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511B1 -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511B1
KR100919511B1 KR1020070096540A KR20070096540A KR100919511B1 KR 100919511 B1 KR100919511 B1 KR 100919511B1 KR 1020070096540 A KR1020070096540 A KR 1020070096540A KR 20070096540 A KR20070096540 A KR 20070096540A KR 100919511 B1 KR100919511 B1 KR 100919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monitoring
mode
repeater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0883A (ko
Inventor
조상학
박귀병
오성언
김창훈
김준성
고상범
김현철
Original Assignee
한국방송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방송공사 filed Critical 한국방송공사
Priority to KR1020070096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511B1/ko
Publication of KR20090030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5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20/08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among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H04H20/14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for monitoring program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1 무선통신 모듈, 제2 무선통신 모듈, 리모트 장치 및 서버 장치를 포함한다. 제2 무선통신 모듈은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제1 무선통신 모듈에 연결된다. 리모트 장치는 복수의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의 동작을 모니터링하여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제1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문자 전송한다. 서버 장치는 제2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근거로,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한다. 이에 따라,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해당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유지 및 보수를 저비용으로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ING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PEATER,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해당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유지 및 보수를 저비용으로 달성하기 위한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방송시스템은 본격적인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방송사들은 국가 시책에 발맞추어 디지털화에 힘을 기울여 왔으며, 방송환경의 디지털화는 송출장비의 디지털화 이외에도 프로그램 제작, 편집 등의 디지털화를 통해 전체적인 운영인력 및 경비의 절감, 운영의 편이성, 화질의 개선 등의 효과를 얻고 있다.
이러한 방송시스템의 디지털화가 진행됨에 따라 방송운영자에게 더욱 절실한 문제는 방송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에 장애가 발생한 위치를 얼마나 신속하게 파악하여 조치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다수의 장비들이 복합적으로 운용되는 방송시스템에서 장애가 발생한 장비의 신속한 복구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성능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한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은 음성, 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여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로, 특히 무지향성 수신안테나를 장착한 개인 휴대용 수신기 또는 차량용 수신기 등을 통해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서비스를 말한다.
특히, 디엠비방송은 단일주파수망(SFN; single frequency network) 방식을 사용하므로, 디엠비방송 중계기나 송신기의 고장시 어느 중계기나 송신기에 이상이 발생되었는지를 알기가 어려우므로 신속한 대처가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해당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유지 및 보수를 저비용으로 달성하기 위한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은 제1 무선통신 모듈, 제2 무선통신 모듈, 리모트 장치 및 서버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은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에 연결된다. 상기 리모트 장치는 복수의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의 동작을 모니터링하여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문자 전송한다.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모트 장치는 서로 다른 사양의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되, 서로 다른 사양의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에서 제공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스펙 데이터들을 제공받아 상기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서버 장치의 원격 제어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한 유지/보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유지/보수 데이터를 해당 디엠비방송 중계기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리모트 장치는 서로 다른 사양의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되, 상기 서버 장치의 원격 제어에 응답하여 해당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한 유지/보수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중 어느 하나에서 알람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상기 알람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문자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기들 각각에 대응하는 램프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중 어느 하나에서 전원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해당 램프를 액티브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모트 장치에 대응하는 도어 열림 이벤트 및 화재 발생 이벤트중 어느 하나가 발생됨에 따라,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여 문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도어 열림 이벤트의 발생을 모니터링하는 도어개폐 입/출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화재 발생 이벤트의 발생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온도 센서에 연결된 변환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모트 장치는 하나 이상의 텔레비전방송 중계기의 동작을 더 모니터링하여 제2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문자 전송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2 모니터링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텔레비전방송 중계기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리모트 장치의 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로그 저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로그 저장부는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의 이력 데이터 및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의 분석 데이터를 더 저장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은 복수의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는 리모트 장치와, 상기 리모트 장치에 원격 연결된 서버 장치를 이용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방법에서, 상기 서버 장치에서 제공되는 제어명령의 수신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디엠비방송 중계기 제어 모드 및 모니터링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명령이 미수신되는 경우,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알람확인 모드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알람확인 모드 체크 단계에서, 알람확인 모드로 체크되는 경우,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알람확인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알람확인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기에서 알람 발생 플래그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알람 발생 플래그의 변동으로 체크되면 해당 알람에 대응하는 문자를 상기 서버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알람확인 모드 체크 단계에서, 알람확인 모드로 미체크되는 경우, 전원관리 모드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관리 모드 체크 단계에서, 전원관리 모드로 체크되는 경우, 전원관리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관리 모드 체크 단계에서, 전원관리 모드로 미체크되는 경우, 화재관리 모드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화재관리 모드 체크 단계에서, 화재관리 모드로 체크되는 경우, 화재관리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재관리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화재 발생 플래그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화재 발생 플래그의 변동으로 체크되면 화재 발생 알람에 대응하는 문자를 상기 서버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하여,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기 제어 모드, 상기 모니터링 모드, 상기 알람확인 모드 및 상기 전원관리 모드 각각을 수행중 수행되는 모드와는 상이한 모드의 수행이 요청된 경우, 해당 요청된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서로 다른 지역에 배치된 리모트 장치들은 디엠비방송 중계기와 실시간적으로 통신하여 해당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데이터를 읽어 저장하고, 이벤트 발생시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문자를 서버 장치로 전송하여 이벤트 상황을 알려주며, 서버 장치에서 해당 장비의 데이터 요청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장치를 통해 각 지역의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상태를 이동통신망, 예를들어, CDMA2000 1x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 주기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벤트 발생시 해당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상태를 즉시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모트 장치를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모트 장치를 제어 감시하는 프로그램 화면의 일례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리모트 장치를 제어 감시하는 프로그램 화면의 다른 예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서버 장치를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서버 장치에 탑재된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메인 화면을 설명하는 이미지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단계 S120의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제어모드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단계 S120의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모니터링 모드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단계 S13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단계 S14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단계 S15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디엠비방송 중계부 200 : 리모트 장치
300 : 제1 무선통신 모듈 400 : 제2 무선통신 모듈
500 : 서버 장치 210 : 제1 RS-232C 통신모듈
220 : 제2 RS-232C 통신모듈 230 : RS-485 통신모듈
240 : 도어개폐 입력모듈 250 : 도어개폐 출력모듈
260 : 변환모듈 270 : 제어부
280 : 배터리 290 : 충전기
510 : 제어부 520 : 사용자 인터페이스
530 : 모니터 540 : 로그 저장부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특히, 디엠비방송 중계기에 근접 배치된 리모트 장치와 이동통신망을 매개로 리모트 장치에 연결된 서버 장치가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디엠비방송 중계부(100), 리모트 장치(200), 제1 무선통신 모듈(300), 제2 무선통신 모듈(400) 및 서버 장치(5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300) 및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400)은 CDMA 모듈을 포함하고, CDMA2000 1x 통신 방식으로 서로 통신 채널을 설정한다.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부(100)는 단일주파수망(SFN; single frequency network) 방식을 사용하는 복수의 디엠비방송 중계기(이하, DMBR)들을 포함한다.
상기 리모트 장치(200)는 디엠비방송(DMB) 중계기의 동작을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300)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문자 전송한다.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은 서로 다른 제조회사에서 제조될 수도 있고, 동일한 제조회사에서 제조되되 서로 다른 사양을 가질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리모트 장치(200)는 서로 다른 사양의 디엠비방송 중계기라 할지라도 해당 중계기에서 제공되는 데이터의 호환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리모트 장치(200)는 상기 서버 장치(500)의 원격 제어에 응답하여, 해당 기기,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한 유지/보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유지/보수 데이터를 해당 디엠비방송 중계기에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서로 다른 디엠비방송 중계기라 할지라도 상기 리모트 장치(200)는 상기 유지/보수 데이터를 해당 디엠비방송 중계기에서 읽혀질 수 있도록 변환하여 해당 디엠비방송 중계기에 제공한다.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300)은 이동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400)과 무선 채널 연결되고, 상기 리모트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SMS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400)에 전송하고,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400)에서 제공되는 SMS메시지를 상기 리모트 장치(200)에 제공한다.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400)은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300)에서 제공되는 SMS메시지를 상기 서버 장치(500)에 제공하고, 상기 서버 장치(500)에서 제공되는 SMS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300)에 전송한다.
상기 서버 장치(500)는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400)을 통해 SMS메시지 타입으로 수신되는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상기 리모트 장치(200)를 경유하여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유지/보수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 장치(500)는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 기능과 함께 이벤트 상황을 처리하는 기능을 갖는다.
특히,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 기능에서, 시스템에서는 SMS 이벤트 데이터 뿐 아니라, 필요시 각 리모트 시스템으로 직접 접속하여 각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벤트 상황을 처리하는 기능에서, 각 리모트 시스템으로부터 SMS 타입으로 전송되어온 이벤트 데이터는 DB에 저장되어 모니터링 프로그램에서 화면 표시, 리스트 표시, 보고서 출력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리모트 시스템에서 이상 상황 발생으로 SMS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때, 모니터링 화면에서 시설별 경보 램프를 표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모트 장치를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장치(200)는 제1 RS-232C 통신모듈(210), 제2 RS-232C 통신모듈(220), RS-485 통신모듈(230), 도어개폐 입력모듈(240), 도어개폐 출력모듈(250), 변환모듈(260), 제어부(270), 배터리(280) 및 충전기(29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RS-232C 통신모듈(210)은 상기 제1 무선통신 단말(300)과 상기 제어부(270)를 연결하여, 상기 제어부(270)에서 제공되는 신호가 SMS메시지 발송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무선통신 단말(300)에 전달하고, 상기 제1 무선통신 단말(300)에서 제공되는 SMS메시지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270)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270)에서 전달되는 신호는 복수의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의 동작을 모니터링하여 생성된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무선통신 단말(300)에서 전달되는 신호는 상기 서버 장치(500)에서 SMS메시지 발송되어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부(100)에 구비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DMBR-1, DMBR-2, DMBR-3)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한 유지/보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RS-232C 통신모듈(220)은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부(100)에 구비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DMBR-1, DMBR-2, DMBR-3)들 각각과 상기 제어부(270)를 연결하여, 상기 제어부(270)에서 제공되는 모니터링 요청신호 또는 제어 신호 등을 각각의 디엠비방송 중계기(DMBR-1, DMBR-2, DMBR-3)들에 전달하고, 각각의 디엠비방송 중계기(DMBR-1, DMBR-2, DMBR-3)들에서 전달되는 모니터링 신호 또는 제어에 따른 응답 신호 등을 상기 제어부(270)에 전달한다.
상기 RS-485 통신모듈(230)은 상기 텔레비전방송 중계기(110)와 상기 제어부(270)를 연결하여, 상기 제어부(270)에서 제공되는 모니터링 요청신호 또는 제어 신호 등을 상기 텔레비전방송 중계기(110)에 전달하고, 상기 텔레비전방송 중계기(110)에서 전달되는 모니터링 신호 또는 제어에 따른 응답 신호 등을 상기 제어부(270)에 전달한다. 상기 텔레비전방송 중계기(110)는 일반적인 공중파 텔레비전방송 신호를 중계한다.
상기 도어개폐 입력모듈(240) 및 상기 도어개폐 출력모듈(250) 각각은 도어의 접점제어부(120)에 연결되어, 도어의 개폐에 따른 신호를 제공받아 제어부(270)에 제공한다.
상기 변환모듈(260)은 온도센서(130)에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130)로부터 제공되는 온도를 온도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270)에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270)는 복수의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의 동작을 상기 제2 RS-232C 통신모듈(220)을 통해 모니터링하여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RS-232C 통신모듈(210)을 통해 상기 제1 모니터링 데이터의 SMS메시지 전송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270)는 디엠비방송 중계기(100)의 종류가 서로 상이하더라도 디엠비방송 중계기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제어할 수 있다. 후술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알트론사(R-TRON INC.)에서 제조된 디엠비방송 중계기와 알앤에스(RNS)사에서 제조된 디엠비방송 중계기가 그 예로서 설명된다.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제1 RS-232C 통신모듈(210)을 경유하는 상기 서버 장치의 원격 제어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한 유지/보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유지/보수 데이터를 상기 제2 RS-232C 통신모듈(220)을 경유하여 해당 디엠비방송 중계기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중 어느 하나에서 알람 이벤트가 발생되어 상기 제2 RS-232C 통신모듈(220)을 통해 제공됨에 따라, 상기 제1 RS-232C 통신모듈(210)을 통해 상기 알람 이벤트에 대응하여 SMS메시지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리모트 장치(200)에 대응하는 도어 열림 이벤트 및 화재 발생 이벤트중 어느 하나가 발생되어 상기 도어개폐 입력모듈(240)을 통해 제공됨에 따라, 상기 제1 RS-232C 통신모듈(210) 및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300)을 통해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여 SMS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제2 RS-232C 통신모듈(220)을 통해 텔레비전방송 중계기(110)의 동작을 더 모니터링하여 제2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RS-232C 통신모듈(210) 및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300)을 통해 상기 제2 모니터링 데이터가 SMS메시지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버 장치(500)는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400)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2 모니터링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텔레비전방송 중계기(110)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기들 각각에 대응하는 램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중 어느 하나에서 전원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해당 램프를 액티브시키도록 제어한다. 부가하여,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한 전원 이벤트에 대응하여 SMS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배터리(280)는 상기 리모트 장치(200)에서 소요되는 전원을 공급하고, 필요시 상기 충전기(290)의 제어에 응답하여 전원을 충전한다.
도 2에 도시된 리모트 장치에 이용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및 확인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갖는 프로그램이 서버 장치(500)에 탑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알트론사(R-TRON INC.)에서 제조된 디엠비방송 중계기와 알앤에스(RNS)사에서 제조된 디엠비방송 중계기가 그 예로서 도시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모트 장치를 제어 감시하는 프로그램 화면의 일례이다. 특히, 알트론사에서 제조된 디엠비방송 중계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프로그램 화면이 도시된다.
도 3에서, ①은 메인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이고, ②는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데이터를 읽기 위한 버튼이며, ③은 이벤트 발생 알람을 선택하기 위한 창을 활성화시키는 버튼이고, ④는 알람리스트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이고, ⑤는 리모트 장치의 시스템 종료 창을 활성화시키는 화면이고, ⑥은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상태값을 모니터링하는 화면이고, ⑦은 디엠비방송 중계기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리모트 장치를 제어 감시하는 프로그램 화면의 다른 예이다. 특히, 알앤에스사에서 제조된 디엠비방송 중계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프로그램 화면이 도시된다.
도 4에서, ①은 메인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이고, ②는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데이터를 읽기 위한 버튼이고, ③은 이벤트 발생 알람을 선택하기 위한 창을 활성화시키는 버튼이고, ④는 알람리스트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이고, ⑤는 리모트 장치의 시스템 종료 창을 활성화시키는 화면이고, ⑥은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상태값을 모니터링하는 화면이고, ⑦은 디엠비방송 중계기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서버 장치를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500)는 제어부(510), 사용자 인터페이스(520), 모니터(530) 및 로그 저장부(54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510)는 제2 무선통신 모듈(400)에서 제공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모니터링 정보에 대응하는 SMS 메시지를 상기 모니터(530)에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520)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제2 무선통신 모듈(400)을 통해 SMS메시지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520)는 서버 장치에 연결된 마우스(미도시)나 키보드(미도시)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어부(510)에 제공한다.
상기 모니터(530)는 후술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따른 각종 화면을 상기한 제어부(510)의 제어에 응답하여 표시한다.
상기 로그 저장부(540)는 상기 리모트 장치(200)의 로그 데이터를 저장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로그 저장부(540)는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부(100)에 구비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들(DMBR-1, DMBR-2, DMBR-3) 각각의 이력 데이터들 및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기들(DMBR-1, DMBR-2, DMBR-3) 각각의 분석 데이터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간경과에 따른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모니터링의 전반적인 이력관리 및 24시간 무정지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므로 보다 안정되게 방송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서버 장치에 탑재된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메인 화면을 설명하는 이미지들이다. 특히,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시스템 초기에 복수의 리모트 장치를 파악하기 위한 화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장치에서 알람 신호가 제공됨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이다.
도 1 및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무선통신 모뎀, 즉 상기 서버 장치(500)에 연결된 제2 무선통신 모듈(400)과 상기 리모트 장치(200)에 연결된 제1 무선통신 모듈(300)간의 연결이 올바르게 되었는지 체크한다.
상기 제1 및 제2 무선통신 모듈들(300, 400)이 정상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체크되면, <무선통신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었습니다.>라는 정상메시지가 출력된 후 일정 시간 후에 사라진다.
만일, 초기에 무선통신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무선통신 모듈들(300, 400)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무선통신이 올바르게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데이터 송수신에 실패하였습니다. 다시 시도하여 주십시오.> 라는 에러메시지가 출력된다.
상기한 에러메시지가 출력되면 서버 장치(500)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무선통신 모뎀이나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400)의 전원상태, 상기 서버 장치(500)와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400)을 연결하는 RS-232C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절차를 통해 정상적인 정상메시지의 출력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6b를 참조하면, 디엠비방송 중계기들(DMBR-1, DMBR-2, DMBR-3)의 이벤트 발생시, 리모트 장치(200)에 연결된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300)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 문자가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400)을 경유하여 상기 서버 장치(500)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버 장치(500)은 상기한 문자를 인식 후 이벤트 종류를 파악하여 알람을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①, ②, ③ 은 알람이 발생되어 경보램프를 붉은색으로 점멸되는 상황을 보여 준다. 그리고, ④번은 알람리스트 창이다. 경보램프의 붉은색 점멸을 해제시키려면 각 지역 표시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해제가 된다. 도 6b에서, 서버 장치(500)는 안산 지역, 만월 지역, 운중 지역에 배치된 리모트 장치를 관할하는 것을 그 예로 도시된다.
예를들어, 지도 상에 표시되는 리모트 장치들을 특정 리모트 장치에 알람이 발생되면 해당 리모트 장치에는 경로램프가 점멸된다. 만일, 관리자가 해당 리모트 장치를 클릭하면, 상기 서버 장치(500)는 해당 리모트 장치에서 복수의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을 모니터링하고 원격 제어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들어, 도 3이나 도 4와 같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측에서는 해당 리모트 장치에서 관할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중 어느 중계기에 에러가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메인 화면의 하단에는 알람발생 표시창이 표시된다. 상기 표시창에는 알람발생에 따른 발생시간 필드, 발생된 알람의 해제시각을 나타내는 필드, 리모트 장치에 연결되어 알람 발생된 디엠비방송 중계기 이름 필드, 경보상태 필드, 경보주석 필드가 표시된다.
상기 경보주석 필드에는 문자 발송 시각인 SMS 시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SMS 시각 정보를 통해, 해당 SMS 문자를 바로 받지못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받을 수도 있으므로 있기 때문에 알람발생 시각을 보다 정확히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서버 장치(500)에 탑재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PC를 이용한 윈도우즈 기반 사용자 환경 형태로 제공되므로 별도의 모니터링을 위한 장비가 필요없어 경제적이다.
또한, 새로운 종류의 방송장비를 추가시에도 소프트웨어의 기능추가로 간편하게 추가 모니터링을 지원함으로써 모니터링 기능의 확장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 장치(500)에 탑재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들은 방송시스템의 관리자나 방송장비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영자에게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리모트 장치의 전원의 온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100), 리모트 장치의 전원이 온인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리모트 장치의 동작을 초기화한다(단계 S115).
이어, 서버에서 제어명령 수신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110), 서버에서 제어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디엠비방송 중계기 제어 모드 및 모니터링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120).
단계 S110에서, 서버에서 제어명령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또는 단계 S120을 수행한 후,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알람확인 모드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125),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알람확인 모드로 체크되는 경우 디엠비방송 중계기 알람확인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130).
단계 S125에서,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알람확인 모드가 아닌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또는 단계 S130을 수행한 후, 전원관리 모드인지를 체크하여(단계 S135), 전원관리모드로 체크되는 경우 전원관리 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140).
단계 S135에서, 전원관리 모드가 아닌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또는 단계 S140을 수행한 후, 화재관리 모드인지를 체크하여(단계 S145), 화재관리모드로 체크되는 경우 화재관리모드를 수행한다(단계 S150).
단계 S145에서, 화재관리 모드가 아닌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또는 단계 S150을 수행한 후, 리모트 장치의 전원이 오프인지의 체크한다(단계 S160).
단계 S160에서, 리모트 장치의 전원 오프로 체크되는 경우 종료하고, 리모트 장치의 전원이 오프가 아닌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단계 S110으로 피드백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단계 S120의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제어모드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110에 이어, 수신된 제어명령 플래그를 확인한다(단계 S211).
이어, 단계 S210에서 확인된 플래그에 변동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14).
단계 S214에서, 플래그 변동이 있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디엠비방송 중계기에 해당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를 요청하고(단계 S216), 제어 완료에 따른 액크 신호의 수신한다(단계 S218). 만일, 상기한 액크 신호를 수신받지 못하면 상기 단계 S216d로 피드백할 수도 있다.
단계 S218에 이어, 또는 단계 S214에서 플래그 변동이 없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예를들어, 상기한 제어명령 플래그를 확인하는 과정이 9회 반복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20). 상기한 제어명령 플래그를 확인하는 과정의 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9회 반복은 모니터링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단계 S220에서, 9회 반복이 이루어진 것으로 체크되면 다른 모드 수행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222), 다른 모드 수행이 요청되는 경우, 요청된 다른 모드를 수행한 후(단계 S224), 후술되는 단계 S226을 수행한다.
단계 S222에서, 다른 모드 수행 요청이 없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후술되는 단계 S226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단계 S220에 이어 다른 모드 수행 요청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S222와, 다른 모드 수행이 요청됨에 따라, 해당 다른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S224를 구비하였으나, 상기한 단계 S222 및 단계 S226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단계 S120의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모니터링 모드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222에서 다른 모드 수행 요청이 없는 경우 또는 단계 S224의 요청된 다른 모드를 수행한 후, 디엠비방송 중계기에 각종 상태를 요청한 후(단계 S226), 상태 정보의 수신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28).
단계 S228에서, 상태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단계 S226으로 피드백하여 각종 상태 정보를 다시 요청하고, 상태 정보가 수신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수신된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단계 S230).
이어, 알람 플래그를 설정한다(단계 S232).
이어, 다른 모드 수행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234), 다른 모드 수행이 요청되는 경우, 요청된 다른 모드를 수행한 후(단계 S236), 단계 S125로 피드백하고, 단계 S234에서, 다른 모드 수행 요청이 없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단계 S125로 피드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단계 S232에 이어 다른 모드 수행 요청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S234와, 다른 모드 수행이 요청됨에 따라, 해당 다른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S236을 구비하였으나, 상기한 단계 S234 및 단계 S236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단계 S13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디엠비방송 중계기에서 제공되는 알람 발생 플래그를 확인한다(단계 S310).
이어, 단계 S310에서 확인된 플래그에 변동 사항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20).
단계 S320에서, 플래그에 변동이 있는 것으로 체크되면, 알람에 대응하는 SMS메시지를 전송하고(단계 S330), 해당 SMS메시지의 전송을 확인한다(단계 S340).
단계 S340에 이어, 또는 단계 S320에서 플래그의 변동이 없는 것으로 체크되면, 알람 발생 플래그의 확인이 예를들어, 53회 반복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50), 53회 반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단계 S310으로 피드백한다. 상기한 알람 발생 플래그를 확인하는 과정의 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53회 반복은 모니터링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단계 S350에서 53회 반복이 이루어진 것으로 체크되면 다른 모드 수행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60), 다른 모드 수행이 요청되는 경우, 요청된 다른 모드를 수행한 후(단계 S370), 단계 S135로 피드백하고, 단계 S360에서, 다른 모드 수행 요청이 없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단계 S135로 피드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단계 S350에 이어 다른 모드 수행 요청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S362와 다른 모드 수행이 요청됨에 따라, 해당 다른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S370을 구비하였으나, 상기한 단계 S360 및 단계 S37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단계 S14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전원 플래그를 확인한다(단계 S410).
이어, 단계 S410에서 확인된 전원 플래그에 변동 사항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20).
단계 S420에서, 전원 플래그에 변동이 있는 것으로 체크되면, 리모트 장치에 램프 표시한 후(단계 S430), 전원 플래그 변동에 대응하는 SMS메시지를 전송하고(단계 S440), 해당 SMS메시지의 전송을 확인한다(단계 S450).
단계 S420에서, 전원 플래그에 변동이 없는 것으로 체크되거나, 단계 S440을 수행한 후,
다른 모드 수행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60), 다른 모드 수행이 요청되는 경우, 요청된 다른 모드를 수행한 후(단계 S470), 단계 S145로 피드백한다.
단계 S460에서, 다른 모드 수행 요청이 없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단계 S145로 피드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단계 S450에 이어 다른 모드 수행 요청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S460과 다른 모드 수행이 요청됨에 따라, 해당 다른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S470을 구비하였으나, 상기한 단계 S460 및 단계 S47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단계 S15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12를 참조하면, 도어의 상태나 화재 등에 대응하는 플래그를 확인한다(단계 S510).
이어, 단계 S510에서 확인된 도어의 상태나 화재 등에 대응하는 플래그에 변동 사항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520).
단계 S520에서, 도어의 상태나 화재 등에 대응하는 플래그에 변동이 있는 것으로 체크되면, 도어의 열림이나 화재 발생 등에 대응하는 SMS 메시지를 전송한 후(단계 S530), 해당 SMS메시지의 전송을 확인한다(단계 S540).
단계 S520에서 도어의 상태나 화재 등에 대응하는 플래그에 변동 사항이 없는 것으로 체크되거나 단계 S540에 이어, 다른 모드 수행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550), 다른 모드 수행이 요청되는 경우, 요청된 다른 모드를 수행한 후(단계 S560), 단계 S160으로 피드백한다. 단계 S550에서, 다른 모드 수행 요청이 없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단계 S160으로 피드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단계 S540에 이어 다른 모드 수행 요청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S550과 다른 모드 수행이 요청됨에 따라, 해당 다른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S560을 구비하였으나, 상기한 단계 S550 및 단계 S56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디엠비방송 중계기와의 데이터 통신 방식-1>
일예에 따른 디엠비방송 중계기와 리모트 장치간의 통신 프로토콜 프레임은 하기하는 표 1과 같다. 특히, 알트론사에서 제조된 디엠비방송 중계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프레임이다.
표 1을 참조하면, 일예에 따른 디엠비방송 중계기와 리모트 장치간의 통신 프로토콜 프레임은 동기 필드, 서브_아이디 필드, 타입 필드, 길이 필드, 서브 데이터 필드, CRC(cyclic redundancy checking) 필드를 포함한다.
상기한 표 1에서, 타입 필드에 대응하는 코드에 대응하는 내용은 하기하는 표 2와 같다.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리모트 장치에서 디엠비방송 중계기 장치에 상태조회 요구에 대응하는 코드는 <0xD0>이고, 그 길이는 <0x00>이다. 상기한 상태조회 요구에 대응하여 응답되는 상태조회 응답에 대응하는 코드는 <0x0D>이고, 그 길이는 <95>이다.
상기한 상태조회 응답에 대응하는 서브 데이터는 하기하는 표 3 내지 표 6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한편, 표 2에 나타낸 제어 요구는 <0xC0>이고, 그 길이는 <86>이다. 상기한 제어요구에 대응하는 서브 데이터는 하기하는 표 7 내지 표 9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디엠비방송 중계기와의 데이터 통신 방식-2>
다른 예에 따른 디엠비방송 중계기와 리모트 장치간의 통신 프로토콜 프레임은 하기하는 표 10과 같다. 특히, 알앤에스사에서 제조된 디엠비방송 중계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프레임이다.
표 10을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디엠비방송 중계기와 리모트 장치간의 통신 프로토콜 프레임은 STX(start of text) 필드, 명령/상태 데이터부(Remote Command, Remote Message) 필드, 썸 체크(SUM CHECK) 필드, ETX(end of text) 필드를 포함한다.
표 10에서, 명령/상태 데이터부 필드는 하기하는 표 11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표 11에서, 명령 데이터(Remote Commands) 필드의 경우, 첫 번째 및 두 번째 바이트는 업로드 주소와 다운 로드 주소가 할당되고, 세 번째 및 네 번째 바이트는 하기하는 표 12에 정리된 코멘드가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상태 데이터(Remote Message) 필드의 경우, 첫 번째 및 두 번째 바이트는 업로드 주소 및 다운 로드 주소가 할당되고, 세 번째 및 네 번째 바이트는 하기하는 표 13에 정리된 코멘트가 할당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지역에 배치된 리모트 장치들은 상기 리모트 장치에 연결된 디엠비방송 중계기와 실시간으로 통신하여 해당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데이터를 읽어 저장하고, 이벤트 발생시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문자를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서버 장치로 전송하여 이벤트 상황을 알려주므로써,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위치 및 상태를 파악하고, 장애발생 및 변경상황 발생시 이의 원인을 파악하여 발생된 장애를 원격으로 신속히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장치를 통해 각 지역의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상태를 이동통신망, 예를들어, CDMA2000 1x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 주기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벤트 발생시 해당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상태를 즉시 파악할 수 있다. 부가하여,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상태의 파악에 따라 해당 장비의 유지보수시기를 예측하고, 장애발생 및 변경상황을 예측하여 장애발생전 해당 장애의 발생을 방지하고, 해당 장애를 신속히 복구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장치와 디엠비방송 중계기간의 연결이나, 상기 리모트 장치와 무선통신 모듈간의 연결을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RS-232C 통신방식으로 연결하고, 리모트 장치와 서버 장치간에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SMS메시지를 이용하므로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치나 유지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Claims (14)

  1. 제1 무선통신 모듈;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에 연결된 제2 무선통신 모듈;
    복수의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의 동작을 모니터링하여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문자 전송하는 리모트 장치; 및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장치는 서로 다른 사양의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되,
    서로 다른 사양의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에서 제공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스펙 데이터들을 제공받아 상기 제1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서버 장치의 원격 제어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한 유지/보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유지/보수 데이터를 해당 디엠비방송 중계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장치는 서로 다른 사양의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되,
    상기 서버 장치의 원격 제어에 응답하여 해당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한 유지/보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중 어느 하나에서 알람 이벤트, 도어 열림 이벤트, 화재 발생 이벤트중 어느 하나가 발생됨에 따라,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문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기들 각각에 대응하는 램프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중 어느 하나에서 전원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해당 램프를 액티브시키고, 상기 전원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문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장치는 하나 이상의 텔레비전방송 중계기의 동작을 더 모니터링하여 제2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기 제1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문자 전송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2 모니터링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텔레비전방송 중계기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며,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리모트 장치의 로그 데이터,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의 이력 데이터 및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의 분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로그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리모트 장치의 위치를 화면상에 지도 형태로 표시하고,
    상기 리모트 장치에서 제공되는 이벤트 종류에 따라, 해당 이벤트 알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이벤트 알람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서버 장치는 해당 리모트 장치에서 복수의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을 모니터링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10. 복수의 디엠비방송 중계기들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는 리모트 장치와, 상기 리모트 장치에 원격 연결된 서버 장치를 이용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에서,
    상기 서버 장치에서 제공되는 제어명령의 수신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제어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디엠비방송 중계기 제어 모드 및 모니터링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어명령이 미수신되는 경우,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알람확인 모드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알람확인 모드 체크 단계에서, 알람확인 모드로 체크되는 경우, 디엠비방송 중계기의 알람확인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확인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기에서 알람 발생 플래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알람 발생 플래그의 변동으로 체크되면 해당 알람에 대응하는 문자를 상기 서버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확인 모드 체크 단계에서, 알람확인 모드로 미체크되는 경우, 전원관리 모드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관리 모드 체크 단계에서, 전원관리 모드로 체크되는 경우, 전원관리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관리 모드 체크 단계에서, 전원관리 모드로 미체크되는 경우, 화재관리 모드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화재관리 모드 체크 단계에서, 화재관리 모드로 체크되는 경우, 화재관리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재관리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화재 발생 플래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화재 발생 플래그의 변동으로 체크되면 화재 발생 알람에 대응하는 문자를 상기 서버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엠비방송 중계기 제어 모드, 상기 모니터링 모드, 상기 알람확인 모드 및 상기 전원관리 모드 각각을 수행중 수행되는 모드와는 상이한 모드의 수행이 요청된 경우, 해당 요청된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KR1020070096540A 2007-09-21 2007-09-21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19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540A KR100919511B1 (ko) 2007-09-21 2007-09-21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540A KR100919511B1 (ko) 2007-09-21 2007-09-21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883A KR20090030883A (ko) 2009-03-25
KR100919511B1 true KR100919511B1 (ko) 2009-09-28

Family

ID=4069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540A KR100919511B1 (ko) 2007-09-21 2007-09-21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5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6649B (zh) * 2019-03-12 2023-06-23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多媒体信息监播方法、装置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487A (ko) * 1997-06-28 1999-01-15 김영환 방송 통신 시스템의 원격 감시 장치 및 방법
KR19990056477A (ko) * 1997-12-29 1999-07-15 전주범 위성 방송 수신기의 신호 측정 방법
KR20020064435A (ko) * 2001-02-01 2002-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60023741A (ko) * 2004-09-10 2006-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신호의 송출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487A (ko) * 1997-06-28 1999-01-15 김영환 방송 통신 시스템의 원격 감시 장치 및 방법
KR19990056477A (ko) * 1997-12-29 1999-07-15 전주범 위성 방송 수신기의 신호 측정 방법
KR20020064435A (ko) * 2001-02-01 2002-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60023741A (ko) * 2004-09-10 2006-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신호의 송출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883A (ko)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9161B2 (en) Inexpensive mass market alarm system with alarm monitoring and reporting
US20080195254A1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a method thereof
US2013014099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street lamps
EP2056031B1 (en) Error management system of air conditioner
JP2008086074A (ja) 電力系統監視装置および電力系統監視方法
WO2017185747A1 (zh) 智能家居告警方法、装置、智能防控终端及家庭智能网关
KR20200041473A (ko)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200921269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7288579A (ja) 基地局ログ収集装置、基地局のログの収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3575053A (zh) 一种远程操作酒柜的方法
KR100919511B1 (ko) 디엠비방송 중계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0107117A1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EP3214824A1 (en) Smart home system
US11880191B2 (en) Remote activation of the wireless service interface of a control device via a bus system
US20120212341A1 (en) Alarm device for detecting and communicating environment- and system-specific states
CN105578122A (zh) 基于路由器的监控提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
JP7012220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
KR101968945B1 (ko) 휴대용 공조기기 도킹 스테이션 및 그를 포함하는 공조기기 유지관리 시스템
JP6815978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対象設備の初期設定方法
KR20090027802A (ko) Cctv 망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광고 시스템과 장치 및그 방법
JP2014060636A (ja) 通信インタフェース変換装置
JP2007034507A (ja) 無線を利用した機器の診断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90045528A (ko) 실시간 디버깅 기능을 가지는 대규모 실시간 감시 시스템용디버깅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디버깅 시스템
JP2003248888A (ja) 火災報知システム
JP2005293549A (ja) 設備機器の遠隔監視装置、及び設備機器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