는 열을 따라 연장되는 이동 경로(20)를 따라서 이동체(10-F, 10-R)는 이동할 수 있다. 이동체(10-F, 10-R)는 순방향(D1) 또는 역방향(D2)으로 이동 경로(20)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순방향이라 함은, 1번째 클러스터(C-1)에서부터 N번째 클러스터(C-N)로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역방향이란 N번째 클러스터(C-N)로부터 1번째 클러스터(C-1)로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동체(10-F, 10-R)도 순방향 이동체(10-F)와 역방향 이동체(10-R)로 구분하여 부를 수 있다. 이때, 이동 경로(20)는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경로일 수도 있고, 양방향이 구분된 두개 이상의 경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경로(20)는 단선 철로이거나, 복선 또는 복복선 등의 2개 이상의 철로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10-F, 10-R)에는 관찰자가 있을 수 있으며, 관찰자에 의하여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볼 수 있다. 즉, N개의 클러스터(C-1 내지 C-N)가 각각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하는 경우,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1)는 총 n×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체(10-F, 10-R)의 이동 방향(D1 또는 D2)에 따라 양방향 디스 플레이 장치(1)는 n×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100)들이 각각 연속되는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표시하여, 이동체(10-F, 10-R)의 관찰자가 관찰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동체(10-F 또는 10-R)의 이동 방향(D1 또는 D2)를 감지하여, 이동 방향(D1 또는 D2)에 대응하는 연속되는 프레임을 각각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양방향 디스플레이(1)에 포함되는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L),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 및 센서 유닛(102-S)들은 적어도 3개의 신호선(L-F, L-R, L-D)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들 3개의 신호선(L-F, L-R, L-D)은 예를 들면, RS48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데이터 신호선(L-D)은 하나의 클러스터(C)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100)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다른 클러스터(C)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100)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이터 신호선(L-D)과는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클러스터(C) 내에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100)이 있는 경우, 데이터 신호선(L-D)은 1번째 디스플레이 유닛부터 n번째 디스플레이 유닛까지를 직렬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1번째 디스플레이 유닛부터 n번째 디스플레이 유닛은 정방향 순에 의하여 순서를 정할 수 있다. 데이터 신호선(L-D)은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 표시할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신호선(L-D)은 각 클러스터(C)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100)들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각 클러스터(C)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100)들에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신호선(L-D)은 각 클러스터(C)마다 각각 디스플레이 유닛(100)들을 직렬로 연결하는 데이터 신호선(L-D)를 별도로 포함하 여,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단축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N개의 클러스터(C-1 내지 C-N)에 포함되는 모든 디스플레이 유닛(100)들, 예를 들면 n×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100)들을 직렬로 연결하지 않고, 하나의 클러스터(C) 각각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유닛(100)들, 예를 들면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100)들을 각각 직렬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100-L)을 통하여 데이터 신호선(L-D)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각 클러스터(C)의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100-L)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전달부(미도시)와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상기 데이터 전달부로부터,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100-L)과 데이터 신호선(L-D)을 거쳐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각 클러스터(C)에 대응되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각 클러스터(C)에 포함되는 각 디스플레이 유닛(100)들에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각 클러스터(C) 별로 구성한 것들을 총칭하는 의미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예를 들면, 각 클러스터(C)에 포함되는 데이테 디스플레이 유닛(100-L)들에 각각 전달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의 총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정방향(D1) 및 역방향(D2)에 각각 대응하는 정방향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역방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정방향 센서 신호선(L-F)은 각 센서 유닛군(SU)들에서 감지한 정보를 정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유닛(100)들에 전달할 수 있다. 역방향 센서 신호선(L-R)은 각 센 서 유닛군(SU)들에서 감지한 정보를 역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유닛(100)들에 전달할 수 있다.
정방향 센서 신호선(L-F)은 데이터 신호선(L-D)과 유사하게 하나의 클러스터(C)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100)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다른 클러스터(C)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100)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정방향 센서 신호선(L-F)과는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클러스터(C) 내에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100)이 있는 경우, 정방향 센서 신호선(L-F)은 1번째 디스플레이 유닛부터 n번째 디스플레이 유닛까지를 직렬로 연결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클러스터(C) 내의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100) 중, 1번째 디스플레이 유닛과 2번째 디스플레이 유닛이 각각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으로 센서 유닛군(SU)을 구성하고, 3번째 디스플레이 유닛부터 n번째 디스플레이 유닛까지가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으로 비센서 유닛군(NSU)을 구성하는 경우,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인 1번째 및 2번째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감지된 정보를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인 3번째부터 n번째 디스플레이 유닛까지 전달할 수 있다.
역방향 센서 신호선(L-R)은 하나의 클러스터(C) 내의 센서 유닛(SU)에 포함되는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과 인접한 다른 클러스터(C) 내의 비센서 유닛(NSU)에 포함되는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같은 클러스터(C) 내의 비센서 유닛(NSU)에 포함되는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른 역방향 센서 신호선(L-R)과는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2번째 클러스터(C-2)에서 N번째 클러스터(C-N) 내의 각 센서 유 닛(SU)을 1번째 클러스터(C-1)에서 N-1번째 클러스터(C-(N-1)) 내의 각 비센서 유닛(NSU)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역방향 센서 신호선(L-R)은 N+1번째 센서 유닛(SU-(N+1))에 포함되는 센서 유닛(102-S)과 N번째 클러스터(C-N) 내의 비센서 유닛군(NSU)에 포함되는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i번째 클러스터(C-i) 내의 2번째 디스플레이 유닛과 1번째 디스플레이 유닛이 각각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으로 i번째 센서 유닛(SU-i)을 구성하고, i-1번째 클러스터(C-(i-1)) 내의 n번째 디스플레이 유닛부터 3번째 디스플레이 유닛까지가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으로 i-1번째 비센서 유닛군(NSU-(i-1))을 구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100-S)인 i번째 클러스터(C-i) 내의 2번째 및 1번째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감지된 정보를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인 i-1번째 클러스터(C-(i-1))내의 n번째 디스플레이 유닛부터 3번째 디스플레이 유닛까지 전달할 수 있다.
정방향 센서 신호선(L-F)과 역방향 센서 신호선(L-R)은 각각 제1 센서 신호선과 제2 센서 신호선이라 호칭할 수 있다.
클러스터(C)란 하나의 데이터 신호선(L-D)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데이터가 전달되는 디스플레이 유닛(100)들이 군을 이루도록 열을 지어 배치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센서 유닛군(NSU)과 센서 유닛군(SU)은 하나의 클러스터(C) 내에서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들과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들이 각각 군을 이루어 배치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1)를 설명하는데에 있어서, 디스플레 이 유닛(100)들의 조합으로 설명할 수도 있고, 클러스터(C)들의 조합으로 설명할 수도 있고, 비센서 유닛군(NSU)과 센서 유닛군(SU)의 조합으로 설명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클러스터(C)를 설명하는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유닛(100)들의 조합으로 설명할 수도 있고, 비센서 유닛군(NSU)과 센서 유닛군(SU)의 조합으로 설명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각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동작원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방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경로(20)를 따라서 순방향 이동체(10-F)가 순방향(D1)으로 j번째 클러스터(C-j, 여기서 j는 2와 N 사이의 정수)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j번째 클러스터(C-j) 내의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들은 순방향 이동체(10-F)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순방향 이동체(10-F)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1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1)이 상대적으로 먼 제2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2)보다 순방향 이동체(10-F)를 먼저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1)과 제2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2)은 정방향 센서 신호선(L-F)과 역방향 센서 신호선(L-R)을 통하여 감지 신호를 디스플레이 유닛(100-D)들에 전달할 수 있다. 정방향 센서 신호선(L-F)은 j번째 클러스터(C-j)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들에 감지 신호를 전달하고, 역방향 센서 신호선(L-R)은 j-1번째 클러스터(C-(j-1)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들에 감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방향 동작 시에 나타나는 임의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달되는 신호 다이어그램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j번째 클러스터(C-j)의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들은 j번째 클러스터(C-j)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과는 정방향 센서 신호선(L-F)을 통하여 연결되고, j-1번째 클러스터(C-(j-1))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과는 역방향 센서 신호선(L-R)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같은 원리로, 임의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은 정방향 센서 신호선(L-F)과 역방향 센서 신호선(L-R)을 통하여 임의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이 속하는 클러스터(C)에 포함된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과 인접한 다른 클러스터(C)에 속하는 센스 디스플레이 유닛(100-S)으로부터 모두 감지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만일, 임의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이 N번째 클러스터(C-N)에 포함되는 경우, 역방향 센서 신호선(L-R)을 통하여 N+1번째 센서 유닛(도 3의 SU-(N+1))에 포함된 센서 유닛(102-S)과 연결되어 감지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정방향 이동체(10-F)가 정방향(D1)으로 이동할 때, 임의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이 전달받는 감지 신호를 살펴보면, 정방향 센서 신호선(L-F)을 통하여 정방향 감지 신호(S-F)를 전달받고, 역방향 센서 신호선(L-R)을 통하여 역방향 감지 신호(S-R)를 전달받게 된다. 이때, 정방향 이동체(10-F)는 임의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과 정방향 센서 신호선(L-F)으로 연결되어 있는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 즉 임의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와 같은 클러스터(C) 내의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에 먼저 인접하기 때문에, 정방향 감지 신 호(S-F)를 먼저 전달받게 된다. 이를 통하여, 정방향 이동체(10-F)가 정방향(D1)으로 이동하는 경우, 임의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은 정방향 감지 신호(S-F)에 의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정방향 감지 신호(S-F)는 2개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으로부터 전달되는 감지 신호를 포함하기 때문에, 2개의 펄스(S-F1, S-F2)가 나타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역방향 감지 신호(S-R)도 2개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으로부터 전달되는 감지 신호를 포함하기 때문에, 2개의 펄스(S-R1, S-R2)가 나타날 수 있다. 2개의 펄스(S-F1/S-F2 또는 S-R1/S-R2) 사이의 시간(TS)은 이동체(10)가 2개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에 의하여 감지되는 시간 차이를 의미하며, 즉 이동체(10)가 정속 주행을 하는 경우, 2개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 사이를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의 역방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경로(20)를 따라서 역방향 이동체(10-R)가 역방향(D2)으로 k번째 클러스터(C-k, 여기서 k는 1과 N-1 사이의 정수)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k+1번째 클러스터(C-k) 내의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들은 역방향 이동체(10-R)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역방향 이동체(10-F)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2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2)이 상대적으로 먼 제1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1)보다 역방향 이동체(10-R)를 먼저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 디스플레이 유 닛(100-S1)과 제2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2)은 정방향 센서 신호선(L-F)과 역방향 센서 신호선(L-R)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감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정방향 센서 신호선(L-F)은 k+1번째 클러스터(C-(k+1))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들에 감지 신호를 전달하고, 역방향 센서 신호선(L-R)은 k번째 클러스터(C-k)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들에 감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의 역방향 동작 시에 나타나는 임의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달되는 신호 다이어그램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k+1번째 클러스터(C-(k+1))의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들은 k+1번째 클러스터(C-(k+1))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과는 정방향 센서 신호선(L-F)을 통하여 연결되고, k번째 클러스터(C-k)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과는 역방향 센서 신호선(L-R)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만일, 임의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이 N번째 클러스터(C-N)에 포함되는 경우, 역방향 센서 신호선(L-R)을 통하여 N+1번째 센서 유닛(도 3의 SU-(N+1))에 포함된 센서 유닛(102-S)과 연결되어 감지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역방향 이동체(10-R)가 역방향(D2)으로 이동할 때, 임의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이 전달받는 감지 신호를 살펴보면, 정방향 센서 신호선(L-F)을 통하여 정방향 감지 신호(S-F)를 전달받고, 역방향 센서 신호선(L-R)을 통하여 역방향 감지 신호(S-R)를 전달받게 된다. 이때, 역방향 이동체(10-F)는 임의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과 역방향 센서 신호선(L-F)으로 연결되어 있는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 즉 임의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와 인접한 클러 스터(C) 내의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에 먼저 인접하기 때문에, 역방향 감지 신호(S-F)를 먼저 전달받게 된다. 이를 통하여, 역방향 이동체(10-F)가 역방향(D2)으로 이동하는 경우, 임의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은 역방향 감지 신호(S-R)에 의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정방향 이동체(10-F)가 정방향(D1)으로 이동하는 경우, 임의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은 제1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1)에서 전달하는 감지 신호의 펄스(S-F1)에 의하여 동작될 수 있다. 반대로 역방향 이동체(10-R)가 역방향(D2)으로 이동하는 경우, 임의의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은 제2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2)에서 잔달하는 감지 신호의 펄스(S-R2)에 의하여 동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클러스터(C)마다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을 2개씩(100-S1, 100-S2) 구비하여, 양방향(D1, D2)의 이동에 대하여 모두 감지하여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1)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각 클러스터(C)마다 3개 이상의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을 구비하여,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에 부착된 센서의 고장에 대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클러스터(C) 내에 포함된 적어도 2개의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S), 즉 센서 유닛군(SU)은 같은 클러스터(C) 내에 포함된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들을 동작시키는 경우(정방향(D1) 이동 감지) 외에도, 인접한 다른 클러스터(C)에 포함된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100-D)을 동작시키는 경우(역방향(D2) 이동 감지)에도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도로, 2개의 이동 경로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8을 참조하면,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유닛(100)과 N+1번째 센서 유닛군(SU-(N+1))을 포함한다. N+1번째 센서 유닛군(SU-(N+1))은 적어도 2개의 센서 유닛(102-S)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리성을 위하여, 클러스터를 구분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유닛(100)을 설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n×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100)을 포함하는 경우, 정방향(D1)을 따라서 1번째 디스플레이 유닛(100-1)부터 n×N번째 디스플레이 유닛(100-(n×N))이라 호칭할 수 있다. 또한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정방향 이동 경로(20-F)와 역방향 이동 경로(20-R)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정방향 이동 경로(20-F)와 역방향 이동 경로(20-R)는 그 사이에 배치되어 열을 이루는 디스플레이 유닛(100)들과 센서 유닛(102-S)들을 따라 연장된다. 정방향 이동 경로(20-F)로는 정방향(D1)으로 이동하는 정방향 이동체(10-F)가 이동할 수 있고, 역방향 이동 경로(20-R)로는 역방향(D2)으로 이동하는 역방향 이동체(10-R)가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0)들과 센서 유닛(102-S)들이 배치되는 열과 정방향 이동 경로(20-F)는 제1 간격(W1)만큼 떨어져서 연장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100)들과 센서 유닛(102-S)들이 배치되는 열과 역방향 이동 경로(20-R)는 제2 간격(W2)만큼 떨어져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간격(W1)과 제2 간격(W2)은 정방향 이동체(10-F)와 역방향 이동체(10-R)에서 관찰되는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 보여지는 영상의 크기가 동일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겠으나, 제1 간격(W1)과 제2 간격(W2)의 합은 정방향 이동 경로(20-F)와 역방향 이동 경로(20-R) 사이의 간격과 동일할 수도 있으나, 다를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양상을 나타내는 개략도로,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가 2개의 이동 경로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2개의 디스플레이 표시부(110-F1, 110-R1)을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 표시부(110-F1)는 정방향 이동 경로(20-F)에서 보이도록 장착되고, 제2 디스플레이 표시부(110-R1)는 역방향 이동 경로(20-R)에서 보이도록 장착된다. 제1 디스플레이 표시부(110-F1)와 제2 디스플레이 표시부(110-R1)의 표시 크기가 동일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표시부(110-F1)와 정방향 이동 경로(20-F) 사이의 거리인 제1 간격(W1)과 제2 디스플레이 표시부(110-R1)와 역방향 이동 경로(20-R) 사이의 거리인 제2 간격(W2)은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2 양상을 나타내는 개략도로, 2개의 이동 경로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디스플레이 표시부(110)와 반사부(110-M)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표시부(110)는 정방향 이동 경로(20-F)에서 보이도록 장착될 수 있고, 반사부(110-M)는 디스플레이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영상 을 반사하여 역방향 이동 경로(20-R)에서 볼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표시부(110)와 반사부(110-M)에 반사되는 디스플레이 표시부(110)의 표시 크기가 동일한 경우, 디스플레이 표시부(110)와 정방향 이동 경로(20-F) 사이의 거리인 제1 간격(W1)과 반사부(110-M)와 역방향 이동 경로(20-R) 사이의 거리인 제2 간격(W2)은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 표시부(110)의 원래 표시 크기가 반사부(100-M)에서 반사되는 디스플레이 표시부(110)의 표시 크기와 다른 경우에는 두 표시 크기의 비율에 비례하여 제1 간격(W1)과 제2 간격(W2)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로,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가 2개의 이동 경로의 일측에 배치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11을 참조하면,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유닛(100)과 N+1번째 센서 유닛군(SU-(N+1))을 포함한다. N+1번째 센서 유닛군(SU-(N+1))은 적어도 2개의 센서 유닛(102-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100)을 포함하는 경우, 정방향(D1)을 따라서 1번째 디스플레이 유닛(100-1)부터 n×N번째 디스플레이 유닛(100-(n×N))이라 호칭할 수 있다. 또한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정방향 이동 경로(20-F) 및 역방향 이동 경로(20-R)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정방향 이동 경로(20-F)와 역방향 이동 경로(20-R)는 각각 디스플레이 유닛(100)들과 센서 유닛(102-S)들이 배치되는 열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서로 다른 거리만큼의 간격을 가지도록 연장된다.
이때, 도시된 것과 같이 역방향 이동 경로(20-R)가 정방향 이동 경로(20-F)보다 디스플레이 유닛(100)들과 센서 유닛(102-S)들이 배치되는 열로부터 가까운 거리만큼의 간격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으나, 그 반대로, 정방향 이동 경로(20-F)가 가까운 거리만큼의 간격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0)들과 센서 유닛(102-S)들이 배치되는 열과 정방향 이동 경로(20-F)는 제3 간격(W3)만큼의 간격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100)들과 센서 유닛(102-S)들이 배치되는 열과 역방향 이동 경로(20-R)는 제4 간격(W4)만큼의 간격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3 간격(W3)과 제4 간격(W4)은 정방향 이동 경로(20-F)와 역방향 이동 경로(20-R)에서 관찰되는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 보여지는 영상의 크기가 동일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3 양상을 나타내는 개략도로,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가 2개의 이동 경로의 일측에 배치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평탄 디스플레이 장치인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제1 표시 영역(110-F2) 및 제2 표시 영역(110-R2)을 가질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110-F2)은 정방향 이동 경로(20-F)에서 보이도록 동작되고, 제2 표시 영역(110-R2)은 역방향 이동 경로(20-R)에서 보이도록 동작된다. 즉, 일체인 평탄 디스플레이 장치인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표시부 전체(110-F2)와 표시부 일부(110-R2)가 각각 별도의 디스플레이 표시부처럼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표시 영역(110-F2)과 제2 표시 영역(110-R2)의 넓이 비율과 제3 간격(W3)과 제4 간격(W4)의 비율이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제3 간격(W3)과 제4 간격(W4)의 비율과 동일한 넓이 비율을 가지는 2개의 평탄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각각 정방향 이동 경로(20-F) 및 역방향 이동 경로(20-R)에서 보이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4 양상을 나타내는 개략도로,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가 2개의 이동 경로의 일측에 배치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선형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선형 디스플레이 장치인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제3 표시 영역(110-F3) 및 제4 표시 영역(110-R3)을 가질 수 있다. 제3 표시 영역(110-F3)은 정방향 이동 경로(20-F)에서 보이도록 동작되고, 제4 표시 영역(110-R3)은 역방향 이동 경로(20-R)에서 보이도록 동작된다. 이때 제3 표시 영역(110-F3)과 제4 표시 영역(110-R3)의 길이 비율과 제3 간격(W3)과 제4 간격(W4)의 비율이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형 디스플레이 장치인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엘이디 바일 수 있다. 제3 간격(W3)이 제4 간격(W4)보다 2배인 경우, 제4 표시 영역(110-R3)은 1024 개의 엘이디 픽셀이 1열로 배열되도록 하고, 제3 표시 영역(110-F3)은 2048개의 엘이디 픽셀이 1열 또는 2열로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정방향 이동 경로(20-F)에서는 2개 또는 4개의 엘이디 픽셀이 1개의 픽셀처럼 함께 동작하는 제3 표시 영역(110-F3)을 볼 수 있고, 역방향 이동 경로(20-R)에서는 1개의 엘이디 픽셀이 실제 1개의 픽셀처럼 동작하는 제4 표시 영역(110-R4)을 볼 수 있다. 제3 간격(W3)이 제4 간격(W4)보다 2개인 경우, 제3 표시 영역에서 2개의 엘이디 픽셀이 1개의 픽셀처럼 함께 동작한다면, 제4 표시 영역에서 1개의 엘이디 픽셀이 실제 1개의 픽셀처럼 동작하는 경우보다 2배의 밝기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정방향 이동 경로(20-F)와 역방향 이동 경로(20-R) 어느쪽에서도 디스플레이 유닛(100)이 거의 동일한 밝기와 크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제3 간격(W3)과 제4 간격(W4)의 비율과 동일한 길이 비율을 가지는 2개의 선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각각 정방향 이동 경로(20-F) 및 역방향 이동 경로(20-R)에서 보이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도 9, 도 10, 도 12 및 도 13에서 보인 디스플레이 유닛(100)들의 양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동 경로(20)가 3개 이상인 경우, 전술한 디스플레이 유닛(100)들의 양상을 조합하거나, 확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 전체와 다른 크기를 가지는 여러개의 일부분들을 이용하여 이동 경로(20)가 3개 이상인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선형 디스플레 이 장치의 엘이디 픽셀 전체와 다른 크기를 가지는 여러개의 일부분들을 이용하여 이동 경로(20)가 3개 이상인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내부 구조 및 외부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디스플레이 표시부(110), 제어부(120) 및 데이터 버퍼부(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표시부(110)는 도시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9, 도 10, 도 12 및 도 13에서 나타낸 구조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정방향 센서 신호선(L-F) 및 역방향 센서 신호선(L-R)과 모두 연결되어, 정방향과 역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예를 들면, 정방향 센서 신호선(L-F) 및 역방향 센서 신호선(L-R)과 연결할 수 있는 RS485용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버퍼부(130)는 데이터 신호선(L-D)과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표시부(110)에서 표시할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버퍼부(130)는 예를 들면, 데이터 신호선(L-D)과 연결할 수 있는 RS485용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버퍼부(130)는 정방향과 역방향에 대응하는 정방향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역방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모두 저장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20)에서 감지된 방향에 따라 상기 정방향 디스플레이 데이터 또는 상기 역방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표시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표시부에 전달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정방향(D1)이 감지된 경우, n×N개의 디스플레이 유 닛(100-1 내지 100-(n×N))들은 정방향(D1)을 따라서 각각 순차적으로 해당되는 정방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표시한다. 반대로 역방향(D2)이 감지된 경우, n×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100-1 내지 100-(n×N))들은 역방향(D2)을 따라서 각각 순차적으로 해당되는 역방향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1번째 디스플레이 유닛(100-1)에 저장된 정방향 디스플레이 데이터가 영상의 1번째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이고, n×N번째 디스플레이 유닛(100-(n×N))에 저장된 정방향 디스플레이 데이터가 영상의 n×N번째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인 경우, 1번째 디스플레이 유닛(100-1)에 저장된 역방향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영상의 n×N번째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이고, n×N번째 디스플레이 유닛(100-(n×N))에 저장된 역방향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영상의 1번째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상기 정방향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상기 역방향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프레임 순서를 서로 반대로 배치한 프레임 데이터일 수 있다.
만일, 도 10에서 보인 것과 같이, 반사부(110-M)가 역방향을 위한 디스플레이 표시부인 경우, 상기 역방향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상기 정방향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프레임 순서를 반대로 배치한 것뿐만 아니라, 각 프레임을 좌우로 반전한 프레임 데이터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일 예를 나타내는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방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방향 동작 시에 나타나는 임의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달되는 신호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의 역방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의 역방향 동작 시에 나타나는 임의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달되는 신호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로, 2개의 이동 경로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및 제2 양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개 략도로,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가 2개의 이동 경로의 일측에 배치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3 및 제4 양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내부 구조 및 외부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표시부에 전달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10 : 이동체, 20 : 이동 경로, 100 : 디스플레이 유닛, 102 : 센서 유닛, 110 : 디스플레이 표시부, 120 : 제어부, 130 : 데이터 버퍼부

Claims (12)

  1. 각각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하는 N개의 클러스터를 포함하며(상기 n은 2보다 큰 양의 정수이고, N은 2보다 큰 양의 정수),
    n×N개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들은 소정 간격으로 열을 지어 배치되고, 이동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를 포함하는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센서부를 포함하지 않는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구분되며,
    상기 센서부들은 n×N개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배치되는 열을 따라 연장되는 이동 경로로 이동하는 상기 이동체를 감지하며,
    N개의 상기 클러스터에 각각 포함된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적어도 2개의 연속되도록 인접된 상기 센서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센서 유닛군과, 연속되도록 인접된 상기 비센서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비센서 유닛군으로 구분되며,
    N개의 상기 클러스터 중 x번째 클러스터의 센서 유닛군인 제x 센서 유닛군과 x-1번째 클러스터의 비센서 유닛군인 제x-1 비센서 유닛군이 인접하도록 열을 지어 배치되며(상기 x는 2와 N 사이의 정수),
    상기 센서부들 각각에서 감지되는 상기 이동체의 감지 순서로부터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여,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n×N개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들이 각각 연속되는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제N+1 센서 유닛군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N+1 센서 유닛군은, N개의 상기 클러스터 중 N번째 클러스터의 비센서 유닛군인 제N 비센서 유닛군으로부터 제N 센서 유닛군이 인접한 측의 반대측에 인접하도록 상기 소정 간격으로 열을 지어 배치되며 각각 센서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센서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N개의 상기 클러스터 중 동일한 클러스터 내의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연결하고 다른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 유닛들과 이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들에서 표시할 디스플레이 데이터가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선,
    N개의 상기 클러스터 중 동일한 클러스터 내의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연결하고 다른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 유닛들과 이격되어, 연결된 상기 센서 유닛군으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제1 센서 신호선 및
    제x 센서 유닛군과 제x-1 비센서 유닛군을 이루는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연결하거나 제N+1 센서 유닛군을 이루는 적어도 2개의 상기 센서 유닛과 제N 비센서 유닛군을 이루는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연결하고, 다른 센서 유닛군 및 다른 비센서 유닛군과는 이격되어, 연결된 센서 유닛군으로부터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제2 센서 신호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서 신호선으로부터의 감지 신호가 상기 제2 센서 신호선으로부터의 감지 신호보다 먼저 전달될 때와 상기 제2 센서 신호선으로부터의 감지 신호가 상기 제1 센서 신호선으로부터의 감지 신호보다 먼저 전달될 때에, n×N개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서로 반대 방향 순서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n×N개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들이 배치되는 열을 사이에 두고 연장되는 2개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각각 상기 2개의 이동 경로를 향하는 2개의 디스플레이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n×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이 배치되는 열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서로 다른 거리가 떨어지도록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각각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며 적어도 2개의 상기 이동 경로에 각각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표시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2개의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부의 크기 비율은 적어도 2개의 상기 이동 경로가 상기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이 배치되는 열로부터 떨어진 거리의 비율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부는, 각각 일체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 전체와 일부분, 또는 표시부 전체와 일부분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부는, 각각 일체인 엘이디 바의 엘이디 필셀 전체와 일부분, 또는 엘이디 픽셀 전체와 일부분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이 배치되는 열을 사이에 두고 연장되는 2개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각각 상기 2개의 이동 경로 중 하나의 이동 경로에서 보이도록 향하는 디스플레이 표시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부를 상기 2개의 이동 경로 중 다른 이동 경로에서 보이도록 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부는 엘이디 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선들은 각각 연결된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에 상기 서로 반대 방향 순서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프레임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로 전달하고,
    상기 n×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1 센서 신호선으로부터의 감지 신호와 상기 제2 센서 신호선으로부터의 감지 신호 중 먼저 도달하는 감지 신호에 따라서 상기 2개의 프레임 데이터 중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4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클러스터가 각각 포함된 n개의 디스플레이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데이터 신호선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030494A 2009-04-08 2009-04-08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21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494A KR100921440B1 (ko) 2009-04-08 2009-04-08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494A KR100921440B1 (ko) 2009-04-08 2009-04-08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1440B1 true KR100921440B1 (ko) 2009-10-13

Family

ID=41572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494A KR100921440B1 (ko) 2009-04-08 2009-04-08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4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904B1 (ko) 2010-07-27 2012-05-03 주식회사 미디어버튼 시간 차를 이용한 다중 분할 광고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5818A (ko) * 1999-01-19 1999-06-25 임홍 착시현상을이용한광고장치
JPH11190981A (ja) * 1998-10-13 1999-07-13 Abikkusu Kk n次元スキャン型広告塔装置
KR20010025177A (ko) * 2000-08-19 2001-04-06 임홍 궤도차의 주행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방법
JP2005309256A (ja) 2004-04-23 2005-11-04 Sony Corp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0981A (ja) * 1998-10-13 1999-07-13 Abikkusu Kk n次元スキャン型広告塔装置
KR19990045818A (ko) * 1999-01-19 1999-06-25 임홍 착시현상을이용한광고장치
KR20010025177A (ko) * 2000-08-19 2001-04-06 임홍 궤도차의 주행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방법
JP2005309256A (ja) 2004-04-23 2005-11-04 Sony Corp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904B1 (ko) 2010-07-27 2012-05-03 주식회사 미디어버튼 시간 차를 이용한 다중 분할 광고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45403A (zh) Led交通灯
CN102213836B (zh) 一种用于地铁隧道的自由立体显示系统
CA2885777C (en) Control of flicker in display images using light emitting element arrays as viewed by a viewer in motion
JP2010271892A (ja) 広告表示システム
CN100474359C (zh) 显示器件
CN107025864A (zh) 地铁隧道广告牌
CN103507821A (zh) 包括信息显示装置的铁路车辆车厢
KR100921440B1 (ko) 양방향 디스플레이 장치
WO201007146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варианты)
CN101244786A (zh) 观光电梯
CN103597535A (zh) 一种隧道内显示系统
KR100904499B1 (ko) 멀티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파노라마 영상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20130010411A (ko) 차량 이동로용 광고표시 장치
JP2009237649A (ja) 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JPH07104693A (ja) 鉄道トンネル構内における表示方法および装置
RU11305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варианты)
RU7256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варианты)
TW528996B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still images or motion sequences to passengers onboard a train moving in a tunnel
CN2303410Y (zh) 快速相对运动中的图形显示装置
KR20020037250A (ko) 지하철 터널에 설치된 광고장치 및 광고장치 제어방법
CN206789262U (zh) 地铁隧道广告牌
US20220165187A1 (en) Video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a moving object
JPH02201489A (ja) 表示装置
JP3089269U (ja) トンネル内での列車乗客用静止画または動画提供装置
JP3542861B2 (ja) 建物内部から窓越しに外部の人に向けて大画面のスクロール表示を行う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