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934B1 - 사다리차용 운반대 및 이를 이용한 사다리차 - Google Patents

사다리차용 운반대 및 이를 이용한 사다리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934B1
KR100916934B1 KR1020070110776A KR20070110776A KR100916934B1 KR 100916934 B1 KR100916934 B1 KR 100916934B1 KR 1020070110776 A KR1020070110776 A KR 1020070110776A KR 20070110776 A KR20070110776 A KR 20070110776A KR 100916934 B1 KR100916934 B1 KR 100916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vehicle body
ladder structure
carriage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4617A (ko
Inventor
주현석
Original Assignee
주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석 filed Critical 주현석
Priority to KR1020070110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934B1/ko
Publication of KR20090044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5/0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capable of being elevated or extended ; Fastening means during transport, e.g. mechanical, hydraulic
    • E06C5/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capable of being elevated or extended ; Fastening means during transport, e.g. mechanical, hydraulic by piston and cylinder, or equivalent means, operated by a pressure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Ladder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다리차의 사다리 구조물에 장착된 운반대 및 이를 이용한 사다리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운반대는, 사다리차의 사다리 구조물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승강 대차; 짐이 적재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대차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운반대 프레임; 일단이 상기 승강 대차에, 타단이 상기 운반대 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유압 붐; 그리고 상기 승강 대차에 장착되고, 상기 유압 붐에 연결되며, 상기 유압 붐의 길이를 신축시켜 상기 운반대 프레임의 배치 각도를 조정하는 유압 제어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는, 주행 가능한 차체; 상기 차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차체에 장착된 다수의 지지 다리; 상기 차체에 장착되며, 각도 및 길이 조정이 가능한 사다리 구조물; 상기 차체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 다리 및 사다리 구조물과 연결되며, 상기 지지 다리 및 사다리 구조물를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 그리고, 상기한 사다리차용 운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사다리차, 사다리 구조물, 운반대, 유압 붐, 유압 제어 장치

Description

사다리차용 운반대 및 이를 이용한 사다리차{Carrier of ladder truck and ladder truc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다리차의 사다리 구조물에 장착된 운반대 및 이를 이용한 사다리차에 관한 것이다.
사다리차는 소방서 등에서 화재 진압이나 인명 구조용으로 사용하거나 이사 회사 등에서 짐을 운반기 위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사다리차는 그 용도는 약간 다를 지라도 그 기본 구조는 서로 대동소이하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다리차는 트럭에 사다리를 탑재한 것으로, 사다리차의 차체 상부에는 그 길이와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사다리 구조물이 탑재되고, 상기 사다리 구조물에는 상기 사다리 구조물을 따라 승강하는 운반대가 장착된다.
상기 운반대에는 짐을 적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운반대와 상기 사다리 구조물을 이용하여 고층에 있는 화물을 지상으로 내리거나, 지상의 화물을 고층으로 올리는 작업 등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운반대는 그 배치 각도를 조정할 수 없거나 그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사다리차의 사다리 구조물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승강 대차; 짐이 적재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대차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운반대 프레임; 일단이 상기 승강 대차에, 타단이 상기 운반대 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유압 붐; 그리고 상기 승강 대차에 장착되고, 상기 유압 붐에 연결되며, 상기 유압 붐의 길이를 신축시켜 상기 운반대 프레임의 배치 각도를 조정하는 유압 제어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사다리차용 운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서는, 주행 가능한 차체; 상기 차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차체에 장착된 다수의 지지 다리; 상기 차체에 장착되며, 각도 및 길이 조정이 가능한 사다리 구조물; 상기 차체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 다리 및 사다리 구조물과 연결되며, 상기 지지 다리 및 사다리 구조물를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 상기 사다리 구조물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승강 대차; 짐이 적재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대차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운반대 프레임; 일단이 상기 승강 대차에, 타단이 상기 운반대 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유압 붐; 그리고 상기 승강 대차에 장착되고, 상기 유압 붐에 연결되며, 상기 유압 붐의 길이를 신축시켜 상기 운반대 프레임의 배치 각도를 조정하는 유압 제어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사다리차를 제 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다리차의 운반대는 유압 제어 장치 및 유압 붐에 의해 그 배치 각도가 자동으로 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운반대의 각도 조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는 사다리 구조물의 배치 각도에 맞추어 짐을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운반대의 배치 각도를 쉽게 설정하고 교정할 수 있게 해주어 작업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 온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운반대가 장착된 사다리차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운반대가 최대로 눕혀진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운반대가 최대로 세워진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는 트럭에 사다리 구조물(30)이 탑재되어 형성된다. 상기 사다리차의 차체(10) 하부에는 주행을 위한 바퀴가 구비되며, 차체(10)의 둘레에는 다수의 지지 다리(20)가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지지 다리(20)는 상기 차체(10)를 지면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사다리차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차체(10)에 장착된 제어 장치(40)에 의해 제어되어 작동한다.
차체(10)의 상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와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사다리 구조물(30)이 탑재된다. 상기 사다리 구조물(30)은 상기 차체(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그 자체가 길이 방향을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으며, 세워지거나 눕혀짐으로써 그 각도가 조절될 수도 있다.
상기 사다리 구조물(30)의 회전 및 각도 조정은 상기 제어 장치(40)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사다리 구조물(30)의 각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장치(40)에 의해 신축하는 유압 붐(35)에 의해 조정된다.
상기 사다리 구조물(3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반대(100)가 장착된다. 상기 운반대(100)는 짐을 적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사다리 구조물(30)에 탑재되어 상기 사다리 구조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운반대(100)와 상기 사다리 구조물을 이용하여 고층에 있는 화물을 지상으로 내리거나, 지상의 화물을 고층으로 올리는 작업 등을 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운반대(100)는 승강 대차(110), 유압 붐(120), 운반대 프레임(130), 그리고 유압 제어 장치(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운반대(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승강 대차(110)는 상기 사다리 구조물(30)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승강 대차(110)에는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견인 와이어(미도시)가 연결되며, 부드러운 이동을 위한 롤러(111)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된다. 상기 견인 와이어가 상기 승강 대차(110)를 견인하면 상기 롤 러(1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 대차(110)가 부드럽게 상기 사다리 구조물(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운반대 프레임(130)은 짐이 적재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승강 대차(110)에 힌지 결합한다. 상기 운반대 프레임(130)은 예를 들어 상기 승강 대차(110)에 힌지 결합하는 베이스(131)와 상기 베이스(131) 위에 올려지는 다수의 벽체(133, 135)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벽체(133, 135) 들은 상호 힌지 결합하므로, 상기 운반대 프레임(130)은 판재 형태로 전개되거나 박스 형태로 접힐 수 있다.
상기 유압 붐(1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승강 대차(110)에 힌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운반대(100)에 힌지 결합한다.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유압 붐(120)은 상기 운반대 프레임(130)에 힌지 결합하는 실린더(121)와, 상기 실린더(121)에 끼워지며 상기 승강 대차(110)에 힌지 결합하는 로드(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 붐(120)은 상기 유압 제어 장치(150)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 제어 장치(150)의 제어에 따라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한다.
상기 유압 제어 장치(1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대차(110)에 장착된다. 이러한 유압 제어 장치(150)는 유압 펌프, 유압 밸브, 액추에이터, 및 유압 탱크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유압 붐(120)을 신축시킨다.
상기 유압 제어 장치(150)는 상기 승강 대차(110)에 장착되어 상기 운반대 프레임(130)의 배치 각도를 조정하는 것으로, 상기 차체(10)에 장착되고 상기 사다리 구조물(30) 및 상기 지지 다리(20)에 연결되어 상기 사다리 구조물(30) 및 지지 다리(2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40)와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상기 유압 제어 장치(150)가 작동하여 상기 유압 붐(120) 내의 오일이 회수되면 상기 유압 붐(120)의 길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화된다. 이때, 상기 운반대(100),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운반대 프레임(130)은 상기 사다리 구조물(30)에 대해 최대로 눕혀진 상태가 된다. 상기 사다리 구조물(30)이 차체(10) 및 지면에 대해 작은 각도로 세워져 있는 경우, 상기 운반대 프레임(130)을 사다리 구조물(30)에 대해 눕혀 배치하면 운반대(100)가 화물을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유압 제어 장치(150)가 작동하여 상기 유압 붐(120) 내로 오일이 최대로 공급되면, 상기 유압 붐(120)의 길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화된다. 이때, 상기 운반대(100),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운반대 프레임(130)은 상기 사다리 구조물(30)에 대해 최대로 세워진 상태, 예를 들어 직각으로 세워진 상태가 된다. 상기 사다리 구조물(30)이 차체(10) 및 지면에 대해 큰 각도로 세워진 경우, 상기 운반대 프레임(130)을 상기 사다리 구조물(30)에 대해 세워 배치하면 운반대(100)가 화물을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운반대(100)는 유압 제어 장치(150) 및 유압 붐(120)에 의해 그 배치 각도가 자동으로 조정되고, 따라서, 작업자는 사다리 구조물(30)의 배치 각도를 고려하여 적정한 각도로 상기 운반대(100) 를 배치한 후 화물 운반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작업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작업의 안정성을 한층 높여준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운반대가 장착된 사다리차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운반대가 최대로 눕혀진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운반대가 최대로 세워진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차체 20: 지지 다리
30: 사다리 구조물 40: 제어 장치
100: 운반대 110: 승강 대차
120: 유압 붐 130: 운반대 프레임
150: 유압 제어 장치

Claims (2)

  1. 삭제
  2. 주행 가능한 차체(10);
    상기 차체(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차체(10)에 장착된 다수의 지지 다리(20);
    상기 차체(10)에 장착되며, 각도 및 길이 조정이 가능한 사다리 구조물(30);
    상기 차체(10)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 다리(20) 및 사다리 구조물(30)과 연결되며, 상기 지지 다리(20) 및 사다리 구조물(30)를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40);
    상기 사다리 구조물(30)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승강 대차(110)로 이루어진사다리차에 있어서,
    짐이 적재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대차(110)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운반대 프레임(130);
    일단이 상기 승강 대차(110)에, 타단이 상기 운반대 프레임(130)에 힌지 결합된 유압 붐(120); 그리고
    상기 승강 대차(110)에 장착되고, 상기 유압 붐(120)에 연결되며, 상기 유압 붐(120)의 길이를 신축시켜 상기 운반대 프레임(130)의 배치 각도를 조정하는 유압 제어 장치(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사다리차.
KR1020070110776A 2007-11-01 2007-11-01 사다리차용 운반대 및 이를 이용한 사다리차 KR100916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776A KR100916934B1 (ko) 2007-11-01 2007-11-01 사다리차용 운반대 및 이를 이용한 사다리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776A KR100916934B1 (ko) 2007-11-01 2007-11-01 사다리차용 운반대 및 이를 이용한 사다리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617A KR20090044617A (ko) 2009-05-07
KR100916934B1 true KR100916934B1 (ko) 2009-09-15

Family

ID=40855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776A KR100916934B1 (ko) 2007-11-01 2007-11-01 사다리차용 운반대 및 이를 이용한 사다리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9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0514A (zh) * 2015-07-07 2015-10-28 威海高丽亚汽车销售有限公司 一种带有二级连动载物车的云梯
KR20180137320A (ko) * 2017-06-16 2018-12-27 한국기계연구원 사다리차 운반구 수명 및 성능 시험장치
KR102156242B1 (ko) 2020-06-23 2020-09-15 주식회사 알씨테크 사다리차에 적용되는 와이어 구동형 슬라이딩 운반용 대차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770B1 (ko) * 2016-03-29 2016-11-15 주식회사 호룡 소음과 진동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대
KR102476161B1 (ko) * 2021-03-25 2022-12-09 주식회사 에이치알이앤아이 사다리차의 붐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6897U (ja) * 2007-08-21 2007-11-08 弘道 枝谷 荷物積載用傾斜面昇降台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6897U (ja) * 2007-08-21 2007-11-08 弘道 枝谷 荷物積載用傾斜面昇降台車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0514A (zh) * 2015-07-07 2015-10-28 威海高丽亚汽车销售有限公司 一种带有二级连动载物车的云梯
CN105000514B (zh) * 2015-07-07 2018-02-06 威海博强机械有限公司 一种带有二级连动载物车的云梯
KR20180137320A (ko) * 2017-06-16 2018-12-27 한국기계연구원 사다리차 운반구 수명 및 성능 시험장치
KR102024371B1 (ko) * 2017-06-16 2019-11-04 한국기계연구원 사다리차 운반구 수명 및 성능 시험장치
KR102156242B1 (ko) 2020-06-23 2020-09-15 주식회사 알씨테크 사다리차에 적용되는 와이어 구동형 슬라이딩 운반용 대차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617A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1062A (en) Apparatus for lifting, handling, and transporting a container
EP1259398B1 (en) An apparatus for lifting, handling and transporting a container
US3006485A (en) Vehicle unloading or loading devices
RU2547024C2 (ru) Рычажный механизм вилочного погрузчика
KR100916934B1 (ko) 사다리차용 운반대 및 이를 이용한 사다리차
CA2943066C (en) Pick-up truck cargo lift system and method
US20110268541A1 (en) Methods for positioning a large load into a transport position and for positioning a large load into a storage position, trailer and/or lorry
US20140158656A1 (en) Combination mobile boom truck & tower crane
JP2007076789A (ja) 門型リフター
US4721431A (en) Self loading system
JP7168409B2 (ja) 移動式リフト
JP6575090B2 (ja) クレーンのブーム脱着装置およびクレーンのブーム脱着方法
KR100470179B1 (ko) 장비 상차 및 하차장치
KR100933921B1 (ko) 탈착 가능한 유압식 적재함을 갖는 다목적 트레일러
WO2018016441A1 (ja) 可動荷台付きトラック
JPH0357020B2 (ko)
KR200313119Y1 (ko) 지게차용 승강리프트
CN219058310U (zh) 一种折叠式门架起重装置
KR20100006639A (ko) 짐 운반용 사다리차
KR20100006630A (ko) 짐 운반용 사다리차
JP2550359Y2 (ja) アウトリガ装置
CN206927539U (zh) 一种家具移动装置
ITVR990019U1 (it) Veicolo di trasporto e movimentazione di contenitori a cassone
KR100345981B1 (ko)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적재부 승강장치
KR101015394B1 (ko) 짐 운반용 사다리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