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945B1 - 키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키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945B1
KR101331945B1 KR1020060133141A KR20060133141A KR101331945B1 KR 101331945 B1 KR101331945 B1 KR 101331945B1 KR 1020060133141 A KR1020060133141 A KR 1020060133141A KR 20060133141 A KR20060133141 A KR 20060133141A KR 101331945 B1 KR101331945 B1 KR 101331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attern
contact
switch
conductiv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3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8923A (ko
Inventor
선필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3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945B1/ko
Publication of KR20080058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키버튼 및, 키버튼마다 할당되는 스위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세트는 키버튼의 누름에 따라 키버튼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스위치; 및 제1스위치와 동시에 동작될 수 있게 설치되어 키버튼의 누름에 따라 키버튼을 조명시키는 발광부에 전원을 직접 인가시키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하여, 제1스위치에 의한 입력신호의 제공과 제2스위치에 의한 발광부의 전원인가가 이루어지게 되어 키의 눌림을 감지하여 다시 발광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트랜지스터나 트랜지스터의 제어를 위한 GPIO의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부품 수 및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단말기, 휴대폰, 핸드폰, 키패드, 백라이팅

Description

키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KEY INPUT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키입력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키입력장치의 접점부와 접점부에 연결되는 회로를 개략적으로 보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키입력 장치가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로서, 키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키입력 장치의 접점패턴과 접점패턴에 연결되는 회로를 개략적으로 보인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로서, 키입력 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키입력 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로서, 키입력 장치의 스위치 세트와 스위치 세트를 상부에 위치될 키버튼을 보인 평면도,
도 9는 도 8의 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휴대 단말기 30,130,230: 키입력 장치
31,131,231: 키버튼 40, 240: 스위치 세트
41,141,241: 제1접점패턴 42,142,242: 제2접점패턴
43,143,243: 제3접점패턴 44,144,244: 제4접점패턴
51,52,251,252: 도전성 작동부재 145: 돔형 부재
146,147: 도전층 148: 절연층
본 발명은 키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GPIO의 제어가 필요없이 키 조명을 구현함으로써 부품을 절감시킬 수 있는 키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폰나 피디에이(PDA)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중에 이를 이용하여 무선 송수신이나 정보를 열람 또는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하나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경량화되고 슬림화되어 가는 반면, 작고 제한된 장치 내에서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편리하도록 충분한 기구적인 뒷받침을 요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에는 사용자가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거나 기타 제어 명령을 위하여 다수의 키버튼을 갖는 키입력 장치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키입력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키입력장치의 접점부와 접점부에 연결되는 회로를 개략적으로 보인 회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종래의 키입력장치(1)는 프레임(3)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키버튼(2)을 구비하며, 키버튼(2)의 하부에는 키버튼(2)을 지지함과 아울러 키버튼(2)의 누름동작에 따라 입력신호를 인식하는 기판(6)이 배치되어 있다.
키판(6)의 상면에는 키버튼(2)의 누름시 하부로 변형되며 키버튼(2)의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도전성 돔(dome; 4)이 설치되어 있다. 돔(4)의 하부에는 돔(4)의 작용에 의하여 연결 또는 차단되는 접점부(5)가 구비된다.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접점부(5)는 동심형으로 기판(6)에 패터닝되어 있으며, 각 접점부(5)는 돔의 가장자리가 접촉하는 제1접점부(5A)와, 제1접점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돔(4)이 눌릴때마다 돔(4)의 가운데 부분이 접촉되는 제2접점부(5B)를 가지고 있다.
각 돔(4)의 사이에는 키버튼(2)을 조명할 수 있도록 광원을 제공하는 발광다이오드(8)가 구비된다. 이들 발광다이오드(8)는 그 일단이 기기에 제공되는 전원(VPWR)을 공급받고 타단은 에미터(emitter)가 접지되어 있는 트랜지스터(7)의 컬렉터(collector)에 연결됨으로써, 트랜지스터(7)를 선택적의 동작에 따라 온오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키버튼(2)이 눌리게 되면, 프로세서(10) 내의 입력신호 처리부(11)가 이를 인식하게 되고, 프로세서(10)는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9)를 통하여 트랜지스터(7)를 인에이블(enable) 상태로 만들어 발광다이오드(8)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발광다이오드(8)에서 발생되는 빛은 각 키버튼(2)에 새겨진 인쇄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과되어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각 키의 백라이트 구현시 트랜지스터(7)가 사용되므로 부품수의 증가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트랜지스터를 구동하기 위한 GPIO(12)의 제어가 필요하므로 그만큼 복잡하고 단가도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트랜지스터의 사용이나 GPIO의 제어가 필요없는 키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키버튼 및, 상기 키버튼마다 할당되는 스위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세트는, 상기 키버튼의 누름에 따라 상기 키버튼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와 동시에 동작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키버튼의 누름에 따라 상기 키버튼을 조명시키는 발광부에 전원을 직접 인가시키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싱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는 기판상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는 상기 키버튼에 의하여 동시에 눌려질 수 있도록 균등한 높이로 형성되는 도전성 작동부재를 각각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기판에는 상기 제1스위치의 작동부재의 일단이 항상 접촉되는 제1접점패턴과, 상기 제1스위치의 작동부재가 눌려질 때 접촉되는 제2접점패턴과, 상기 제2스위치의 작동부재의 일단이 항상 접촉되는 제3접점패턴 및, 상기 제2스위치의 작동부재가 눌려질 때 접촉되는 제4접점패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접점패턴 및 2접점패턴은 키입력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3접점패턴은 상기 발광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4접점패턴은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작동부재는 자체 탄성을 갖는 판스프링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버튼의 하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의 작동부재에 대응되는 누름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 세트는 상기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를 덮을 수 있게 형성되는 돔(dome)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는 상기 돔형부재의 내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는 기판상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는 상기 돔형 부재의 내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도전층 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돔형 부재는 메탈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돔형 부재와 도전층 사이에는 절연층이 구비되는 키입력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기판에는 상기 제1스위치의 도전층의 가장자리가 항상 접촉되는 원호형의 제1접점패턴과, 상기 돔형 부재가 눌려질 때 상기 도전층이 접촉되도록 상기 제1접점패턴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접점패턴과, 상기 제2스위치의 도전층의 가장자리가 항상 접촉되는 원호형의 제3접점패턴 및, 상기 돔형 부재가 눌려질 때 상기 도전층이 접촉되도록 상기 제3접점패턴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4접점패턴이 구비되는 키입력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제1접점패턴과 제3접점패턴은 각각 동일한 원(圓)상에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2접점패턴과 제4접점패턴은 동일한 원을 형성하도록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각 키버튼마다 할당되어 배치되고, 상기 각 발광부는 대응되는 상기 각 제2스위치에 의하여 온오프될 수 있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이와 같은 키입력 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키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로서, 키입력 장치가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20)의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기 본체(21)의 전면에는 복수의 키버튼(31)을 갖는 키입력 장치(30)가 구비되어 있으며, 키입력 장치(30)의 일측에는 입력을 하면서 그 입력되는 정보를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22)가 설치되어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이른바 폴더타입이나 슬라이드 타입 등 다른 개폐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로서, 키입력 장치(3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키입력 장치의 접점패턴과 접점패턴에 연결되는 회로를 개략적으로 보인 회로도이다.
도 4에 의하면, 키버튼(31)의 하부에는 키버튼(31)을 누름에 따라 동시에 별개의 기능을 구현하는 스위치 세트(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스위치 세트(40)의 일측에는 키버튼(21)을 조명시키는 발광부(26)가 장착된다.
스위치 세트(40)와 발광부(50)는 키버튼(31)의 누름시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기판(25)에 장착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기판(25)은 경성(rigid) 회로기판 또는 연성(flexible) 회로기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발광부(26)는 발광 다이오드(LED) 또는 반도체 레이저와 같은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스위치 세트(40)는 하나의 키버튼(31)에 대응하여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며, 도 4에서는 두 개의 스위치를 갖는 형태를 보였다. 즉, 스위치 세트(40)는 제1스위치(40A) 및 제1스위치(40A)와 동시에 동작될 수 있게 설치되는 제2스위치(40B)를 구비하고 있다. 제1스위치(40A)는 키버튼(31)의 누름에 따라 눌려진 키버튼(31)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제2스위치(40B)는 키버튼(31)의 누름에 따라 발광부(26)에 전원을 직접 인가시키게 되어 있다.
키버튼(31)의 하면에는 제1스위치(40A) 및 제2스위치(40B)의 작동부재(51)(52)를 동시에 눌러주는 누름 돌기(3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스위치(40A)와 제2스위치(40B)는 키버튼(31)을 누름에 따라 이동 또는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작동부재(51)(52)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기판(25)에는 도전성 작동부재(51)(52)가 이동 또는 변형됨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끊어지도록 접촉점을 제공하는 접점패턴(41)(42)(43)(44)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스위치(40A) 및 제2스위치(40B)는 기판(25) 상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각 도전성 작동부재(51)(52)는 키버튼(31)에 의하여 동시에 눌려질 수 있도록 균등한 높이를 형성한다.
도전성 작동부재(51)(52)는 탄성부(49)(49)에 의하여 각각 지지되어 있어, 키버튼(31)의 눌림이 해제되면 복귀되어 접점패턴(42)(44)으로부터 이탈된다.
접점패턴(41)(42)(43)(44)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동(copper)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도전재가 기판(25) 위에 일정 모양으로 패터닝되어 있는 구조이며, 이들은 제1작동부재(51)에 대응되는 제1접점패턴(41)과 제2접점패턴(42) 및, 제2작동부재(52)에 대응되는 제3접점패턴(43)과 제4접점패턴(44)으로 구별되고 있다.
제1스위치(40A)의 작동부재(51)의 일단은 제1접점패턴(41)에 항상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제2접점패턴(42)은 제1스위치(40A)의 작동부재(51)가 눌려질 때 타단에서 접촉되어 통전되도록 제1접점패턴(41)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 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스위치(40B)의 작동부재(52)의 일단은 제3접점패턴(43)에 항상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제4접점패턴(44)은 제2스위치(40B)의 작동부재(52)가 눌려질 때 타단에서 접촉되어 통전되도록 제3접점패턴(43)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제1접점패턴(41)과 제3접점패턴(43)은 각각 동일한 원(圓)상에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접점패턴(41)과 제3접점패턴(43)의 내측에는 제2접점패턴(42)과 제4접점패턴(44)이 동일한 원을 형성하도록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의하면, 제1접점패턴(41)과 제2접점패턴(42)는 키입력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60)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프로세서(60)의 입력신호 처리부(61)는 키버튼(31)이 눌리면 제1접점패턴(41)과 제2접점패턴(42)의 통전상태를 인식하여 입력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제3접점패턴(43)은 발광부(50)에 연결되고, 제4접점패턴(44)은 그라운드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스위치(40B)의 작동부재(52)가 눌리면 제3접점패턴(43)과 제4접전패턴(44)은 통전상태가 되고, 전원(VPWR)을 공급받은 발광부(26)이 바로 빛을 발생하게 되어 해당 키버튼(31)의 백라이팅을 구현한다.
도 5에서는 발광부(26)가 각 키버튼(31)마다 할당되어 각 키버튼(31)에 대응되는 발광부(26)가 온오프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어느 하나의 키버튼(31)이 눌리더라도 모든 발광부(26)를 발광시키는 예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키버튼(31)이 눌리게 되면, 키버튼(31)의 하면의 누름돌기(33)가 제1스위치(40A) 및 제2스위치(40B)의 작동부재(51)(52)를 동시에 누르게 된다. 따라서, 제1스위치(40A)의 작동부재(51)는 제1접점패턴(41)과 제2접점패턴(42)를 통전상태를 만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2스위치(40B)의 작동부재(52)는 제3접점패턴(43)과 제4접점패턴(44)를 통전시킨다.
따라서, 눌린 키버튼(31)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면서도 발광부(26)에 전원을 직접 인가하여 키버튼(31)의 백라이팅을 구현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로서, 키입력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ㄷ도 6의 키입력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접점패턴(141)(142)(143)(144)의 형상이나 연결구조는 도 5에서 설명된 제1실시예의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의하면, 키버튼(131)의 하부에는 돔(dome)형 부재(145)가 설치되어 있다. 돔형 부재(145)의 내면에는 앞에서 설명한 제1스위치(40A) 및 제2스위치(40B)의 작동부재(51)(52)에 해당하는 도전층(146)(147)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돔형 부재(145)는 키버튼(131)의 반복적인 누름동작에 대하여 안정성과 내구성을 갖도록 강판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전층(146)(147)과 돔형 부재(145)는 절연층(148)에 의하여 절연된다. 절연층(148)은 유전율이 높은 양면테잎이나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전층(146)(147)은 절연층(148) 위에 도포 또는 증착되거나 도전성 금속을 시트(sheet) 형태로 형성시켜 절연층(148)에 부착하는 방법 등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키버튼(131)을 누르면, 도 7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돔형 부재(145)가 변형되고, 각 도전층(146)(147)은 돔형 부재(145)와 동시에 변형되면서 제1접점패턴(141)과 접점패턴(142) 사이 및, 제3접점패턴(143)과 제4접점패턴(144) 사이를 연결시킨다.
특히,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돔형 부재(145)가 일체(one body)형으로 되어 있어 키버튼(131)의 눌리더라도 돔형 부재(145)가 하중을 고루 분산시킬 수 있고 반복적인 누름동작에 대하여 내구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로서, 키입력 장치의 스위치 세트와 스위치 세트를 상부에 위치될 키버튼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의 왼쪽 부분에서 보는 것과 같이, 키입력 장치(230)의 스위치 세트를 이루는 제1스위치(240A)와 제2스위치(240B)의 접점패턴(241)(242)(243)(244)은 나열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즉, 제1스위치(240A)의 경우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 두 개의 제1접점패턴(241)과 제1접점패턴(241)(241)의 사이에 제2접점패턴(242)이 배치되어 있는 구조이며, 제2스위치(240B)의 경우도 제3접점패턴(243)(243)과 제4접점패턴(244)이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제1접점패턴(241)과 제2접점패턴(242)의 상부 및, 제3접점패턴(243)과 제4접점패턴(244)의 상부에는 균등한 높이를 갖는 도전성 작동부재(251)(252)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작동부재(251)(252)의 상부에는 도 8의 오른쪽 부분에 도시되어 있는 키버튼(231)이 위치된다.
각 작동부재(251)(252)는 자체 탄성을 갖는 판스프링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키버튼(231)의 하면에는 누름 제1스위치(240A) 및 제2스위치(240B)의 작동부재(251)(252)에 각각 대응되는 누름돌기(233a)(233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키버튼(231)이 눌리게 되면, 키버튼(31)의 하면의 각 누름돌기(233a)(233b)가 제1스위치(240A) 및 제2스위치(240B)의 작동부재(251)(252)를 동시에 누르게 된다. 따라서, 제1스위치(240A)의 작동부재(251)는 제1접점패턴(241)과 제2접점패턴(242)를 통전상태를 만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2스위치(240B)의 작동부재(252)는 제3접점패턴(243)과 제4접점패턴(244)를 통전시킨다. 따라서, 눌린 키버튼(231)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면서도 발광부(226)에 전원을 직접 인가하여 키버튼(231)의 백라이팅을 구현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키버튼을 누르는 하나의 동작으로 동시에 작동하는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가 구비되므로, 제1스위치에 의한 입력신호의 제공과 제2스위치에 의한 발광부의 전원인가가 이루어지게 되어 키의 눌림을 감지하여 다시 발광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트랜지스터나 트랜지스터의 제어를 위한 GPIO의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부품수 및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키버튼에 대응되는 발광부를 두는 경우 키의 개별 조명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상 편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6)

  1. 키버튼;
    상기 키버튼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누름돌기;
    상기 누름돌기와 중첩되는 중첩영역 및 상기 중첩영역을 둘러싸는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및
    키버튼 입력 신호 및 키버튼 조명 신호를 동시에 발생시키는 스위치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세트는,
    상기 주변영역에 형성되고 키입력 신호 처리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점패턴;
    상기 주변영역에 형성되고 발광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접점패턴;
    상기 중첩영역에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접점패턴 및 제4 접점패턴;
    일단이 상기 제1 접점패턴에 연결되어 고정단을 이루고 타단은 상기 누름돌기에 의하여 상기 제2 접점패턴에 접하도록 이동하는 자유단을 형성하는 제1 도전성 작동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3 접점패턴에 연결되어 고정단을 이루고 타단은 상기 누름돌기에 의하여 상기 제4 접점패턴에 접하도록 이동하는 자유단을 형성하는 제2 도전성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패턴 및 2접점패턴은 키입력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3접점패턴은 상기 발광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4접점패턴은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작동부재들은 자체 탄성을 갖는 판스프링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세트는 돔(dome)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성 작동부재 및 제2 도전성 작동부재는 상기 돔형부재의 내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작동부재 및 제2 도전성 작동부재는 기판상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돔형 부재의 내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도전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돔형 부재는 메탈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돔형 부재와 도전층 사이에는 절연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 장치.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패턴과 제3접점패턴은 각각 동일한 원(圓)상에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2접점패턴과 제4접점패턴은 동일한 원을 형성하도록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입력 장치.
  13. 삭제
  14. 단말기 본체 및, 상기 단말기 본체에 설치되어 문자 또는 숫자의 입력이나 제어명령을 받는 키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키입력 장치는,
    키버튼;
    상기 키버튼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누름돌기;
    상기 누름돌기와 중첩되는 중첩영역 및 상기 중첩영역을 둘러싸는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및
    키버튼 입력 신호 및 키버튼 조명 신호를 동시에 발생시키는 스위치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세트는,
    상기 주변영역에 형성되고 키입력 신호 처리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점패턴;
    상기 주변영역에 형성되고 발광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접점패턴;
    상기 중첩영역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접점패턴 및 제4 접점패턴;
    일단이 상기 제1 접점패턴에 연결되어 고정단을 이루고 타단은 상기 누름돌기에 의하여 상기 제2 접점패턴에 접하도록 이동하는 자유단을 형성하는 제1 도전성 작동부재; 및
    일단에 상기 제3 접점패턴에 연결되어 고정단을 이루고 타단은 상기 누름돌기에 의하여 상기 제4 접점패턴에 접하도록 이동하는 자유단을 형성하는 제2 도전성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성 작동부재는 기판상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도전성 작동부재는 상기 키버튼에 의하여 동시에 눌려질 수 있도록 균등한 높이로 형성되는 도전성 작동부재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패턴 및 2접점패턴은 키입력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3접점패턴은 상기 발광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4접점패턴은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작동부재는 자체 탄성을 갖는 판스프링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삭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세트는 돔(dome)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도전성 작동부재는 상기 돔형부재의 내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성 작동부재는 기판상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돔형 부재의 내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도전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돔형 부재는 메탈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돔형 부재와 도전층 사이에는 절연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상기 도전층의 가장자리가 항상 접촉되는 원호형의 제1접점패턴과, 상기 돔형 부재가 눌려질 때 상기 도전층이 접촉되도록 상기 제1접점패턴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접점패턴과, 상기 도전층의 가장자리가 항상 접촉되는 원호형의 제3접점패턴 및, 상기 돔형 부재가 눌려질 때 상기 도전층이 접촉되도록 상기 제3접점패턴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4접점패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패턴과 제3접점패턴은 각각 동일한 원(圓)상에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2접점패턴과 제4접점패턴은 동일한 원을 형성하도록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6. 삭제
KR1020060133141A 2006-12-22 2006-12-22 키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331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141A KR101331945B1 (ko) 2006-12-22 2006-12-22 키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141A KR101331945B1 (ko) 2006-12-22 2006-12-22 키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923A KR20080058923A (ko) 2008-06-26
KR101331945B1 true KR101331945B1 (ko) 2013-11-22

Family

ID=39804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3141A KR101331945B1 (ko) 2006-12-22 2006-12-22 키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9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95807B (zh) * 2017-08-11 2019-11-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8939A (ja) * 1991-03-15 1993-05-25 Lucas Duralith Corp バツクライト付きタクタイルキーボード
JP2003068158A (ja) * 2001-08-30 2003-03-07 Shin Etsu Polymer Co Ltd 押釦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8939A (ja) * 1991-03-15 1993-05-25 Lucas Duralith Corp バツクライト付きタクタイルキーボード
JP2003068158A (ja) * 2001-08-30 2003-03-07 Shin Etsu Polymer Co Ltd 押釦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923A (ko)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6956B2 (ja) タッチキー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機
EP1962314B1 (en) Light guide sheet and movable contact unit and switch using the same
RU2341032C1 (ru) Кнопочный узел и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с этим узлом
US7896511B2 (en) In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EP0763838B1 (en) Illuminated switches
US5138119A (en) Backlit tactile keyboard with improved tactile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JPWO2012153587A1 (ja) 2段式スイッチ
JP2003007161A (ja) 無線電話機用キーパッド
JP2002299067A (ja) El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照光装置
JP2002343187A (ja) 照光式押釦スイッチ
JP2009170195A (ja) 可動接点体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
CN1291060A (zh) 数据输入装置的照明方法和装置
KR100330755B1 (ko) 통신기용 키패드
JP5023971B2 (ja) 導光機能付き可動接点体とそれを用いた入力装置
KR101331945B1 (ko) 키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2002279849A (ja) 照光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照光装置
JPH1139984A (ja) El照光式スイッチ
JP2004079339A (ja) 照光スイッチ
KR20060105135A (ko) 키패드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JP2007012285A (ja) 可動接点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43655A (ja) 可動接点体およびそれを用いて構成した照光式パネルスイッチ
KR100830542B1 (ko) 발광 키패드용 이엘(el) 디바이스
KR100551412B1 (ko) 휴대 통신기기용 키패드의 키입력장치
JP2002260479A (ja) 照光付スイッチ装置
US8164015B2 (en) Movable contact unit and switch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