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016B1 - 김치포장장치 - Google Patents

김치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016B1
KR100921016B1 KR1020070087641A KR20070087641A KR100921016B1 KR 100921016 B1 KR100921016 B1 KR 100921016B1 KR 1020070087641 A KR1020070087641 A KR 1020070087641A KR 20070087641 A KR20070087641 A KR 20070087641A KR 100921016 B1 KR100921016 B1 KR 100921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unit
container
cutting
cutting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2347A (ko
Inventor
노형국
Original Assignee
유틸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틸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틸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7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016B1/ko
Publication of KR20090022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4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7Guides or funnels for introducing article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65B61/0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using rotary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1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machine
    • B65B2210/06Sterilising or cleaning machinery or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다수의 포기김치가 얹혀진 다수의 도마를 이송하는 포기김치이송부; 포기김치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다수의 포기김치를 이송방향과 동일방향 및 동일간격으로 커팅하도록, 포기김치이송부 상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커팅부; 제1 커팅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다수의 포기김치를 이송방향의 직각방향 및 동일간격으로 커팅하는 제2 커팅부; 제1 및 제2 커팅부에 의해 소정 단위로 커팅된 다수의 김치뭉치를 서로 다른 각도로 분기 이송하는 분기이송부; 다수의 용기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용기공급부; 제2 커팅부 후방에 배치되어, 분기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다수의 김치뭉치를 용기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용기로 각각 덮어 씌우는 김치캡핑부; 김치캡핑부에 의해 김치뭉치를 덮어 씌운 다수의 용기 및 도마를 파지하여, 용기이송컨베이어로 이동시키는 용기이동부; 용기이동부에 의해 용기이송컨베이어로 이동된 다수의 도마를 용기이송컨베이어에서 회수하는 도마회수부; 및, 김치캡핑부, 용기이동부 및 도마회수부를 선회작동시키기 위한 캠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0087641
김치, 도마, 원형칼날, 김치뭉치, 투입, 캠구동부, 회수장치, 세척, 살균

Description

김치포장장치{PACKING APPARATUS OF KIMCHI}
본 발명은 김치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김치의 일회용 용기를 포장하기 위한 김치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가이드가 부착된 도마 위에 김치를 올려놓고, 칼로 가로 및 세로로 자른후 각각의 김치뭉치를 용기에 옮겨 담는 수작업 방식으로 진행 되어왔다. 수작업 으로 인하여 개방된 분지 모형의 장소에서 절단을 하게 되므로 김치를 균일하게 펼칠 수 가 없어 잘려진 김치 뭉치의 각각의 형태 및 용량이 균일하지 못하며, 절단하는 과정으로부터 용기에 옮겨 담는 동안에 김치 고유의 수분이 손실 되므로 김치 고유의 맛과 향이 변질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 했다.
또한 김치 뭉치를 용기에 옮겨 담는 동안 김치뭉치의 형태가 흐트러지며, 일정량을 정확히 용기에 담기위하여작업자의 숙련도가 요구되고 이에 따라 피로도가 가중되어 생산성의 저하 및 수작업이란 특성 상 위생의 청결을 보장할 수 없기에 이의 보완이 시급한 상태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김치의 일회용 용기 포장 시 수작업 공정 대비 속도의 향상으로, 최소의 인력을 투입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균일한 포장과 더불어 공기와의 접촉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여 제품의 변질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다수의 포기김치가 얹혀진 다수의 도마를 이송하는 포기김치이송부; 상기 포기김치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다수의 포기김치를 이송방향과 동일방향 및 동일간격으로 커팅하도록, 상기 포기김치이송부 상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커팅부; 상기 제1 커팅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다수의 포기김치를 이송방향의 직각방향 및 동일간격으로 커팅하는 제2 커팅부; 상기 제1 및 제2 커팅부에 의해 소정 단위로 커팅된 다수의 김치뭉치를 서로 다른 각도로 분기 이송하는 분기이송부; 다수의 용기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용기공급부; 상기 제2 커팅부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분기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다수의 김치뭉치를 상기 용기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용기로 각각 덮어 씌우는 김치캡핑부; 상기 김치캡핑부에 의해 상기 김치뭉치를 덮어 씌운 상기 다수의 용기 및 도마를 파지하여, 용기이송컨베이어로 이동시키는 용기이동부; 상기 용기이동부에 의해 상기 용기이송컨베이어로 이동된 상기 다수의 도마를 상기 용기이송컨베이어에서 회수하는 도마회수부; 및, 상기 김치캡핑부, 상 기 용기이동부 및 상기 도마회수부를 선회작동시키기 위한 캠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포장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김치포장장치는 상기 도마회수부의 의해 회수된 다수의 도마를 상기 포기김치이송부로 이송하는 중 상기 다수의 도마를 세척하기 위한 제1 고압세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포기김치이송부는, 제1 모터; 상기 제1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스프라켓;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간격을 두고 동일 높이에 배치되는 종동스프라켓; 상기 구동스프라켓 및 종동스프라켓에 권취된 체인; 및, 상기 체인에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도마를 이송하는 다수의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도마회수부에 의해 도마와 분리된 다수의 캐리어를 세척하기 위한 제2고압세척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다수의 도마는, 사각형으로 돌출된 다수의 김치안착부; 상기 다수의 김치안착부 사이에 도마의 이송방향으로 형성된 제1 홈부; 및, 상기 다수의 김치안착부 사이에 도마의 이송방향의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제2 홈부;를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 커팅부는 상기 다수의 김치안착부 사이의 상기 제1 홈부로 일부가 인입되면서 포기김치를 커팅하는 다수의 원형칼날; 상기 다수의 원형칼날이 결합된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팅부는 상기 다수의 김치안착부 사이에 상기 제2 홈부 로 일부가 인입되면서 포기김치를 커팅하는 다수의 원형칼날; 상기 다수의 원형칼날이 결합된 다수의 구동축; 상기 다수의 구동축을 구동벨트를 통해 회전시키기 위한 제3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커팅부는 상기 포기김치이송부의 이송방향의 직각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포기김치를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분기이송부는, 상기 포기김치이송부에 연장되며, 상기 커팅된 다수의 김치뭉치를 상기 김치캡핑부를 향해 간격을 두고 이송하는 제1 내지 제4 분기라인; 상기 제1 분기라인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분기라인에 의해 이송되는 김치뭉치를 상기 김치캡핑부로 가이드하는 된 제1 가이드; 상기 제2 및 제3 분기라인을 따라 인접 배치되어, 상기 제2 및 제3 분기라인에 의해 이송되는 김치뭉치를 상기 김치캡핑부로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제2 및 제3분기라인 사이에 배치된 제2 가이드; 및, 상기 제4 분기라인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4 분기라인에 의해 이송되는 김치뭉치를 상기 김치캡핑부로 가이드하는 된 제3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용기공급부는, 김치캡핑부로 다수의 용기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용기거치대; 및, 상기 용기거치대로 용기를 리필하기 위한 용기투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김치캡핑부는, 상기 용기거치대 하부로 배출되는 용기를 파지하는 클램프; 및, 상기 클램프를 상기 용기거치대 하부와 상기 분기이송부 사이를 선회이동시키는 지지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용기이동부는, 상기 김치캡핑부에 의해 상기 김 치뭉치에 씌워진 상기 용기와 상기 김치뭉치를 이송하는 상기 용기 하부의 위치한 상기 도마를 함께 파지하는 제1 홀더; 및, 상기 제1 홀더를 선회시켜 상기 용기가 하측 및 도마가 용기 상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용기이송컨베이어로 옮기기 위한 제1 선회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도마회수부는, 상기 용기이동부에 의해 상기 용기이송컨베이어로 이동된 상기 도마를 파지하기 위한 제2 홀더; 및, 상기 제2 홀더를 선회시켜 상기 도마를 상기 도마회송라인으로 옮기기 위한 제2 선회로드;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도마회송라인을 따라 상기 포기김치이송부의 선단에 배치된 다수의 회송된 도마를 상기 포기김치이송부로 푸싱하기 위한 푸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일정한 형태의 균일한 포장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을 향상은 물론, 소비자에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포장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포장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방향에서 바라본 개략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김치포장장치(100)는 도 1 및 2와 같이, 도마(103), 캠구동 부(107), 포기김치이송부(110), 제1 커팅부(120), 제2 커팅부(130), 분기이송부(140), 용기공급부(150), 김치캡핑부(160), 용기이동부(170), 도마회수부(180), 및, 제1 및 제2 고압세척부(191,193)를 포함하며, 상기한 다수의 장치를 지지하도록 서로 소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지지프레임(101a,101b,101c)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도마(103)는 도 3과 같이, 소정간격을 두고 가로 3줄, 세로 2줄로 이루어진 사각형의 다수의 김치안착부(103a)를 구비하며, 다수의 김치안착부(103a) 사이에는 도마(103)의 이송방향으로 형성된 2줄의 제1 홈부(103b) 및, 다수의 김치안착부(103a) 사이에 도마(103)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1줄의 제2 홈부(103c)가 형성된다.
상기 포기김치이송부(110)는 구동스프라켓(115a) 및 종동스프라켓(115b)에 권취된 루프상의 체인(111)을 구비하고, 이 체인(111)에 결합되어 포기김치(10)가 얹혀지는 도마(103)를 이송하기 위한 다수의 도마캐리어(113)를 구비한다(도 4 참조). 이 경우, 다수의 도마캐리어(113)는 상측에 도마(103)의 하부에 삽입되는 파지돌기(113a)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포기김치이송부(110)는 체인(111) 일측에 연결된 제1 모터(201)의 구동력을 체인(111)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스프라켓(115a)과, 체인(111)의 타측에 연결되어 구동스프라켓(115a)과 간격을 두고 동일 높이로 배치되는 종동스프라켓(115b)을 구비한다.
한편, 포기김치이송부(110)의 선단에는 도 1과 같이, 후술하는 도마회송라인(108)을 따라 재이송되어 일렬로 정렬된 다수의 도마(103)를 포기김치이송부(110)로 반복적으로 푸싱하는 푸싱부(105)가 배치된다.
상기 제1 커팅부(120)는 포기김치이송부(110) 상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포기김치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다수의 포기김치(10)를 이송되는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커팅한다. 이와 같은 제1 커팅부(120)는 도 5a 및 도 5b와 같이, 도마(103)의 제1 홈부(103b)로 일부가 인입되면서 포기김치(10)를 커팅하는 다수의 원형칼날(123)을 구비하며, 다수의 원형칼날(123)은 제2 구동모터(202)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축(121)에 동일간격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2 커팅부(130)는 제1 커팅부(130)의 후방에 배치되어, 포기김치이송부(1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포기김치(10)를 커팅하며, 이러한 제2 커팅부(130)는 도 6a 및 도 6b와 같이, 도마(103)의 김치안착부(103a) 사이에 제2 홈부(103c)로 일부가 인입되면서 포기김치(10)를 세로방향으로 커팅하는 다수의 원형칼날(133a,133b)을 구비하며, 다수의 원형칼날(133a,133b)은 제3 구동모터(203)에 의해 구동하는 다수의 구동축(135a,135b)에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커팅부(120,130)는 포기김치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포기김치(10)를 가로 및 세로로 소정 넓이를 갖는 다수의 김치뭉치(11)로 커팅한다.
분기이송부(140)는 일측이 포기김치이송부(110)에 연장되며, 타측이 김치캡핑부(16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1 및 제2 커팅부(120,130)에 의해 소정 단위로 커팅된 다수의 김치뭉치(11)를 김치캡핑부(160)를 향해 서로 다른 각도로 분기 이송한다. 이와 같은 분기이송부(140)는 도 7과 같이, 커팅된 다수의 김치뭉치(11)를 김치캡핑부(160)를 향해 서로 간격을 두고 이송하는 제1 내지 제4 분기라인(141a,141b,141c,141d)을 구비한다. 또한, 분기이송부(140)는 제1 분기라인(141a)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1 분기라인(141a)에 의해 이송되는 김치뭉치(11)를 김치캡핑부(160) 가이드하는 된 제1 가이드(143a)와, 제2 및 제3 분기라인(141b,141c)을 따라 인접 배치되어 제2 및 제3 분기라인(141b,141c)에 의해 이송되는 김치뭉치(11)를 김치캡핑부(160)로 가이드 하도록 제2 및 제3분기라인(141b,141c) 사이에 배치된 제2 가이드(143b)와, 제4 분기라인(141d)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4 분기라인(141d)에 의해 이송되는 김치뭉치(11)를 김치캡핑부(160)로 가이드하는 제3 가이드(143c)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공급부(150)는 도 1과 같이, 김치캡핑부(160)로 다수의 용기(20)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김치캡핑부(160)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용기거치대(151)와, 용기거치대(151)로 다수의 용기(20)를 장착하기 위한 용기투입부(153)를 포함한다. 이 경우, 용기투입부(153)는 하단이 용기공급부(150)에 피봇결합되어있어, 용기(20)를 리필할 경우, 용기거치대(151)로부터 분리 선회하여 다수의 용기(20)를 용기투입부(153)에 적재한 후 용기거치대(151)에 재장착한다.
상기 김치캡핑부(160)는 제2 커팅부(130) 후방에 배치되어, 분기이송부(140)에 의해 이송된 다수의 김치뭉치(11)를 용기공급부(150)에 의해 공급되는 용기(20)로 각각 덮어 씌우는 작업을 한다. 이러한 김치캡핑부(160)는 도 8과 같이, 용기거치대(151) 하부로 배출되는 용기(20)를 파지하는 클램프(161)와, 클램프(161)를 용기거치대(151) 하부와 분기이송부(140) 사이를 선회이동시키는 지지로드(163)를 포 함한다.
상기 용기이동부(170)는 김치캡핑부(160)에 의해 김치뭉치(11)를 덮어 씌운 다수의 용기(20) 및 도마(103)를 함께 파지하여, 용기이송컨베이어(109)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용기이동부(170)는 도 9와 같이, 김치캡핑부(160)에 의해 김치뭉치(11)에 씌워진 용기(20)와 김치뭉치(11)를 이송하는 용기(20) 하부에 위치한 도마(103)를 함께 파지하는 제1 홀더(171)와, 제1 홀더(171)를 선회시켜 용기(20)가 하측으로 배치되고 동시에 도마(103)가 용기(20) 상측에 배치된 상태로 용기이송컨베이어(109)로 옮기기 위한 제1 선회로드(173)를 포함한다.
상기 도마회수부(180)는 용기이동부(170)에 의해 용기이송컨베이어(109)로 이동된 다수의 도마(103)를 용기이송컨베이어(109)에서 회수하여 도마회송라인(108)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도마회수부(180)는 도 10과 같이, 용기이동부(170)에 의해 용기이송컨베이어(109)로 이동된 도마를 파지하기 위한 제2 홀더(181)와, 제2 홀더(181)를 선회시켜 도마(103)를 도마회송라인(108)으로 옮기기 위한 제2 선회로드(183)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김치포장장치는 회송하는 도마(103)를 세척하기 위해 제1 고압세척부(191)를 구비하며, 이 제1 고압세척부(191)는 도 1과 같이, 도마회수부(180)의 의해 회수된 다수의 도마(103)를 포기김치이송부(110)로 회송하는 중 다수의 도마(103)를 세척하기 위한 도마회송라인(108)에 인접하게 도마(103)를 향해 상하로 배치된 다수의 분사노즐(191a)을 구비한다.
아울러, 김치포장장치는 도 1과 같이, 도마회수부(180)에 의해 도마(103)와 분리된 상태로 회송되는 다수의 도마캐리어(113)를 세척하기 위한 제2고압세척부(193)를 구비하며, 이 제2 고압세척부(193)는 제1 고압세척(191)와 마찬가지로, 체인(111)에 인접하게 도마캐리어(113)를 향해 상하로 배치된 다수의 분사노즐(193a)을 구비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고압세척부(191,193)에 인접하게 UV램프(미도시)를 배치하여 제1 및 2 고압세척부(191,193)를 통과한 도마(103) 및 도마캐리어(113)를 살균처리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김치포장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포기김치이송부(110)에 작업자에 의해 포기김치(10)가 안착되면, 포기김치(10)는 제1 및 제2 커팅부(120,130)을 향해 이동한다. 제1 및 제2 커팅부(120,1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포기김치(10)는 대략 도마(103)의 김치안착부(103a, 도 4 참조)에 해당하는 면적을 갖는 바둑판 모양의 다수의 김치뭉치(11)로 커팅된다.
이렇게 커팅된 김치뭉치(11)는 계속해서 도마(103)에 얹혀진 상태로 분기이송부(140)로 이송된다. 다수의 김치뭉치(11)는 분기이송부(140)에서 김치캡핑부(160)를 향해 소정 간격으로 나누어져 이송된다.
분기이송부(140)의 끝단까지 이송된 김치뭉치(11)는 용기공급부(150)으로부터 공급되는 용기(20)가 김치뭉치(11)를 포함하도록 김치캡핑부(160)에 의해 씌워진다. 이어서, 김치뭉치(11)는 용기이동부(170)에 의해 도마(103)와 함께 용기이송 컨베이어(109)로 옮겨진다. 이처럼 김치뭉치(11)를 측면에서 접촉시키지 않고 용기(20)와 도마(103)에 의해 상/하면만 접촉시켜 용기(20)에 투입시키므로 김치뭉치(11)의 형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그 후, 도마회수부(180)에 의해 용기이송컨베이어(109)로 옮겨진 도마(103)는 도마회송라인(108)으로 옮겨져 도마회송라인(108)을 따라 포기김치이송부(110)의 선단으로 회송된다. 이와 함께 도마(103)가 제거된 상태로 용기(20)에 담겨진 김치뭉치(11)는 이송컨베이어(109)를 통해 이송되어 최종 패킹과정으로 이송된다.
한편, 도마회송라인(108)을 따라 회송되는 다수의 도마(103)는 제1 고압세척부(191)에 의해 세척되고, 다수의 도마캐리어(113)은 제2 고압세척부(193)에 의해 세척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포장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방향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포장장치의 포기김치이송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포장장치에 이용되는 도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포장장치의 가로커팅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5b는 도 5a에 표시된 B방향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포장장치의 세로커팅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6b는 도 6a에 표시된 C방향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포장장치의 분기이송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포장장치의 김치캡핑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포장장치의 용기이동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포장장치의 도마회수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3: 도마 110: 포기김치이송부
120: 제1 커팅부 130: 제2 커팅부
140: 분기이송부 150: 용기공급부
160: 김치캡핑부 180: 도마회수부
181: 제1 고압세척부 183: 제2 고압세척부

Claims (13)

  1. 다수의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다수의 포기김치가 얹혀지도록 사각형으로 돌출된 다수의 김치안착부(103a)와, 상기 다수의 김치안착부(103a) 사이에 이송방향으로 형성된 제1 홈부(103b) 및 상기 다수의 김치안착부(103a) 사이에 이송방향의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제2 홈부(103c)를 형성하여 구비되는 다수의 도마(103)를 이송시키도록 제1 모터(201)와, 상기 제1 모터(201)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스프라켓(115a)과, 상기 구동스프라켓(115a)과 간격을 두고 동일 높이에 배치되는 종동스프라켓(115b)과, 상기 구동스프라켓(115a) 및 종동스프라켓(115b)에 권취된 체인(111)과, 상기 체인(111)에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도마(103)를 이송하는 다수의 도마캐리어(113)로부터 도마가 분리되면 상기 도마캐리어(113)를 세척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2고압세척부(193)로 구성된 포기김치이송부(110);
    상기 포기김치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다수의 포기김치를 이송방향과 동일방향 및 동일간격으로 커팅하도록, 상기 포기김치이송부(110) 상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커팅부(120);
    상기 제1 커팅부(1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다수의 포기김치를 이송방향의 직각방향 및 동일간격으로 커팅하는 제2 커팅부(130);
    상기 제1 및 제2 커팅부(120,130)에 의해 소정 단위로 커팅된 다수의 김치뭉치(11)를 서로 다른 각도로 분기 이송하는 분기이송부(140);
    다수의 용기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용기공급부(150);
    상기 제2 커팅부(130)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분기이송부(140)에 의해 이송된 다수의 김치뭉치를 상기 용기공급부(150)에 의해 공급되는 용기로 각각 덮어 씌우는 김치캡핑부(160);
    상기 김치캡핑부(160)에 의해 상기 김치뭉치를 덮어 씌운 상기 다수의 용기(20) 및 도마(103)를 파지하여, 용기이송컨베이어(109)로 이동시키는 용기이동부(170);
    상기 용기이동부(170)에 의해 상기 용기이송컨베이어(109)로 이동된 상기 다수의 도마를 상기 용기이송컨베이어에서 회수하는 도마회수부(180);
    상기 도마회수부(180)의 의해 회수된 다수의 도마(103)를 상기 포기김치이송부(110)로 이송하는 중 상기 다수의 도마를 세척하기 위한 제1 고압세척부(191); 및
    상기 김치캡핑부(160), 상기 용기이동부(170) 및 상기 도마회수부(180)를 선회작동시키기 위한 캠구동부(1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포장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팅부(120)는 상기 다수의 김치안착부(103a) 사이의 상기 제1 홈부(103b)로 일부가 인입되면서 포기김치(10)를 커팅하는 다수의 원형칼날(123);
    상기 다수의 원형칼날(123)이 결합된 구동축(121); 및,
    상기 구동축(121)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구동모터(2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포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팅부(130)는 상기 다수의 김치안착(103a)부 사이에 상기 제2 홈부(103c)로 일부가 인입되면서 포기김치(10)를 커팅하는 다수의 원형칼날(133a,133b);
    상기 다수의 원형칼날(133a,133b)이 결합된 다수의 구동축(135a,135b);
    상기 다수의 구동축(135a,135b)을 구동벨트를 통해 회전시키기 위한 제3 구동모터(203);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커팅부(130)는 상기 포기김치이송부(110)의 이송방향의 직각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포기김치를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포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이송부(140)는
    상기 포기김치이송부(110)에 연장되며, 상기 커팅된 다수의 김치뭉치를 상기 김치캡핑부(160)를 향해 간격을 두고 이송하는 제1 내지 제4 분기라인(141a~141d);
    상기 제1 분기라인(141a)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분기라인(141a)에 의해 이송되는 김치뭉치를 상기 김치캡핑부(160)로 가이드하는 된 제1 가이드(143a);
    상기 제2 및 제3 분기라인(141b,141c)을 따라 인접 배치되어, 상기 제2 및 제3 분기라인(141b,141c)에 의해 이송되는 김치뭉치를 상기 김치캡핑부(160)로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제2 및 제3분기라인(141b,141c) 사이에 배치된 제2 가이드(143b); 및,
    상기 제4 분기라인(141d)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4 분기라인(141d)에 의해 이송되는 김치뭉치를 상기 김치캡핑부(160)로 가이드하는 된 제3 가이드(143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포장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공급부(150)는
    김치캡핑부(160)로 다수의 용기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용기거치대(151); 및,
    상기 용기거치대(151)로 용기를 리필하기 위한 용기투입부(1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포장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김치캡핑부(160)는
    용기거치대(151) 하부로 배출되는 용기를 파지하는 클램프(161); 및,
    클램프(161)를 상기 용기거치대(151) 하부와 상기 분기이송부(140) 사이를 선회이동시키는 지지로드(1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포장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이동부(170)는
    상기 김치캡핑부(160)에 의해 상기 김치뭉치에 씌워진 상기 용기와 상기 김치뭉치를 이송하는 상기 용기 하부에 위치한 상기 도마를 함께 파지하는 제1 홀더(171); 및,
    상기 제1 홀더(171)를 선회시켜 상기 용기가 하측 및 도마가 용기 상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용기이송컨베이어(109)로 옮기기 위한 제1 선회로드(1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포장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마회수부(180)는
    상기 용기이동부(170)에 의해 상기 용기이송컨베이어(109)로 이동된 상기 도마를 파지하기 위한 제2 홀더(181); 및,
    상기 제2 홀더(181)를 선회시켜 상기 도마를 도마회송라인(108)으로 옮기기 위한 제2 선회로드(1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포장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도마회송라인(108)을 따라 상기 포기김치이송부(110)의 선단에 배치된 다수의 회송된 도마를 상기 포기김치이송부(110)로 푸싱하기 위한 푸싱부(10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포장장치.
KR1020070087641A 2007-08-30 2007-08-30 김치포장장치 KR100921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641A KR100921016B1 (ko) 2007-08-30 2007-08-30 김치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641A KR100921016B1 (ko) 2007-08-30 2007-08-30 김치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347A KR20090022347A (ko) 2009-03-04
KR100921016B1 true KR100921016B1 (ko) 2009-10-09

Family

ID=4069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641A KR100921016B1 (ko) 2007-08-30 2007-08-30 김치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0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722U (ko) * 1980-06-16 1982-01-14
KR20000017141U (ko) * 1999-02-13 2000-09-25 문명식 김 절단장치
KR100503389B1 (ko) 2003-02-10 2005-07-26 이인섭 김 자동 적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722U (ko) * 1980-06-16 1982-01-14
KR20000017141U (ko) * 1999-02-13 2000-09-25 문명식 김 절단장치
KR100503389B1 (ko) 2003-02-10 2005-07-26 이인섭 김 자동 적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347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17793A1 (en) Automatic defect detector and rejecter
KR100957745B1 (ko) 마늘줄기 절단장치
JP5894650B2 (ja) 韮洗浄装置
JP2013153726A (ja) もやしの根切り装置
US2966184A (en) Egg breaking machine
KR101220650B1 (ko) 콩나물 정렬 공급 장치
KR100921016B1 (ko) 김치포장장치
TWI380792B (zh) 蛋的處理設備及其破蛋裝置
JP4095546B2 (ja) 容器栽培茸の収穫装置と収穫方法
US3147783A (en) Egg opener and separator
CN211379538U (zh) 一种全自动蛋制品生产设备
WO20050772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egetables
JP3172994U (ja) 韮洗浄装置
EP3741474A1 (en) A washing machine and a process for treating containers therewith
CN105947291A (zh) 筷子、勺子清洗包装一体机
JPH01113016A (ja) 容器内の食品片を洗浄するための装置
KR20200043086A (ko) 콩나물 선별장치
EP3599874B1 (en) Device for cleaning chicken feet
JP2009154937A (ja) 複数処理ラインシステム
US2700793A (en) Process for cleaning poultry gizzards
US2134955A (en) Container discharging apparatus
US2617172A (en) Removal of waste yarn from bobbins and the like
KR101290358B1 (ko)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
US2506889A (en) Apparatus for detaching the stems from fruit
BE1018120A3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wijderen van een samenhangende vulling uit een ko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