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627B1 - 로우 히터 - Google Patents

로우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627B1
KR100918627B1 KR1020080110149A KR20080110149A KR100918627B1 KR 100918627 B1 KR100918627 B1 KR 100918627B1 KR 1020080110149 A KR1020080110149 A KR 1020080110149A KR 20080110149 A KR20080110149 A KR 20080110149A KR 100918627 B1 KR100918627 B1 KR 100918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oil tank
tank wall
fluid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제
조환호
이순재
Original Assignee
조영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제 filed Critical 조영제
Priority to KR1020080110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63J2/14Heating; Cooling of liquid-freight-carrying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우 히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유체가 유입되고, 유류 탱크 벽면에 맞닿도록 유류 탱크 벽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1 챔버와, 유체가 유출되고, 유류 탱크 벽면에 맞닿도록 유류 탱크 벽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2 챔버와,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 구비되어 유체가 통과되는 복수 개의 파이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히터가 유류 탱크와 거의 맞닿는 형태를 가지므로, 히터 주위의 외부 유체에 자연 대류가 원활하게 발생되고, 유류 탱크 바닥에 남아있는 유체까지 히팅시킴으로 인해 히팅 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
Figure R1020080110149
로우 히터, 유류, 히팅, 선박, 탱크

Description

로우 히터{LOW HEATER}
본 발명은 로우 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류 탱크의 바닥면에 낮게 깔리는 형태로 설치되는 로우 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류 탱크에 설치되는 선박 유류 히팅용 히터는 선박으로 해상 수송되는 원유나 정제품 또는 선박의 연료유 등에 있어서, 양육지(揚陸地)가 냉한지이거나 냉한지를 항해하여 수송되어 온 경우에 외부 온도에 영향을 받아 원유나 정제품 등의 점도(粘度)가 증가하여 펌프 동력에 의한 양육이 곤란하다.
이와 같은 불편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부터 원유나 정제품의 점도가 외부온도에 의하여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상 수송 중 또는 정박 중에 하적유를 일정 점도 이하까지 가열하였다. 즉, 유조선 등의 탱크 바닥이나 유류 탱크 내에 가열장치를 설비하여, 해상 수송중이나 양육 전에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여 점도를 저하시킴으로서, 양육펌프의 부하를 경감시켜 작업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선박의 경우, 내부 공간이 좁아 큰 히터를 배치할 수 없으므로 적은 공간에 큰 효율을 발생시킬 수 있는 히터의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히터가 유류 탱크 내에 설치된 경우, 유류 탱크 바닥과 이격되게 설치됨으로 인해, 유류 탱크 바닥에 남아있는 원유나 정제품이 히팅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바닥에 남아있는 원유나 정제품으로 인해 점성이 낮아지지 않고, 남은 원유나 정제품의 찌꺼기들이 딱딱해짐으로 인해 잔해가 히터 내에 끼게 되는 문제점 등이 유발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바닥면에 있는 유체까지도 히팅시킴으로 인해 히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로우 히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가 용이한 로우 히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연 대류를 원활하게 발생시키는 로우 히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류 탱크에 설치되는 선박 유류 히팅용 로우 히터는, 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유류 탱크 벽면에 맞닿도록 상기 유류 탱크 벽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1 챔버와, 상기 유체가 유출되고, 상기 유류 탱크 벽면에 맞닿도록 상기 유류 탱크 벽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2 챔버와, 상기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가 통과되는 복수 개의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 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로우 히터의 상기 파이프는 상기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서 상기 유류 탱크 벽면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유류 탱크 벽면 쪽에 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우 히터의 상기 모든 복수 개의 파이프는 상기 유류 탱크 벽면과 맞닿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로우 히터의 상기 제1 챔버와 제2 챔버는 가로 길이와 높이가 같고, 상기 가로 길이와 높이보다 세로 길이가 긴 형태의 사각 챔버인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우 히터의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파이프를 통과한 유체를 상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부러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히터가 유류 탱크와 거의 맞닿는 형태를 가지므로, 히터 주위의 외부 유체에 자연 대류가 원활하게 발생되고, 유류 탱크 바닥에 남아있는 유체까지 히팅시킴으로 인해 히팅 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4 개의 고정부만을 용접하여 설치하면 되고, 형태가 컴팩트하므로 이동반경이 작아서 설치가 간편하고 용이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 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우 히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우 히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우 히터의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우 히터(100)는 제1 챔버(10), 제2 챔버(20) 및 복수 개의 파이프(30)로 구성된다.
제1 챔버(10)는 사각 챔버로서, 예컨대 가로 길이와 높이가 동일하고, 가로 길이보다 세로 길이가 긴 형태의 사각 챔버일 수 있다. 제1 챔버(10)는 유입구(13)와 제1 고정부(11)를 포함한다. 유입구(13)는 유체가 유입되는 부분이다. 유입구(13)로 유입되는 유체는 제1 챔버(10)를 통해, 제1 챔버(10)에 연결된 복수 개의 파이프(30)로 유출된다. 이러한 유체는, 예컨대 증기로서, 로우 히터(100) 주위의 원유 등을 히팅시킨다.
제1 고정부(11)는 제1 챔버(10)의 하부면에서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두 개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고정부(11)는 제1 챔버(10)의 측면과 로우 히터(100)가 장착되는 유류 탱크 바닥면에 부착된다. 예컨대 제1 고정부(11)는 용접으로 유류 탱크 바닥면에 부착된다. 즉, 제1 고정부(11)로 인해 로우 히터(100)가 유류 탱크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형태가 아니다. 최대한 유류 탱크 바닥면에 낮게 깔리는 형태가 되어, 제1 챔버(10)는 유류 탱크의 바닥면에 맞닿는다.
제2 챔버(20)는 전술한 제1 챔버(10)와 마찬가지로 사각 챔버로서, 예컨대 가로 길이와 높이가 동일하고, 가로 길이보다 세로 길이가 긴 형태의 사각 챔버일 수 있다. 제2 챔버(20)는 유출구(23)와 제2 고정부(21)를 포함한다. 유출구(23)는 유체가 유출되는 부분이다. 제1 챔버(10)의 유입구(13)로 유입된 유체는 제1 챔버(10)와 파이프(30)를 통과한 후, 제2 챔버(20)를 통해 유출구(23)로 유출된다. 유출구(23)는 파이프(30)를 통과한 유체가 제2 챔버(20) 내부에서 상향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구부러진 형태일 수 있다.
제2 고정부(21)는 제2 챔버(20)의 하부면에서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두 개가 형성될 수 있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고정부(21)는 전술한 제1 고정부(11)와 마찬가지로 제2 챔버(20)의 측면과 로우 히터(100)가 장착되는 유류 탱크 바닥면에 부착된다. 예컨대 제2 고정부(21)는 용접으로 유류 탱크 바닥면에 부착된다. 즉, 제1 및 제2 고정부(11, 21)로 인해 로우 히터(100)가 유류 탱크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형태가 아니다. 최대한 유류 탱크 바닥면에 낮게 깔리는 형태가 되어, 제1 챔버(10)와 제2 챔버(20)는 유류 탱크의 바닥면에 맞닿는다.
파이프(30)는 제1 챔버(10)와 제2 챔버(20) 사이에 복수 개가 구비된다. 파이프(30)는 유류 탱크 벽면을 따라 구비되고, 제1 챔버(10)와 제2 챔버(20) 사이에서 유류 탱크 벽면 쪽에 설치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30)는 제1 챔버(10)와 제2 챔버(20)의 높이 부분의 중앙 부분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이프(30)가 11개 구비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1 챔버(10), 제2 챔버(20)가 유류 탱크의 바닥면에 맞닿고, 파이프(30)가 거의 유류 탱크의 바닥면에 맞닿는 형태로 인해, 유류 탱크의 바닥에 깔려있는 원유 등의 히팅까지도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유류 탱크의 바닥면의 원유가 히팅되어 상승하고, 주위에 히팅되지 못한 원유는 하강함으로 인해, 자연대류가 용이하게 발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우 히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우 히터의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우 히터(200)는 전술한 도 1과 도 2를 참조한 로우 히터(100)와 유사하지만, 파이프(230)가 유류 탱크의 바닥면에 맞닿는 형태인 것에 차이가 있다.
로우 히터(200)는 유입구(213)와 제1 고정부(211)를 포함하는 제1 챔버(210), 유출구(223)와 제2 고정부(221)를 포함하는 제2 챔버(220) 및 복수 개의 파이프(230)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파이프(230)는 제1 챔버(210)와 제2 챔버(220)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1 챔버(210), 제2 챔버(22) 및 파이프(230)가 모두 유류 탱크의 바닥면에 맞닿는 형태로 인해, 유류 탱크의 바닥면에 깔려있는 원유의 찌꺼기까지도 용이하게 히팅될 수 있다. 그리고 유류 탱크의 바닥면의 원유가 히팅되어 상승하고, 주위에 히팅되지 못한 원유는 하강함으로 인해, 자연대류가 용이하게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로우 히터는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우 히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우 히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우 히터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로우 히터 10, 210; 제1 챔버
11, 211; 제1 고정부 13, 213; 유입구
20, 220; 제2 챔버 21, 221; 제2 고정부
23, 223; 유출구

Claims (5)

  1. 유류 탱크에 설치되는 선박 유류 히팅용 히터에 있어서,
    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유류 탱크 벽면에 맞닿으며, 상기 유류 탱크 벽면에 고정되도록 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1 챔버와,
    상기 유체가 유출되고, 상기 유류 탱크 벽면에 맞닿으며, 상기 유류 탱크 벽면에 고정되도록 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2 챔버와,
    상기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가 통과되는 복수 개의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챔버와 제2 챔버는 가로 길이와 높이가 같고, 상기 가로 길이와 높이보다 세로 길이가 긴 형태의 사각 챔버이며,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파이프를 통과한 유체를 상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 히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상기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서 상기 유류 탱크 벽면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유류 탱크 벽면 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 히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복수 개의 파이프는 상기 유류 탱크 벽면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 히터.
  4. 삭제
  5. 삭제
KR1020080110149A 2008-11-07 2008-11-07 로우 히터 KR100918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149A KR100918627B1 (ko) 2008-11-07 2008-11-07 로우 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149A KR100918627B1 (ko) 2008-11-07 2008-11-07 로우 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8627B1 true KR100918627B1 (ko) 2009-09-25

Family

ID=41356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149A KR100918627B1 (ko) 2008-11-07 2008-11-07 로우 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6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813Y1 (ko) 2005-02-23 2005-05-19 주식회사 태건 선박의 오일 탱크 히팅 장치
KR200387794Y1 (ko) 2005-02-17 2005-06-27 주식회사 태건 선박용 히팅 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KR200400711Y1 (ko) * 2005-08-30 2005-11-08 지.에스 하이테커 주식회사 선박용 나선 핀 튜브형 스팀 히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794Y1 (ko) 2005-02-17 2005-06-27 주식회사 태건 선박용 히팅 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KR200384813Y1 (ko) 2005-02-23 2005-05-19 주식회사 태건 선박의 오일 탱크 히팅 장치
KR200400711Y1 (ko) * 2005-08-30 2005-11-08 지.에스 하이테커 주식회사 선박용 나선 핀 튜브형 스팀 히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6728C2 (ru) Змеевиков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KR100918627B1 (ko) 로우 히터
KR100873092B1 (ko) 선박용 연료 가열장치
KR101705659B1 (ko) 로켓엔진 연소시험설비용 화염 유도장치
US6510819B1 (en) Inlet baffle for water heater
CN103438571B (zh) 一种储水式电热水器及其控制方法
KR200422334Y1 (ko) 카고 히터
KR101022486B1 (ko) 대류현상을 이용한 보일러의 가열장치
CA3098353C (en) Hydrocarbon storage vessel with integral containment
KR200422336Y1 (ko) 증기를 이용한 선박용 유류 가열기
KR20110030035A (ko) 전기보일러의 온수가열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전기보일러
KR20110000572U (ko) 3개의 챔버가 있는 증기히터
JP4328350B2 (ja) 垂直型フラットヒーター
KR101291143B1 (ko) 선박용 유체가열장치
JP2012032118A (ja) 給湯管
KR100967360B1 (ko) 전열 온수 보일러
KR20100000717U (ko) 선박용 연료 가열장치
KR200406049Y1 (ko) 동심 원통형 선박용 유류 가열기
KR200383468Y1 (ko) 열확산형 선박 유류탱크용 밴드히터
KR200436442Y1 (ko) 수평형 플랫히터
KR101243172B1 (ko) 선박용 유류탱크의 히터 구조
EP4326983A1 (en) System for extracting heated heavy fuel oil from an elongated storage tank
KR20130090032A (ko) 간접식 전기 온수 보일러
KR101750950B1 (ko) 연료유 저장탱크의 이중배관 장치
KR101750763B1 (ko) 연료저장탱크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