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981B1 -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981B1
KR100919981B1 KR1020070113745A KR20070113745A KR100919981B1 KR 100919981 B1 KR100919981 B1 KR 100919981B1 KR 1020070113745 A KR1020070113745 A KR 1020070113745A KR 20070113745 A KR20070113745 A KR 20070113745A KR 100919981 B1 KR100919981 B1 KR 100919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timer
time
shooting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741A (ko
Inventor
이재명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3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981B1/ko
Publication of KR20090047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사용자가 편리하게 셀프 타이머 촬영을 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셀프 타이머 촬영 시 연속으로 셀프 타이머 촬영할 횟수와 상기 각 촬영들간의 시간들을 설정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횟수와 상기 시간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의 횟수와 상기 시간들을 전달받아 셀프 타이머 촬영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셀프 타이머 촬영 시 연속으로 촬영할 횟수와 각 촬영들간의 시간을 용이하게 설정하여 촬영할 수 있는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 처리 장치란,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폰 카메라, PC 카메라 등의 영상을 처리하거나 영상 인식 센서를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영상 처리 장치에서는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을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하여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셔터 릴리즈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획득(capture)하여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는 셀프 타이머(self timer)촬영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셀프 타이머 촬영이란 셔터-릴리즈 버튼을 누르고 나서 실제 셔터가 열릴 때까지 시간을 지연하는 기능이다.
셀프 타이머 촬영 기능을 통하여 별도의 촬영자가 없이도 자유롭게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영상 처리 장치의 셀프 타이머 촬영 시 사용자가 피사체이므로 사용자는 촬상을 위한 포즈를 취하거나 준비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셀프 타이머 촬영 시 연속으로 촬영을 할 수 있는데 이 때도 마찬가지로 첫번째로 셀프 타이머 촬영을 하고 나서 다른 포즈를 취한뒤에 두 번째 셀프 타이머 촬영을 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촬상을 위한 준비 시간은 사용자, 사용 시간,그리고 이러한 촬상을 위한 준비 시간은 사용자, 사용 시간, 촬상 장소등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종래에는 셀프 타이머 촬영시 이러한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지 않아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셀프 타이머 촬영을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셀프 타이머 촬영 시 연속으로 촬영할 횟수와 각 촬영들간의 시간을 용이하게 설정하여 촬영할 수 있는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셀프 타이머 촬영 시 연속으로 셀프 타이머 촬영할 횟수와 상기 각 촬영들간의 시간들을 설정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횟수와 상기 시간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의 횟수와 상기 시간들을 전달받아 셀프 타이머 촬영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셀프 타이머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연속으로 셀프 타이머 촬영할 횟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연속으로 셀프 타이머 촬영 시 각 셀프 타이머 촬영간의 시간들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의 횟수와 시간을 적용하여 셀프 타이머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속으로 셀프 타이머 촬영 시 각 셀프 타이머 촬영간의 시간들을 일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속으로 셀프 타이머 촬영 시 각 셀프 타이머 촬영간의 시간들을 일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영상 처리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셀프 타이머 촬영 시 연속으로 촬영할 횟수와 각 촬영들간의 시간 간격을 사용자가 설정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셀프 타이머 촬영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영상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영상 처리 장치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영상 처리 장치의 전체 동작은 CPU(100)에 의해 통괄된다. 그리고 영상 처리 장치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200)가 구비된다. 이 조작부(20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CPU(100)에 전달되어, CPU(100)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 모드일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CPU(100)에 인가됨에 따라 CPU(100)는 그 신호를 파악하여 렌즈 구동부(11), 조리개 구동부(21) 및 촬상소자 제어부(31)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오토포커싱을 위한 각각 렌즈부(10)의 위치, 조리개(20)의 개방 정도 및 촬상소자(30)의 감도 등이 제어된다. 또한 장착된 렌즈부(10)를 인식하고, 렌즈부(10)에 저장된 밝기 정보를 획득하고 그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의 밝기를 보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촬상소자(30)로부터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신호가 출력되면 이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에 의해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되어, CPU(100)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감마(gamma) 보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디스플레이 제어부(91)에 전달된다. 여기서 메모리(60)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디스플레이 제어부(91)는 디스플레이부(9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90)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기록/판독 제어부(70)에 입력될 수 있는데, 이 기록/판독 제어부(70)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기록매체(80)에 기록한다. 물론 기록/판독 제어부(70)는 기록매체(80)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60)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부(91)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90)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영상 처리 장치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관한 영상 처리 장치는 제어부(110), 메모리(60), 입력부(130) 및 타이머(120)를 포함한다.
입력부(130)에서 사용자는 셀프 타이머 촬영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조작부(200)내의 구성 요소이거나 디스플레이부(90)에 포함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별도의 구성 요소로 배치할 수도 있다. 셀프 타이머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10)는 셀프 타이머 촬영 횟수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와 시간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부(90)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연속으로 셀프 타이머 촬영할 횟수와 각 촬영들간의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셀프 타이머 촬영 횟수를 1회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설정 시간도 한 개이다. 연속으로 셀프 타이머 촬영하는 경우에는 각각 또는 일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속으로 3회 셀프 타이머 촬영을 하는 경우에 타이머(120)가 작 동하고 나서 첫 번째 촬영까지의 시간을 10초, 첫 번째 촬영직후부터 두 번째 촬영까지의 시간을 5초, 두 번째 촬영직후부터 세 번째 촬영까지 15초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
각각의 셀프 타이머 촬영에 있어 시간을 따로따로 설정하지 않고 한번만 입력하여 각 셀프 타이머 시간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괄적으로 5초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타이머가 작동하고 나서 첫 번째 촬영이 있기 까지 5초, 첫 번째 촬영 직후부터 두 번째 촬영이 있기 까지 5초, 두 번째 촬영직후부터 세 번째 촬영이 있기 까지 5초가 적용되는 것이다.
메모리(60)는 사용자가 입력부(130)에서 설정한 연속 셀프 타이머 촬영 횟수와 각 촬영들간의 설정 시간을 저장한다. 메모리(60)와 입력부(130)는 제어부(11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타이머(120)는 메모리(60)에 저장된 설정 시간대로 시간을 카운트한다. 메모리(60)에 설정된 시간은 제어부(110)를 통하여 전달되고 주로 셔터 릴리즈 버튼(후술)이 눌러지는 시점부터 작동한다. 타이머(120)에서 시간을 카운트하여 설정한 시간이 지나면 이를 제어부(110)에 알린다.
셀프 타이머 촬영을 연속으로 복수 회 진행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10)의 지시에 따라 각 촬영을 위한 설정 시간대로 각 셀프 타이머 시간을 카운트하게 된다. 타이머(120)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어부(110)와 별도로 독립적인 구성 요소일 수도 있고, 제어부(110)내의 일부의 요소로 배치할 수도 있다.
타이머(120)는 설정한 시간대로 카운트하여 시간이 지나면 이를 제어부(110) 에 알려서 제어부(110)가 셀프 타이머 촬영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셀프 타이머 촬영을 복수 회로 연속 촬영하는 경우에는 후속의 셀프 타이머 촬영을 위한 시간을 카운트하도록 메모리(60)에 저장된 설정값들을 타이머(120)에 알린다.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10)는 도 1에 도시된 CPU(100)의 일부일 수 있다. 물론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10)가 CPU의 일부가 아닌 별도의 독립적인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영상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영상 처리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관한 영상 처리 장치의 앞쪽에는 마이크로폰(MIC), 셀프-타이머 램프(1), 스트로보(12), 셔터 릴리즈(Shutter Release) 버튼(13), 뷰 파인더(17a), 플래시-광량 센서(19), 전원 스위치(3), 렌즈부(10), 및 원격 수신부(41)가 배치된다.
셀프-타이머 램프(1)는 셀프-타이머 촬영 모드인 경우에 셔터 릴리즈 버튼(13)이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메모리(60)에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한다. 플래시-광량 센서(19)는 스트로보(12)가 동작하는 경우에 그 광량을 감지하여 마이크로제어기(미도시)를 통하여 영상 처리 장치의 CPU(100) 에 입력시킨다.
스트로보(12)는 광량이 부족한 경우에 동작하여 영상 처리 장치에서 촬상한 영상의 화질 특성 감소를 방지한다.
원격 수신부(41)는 원격 제어기(미도시)로부터의 명령 신호, 예컨대 촬영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제어기를 통하여 CPU(100)에 입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관한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에는 모드 다이얼(14), 기능 버튼들(15), 수동-포커싱/삭제/축소 버튼(36), 수동-조정/재생/중지/확대 버튼(37), 재생 모드 버튼(42), 스피커(SP), 모니터 버튼(32), 자동-초점 램프(33), 뷰 파인더(17b), 플래시 대기 램프(34), 디스플레이 패널(35),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39W) 망원(telephoto)-줌 버튼(39T) 및 외부 인터페이스부(16) 등이 있다.
모드 다이얼(14)은, 촬영장치의 동작 모드들, 예컨대 간편 촬영 모드, 프로그램 촬영 모드, 인물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수동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사용자 설정 모드 및 녹음 모드 중에서 어느 한 동작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셀프 타이머 촬영 모드를 별도의 구성 요소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공간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모드 다이얼(14)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기능 버튼들(15)은, 사용자가 디지털 촬영장치의 특정 기능들을 선택하는 데에 사용되기도 하고,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이미지 재생 시 이미지의 이동 등에 사용되기도 하며, 디스플레이 패널(35) 상의 메뉴 화면에서 활성화 커서의 방향-이동 버튼들 등으로서 사용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 패널(35)상에서 셀프 타이머 촬영의 횟수와 시간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수동-조정/재생/중지/확대 버튼(37)은 특정 조건들의 수동 조정을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가 어느 한 동영상 파일을 선택한 상태에서 수동-조정/재생/중지/확대 버튼(37)을 누르면, 선택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거나 중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를 확대시킬 수도 있다.
수동-포커싱/삭제/축소 버튼(36)은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포커싱을 하거나 삭제 조작을 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축소할 수도 있다. 모니터 버튼(32)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35)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재생 모드 버튼(42)은 재생 또는 촬영모드로의 전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자동-초점 램프(33)는 초점이 잘 맞추어졌을 때 동작한다. 플래시 대기 램프(34)는 스트로보(12)가 동작 대기 상태인 경우에 동작한다.
물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영상 처리 장치는 본 발명에 관한 영상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일뿐이며, 본 발명에 관한 영상 처리 장치는 캠코더 등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형상과 상이한 형상을 갖거나 SLR(single lens reflex) 촬영장치와 같은 렌즈교환식 촬영장치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셀프 타이머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501), 연속으로 셀프 타이머 촬영할 횟수를 설정하는 단계(502), 상기 연속으로 셀프 타이머 촬영 시 각 셀프 타이머 촬영간의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503, 504) 및 상기의 횟수와 시간을 적용하여 셀프 타이머 촬영(505)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촬영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포함한다.
셀프 타이머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501)는 사용자가 셀프 타이머 촬영 을 하기 위하여 모드 다이얼을 이용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하여 수행된다.
셀프 타이머 촬영 모드를 선택하고 나서 연속으로 셀프 타이머 촬영할 횟수를 설정하는 단계(502)를 수행한다. 셀프 타이머 촬영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11)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5)과 같은 디스플레이부(90)에 메뉴를 표시하도록 하여 셀프 타이머 촬영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셀프 타이머 촬영 횟수를 설정한 후에 셀프 타이머 시간을 설정한다. 셀프 타이머 촬영 횟수를 설정하는 단계(502)에서 1회만 설정한 경우에는 셀프 타이머 시간을 1회 설정한다(503). 그러나 연속으로 셀프 타이머 촬영하도록 복수 회를 설정한 경우에는 각 셀프 타이머 촬영간의 시간을 설정한다(504).
제어부(120)는 설정된 시간대로 타이머(120)를 작동하게 하여, 타이머(120)가 작동하여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제어부(110)에서 셀프 타이머 촬영을 1회 수행한다(505). 셀프 타이머 촬영이 1회 수행되고 나면 제어부(110)에서 설정된 정보에 따라 잔여 셀프 타이머 촬영이 있는지 판단하여 잔여 촬영이 없으면 촬영을 종료한다.
잔여 촬영이 있으면 후속 촬영에 대한 설정 시간을 검토한다. 설정 시간대로 타이머를 작동시킨다. 이 때 설정 시간이 없는 경우에는 시간의 지연 없이 바로 셀프 타이머 촬영 단계(505)를 수행한다. 즉 2회의 연속 셀프 타이머 촬영을 하려고 촬영 횟수를 2로 설정하고, 각 촬영의 시간을 설정 시 두 번째의 촬영에 대한 셀프 타이머 시간을 별도로 설정하지 않거나 0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첫 번째 셀프 타이머촬영 후에 바로 두 번째 셀프 타이머 촬영이 있게 된다.
후속의 셀프 타이머 촬영에 대한 셀프 타이머 시간을 0이외의 시간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즉 제어부(120)는 설정된 시간대로 타이머(120)를 작동하게 하여, 타이머(120)가 작동하여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제어부(110)에서 셀프 타이머 촬영을 수행한다(505). 셀프 타이머 촬영이 수행되고 나면 또다시 제어부(110)에서 설정된 정보에 따라 잔여 셀프 타이머 촬영이 있는지 판단하여 잔여 촬영이 없으면 촬영을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셀프 타이머 촬영 연속으로 촬영할 횟수와 각 촬영들간의 시간들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피사체가 되는 사용자들은 셀프 타이머 촬영 전에 필요한 준비 시간을 마음대로 조정하여 원하는 셀프 타이머 촬영을 할 수 있다. 또한 한 번의 설정으로 다양한 포즈를 취해가면서 셀프 타이머 촬영을 연속으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영상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 처리 장치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영상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영상 처리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3: 전원 스위치 10: 렌즈부
11: 렌즈 구동부 13: 셔터 릴리즈 버튼
14: 모드 다이얼 기능 버튼들 16: 외부 인터페이스부
17: 뷰 파인더 20: 조리개
21: 조리개 구동부 30: 촬상 소자
31: 촬상 소자 제어부 33: 자동-초점 램프
34: 플래시 대기 램프 35: 디스플레이 패널
36: 수동-포커싱/삭제/축소 버튼
37: 수동-조정/재생/중지/확대 버튼
39W: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 39T: 망원(telephoto)-줌 버튼
40: A/D변환부 42: 재생 모드 버튼
50: 디지털 신호 처리부 60: 메모리
70: 기록/판독 제어부 80: 기록매체
SP: 스피커 90: 디스플레이부
91: 디스플레이 제어부 110: 제어부
120: 타이머 130: 입력부

Claims (6)

  1. 셀프 타이머 촬영 시 연속으로 셀프 타이머 촬영할 복수의 횟수와 상기 각 촬영들간의 시간들을 입력하고, 상기 각 촬영들간의 시간들을 각각 별도로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횟수와 상기 시간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의 횟수와 상기 시간들을 전달받아 상기 별도로 입력된 시간에 따라 셀프 타이머 촬영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으로 셀프 타이머 촬영 시 각 셀프 타이머 촬영간의 시간들은 상이한 시간들로 설정되는 영상 처리 장치.
  3. 삭제
  4. 셀프 타이머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연속으로 셀프 타이머 촬영할 복수의 횟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연속으로 셀프 타이머 촬영 시 각 셀프 타이머 촬영간의 시간들을 각각 별도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의 설정한 횟수와 시간을 적용하여 상기 각각 별도로 설정된 시간에 따라 셀프 타이머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으로 셀프 타이머 촬영 시 각 셀프 타이머 촬영간의 시간들을 상이한 시간들로 설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6. 삭제
KR1020070113745A 2007-11-08 2007-11-08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919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745A KR100919981B1 (ko) 2007-11-08 2007-11-08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745A KR100919981B1 (ko) 2007-11-08 2007-11-08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741A KR20090047741A (ko) 2009-05-13
KR100919981B1 true KR100919981B1 (ko) 2009-10-05

Family

ID=40857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745A KR100919981B1 (ko) 2007-11-08 2007-11-08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9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613A (ko) * 2000-03-31 2001-11-01 이중구 카메라의 셀프 타이머 촬영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2330327A (ja) * 2001-05-07 2002-1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KR20040022659A (ko) * 2002-09-09 2004-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방법
KR20050036565A (ko) * 2003-10-16 200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셀프 타이머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613A (ko) * 2000-03-31 2001-11-01 이중구 카메라의 셀프 타이머 촬영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2330327A (ja) * 2001-05-07 2002-1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KR20040022659A (ko) * 2002-09-09 2004-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사진 촬영 방법
KR20050036565A (ko) * 2003-10-16 200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셀프 타이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741A (ko)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458B1 (ko) 촬영장치, 표시 제어방법 및 매체
JP4644883B2 (ja) 撮像装置
US7848633B2 (en) Image taking system
KR101086409B1 (ko)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US105422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moving image portions
JP2007318225A (ja) 撮影装置および撮影方法
JP2007324877A (ja) 撮像装置
JP2007311861A (ja) 撮影装置及び方法
JP2007150740A (ja) 撮像装置
KR20100069497A (ko) 순간 포착을 위한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2054920A (ja) 撮像装置
JP6548501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06145629A (ja) 撮像装置
JP6448330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616236B2 (en) Control method used by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08199476A (ja) 撮像装置
JP586803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5914829B2 (ja) 撮像装置
JP2012019341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7028486A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0919981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10529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5354606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7101877A (ja) 撮影装置
JP2007088679A (ja) 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