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792B1 - 개인휴대단말기용 키입력장치 - Google Patents

개인휴대단말기용 키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792B1
KR100918792B1 KR1020070102216A KR20070102216A KR100918792B1 KR 100918792 B1 KR100918792 B1 KR 100918792B1 KR 1020070102216 A KR1020070102216 A KR 1020070102216A KR 20070102216 A KR20070102216 A KR 20070102216A KR 100918792 B1 KR100918792 B1 KR 100918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sheet
light guide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6915A (ko
Inventor
박철
이연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림
Priority to KR1020070102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792B1/ko
Publication of KR20090036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개인휴대단말기용 키입력장치는 버튼 영역이 정의된 키패드부, 키패드부 하부에 위치하는 도광판과 도광판의 측면에서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도광부 및 버튼 영역의 누름을 감지하기 위한 멤브레인 스위치부를 구비한다. 멤브레인 스위치부는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상부 전극이 저면에 형성된 상부 시트, 상부 전극에 대응하여 하부 전극이 상면에 형성된 하부 시트 및 양 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멤브레인 스위치부는 러버시트 및 누름 돌출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도광판을 이용하여 빛을 전체적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작은 개수의 발광소자로도 키패드 전체를 조명할 수가 있다.
키패드부, 도광부, 멤브레인 스위치부

Description

개인휴대단말기용 키입력장치{KEY INPUT DEVICE FOR PERSONAL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키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단말기의 슬림화 및 발광 기능의 단순화를 위한 키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키 패드는 주로 돔 스위치 방식을 사용한 것으로, 종래의 돔 스위치는 위로 돌출된 금속 돔 및 금속 돔의 하부에서 돔을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전극을 포함하며, 이들 돔과 전극은 돔 시트 및 회로기판의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상당한 두께를 차지한다. 이러한 키입력장치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단말기의 두께를 줄이고자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다만, 사용자가 돔 스위치를 이용한 종래의 버튼을 누르면 버튼 하부에 형성된 돔 스위치가 눌려지게 되고, 이때 돔 스위치가 눌려지면서 똑딱 소리와 함께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소리를 듣거나 진동을 느껴 버튼의 누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얇게 형성하기 위한 “조광식 입력패널장치”가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4-146174호에 개시되어 있다.
조광식 입력패널장치는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도광 부재(11), 터치 패널(12), 광확산 부재(13), 및 시트(14)를 포함하고, 상부 시트(12B) 및 하부 시트(12A)의 대향면에 형성되는 금속 접점 전극(23a) 및 도전선(21, 22) 등과 같은 전극을 ITO와 같은 투명한 전극 재료를 사용하는 대신에, 비투광성의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하지만, 광확산 부재(13)를 사용함으로써, 비투광성인 전극을 채택할 수 있는 조광식 입력패널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조광식 입력패널장치에서는 광확산 부재(13)를 반드시 사용하지 않고는 외부에서 금속 접점 전극(23a)과 도전선(21, 22)이 보이기 때문에 비투광성 재료를 사용하고자 하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하여 반드시 광학산 부재(13)가 필요하고, 조광식 입력패널장치의 두께 자체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둘째, 도광 부재(11)의 측부 배치되는 발광부재(16)로부터 조사된 빛이 터치 패널(12), 광확산 부재(13)를 거쳐 시트(14)에 도달하는 동안 상당한 양의 빛이 상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시트(14)의 조명을 위한 과도한 전력이 소비되고, 이를 채택한 기기의 배터리 소모가 빠르다.
셋째, 비록 광확산 부재(13)를 채택하여 외부에서 금속 접점 전극(23a)과 도전선(21, 22)이 보이지 않도록 하더라도, 전극의 치수를 크게 형성하는 것과 같은 전극 설계의 제한이 있으며, 이는 결국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두께를 더욱 얇게 유지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슬림화를 실현할 수 있는 키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께를 아무리 얇게 하여도 버튼의 작동을 감각적으로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키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키입력장치는 버튼 영역이 정의된 키패드부, 키패드부 하부에 위치하는 도광판과 도광판의 측면에서 도광판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도광부 및 버튼 영역의 누름을 감지하기 위한 멤브레인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멤브레인 스위치부는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부 시트 및 하부 시트를 포함하며, 상부 시트 또는 하부 시트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버튼 영역을 누름에 따라 상부 및 하부 시트가 국부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이때 상부 및 하부 시트 사이에는 시트 간의 국부적인 누름을 감지하는 전극이 각각의 버튼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멤브레인 스위치부는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를 얕은 간격으로 이격시키며, 사용자의 누름에 대응하여 상부 또는 하부 시트가 이동하여 전극 간의 전기적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전극은 상부 시트의 저면에 형성된 상부 전극 및 상부 전극에 대응하여 하부 시트의 상면에 형성된 하부 전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은 각각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다르게는, 전극은 상부 시트 및 하부 시트 중 한 시트에 형성된 분리 전극 및 분리 전극에 대응하여 다른 시트에 형성된 연결 전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분리 전극은 분리된 구조를 가지며 연결 전극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분리 전극의 분리된 구조들만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고, 연결 전극은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단지 분리 전극을 임시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멤브레인 스위치부는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를 이격시킬 수 있는 최소한의 높이만큼 이격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얇은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돔 스위치를 사용하는 키입력장치에서는 돔을 보호하기 위해 실리콘 재질의 돌출부가 필수적으로 있어야 하지만, 멤브레인 스위치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돌출부를 생략할 수 있어, 두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가 있다.
또한, 멤브레인의 상부 시트 또는 하부 시트는 평판 형상 외에도 국부적으로 돔이 형성된 시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2 종류 이상의 시트가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평판 또는 시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멤브레인 스위치를 사용하게 되면 LED와 같은 발광소자를 키패드부의 하부에 설치하기가 어려워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키패드부 및 멤브레인 스위치부 사이에 얇은 도광판을 설치하고, 발광소자를 측면에 배치함으로써 발광소자 장착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가 있다.
또한, 발광소자를 키패드부 하부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빛이 주변의 키패드에 전달될 수 있도록 키패드부와 발광소자 간에 최소한의 간격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발광소자를 측면으로 옮기고 도광판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키패드부, 도광판 및 멤브레인 스위치부를 얇게 밀착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키패드부의 버튼 영역은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패드부의 버튼 영역은 사출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틱 버튼을 부착하여 정의될 수 있으며, 돌출된 구조 없이 얇은 시트 형상의 키패드에 버튼 영역을 인쇄하거나 버튼 영역의 주변에 슬릿을 형성하여 정의될 수도 있다. 키패드부는 종래의 또는 대체할 수 있는 구조로 적용될 수 있으며, 실리콘 재질의 누름 돌출부 없이도 적용이 가능하다.
돔 스위치와 달리, 멤브레인 스위치는 누름에 대응하는 진동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없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광부는 서로 다른 종류의 빛을 발하는 2종류 이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멤브레인 스위치부의 작동에 대응하여 다른 발광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소자의 종류는 색이나 점멸 패턴 등에 의해서 구분될 수 있으며, 발광모드 역시 발광소자의 점멸 및 조화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발광소자가 2종류 이상의 발광모드로 작동하여 색이나 점멸 패턴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키입력장치는 버튼 영역이 정의된 키패드부, 키패드부 하부에 위치하는 도광판, 도광판의 측면에서 빛을 조사하는 제1 발광소자 및 도광판의 측면에서 제1 발광소자와는 다른 색의 빛을 조사하는 제2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도광부,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상부 전극이 저면에 형성된 상부 시트, 상부 전극에 대응하여 하부 전극이 상면에 형성된 하부 시트 및 양 시트 사이에 개재 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스위치부, 및 멤브레인 스위치부의 작동에 대응하여 제2 발광소자에 소정의 시간 동안 전류를 공급하는 발광 제어부를 구비한다.
도광부는 제1 및 제2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제1 발광소자는 기본적으로 키패드부를 조명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누름에 대응하여 제2 발광소자가 점멸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1 및 제2 발광소자의 역할이 전환될 수도 있다. 발광 제어부는 제2 발광소자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점멸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2 발광소자는 제1 발광소자와 동시에 작동하거나 제1 발광소자가 꺼진 상태에서 켜진 상태가 되어 배타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멤브레인 스위치부는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를 이격시킬 수 있는 최소한의 높이만큼 이격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얇은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돔 스위치를 사용하는 키입력장치에서는 돔을 보호하기 위해 실리콘 재질의 돌출부가 필수적으로 있어야 하지만, 멤브레인 스위치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돌출부를 생략할 수 있어, 두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가 있다.
발광소자를 키패드부 하부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빛이 주변의 키패드에 전달될 수 있도록 키패드부와 발광소자 간에 최소한의 간격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발광소자를 측면으로 옮기고 도광판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키패드부, 도광판 및 멤브레인 스위치부를 얇게 밀착시킬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누름에 대응하여 발광소자를 점멸할 수 있기 때문에, 키입력 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사용자는 변화하는 발광모드에 의해서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태로 단말기를 사용할 수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멤브레인 스위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100)는 키패드부(110), 도광부(120) 및 멤브레인 스위치부(130)를 포함한다. 키패드부(110)는 정면에 장착되어 단말기(미도시)의 하우징에 장착되며, 키패드부(110)의 전체 또는 일부가 단말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다. 도광부(120) 및 멤브레인 스위치부(130)는 키패드부(110)의 배면에 차례로 적층되며, 거의 면접하도록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키패드부(110)는 얇은 시트 형상으로 제공되며, 플라스틱 필름에는 버튼 영역(124)에 대응하는 숫자, 문자 및 배경이 인쇄되어 있다. 키패드부(110)는 약 0.4mm 두께의 투광성 필름만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더 얇은 두께의 투광성 필름에 금속 박판을 부착하여 약 0.3mm 또는 그 이하의 두께로 제조될 수도 있다. 멤브레인 방식의 멤브레인 스위치부(130)를 사용하기 때문에, 키패드부(110)는 실리콘 재질의 누름 돌출부를 생략할 수 있다. 누름 돌출부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키패드부(110)의 저면에 실리콘 재질의 러버층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형성 하지 않을 수도 있다.
키패드부(110)의 배면으로 도광부(120)가 제공된다. 도광부(120)는 얇은 시트 형상의 도광판(122) 및 도광판(122)의 측부에 위치하는 발광소자(126)를 포함한다. 도광판(122)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며, 투명 실리콘이나 기타 투명한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광판(122)은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필름 형성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도광판(122)에는 빛의 산란을 위한 산란 패턴(124)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산란패턴(124)은 반구형 돌기, 선형 돌기, 반구형 홈, 프리즘 돌기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산란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레이저 가공, 사출시 금형가공, 인쇄 가공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광판(122)의 측단에는 LED와 같은 발광소자(126)가 사용될 수 있다. 발광소자(126)는 도광판(122)의 측면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조사된 빛은 도광판(122)에 의해서 키패드부(110)의 각 버튼 영역(124)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광판(122)의 측단으로 배치되는 발광소자(126)는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도 가능하며, 도광판(122)의 측면은 물론 코너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광부(120)에서 발광소자(126)가 하부가 아닌 측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키입력장치(100)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발광소자(126)의 개수도 줄일 수가 있다. 특히, 도광판(122)의 상면 및 저면으로 키패드부(110)와 멤브레인 스위치부(130)를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돔 스위치나 누름 돌출부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키입력장치(100)의 두께를 현저하게 줄일 수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멤브레인 스위치부(130)는 상부 시트(132), 하부 시트(136) 및 스페이서(135)를 포함하며, 상부 시트(132)의 저면에는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상부 전극(134)이 형성되며, 하부 시트(136)의 상면에는 상부 전극(134)를 마주보는 하부 전극(138)이 형성된다. 스페이서(135)에 의해서 상부 전극(134)과 하부 전극(138)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키패드부(110)의 버튼 영역을 누르면, 눌려진 부분에서 상부 전극(134) 및 하부 전극(138)이 서로 닿을 수 있다. 스페이서(135)에 의해서 상부 전극(134)과 하부 전극(138)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며, 멤브레인 스위치부(130)는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멤브레인 스위치부(230)의 스위치는 돔 스위치와 같이 누름에 의한 떨림 또는 키감(tactile feel)을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버튼이 제대로 눌려졌는지 감각적으로 확인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키입력장치(100)는 발광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 제어부를 이용하여 발광소자(126)의 발광모드를 일시적으로 변경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도광부(120)에서 발광소자(126)는 동시에 작동하며, 사용자의 누름에 대응하여 발광소자(126)가 꺼졌다가 다시 켜지도록 제어할 수가 있다. 사용자는 키입력장치(100)의 점멸을 확인하여 누름이 올바르게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할 수가 있다.
발광 제어부는 발광소자(126)가 한번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수 차례 점멸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발색이 가능한 발광소자를 사용하여, 발광소자(126)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깔을 일시적으로 변경하 거나 다음 입력까지 변화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광부 및 발광 제어부를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광부(121)는 키패드부의 배면으로 제공된다. 도광부(121)는 얇은 시트 형상의 도광판(122), 도광판(122)의 측부에 위치하는 제1 발광소자(128) 및 제1 발광소자(128)와 교대로 배치되는 제2 발광소자(129)를 포함한다.
도광판(122)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며, 투명 실리콘이나 기타 투명한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광판(122)은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필름 형성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도광판(122)에는 빛의 산란을 위한 산란 패턴(124)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산란패턴(124)은 반구형 돌기, 선형 돌기, 반구형 홈, 프리즘 돌기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산란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레이저 가공, 사출시 금형가공, 인쇄 가공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광판(122)의 일 측단에는 LED와 같은 제1 발광소자(128) 및 제2 발광소자(129)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발광소자(128) 및 제2 발광소자(129)는 서로 다른 색(예를 들어, 백색 및 청색)의 빛을 발할 수 있으며, 동일한 색의 빛을 내는 발광소자들은 발광 제어부(140)과 전기적으로 함께 연결되어 동시에 점등 및 소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발광소자(128, 129)는 도광판(122)의 동일한 측면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조사된 빛은 도광판(122)에 의해서 키패드부의 각 버튼 영역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광소자(128) 및 제2 발광소자(129)는 각각 발광 제어부(140)와 연결되며, 발광 제어부(140)는 제1 및 제2 발광소자(128, 129)로 공급되는 전류를 온/오프 함으로써 제1 및 제2 발광소자(128, 129)를 동시에 또는 배타적으로 점등 및 소등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광소자(128)는 기본적으로 키패드부를 조명할 수 있게 하며, 사용자의 누름에 대응하여 제2 발광소자(129)가 일시적으로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발광소자(128)는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제2 발광소자(129)가 점등될 때 제1 발광소자(128)가 소등되고, 다시 제2 발광소자(129)가 소등될 때 제1 발광소자(128)가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키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키입력장치는 키패드부(110), 도광부(120) 및 멤브레인 스위치부(130)를 포함한다. 키패드부(110)는 정면에 장착되어 단말기의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으며, 도광부(120) 및 멤브레인 스위치부(130)는 키패드부(110)의 배면에 차례로 적층되며, 거의 면접하도록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키입력장치는 멤브레인 스위치부(130)를 이용하며, 누름 돌출부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얇은 두께를 유지할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5의 키입력장치는 도 1의 도광부(120) 및 멤브레인 스위치부(130)를 동일하게 포함하기 때문에, 중복되는 내용은 상술한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키입력장치는 키패드부(150), 도광부(120) 및 멤브레인 스 위치부(130)를 포함한다. 키패드부(110)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탄성시트(152)를 포함하며,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탄성시트(152) 상에 부착된 플라스틱 키(154)를 포함한다. 여기서도 키입력장치는 멤브레인 스위치부(130)를 이용하고 누름 돌출부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얇은 두께를 유지할 수가 있다.
이외에도 키패드부는 슬릿이 형성된 필름 또는 시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캔틸레버(cantilever) 형상이나 홀(hole) 형상의 슬릿에 의해서 버튼 영역은 부분적으로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의 멤브레인 스위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는 상술한 키패드부 및 도광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는 상술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 다만, 멤브레인 스위치부(230)는 상부 시트(232), 하부 시트(236) 및 스페이서(235)를 포함하며, 상부 시트(232)의 저면에는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연결 전극(234)이 형성되며, 하부 시트(236)의 상면에는 연결 전극(234)을 마주보는 분리 전극(238)이 형성된다. 스페이서(235)에 의해서 연결 전극(234)과 분리 전극(238)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키패드부(210)의 버튼 영역을 누르면, 눌려진 부분에서 연결 전극(234)이 하강하며, 분리 전극(238)에서 전기적으로 분리된 구조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스페이서(235)에 의해서 연결 전극(234)과 분리 전극(238)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며, 멤브레인 스위치부(230)는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분리 전극이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된 금속 패턴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연결 전극은 상부 시트에 저면에 형성된 탄소 전극 또는 금속 전극을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분리 전극 및 연결 전극의 상하 위치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반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변형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멤브레인 스위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광부 및 발광 제어부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키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의 멤브레인 스위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키입력장치 110:키패드부
120:도광부 122:도광판
126:발광소자 130:멤브레인 스위치부
132:상부시트 134:상부 전극
135:스페이서 136:하부 시트
138:하부 전극

Claims (9)

  1. 버튼 영역이 정의된 키패드부;
    상기 키패드부 하부에 위치하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서 상기 도광판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도광부; 및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부 시트 및 하부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시트 사이에는 상기 상부 시트 및 상기 하부 시트 간의 국부적인 누름을 감지하는 전극이 개재되며, 상기 도광부 하부에 위치하는 멤브레인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키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각각의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시트의 저면에 형성된 상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시트의 상면에 형성된 하부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각각의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시트 및 상기 하부 시트 중 하나에 형성된 분리 전극 및 상기 분리 전극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시트 및 상기 하부 시트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연결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부는 상기 상부 시트와 상기 하부 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서로 다른 종류의 빛을 발하는 2종류 이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부의 작동에 대응하여 다른 발광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2종류 이상의 발광모드로 작동하며,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부의 작동에 대응하여 다른 발광모드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드는 1회 점멸, 반복 점멸, 변색 및 이들의 조합 중 하나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8. 버튼 영역이 정의된 키패드부;
    상기 키패드부 하부에 위치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서 빛을 조사하는 제1 발광소자 및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서 상기 제1 발광소자와는 다른 색의 빛을 조사하는 제2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도광부;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부 시트 및 하부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시트 사이에는 상기 상부 시트 및 상기 하부 시트 간의 국부적인 누름을 감지하는 전극이 개재되며, 상기 도광부 하부에 위치하는 멤브레인 스위치부; 및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부의 작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발광소자에 소정의 시간 동안 전류를 공급하는 발광 제어부;를 구비하는 키입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제어부는 상게 제2 발광소자의 작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발광소자에 함께 또는 배타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장치.
KR1020070102216A 2007-10-10 2007-10-10 개인휴대단말기용 키입력장치 KR100918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216A KR100918792B1 (ko) 2007-10-10 2007-10-10 개인휴대단말기용 키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216A KR100918792B1 (ko) 2007-10-10 2007-10-10 개인휴대단말기용 키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915A KR20090036915A (ko) 2009-04-15
KR100918792B1 true KR100918792B1 (ko) 2009-09-25

Family

ID=40761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216A KR100918792B1 (ko) 2007-10-10 2007-10-10 개인휴대단말기용 키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7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726A (ko) * 1999-12-30 2001-07-06 서평원 이동통신기기의 조명 방법
JP2004146174A (ja) * 2002-10-24 2004-05-20 Alps Electric Co Ltd 入力パネ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726A (ko) * 1999-12-30 2001-07-06 서평원 이동통신기기의 조명 방법
JP2004146174A (ja) * 2002-10-24 2004-05-20 Alps Electric Co Ltd 入力パネ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915A (ko) 200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1118B2 (ja) キー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端末機
KR101138321B1 (ko) 발광 시트 모듈
JP4358204B2 (ja) キーパッド装置および携帯型端末機
JP4716956B2 (ja) タッチキー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機
KR100842551B1 (ko) 키 패드 어셈블리
EP1918954A1 (en) Keypad Assembly
JPH02265126A (ja) 低側面ゴム製キーパッド
US9142369B2 (en) Stack assembly for implementing keypads on mobile computing devices
JP4190568B1 (ja) 携帯端末
US7718910B2 (en) Movable contact assembly and switch using the same
KR100324780B1 (ko) 키스위치
JP5023971B2 (ja) 導光機能付き可動接点体とそれを用いた入力装置
KR100918792B1 (ko) 개인휴대단말기용 키입력장치
JP5930540B2 (ja) パワーウインドウスイッチ
JP4888815B2 (ja) 電子機器
KR100689391B1 (ko) 키 패드 어셈블리
KR20130115453A (ko) 키보드
KR20130101220A (ko) 키보드
KR101331945B1 (ko) 키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378607Y1 (ko) 메탈 키패드
JP2010192275A (ja) 導光シートスイッチ
KR200177530Y1 (ko)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KR20080099930A (ko) 투명 전도성 접점 구조를 갖는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JPH0533427U (ja) バツクライト付キーパネルの薄型構造
KR20070094393A (ko)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