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579B1 -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 - Google Patents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579B1
KR100920579B1 KR1020070115103A KR20070115103A KR100920579B1 KR 100920579 B1 KR100920579 B1 KR 100920579B1 KR 1020070115103 A KR1020070115103 A KR 1020070115103A KR 20070115103 A KR20070115103 A KR 20070115103A KR 100920579 B1 KR100920579 B1 KR 100920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coil product
coil
product
mov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8968A (ko
Inventor
황훈
김원봉
김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70115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579B1/ko
Publication of KR20090048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1/00Guiding, conveying, or accumulating easily-flexible work, e.g. wire, sheet metal bands, in loops or curves; Loop lif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2Piling, unpiling, unscra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코일제품(1) 상에 놓이며 상판(21)과 하판(22)의 이중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21)과 하판(22) 사이에는 다수의 지지대(23)가 구비되는 패드부재(20); 및 상기 패드부재(20)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패드부재(20)와 일체로 형성된 패드이동수단(3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제품을 적치할 때 코일제품과 코일제품의 접촉되는 부분에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가 위치하여 코일제품이 서로 접촉되어 발생하는 마찰흠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를 자력(磁力) 등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를 용이하게 적층시킬 수 있다.
코일제품, 적치, 패드, 마찰흠

Description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Pad for piling up coil products}
본 발명은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 코일제품의 상부에 위치하여 코일제품이 적치되는 경우 코일제품과 코일제품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코일제품에 발생될 수 있는 마찰흠을 방지하며, 자력(磁力) 등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적층이 용이한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압연 라인에서 생산된 선재나 강판 등의 압연 제품은 압연 라인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권취기에 의해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형태로 감겨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코일형태로 감겨진 코일제품(1)은 결속밴드(2)에 의해서 묶여지고, 코일제품 적치대(3)에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또는 3단으로 적치되어 보관되거나 사용처로 운반되게 된다.
코일제품(1)을 상기와 같이 적치하여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동안에는 코일제품(1)의 사용을 위해서 적치된 코일제품(1) 중 아랫쪽에 위치하거나 윗쪽에 위치한 코일제품(1)을 들어내거나 다시 적치시키는 작업을 빈번하게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코일제품(1)이 적치된 상태에서 빈번하게 이동하게 되면, 코일제 품(1)과 코일제품(1)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이 코일제품(1)의 하중에 의해서 마찰흠이 발생한다거나 긁힌 자국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마찰흠이나 긁힌 자국 등은 특히 높은 품질을 요구하는 제품의 경우에는 치명적인 품질결함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제품이 코일제품 적치대에 적치되는 경우 코일제품과 코일제품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 마찰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동과 적층이 용이한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일제품 상에 놓이며 상판과 하판의 이중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는 다수의 지지대가 구비되는 패드부재; 및
상기 패드부재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패드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패드이동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패드부재는 상기 코일제품의 형상에 대응하여 만곡되어 있다.
삭제
삭제
더 바람직하게, 상기 패드이동수단은 자력(磁力)에 의해서 견인될 수 있도록 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재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패드이동수단은 상기 패드부재로부터 윗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재; 및 상기 측면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면을 이루며 자성체로 이루어진 상면부재; 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측면부재는 상기 측면부재간의 간격이 상기 상면부재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자성체는 고무자석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제품 상에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가 위치하여 코일제품이 코일제품 적치대에 적치될 때, 코일제품과 코일제품이 접촉하는 부분에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가 위치하게 되어, 코일제품의 하중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흠이나 긁힌 자국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코일제품에 마찰흠이나 긁힌 자국의 발생이 방지되므로 코일제품의 품질이 운반중이나 저장 중에 저하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력(磁力) 등에 의해서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를 용이하게 코일제품 상에 이동시켜서 위치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를 사용을 위해서 용이하게 적층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4는 도3의 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또한,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의 일실시예를 코일제품에 장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10)는 코일제품(1) 상에 놓이는 패드부재(20)와, 패드부재(20)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패드부재(20)와 일체로 형성된 패드이동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드부재(2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제품(1)이 적치될 때 코일제품(1)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서 원형으로 감긴 코일제품(1)의 상부에 놓여지며, 코일제품(1)의 상부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즉,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의 단면을 갖는다.
패드부재(20)는 도4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21)과 하판(22)의 이중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코일제품(1)이 적치되는 경우에 적치된 코일제품(1)의 하중에 의해서 다른 코일제품(1)에 가해지는 힘이 더 완충되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패드부재(20)는 이중판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적치된 코일제품(1)의 하중을 적절하게 완충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단일판이나 삼중판 이상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패드부재(20)를 이루는 상판(21)과 하판(22)은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제품(1)의 하중을 완충할 수 있도록 비금속재질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판(21)과 하판(22)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코일제품(1)의 하중을 완충하여 코일제품(1) 간의 접촉에 의해서 코일제품(1)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패드부재(20)에는 도2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대(23)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대(23)는 패드부재(20)의 상판(21)과 하판(22) 사이에 위치되며, 금속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비금속재질로 되어 있어서 강성이 비교적 작은 상판(21)과 하판(22)의 형상 즉, 원호의 단면을 가지는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지대(23)의 재질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금속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패드부재(20)를 이루는 상판(21)과 하판(22)의 형상을 유지하여 코일제품(1) 상에 놓일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10)는 패드부재(20)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패드부재(20)에 일체로 형성되는 패드이동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드이동수단(30)은 자력(磁力)에 의해서 견인될 수 있도록 자성체가 포함되며, 패드부재(2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패드이동수단(30)은 자력(磁力)에 의해서 견인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패드부재(20)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패드이동수단(30)은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부재(20)로부터 윗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재(31)와 측면부재(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면을 이루며 자성체로 된 상면부재(32)를 포함한다.
따라서, 예컨대 전자석을 상기 자성체로 된 상면부재(32)에 위치시키고, 전자석에 자력을 발생시키면, 전자석과 상기 자성체로 된 상면부재(32)가 자력(磁力)에 의해서 결합되어서 패드부재(20)를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자성체로 된 상면부재(32)가 패드부재(20)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자성체로 된 상면부재(32)에 결합되는 전자석 등의 자력이 코일제품(1)까지 전달되지 않아서 코일제품(1)이 자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패드이동수단(30)의 형상이나 자성체의 위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패드부재(20)를 자력(磁力)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자력(磁力)이 코일제품(1)까지 전달되어 자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형상이나 자성체의 위치는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자성체는 고무자석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떠한 자성체라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패드이동수단(30)은 패드부재(20)의 중앙에 패드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패드이동수단(30)을 중심으로 하여 패드부재(20)가 대칭으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패드이동수단(30)에 의해서 패드부재(20)를 이동하거나, 패드부재(20)를 코일제품(1) 상에 놓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패드이동수단(30)의 패드부재(20)에서의 위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패드이동수단(30)에 의해서 패드부재(20)를 이동하거나 패드부재(20)를 코일제품(1) 상에 용이하게 놓을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패드이동수단(30)의 측면부재(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즉, 측면부재(31)간의 간격이 윗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측면부재(31)가 경사져 있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10)를 적층하여 놓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측면부재(31)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자성체로 된 상면부재(32)를 지지하면서 패드부재(20)와 일체로 연결가능한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10)를 코일제품(1) 상에 놓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10)를 코일제품(1) 상에 놓기 위해서는 기둥(43)과 기둥(43)의 상부에 가로로 위치하는 운반로(44), 운반로(44) 상에서 이동하며 전자석(42)이 구비된 운반체(41)를 포함하는 장착장치(40)를 사용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10)를 적층한 상태에서, 전자석(42)이 구비된 운반체(41)를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10)가 적층된 곳으로 이동시킨 후, 전자석(42)이 자력을 발생하도록 한 상태에서 전자석(42)을 자성체로 이루어진, 패드이동수단(30)의 상면부재(32)에 위치시키면, 전자석(42)의 자력으로 전자석(42)과 상면부재(32)가 결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자석(42)과 상면부재(32)가 결합된 상태에서, 운반체(41)를 코일제품(1)이 위치한 장소까지 이동시킨 후,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제품(1)의 상부에 상면부재(32)에 의해서 전자석(42)과 결합된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10)를 올려 놓는다.
상기한 상태에서 전자석(42)의 자력(磁力)을 제거하면, 전자석(42)과 상면부재(32)가 분리가능하게 되고, 이에 의해서 코일제품(1)의 상부에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10)가 용이하게 놓이게 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의 일실시예를 장착한 코일제품을 2단으로 적층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의 일실시예를 장착한 코일제품을 3단으로 적층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장착장치(40)를 사용하여 그 상부에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10)가 놓여진 코일제품(1)을 코일제품 적치대(3)에 차례로 쌓게 되면, 도6이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제품(1)이 적치되게 된다.
도6은 이와 같은 코일제품(1)을 2단으로 적치시킨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7은 3단으로 적치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10)가 그 상부에 놓여진 코일제품(1)을 적치시키면, 코일제품(1)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이 직접 접촉하지 않고 코일제품(1) 사이에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10)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제품(1)과 코일제품(1)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코일제품(1) 상의 마찰흠이나 긁힌 자국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도1은 종래에 코일제품을 코일제품 적치대에 적치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도3의 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의 일실시예를 코일제품에 장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의 일실시예를 장착한 코일제품을 2단으로 적층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의 일실시예를 장착한 코일제품을 3단으로 적층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코일제품 2 : 결속밴드
3 : 코일제품 적치대 10 :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
20 : 패드부재 21 : 상판
22 : 하판 23 : 지지대
30 : 패드이동수단 31 : 측면부재
32 : 상면부재 40 : 장착장치
41 : 운반체 42 : 전자석
43 : 기둥 44 : 운반로

Claims (8)

  1. 코일제품 상에 놓이며 상판과 하판의 이중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는 다수의 지지대가 구비되는 패드부재; 및
    상기 패드부재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패드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패드이동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재는 상기 코일제품의 형상에 대응하여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이동수단은 자력(磁力)에 의해서 견인될 수 있도록 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재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이동수단은
    상기 패드부재로부터 윗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재; 및
    상기 측면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면을 이루며 자성체로 이루어진 상면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는 상기 측면부재간의 간격이 상기 상면부재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고무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
KR1020070115103A 2007-11-12 2007-11-12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 KR100920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103A KR100920579B1 (ko) 2007-11-12 2007-11-12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103A KR100920579B1 (ko) 2007-11-12 2007-11-12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968A KR20090048968A (ko) 2009-05-15
KR100920579B1 true KR100920579B1 (ko) 2009-10-08

Family

ID=40857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103A KR100920579B1 (ko) 2007-11-12 2007-11-12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5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4314A (ja) * 1989-10-09 1991-05-27 Sumitomo Heavy Ind Ltd 保温コイルの自動搬送方法および保温設備
JPH11277138A (ja) * 1998-03-27 1999-10-12 Kawasaki Steel Corp 金属帯コイルの保護部材
KR20040056320A (ko) * 2002-12-23 2004-06-30 주식회사 포스코 전자석을 이용한 코일 리프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4314A (ja) * 1989-10-09 1991-05-27 Sumitomo Heavy Ind Ltd 保温コイルの自動搬送方法および保温設備
JPH11277138A (ja) * 1998-03-27 1999-10-12 Kawasaki Steel Corp 金属帯コイルの保護部材
KR20040056320A (ko) * 2002-12-23 2004-06-30 주식회사 포스코 전자석을 이용한 코일 리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968A (ko)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0286A (en) Pallet packaging
JP2014058398A (ja) コンベヤベルト搬送用保持具
KR20040032081A (ko) 코일형상 반송물용 팰릿, 팰릿으로의 코일형상 반송물의적재구조체, 컨테이너로의 코일형상 반송물 적재팰릿의수납구조체 및 반송방법
JP5131471B2 (ja) 板状体の梱包容器、及び板状体の積込装置、並びに板状体の輸送方法
JP5267668B2 (ja) 移載装置
KR200465411Y1 (ko) 코일 운송용 받침대
KR100920579B1 (ko) 코일제품 적치용 패드
JP5332415B2 (ja) コイル状重量物保持器
JP2007070103A (ja) ロール体保管用の自動倉庫及びロール体の保管方法
KR200465410Y1 (ko) 코일 운송용 스키드 받침대
JP2011207483A (ja) ガラス板パレット、ガラス板積載方法、ガラス板梱包体、およびガラス板の取り出し方法
JP2006182470A (ja) 積載棚のパレットの横ずれ防止装置
US2676703A (en) Palletized package of stacked articles
JP7265707B2 (ja) ガラス板梱包体
JP2005239224A (ja) コンテナ収納台
JP3131587U (ja) コイル架台
JP2019506347A (ja) 移載装置および積荷移載システム
KR20050022983A (ko) 선재코일 양 단부 보호장치
JP2014205538A (ja) ラックおよび免震用具
CN213832546U (zh) 一种用于放置铝卷的托盘
JP7047170B1 (ja) 台車搬送用パレット
CN215972670U (zh) 一种用于铝合金锭堆垛的托盘
JP2019034780A (ja) 運搬台
WO2024024351A1 (ja)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ガラス板梱包体及びガラス板梱包体の製造方法
JP7317040B2 (ja) ガラス板梱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