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052B1 - 내충격성 및 내알코올성이 향상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충격성 및 내알코올성이 향상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052B1
KR100921052B1 KR1020080053378A KR20080053378A KR100921052B1 KR 100921052 B1 KR100921052 B1 KR 100921052B1 KR 1020080053378 A KR1020080053378 A KR 1020080053378A KR 20080053378 A KR20080053378 A KR 20080053378A KR 100921052 B1 KR100921052 B1 KR 100921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lyamide resin
resin composition
poly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환
주승돈
김윤석
박수철
정치원
장희석
오봉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코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코프라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3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0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03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폴리아미드 수지와 내알코올성 및 라미네이팅 효과가 뛰어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말레계 및 글리시딜계 중에서 선택된 반응성 상용화제, 올레핀계 충격보강제, 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 산화방지제로 아민계와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페놀계 열안정제, 올레핀계 활제를 일정비로 혼합 사용하여 종래의 수지와 동등 이상의 물성을 가지면서 내충격성과 내알코올성을 동시에 향상시켜 자동차 연료탱크 배플 등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배플, 내충격성, 내알코올성

Description

내충격성 및 내알코올성이 향상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Resin Composition of Polyamide with High Impact and Alcohol Resistances}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폴리아미드 수지와 내알코올성 및 라미네이팅 효과가 뛰어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말레계 및 글리시딜계 중에서 선택된 반응성 상용화제, 올레핀계 충격보강제, 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 산화방지제로 아민계와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페놀계 열안정제, 올레핀계 활제를 일정비로 혼합 사용하여 종래의 수지와 동등 이상의 물성을 가지면서 내충격성과 내알코올성을 동시에 향상시켜 자동차 연료탱크 배플 등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결정성 수지 중에서도 인장, 굴곡 강도 등에서 우수한 기계적 특성과 내열성 및 내약품성을 갖는다. 또한 유리섬유, 탄소섬유, 탈크, 규회석, 탄산칼슘, 황산바륨과 같은 무기 충진제와 유기 탄성체의 보강으로 매우 높은 물성을 얻을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각종 기능성 첨가제를 첨가하여 물리적, 화학적 저항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금속보다 가공이 쉽고 경량화의 이점이 있으며, 다양하고 간편한 디자인과 설계 효과를 갖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자동차뿐만 아니라 선박, 항공기 등 많은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배플(Baffle : 파동 방지막)은 액체나 기체의 흐름을 막는 것으로, 자동차가 급제동 및 출발할 때 연료가 한쪽으로 쏠리는 것과 출렁거림을 방지하는 것으로 연료탱크에 설치되어 있다. 기존에는 일반적인 자동차 연료탱크가 금속인 경우 내부에 금속 배플을 여러 개 설치하여 출렁거리는 소리를 완화 시켜왔는데 근래에 와서는 차량의 경량화 및 원가 절감을 위해 플라스틱 코일형으로 가공하여 장착하는 기술이 개발되면서 선행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폴리염화비닐수지(PVC), 폴리에틸렌수지(PE)등의 기존 모노필라멘트 소재로는 200℃ 이상의 용융점을 요구하는 금속 연료탱크 제작 환경 문제로 적용을 할 수 없어 실패하고 말았다. 그리고 일반적인 폴리아미드 수지는 높은 평형흡수율로 인해 가수분해와 알코올류에 의한 취화율이 다소 높은 소재로서 자동차 연료로 사용되는 에탄올 등 알코올계나 혼합연료에 의해 취화됨으로써 이로 인해 분해, 유리된 조각들이 연료기관을 막게 되면 연료공급 중단에 따른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의 문제점들은 연료에 혼입되거나 탱크 내 공기 중 존재하는 수분의 흡수로 가수분해가 온도, 압력 등의 환경 조건에 따라 서서히 일어나게 되면서 나타난다. 이 때 수지 분자간의 수소결합 단절과 함께 초저분자물이 생성되면서, 부가적으로는 에탄올등 알코올 성분의 연료나 알코올 성분이 혼합된 연 료에 의해 알코올 분해(Alcoholysis)가 일어나게 된다. 또한 폴리아미드 수지의 아미드가 초급 아민기 화합물과 β-하이드록시 에틸기를 갖는 에스터 화합물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생성된 초저분자물들이 분자간의 결합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수지 분자간의 간극을 넓히는 역할을 하게 되어 소재의 급격한 취화를 가져온다. 결과적으로 소재의 분해물 조각들이 쉽게 생성되면 연료기관에 연료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막아버리는 연료 공급 중단의 사고가 발생 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형 필라멘트 압출 가공성이 뛰어나고 내알코올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면서도 자동차 연료탱크 배플용 소재로서의 열적, 기계적 특성을 만족하는 폴리아미드 소재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폴리아미드 수지와 내알코올성, 라미네이팅 효과가 우수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이종 수지의 마이크로 분산성 향상을 위해 말레계 및 글리시딜계 중에서 선택된 반응성 상용화제를 사용하며, 충격 보강을 위해 올레핀계 탄성체를 사용하고, 공기 중 습기와 연료에 혼입된 수분에 의한 가수분해를 억제시키기 위해 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를 포함하며, 산화방지제로 아민계와 포스파이트계를 사용하며, 페놀계 열안정제와 올레핀계 활제를 사용하여 코일형 필라멘트 압출 가공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자동차 연료탱크 배플용 소재로서의 기계적 특성을 만족하면서도 내열성, 내알코올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내연료성이 향상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더불어 모노필라멘트로 코일형 배플을 압출 가공함에 있어, 코일형 필라멘트 교차면의 융착성이 완성된 배플 형체를 유지하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기 때문에 모노필라멘트의 압출 가공시 방사성이 고르고 결정화 속도가 빠르지 않아야 하는 바, 본 발명은 이러한 가공 특성까지를 고려하여 완성되었다.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85 : 15 ~ 95 : 5 중량비로 혼합된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와 말레계 및 글리시딜계 중에서 선택된 반응성 상용화제 0.3 ~ 1.0 중량부, 올레핀계 충격보강제 3 ~ 7 중량부, 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 0.1 ~ 3.0 중량부, 아민계 산화방지제 0.1 ~ 0.5 중량부,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0.1 ~ 0.5 중량부, 페놀계 열안정제 0.1 ~ 0.5 중량부, 올레핀계 활제 0.1 ~ 0.5 중량부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85 : 15 ~ 95 : 5 중량비로 혼합된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와 말레계 및 글리시딜계 중에서 선택된 반응성 상용화제 0.3 ~ 1.0 중량부, 올레핀계 충격보강제 3 ~ 7 중량부, 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 0.1 ~ 3.0 중량부, 아민계 산화방지제 0.1 ~ 0.5 중량부,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0.1 ~ 0.5 중량부, 페놀계 열안정제 0.1 ~ 0.5 중량부, 올레핀계 활제 0.1 ~ 0.5 중량부를 2축 압출기에 투입하는 단계;
225 ~ 245℃ 에서 300 ~ 350rpm의 스크류 회전으로 용융 혼련하는 단계;
압출 및 냉각하여 코일형 필라멘트를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코일형 필라멘트로 가공하여 제조한 자동차 연료탱크 배플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종래 자동차 연료탱크 배플용으로 대체 개발중인 폴리염화비닐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모노필라멘트용 소재 보다 내열, 내충격, 내알코올성이 월등히 우수하며, 모노필라멘트 압출가공성 또한 탁월하며 인장강도, 굴곡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이 자동차 연료탱크 배플용 소재로서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바 자동차 등에 사용하는 연료탱크 배플 등에 적용되어 성능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에 모노필라멘트용 폴리아미드 수지는 공지되어 있으나 내알코올성, 내충격성이 약하고 자동차 연료탱크 배플용 소재로서의 기계적, 열적 특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와 내알코올성 및 라미네이팅 효과가 뛰어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말레계 및 글리시딜계 중에서 선택된 반응성 상용화제, 올레핀계 충격보강제, 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 산화방지제로 아민계와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페놀계 열안정제, 올레핀계 활제를 일정비로 혼합 사용하여 종래의 수지와 동등 이상의 물성을 가지면서 내충격성과 내알코올성을 동시에 향상시켜 자동차 연료탱크 배플 등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각 구성 성분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아미드 수지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융점과 유동특성이 다른 이종수지로서 본 발명에서는 혼합하여 사용되는데, 혼합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내알콜올성과 라미네이팅 효과가 좋아 내연료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ε-카프로락탐의 개환중합에 의해 만들어진 방사성, 내열성,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폴리아미드6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치클러, 나타 촉매와 크롬계 촉매를 사용하여 중,저압법에서 중합되는 갈래가 적은 직쇄상의 폴리머이다. 폴리아미드 수지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85 : 15 ~ 95 : 5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바, 상기 혼합 비율이 85 : 15 미만시 기계적, 열적 특성이 떨어지고 95 : 5 초과시 내알코올성 및 라미네이팅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말레계 및 글리시딜계 중에서 선택된 반응성 상용화제는 상용성 증대를 위해 사용되며, 본 발명의 목적 중에 하나인 내충격성 향상에 필수적이다. 상기 반응성 상용화제는 폴리아미드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 1.0 중량부 범위로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0.3 중량부 미만이면 마이크로 분산성이 저하되어 충격강도가 떨어지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유동성이 급격히 떨어져 모노필라멘트의 압출가공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반응성 상용화제는 말레계 상용화제인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 및 글리시딜계 상용화제인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혼합물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충격보강제는 그라프트 중합된 고분자 고무계를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에이전트로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를 이용한 HDPE 고무를 사용한다. 상기 올레핀계 충격보강제는 폴리아미드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 7.0 중량부 사용하는데, 3.0 중량부 미만이면 충격강도의 요구 수준이 미달되며 7.0 중량부를 초과하면 내열 및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고 필라멘트 압출 가공성이 나빠진다.
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는 폴리아미드 분자간의 가수분해 억제를 위해 사용하며, 폴리아미드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3.0 중량부 범위에서 사용한다. 0.1 중량부 미만이면 내가수분해성의 효과가 미비하며,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외관 및 물성 저하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는 방향족 카르보디이미드와 지방족, 지환족 카르보디이미드 등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폴리(1,3,5-트리이소프로필-페닐렌-2,4-카르보디이미드)를 사용한다. .
1차 산화방지제인 아민계 산화방지제는 내열 및 내수성 향상의 효과가 있으며, 산화 유리된 라디칼을 제거하기 위해 포스파이트계 2차 산화방지제를 사용한다. 상기 아민계 산화방지제와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는 폴리아미드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0.1 ~ 0.5 중량부 범위로 사용한다. 0.1 중량부 미만이면 내열 노화성 및 내수성이 저하되고, 0.5 중량부를 초과하면 물성 저하 및 필라멘트 압출 가공성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상기 아민계 산화방지제로는 4,4'-비스(알파,알파-디메틸벤젠)디페닐아민, 2-디하이드로-2,2,4-트리메틸퀴놀린 등이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내열성과 내수성이 우수한 4,4'-비스(알파,알파-디메틸벤젠)디페닐아민을 사용하고, 상기 포스파이트계 산화 방지제로는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등이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를 사용한다.
페놀계 열안정제는 열노화 방지를 위해 사용하며 폴리아미드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0.5 중량부 사용한다. 0.1 중량부 미만이면 내열노화성이 저하되고, 0.5 중량부를 초과하면 외관품질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상기 페놀계 열안정제로는 비스(3,3-비스-(4'-하이드록시-3'-테트라부틸페놀)부탄산)-글리콜 에스터, 1,6-헥산디일비스(3,5-비스(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벤젠-프로판아마이드 등을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내열노화 방지 기능이 우수한 비스(3,3-비스-(4'-하이드록시-3'-테트라부틸페놀)부탄산)-글리콜 에스터를 사용한다.
올레핀계 활제는 방사성, 압출가공성 향상을 위해 사용하며, 폴리아미드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0.5 중량부 범위에서 사용한다. 0.1 중량부 미만시 필라멘트 압출가공성이 떨어지고 0.5 중량부 초과시 코일형 필라멘트 교차면의 융착력이 떨어져 기본형체의 유지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상기 올레핀계 활제로는 에틸렌 비스스테아린산 아마이드, 옥시디지드폴리에틸렌이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비스스테아린산 아마이드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이축 압출기에 의한 일반 압출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먼저 폴리아미드 수지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85 : 15 ~ 95 : 5 중량비로 혼합된 수지 100 중량부, 말레계 및 글리시딜계 중에서 선택된 반 응성 상용화제 0.1 ~ 1.0 중량부, 올레핀계 충격보강제가 3.0 ~ 7.0 중량부, 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 0.1 ~ 3.0 중량부, 아민계 및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각각 0.1 ~ 0.5 중량부 및 올레핀계 활제 0.1 ~ 0.5 중량부를 각각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225 ~ 245℃ 의 압축기 실린더 온도 범위 내에서 스크류 회전속도 300 ~ 350 rpm 으로 용융 혼련하는 공정과 스트렌드 타입으로 수조냉각, 탈수, 제립, 선별, 제습건조 및 포장 공정을 거쳐 제조한다. 상기 압축기 실린더 온도가 225℃ 미만시 연료탱크 배플에 요구되는 물성을 얻을 수 없으며, 상기 압축기 실린더 온도가 245℃ 초과시 열화 및 분해가스의 과다 발생으로 정상적인 기능의 수지를 제조 할 수 없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10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약호는 다음의 내용을 의미한다.
1. 폴리아미드6 수지
1) PA6 : KP chemtec. PAMIDE(RV 3.0)
2.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 HDPE : 삼성토탈 Y910A
3. 올레핀계 충격보강제
1) 탄성체 : UNIROYAL Polybond 3009
4. 말레계 상용화제
1) 상용화제 :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MAH)
5. 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
1) 내가수분해제 : 폴리(1,3,5-트리이소프로필-페닐렌-2,4-카르보디이미드)
6. 산화방지제
1) 아민계 : 4,4'-비스(알파,알파-디메틸벤젠)디페닐아민
2) 포스파이트계 :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7. 페놀계 열안정제
1) 열안정제 : 비스-(3,3-비스-(4'-하이드록시-3'-테트라부틸페놀)부탄산)-글리콜에스터
8. 올레핀계 활제
1) 활제 : 에틸렌 비스스테아린산 아마이드
다음 표 1에 나타낸 성분조성과 같이 폴리아미드6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올레핀계 충격보강제, 말레계 상용화제, 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 아민계와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페놀계 열안정제, 올레핀계 활제를 L/D 43, D75mm 2축 압출기에 투입, 230℃ 에서 340 rpm 의 회전속도로 용융 혼합하여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구분(중량부)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5 6 7 8 9 10
폴리아미드6 수지(RV3.0) 85 95 80 80 80 90 90 90 100 100 100 100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5 5 20 20 20 10 10 10 - - - -
올레핀계 충격보강제 3 7 3 5 7 3 - 5 3 5 7 -
말레계 상용화제 1.0 0.3 0.5 - 0.5 0.5 0.5 - - 0.5 0.5 -
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 1.0 0.3 - 0.5 0.5 - 0.5 0.5 0.5 0.5 - -
산화방지제 아민계 0.5 0.1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포스파이트계 0.1 0.5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페놀계 열안정제 0.1 0.5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올레핀계 활제 0.5 0.1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실험예 1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10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물성 및 특성을 측정하여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성 및 특성 측정방법>
1. 내연료성 평가 :
1) 정상 가솔린 - 상온에서 500시간 침적 후 160℃ 오븐에 30분간 어닐링하여 상온방치 3시간 이후 인장강도와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2) 가솔린/에탄올 혼합연료(20%) - 80℃에서 500시간 침적 후, 160℃ 오븐에 30분간 어닐링하여 상온 방치 3시간 이후 인장강도와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2. 내열도 : ASTM D-648에 의거하여 실시하였고 기준치는 185℃ 이상(열변형온도)이어야 한다.
3. 인장강도 : ASTM D-638에 의거하여 실시하였고 기준치는 650kg/cm2 이상이어야 한다.
4. 신 율 : ASTM D-638에 의거하여 실시하였고 기준치는 200% 이상이어야 한다.
5. 굴곡강도 : ASTM D-790에 의거하여 실시하였고 기준치는 950kg/cm2 이상이어야 한다.
6. 굴곡탄성율 : ASTM D-790에 의거하여 실시하였고 기준치는 22,000kg/cm2 이상이어야 한다.
7. 아이조드 충격강도 : ASTM D-256에 의거하여 실시하였고 기준치는 8.0kg/cm2 이상이어야 한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5 6 7 8 9 10
내연료성 평가 가솔린 인장 667 718 621 615 603 658 641 648 722 711 705 666
충격 9.1 16.3 8.7 13.2 15.3 8.3 4.5 10.7 8.5 12.1 10.5 3.8
가솔린 /에탄올 인장 560 464 515 556 580 450 415 446 410 415 401 352
충격 7.2 10.2 6.1 6.4 6.5 5.1 2.3 4.2 3.5 6.5 5.3 2.4
내열도(℃) /(4.6kg) 190 195 173 168 162 185 180 177 188 185 182 185
인장강도 (kg/cm2) 690 720 615 608 598 641 635 625 718 706 691 692
신율(%) >200 >200 >200 >200 180 >200 110 >200 >200 156 >200 >200
굴곡강도 (kg/cm2) 957 1,030 820 816 796 943 935 927 1,105 1,040 987 1,080
굴곡탄성율 (kg/cm2) 22,950 23,625 22,150 22,010 21,910 23,800 23,200 22,750 25,700 25,300 25,010 23,100
아이조드 충격강도 (kgcm/cm) 8.4 16.2 15.4 7.1 17.4 7.1 4.0 7.2 8.1 9.5 10.4 3.4
표 2의 결과에 따르면 실시예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비교예에 비하여 가솔린에 의한 노화는 크게 차이가 없었으나 가솔린과 에탄올 혼합 연료에 의한 노화방지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일형 모노 필라멘트로 압출가공이 이루어져야 하는 가공특성상 방사성 또한 기존 폴리아미드6 원소재와 동등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1 ~ 3에서는 내알코올성을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해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20중량부로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내알코올성에는 효과가 있으나 기계적 강도와 내열도가 기준치에 못 미치는 문제가 있으며, 비교예 4 ~ 6에서는 폴리아미드6 수지 90 중량부, 고밀도 폴리에틸렌수지 10 중량부를 혼합사용하고, 내가수분해제, 충격보강제, 상용화제를 각각 첨가하지 않았을 때를 실험한 결과 기계적 강도와 내알코올성 면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예 7 ~ 9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혼합하지 않고 실험한 결과로서 기계적 강도는 기준치를 넘는 양호한 수준이나 내알코올성 면에서는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폴리아미드6 수지에 기본 산화방지제와 활제만 처방된 비교예 10의 경우는 비교예 1 ~ 9보다 내연료성중 가솔린/에탄올 혼합연료에 대한 노화가 심하게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Claims (11)

  1. 폴리아미드 수지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85 : 15 ~ 95 : 5 중량비로 혼합된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와 말레계 및 글리시딜계 중에서 선택된 반응성 상용화제 0.3 ~ 1.0 중량부, 올레핀계 충격보강제 3 ~ 7 중량부, 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 0.1 ~ 3.0 중량부, 아민계 산화방지제 0.1 ~ 0.5 중량부,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0.1 ~ 0.5 중량부, 페놀계 열안정제 0.1 ~ 0.5 중량부, 올레핀계 활제 0.1 ~ 0.5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6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상용화제는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 및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충격보강제는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로 그 래프트된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산화방지제는 4,4'-비스(알파,알파-디메틸벤젠)디페닐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는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는 폴리(1,3,5-트리이소프로필-페닐렌-2,4-카르보디이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활제는 에틸렌 비스스테아린산 아마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계 열안정제는 비스-(3,3-비스-(4'-하이드록시- 3'-테트라부틸페놀)부탄산)-글리콜에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0. 폴리아미드 수지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85 : 15 ~ 95 : 5 중량비로 혼합된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와 말레계 및 글리시딜계 중에서 선택된 반응성 상용화제 0.3 ~ 1.0 중량부, 올레핀계 탄성체 3 ~ 7 중량부, 이미드계 내가수분해제 0.1 ~ 3.0 중량부, 아민계 산화방지제 0.1 ~ 0.5 중량부,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0.1 ~ 0.5 중량부, 페놀계 열안정제 0.1 ~ 0.5 중량부, 올레핀계 활제 0.1 ~ 0.5 중량부를 2축 압출기에 투입하는 단계;
    225 ~ 245℃ 에서 300 ~ 350rpm의 스크류 회전으로 용융 혼련하는 단계;
    압출 및 냉각하여 코일형 필라멘트를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코일형 필라멘트로 가공하여 제조한 자동차 연료탱크 배플.
KR1020080053378A 2008-06-05 2008-06-05 내충격성 및 내알코올성이 향상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0921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378A KR100921052B1 (ko) 2008-06-05 2008-06-05 내충격성 및 내알코올성이 향상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378A KR100921052B1 (ko) 2008-06-05 2008-06-05 내충격성 및 내알코올성이 향상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1052B1 true KR100921052B1 (ko) 2009-10-08

Family

ID=41572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378A KR100921052B1 (ko) 2008-06-05 2008-06-05 내충격성 및 내알코올성이 향상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0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86274A1 (de) 2011-08-22 2013-02-28 Desco Co., Ltd. Composite composition for front end module carrier
CN115850965A (zh) * 2022-12-19 2023-03-28 广东道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食品专用高稳定性pa-pe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5148A (ja) 1987-06-07 1988-12-13 Showa Denko Kk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アミド組成物
KR20060063593A (ko) * 2004-12-07 2006-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단성 파이프
KR20070032419A (ko) * 2005-09-16 2007-03-22 주식회사 위스컴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80008421A (ko) * 2005-05-12 2008-01-23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5148A (ja) 1987-06-07 1988-12-13 Showa Denko Kk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アミド組成物
KR20060063593A (ko) * 2004-12-07 2006-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단성 파이프
KR20080008421A (ko) * 2005-05-12 2008-01-23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20070032419A (ko) * 2005-09-16 2007-03-22 주식회사 위스컴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86274A1 (de) 2011-08-22 2013-02-28 Desco Co., Ltd. Composite composition for front end module carrier
CN115850965A (zh) * 2022-12-19 2023-03-28 广东道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食品专用高稳定性pa-pe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884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제조 방법, 성형품
US5654358A (en) Polyphenylene sulfide composition and shaped articles made therefrom
KR100844728B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CN114599738B (zh) 聚酰胺组合物及由其制成的制品
JP7357507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KR20090062763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2082420B1 (ko) 장기 내열성이 향상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EP2843000A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with superior fluidity and molding thereof
CN110760166B (zh) 纤维增强聚合物合金组合物、纤维增强聚合物合金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2025714A2 (en) Glass fiber reinforce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flowabilit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5620204B2 (ja) ポリアミド及びポリアミド組成物
KR100921052B1 (ko) 내충격성 및 내알코올성이 향상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CN114316586A (zh) 一种芳纶纤维增强聚酰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80086768A (ko)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WO2023013495A1 (ja) 樹脂組成物
JP2016108547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273357C (zh) 热塑性电缆束带
JP7262282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6859024B2 (ja)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CN113956653A (zh) 芳纶纤维增强聚酰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WO2020111011A1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CN110964296A (zh) 纤维增强聚合物合金组合物、纤维增强聚合物合金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00072225A (ko) 유리섬유 보강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2019172843A (ja) ガラス繊維強化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KR102321899B1 (ko) 발포사출용 유리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배터리팩 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