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749B1 - Lifter - Google Patents
Lif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16749B1 KR100916749B1 KR1020070088460A KR20070088460A KR100916749B1 KR 100916749 B1 KR100916749 B1 KR 100916749B1 KR 1020070088460 A KR1020070088460 A KR 1020070088460A KR 20070088460 A KR20070088460 A KR 20070088460A KR 100916749 B1 KR100916749 B1 KR 1009167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d
- jack
- stopper
- moving object
- lif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4—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with lifting beams, e.g. slewable beams, carrying load-engaging elements, e.g. magnets, hoo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리프터는 이동 대상물이 천정에 고정되는 기반 상단에 고정되며 유압으로 작동되는 잭 유닛; 상기 잭 유닛의 반복 작동에 의해 잭 로드의 구동거리만큼 상승 또는 하강을 반복하면서 하단에 고정되는 상기 이동 대상물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로드; 상기 잭 유닛의 잭 로드 상단에 결합 또는 분리되어 결합 부위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잭 유닛의 하단에 결합 또는 분리되며 결합 부위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2 스토퍼;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er, the li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top of the base on which the moving object is fixed to the ceiling and hydraulically operated jack unit; A rod that lifts and lowers the moving object fixed to the lower end while repeating the up and down by the driving distance of the jack rod by the repeated operation of the jack unit; A first stopper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an upper end of a jack rod of the jack unit to fix a position of a coupling site; And a second stopper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a lower end of the jack unit and fixing a position of the coupling site. It is made, including.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를 채택하여 제작 단가가 저렴하고 고중량의 이동 대상물을 용이하게 리프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opting a simple structure,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lift the heavy moving object.
리프터, 증분, 이동 대상물, 지반 구조물 Lifter, incremental, moving object, ground structure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를 채택하여 제작 단가가 저렴하고 고중량의 이동 대상물을 용이하게 리프팅시킬 수 있는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fter which adopts a simple structure, which is low in manufacturing cost and which can easily lift a heavy moving object.
일반적으로 리프터는 교량 건설이나 증설 과정에 교각 부분의 설치, 조립식 교각에 따른 각 부속품의 인양, 양하뿐만 아니라 건축물 부분의 인양 등에 사용되며 와이어를 권출(Rewinding) 또는 권취(Unwinding)하여 이동 대상물을 올리고 내리는 방식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In general, the lifter is us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pier part in the bridge construction or extension process, the lifting and unloading of each accessory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pier, as well as the lifting of the building part, and lifting the moving object by re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The main way is getting off.
이러한 종래의 리프터는 이동하고자 하는 대상물(예를 들면 교량)의 한 부분을 인양하기 위해 그 이전에 인양되어 고정된 교량 또는 지면에 설치된 지지구의 여러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의 여러 지점을 지지한 상태로 와이어를 일률적으로 권출시키면 권출된 상기 와이어에 고정된 이동구가 상기 이동 대상물을 리프팅하였다.Such a conventional lifter is installed at various points of a bridge or ground support previously lifted and fixed to lift a portion of an object (for example, a bridge) to be moved to support various points of the object. When the furnace wire was uncoiled uniformly, the movable tool fixed to the unwound wire lifted the moving object.
그러나 종래의 리프터는 고가이므로 설치 비용 및 사용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ifter is expensi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cost and use cost increases.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단순한 구조를 채택하여 제작 단가가 저렴하고 고중량의 이동 대상물을 용이하게 리프팅시킬 수 있게 한 리프터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lifter that adopts a simple structure to make it easy to lift a moving object with a low manufacturing cost and a high weigh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 대상물이 천정에 고정되는 기반 상단에 고정되며 유압으로 작동되는 잭 유닛; 상기 잭 유닛의 반복 작동에 의해 잭 로드의 구동거리만큼 상승 또는 하강을 반복하면서 하단에 고정되는 상기 이동 대상물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로드; 상기 잭 유닛의 잭 로드 상단에 결합 또는 분리되어 결합 부위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잭 유닛의 하단에 결합 또는 분리되며 결합 부위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2 스토퍼;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잭 유닛을 통해 상기 잭 로드를 증분치만큼 승강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로드의 하단에 고정되는 이동 대상물을 리프팅하므로 구조 단순에 따른 제작 비용이 절감되고 상기 이동 대상물을 밀어 올리고 내리는 방식을 채택하여 이미 설치된 구조물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므로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moving unit is fixed to the top of the base fixed to the ceiling and hydraulically operated jack unit; A rod that lifts and lowers the moving object fixed to the lower end while repeating the up and down by the driving distance of the jack rod by the repeated operation of the jack unit; A first stopper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an upper end of a jack rod of the jack unit to fix a position of a coupling site; And a second stopper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a lower end of the jack unit and fixing a position of the coupling site. By including, by lifting the object to be fixed to the bottom of the rod in the state to raise the jack rod by the increment by the jack unit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according to the simple structure and push up the moving object It is preferable to adopt the unloading method to prevent the load on the already installed structur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리프터는 단순한 구조를 채택하여 제작 단가가 저렴하고 고중량의 이동 대상물을 용이하게 리프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Such a lif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simple structure,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lift a heavy moving object.
이하, 본 발명의 리프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lif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as follow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프터는 도 1a, b 내지 도 4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10), 간격유지부재(122), 베이스 플레이트(130), 잭 유닛(140), 제2 스토퍼(144), 제1 스토퍼(146) 및 하이드로 유닛(150)으로 구성되며, 상기 로드(110), 간격유지부재(122), 베이스 플레이트(130), 잭 유닛(140), 제2 스토퍼(144) 및 제1 스토퍼(146)는 이동 대상물(M)의 크기가 작으면 1세트로 중심부를 지지하고 크기가 클 경우 양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2세트 이상 구비된다.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a, b to 4a, b, the
상기 리프터는 이동 대상물(M)이 천장에 고정되는 지반 구조물(B)에 상기 이동 대상물(M)과 수직선상 위치로 통과시키면서 이동 대상물(B)을 상기 로드(110)의 하단에 고정시키고 승강시켜 설치 위치에서 지면으로, 지면에서 설치 위치로 리프팅하게 된다. (도 1a 및 도 1b 참조)The lifter fixes and moves the moving object B to the lower end of the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00), 로드(110), 간격유지부재(122), 베이스 플레이트(130) 및 제2 스토퍼(144), 제1 스토퍼(146)는 형강(shape steel) 등과 같은 금속재로 사용된다.Here, the connecting
한편, 상기 이동 대상물(M)은 상기 로드(110)의 간격과 동일한 위치인 이동 대상물(M)의 상단에 용접 등으로 접합하여 연결되는 연결부재(100)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moving object (M)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00)는 이웃한 사이에 연결되는 상기 로드(110)의 하 단에 연결핀(112a)으로 연결된다.Here, the
상기 로드(110)는 후술할 잭 유닛(140)의 잭 로드(142)가 반복적으로 승강 구동할 때 이 구동에 따라 증분치에 기준하여 점차 상승하거나 점차 하강하면서 그 하단에 지지되는 이동 대상물(M)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기능을 하며 수직부재(112), 수평부재(114), 보강부재(116) 및 연결부재(118)로 이루어진다.When the
한편, 상기 로드(110)는 바닥에 위치된 이동 대상물(M)과 상기 이동 대상물(M)이 설치될 위치까지의 높이에 따라 상응하게 조합할 수 있도록 양측이 동일하면서 규칙 또는 불규칙한 길이를 갖도록 다수 구비되며 이를 일렬로 위치시켜 연장한 다음 접촉 부위를 후술할 연결부재(118)로 양측 또는 일측에 볼팅(Bolting)하여 각각 견고히 고정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로드(110)는 본 실시 예에서 이격된 한 쌍이 간격을 갖도록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며 일측과 타측에 한 쌍 이상씩 각각 구비되어 이동 대상물(M)의 크기, 내구성 및 보강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더욱이, 상기 수직부재(112), 수평부재(114) 및 보강부재(116)는 그 접촉 부위에 용접 등으로 접합시킨다.In addition, the
상기 수직부재(112)는 판형, 봉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면서 양측에서 평행하도록 각각 구비되고 설정 길이로 형성되되 이웃하면서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이 평행하면서 대향된 상태로 각각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로드(110)가 판 형태인 것으로 예시한다.The
상기 수평부재(114)는 상기 수직부재(112)의 양 측벽을 설정 간격마다 위치 시킨 후 용접 등으로 접합한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112)와 상기 수평부재(114)의 사이에는 안착공(120)이 형성된다.The
상기 보강부재(116)는 상기 수직부재(112)의 대향된 내측벽과 이웃한 양측 외측벽이 맞닿도록 중첩되고 상기 수평부재(114)의 내측벽이 하단 양 측벽에 접하도록 중첩되게 한 다음 접합시킨다. 결국, 상기 수직부재(112)의 간격은 상기 보강부재(116)의 가로 폭과 상응하다.The reinforcing
더욱이, 상기 보강부재(116)의 간격은 모두 동일하며 후술할 잭 유닛(140)의 잭 로드(142) 전진 길이보다 작아야 한다. 이 이유는 상기 이동 대상물(M)의 승강시 상기 잭 유닛(140)이 상기 안착공(120) 각각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여야 하기 때문이다.Moreover, the spacing of the reinforcing
상기 연결부재(118)는 일측과 타측의 로드(110)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이를 접한 상태로 서로 연결할 때 그 접한 부위의 양 측면에서 덧대며 볼트로 다수 지점을 체결하여 고정시킨다.The connecting
상기 간격유지부재(122)는 대향되는 상기 로드(11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수평선상으로 상기 잭 유닛(140)의 상, 하단과 상기 잭 유닛(140)의 상 하부 안착공(120)에 각각 고정된다.The
여기서, 상기 간격유지부재(122)는 상기 보강부재(116)의 상단에 저면이 부분 삽입될 수 있도록 저면 가장자리부에 홈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홈부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그 외측에서 볼트가 나선 결합된다.Here, the
이는 상기 로드(110)가 평행한 상태로 구비되므로 상기 간격유지부재(122)에 의해 상기 잭 유닛(140)의 승강시 자중에 의한 외측 방향으로의 휘어짐을 방지하면서 내구성 향상을 부여하도록 상기 로드(110)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다.Since the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판상으로 상하 이동되는 상기 로드(110)가 내설되도록 중심부에 상응한 간격을 가지는 한 쌍의 삽입공(132)이 관통 형성되되 상면 중심부에 후술할 잭 유닛(140)이 결합된다.The
상기 잭 유닛(Jack unit: 140)은 유압에 의해 몸체(140a)에서 설정 피치만큼 출몰하는 잭 로드(Jack load: 142)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상단 중심부에 저면이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이동 대상물(M)이 천장에 고정되는 지반 구조물(B) 상에 볼트 등으로 고정된다.The
그리고 상기 잭 유닛(140)은 후술할 하이드로 유닛(150)의 유압원에 의해 이동 대상물(M)을 증분치(增分値) 즉, 상기 로드(110)의 수평부재(114) 간격만큼 승강시키며 상기 이동 대상물(M)을 상승시킬 경우 그 하단을 고정시킨 후 상기 잭 로드(140)를 상승시키고 이 잭 로드(140)를 원위치시킨 다음 위치 고정하고 재차 잭 로드(140)를 상승시키는 과정을 반복하고, 하강시킬 경우 그 상단을 고정시킨 후 상기 잭 로드(140)를 하강시키고 이 잭 로드(140)를 원위치시킨 다음 위치 고정하고 재차 잭 로드(140)를 하강시키는 과정을 반복한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잭 유닛(140)은 잭 로드(142)의 구동 길이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여 이동 대상물(M)을 리프팅 시키기 위해서 상기 잭 로드(142)의 구동 길이만큼 증분값에 의하여 이동한 위치에서 순차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켜 순차 상승 또는 순차 하강에 의해 실시한다.That is, since the driving length of the
그리고 상기 잭 유닛(140)은 상기 몸체(140a)의 하부 둘레 면 중 대향되는 위치에 홀(140b)이 형성되고 이 잭 로드(142)의 상단에 하우징(142a)이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홀(140b)에는 상기 안착공(120)의 양측에서 분할된 수평 방향의 제2 스토퍼(144)가 장, 탈착되고, 상기 하우징(142a)에는 그 상면에 상기 안착공(120)의 간격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수평 방향의 제1 스토퍼(146)가 장, 탈착된다.Here, the
상기 하이드로 유닛(150)은 상기 잭 유닛(140)의 잭 로드(142)가 구동될 수 있도록 유압을 동력원으로 하여 동력이 발생되게 한다.The
더욱이, 상기 제1 스토퍼(146) 및 제2 스토퍼(144)는 상기 안착공(120)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안착공(120) 외부로 노출된 측벽에 장, 탈착되는 이탈방지부재(S)가 더 구비되어 이 안착공(120)에 장착될 때 이동시 진동 등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리프터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으며, 도 5a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대상물(M)을 지반 구조물(B)에 고정하기 위해 상승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Therefore,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li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and as shown in Figures 5a and 5d will be described the process of lifting the moving object (M) to fix the ground structure (B).
우선, 이동 대상물(M)이 장착된 지반 구조물(B)에 상기 로드(110)가 통과하는 구멍을 가공하고 상기 이동 대상물(M)의 상단 즉, 상기 로드(110)의 간격과 동일한 위치에 연결부재(100)를 용접 등으로 접합한다.First, the hole through which the
다음으로, 상기 로드(110)를 현 이동 대상물(M)의 위치와 설치 위치와의 높 이를 고려하여 준비하며 길이가 짧으면 여러 개를 연결부재(118)를 볼팅하여 연결하면서 연장시킨다.Next, the
이때, 상기 잭 유닛(140)의 하단에 고정되면서 삽입공(132)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지반 구조물(B)의 구멍과 일치시킨 후 상기 로드(110)를 상기 삽입공(132)에 통과시킨다.At this time, the
다음으로, 상기 로드(110)의 하단을 상기 이동 대상물(M)에 접합된 상기 연결부재(100)에 연결핀(112a)으로 연결시킨다.Next, the lower end of the
다음으로, 상기 이동 대상물(M)을 상기 잭 유닛(140)에서 잭 로드(142) 구동 길이만큼 증분되는 출몰 과정을 반복한다.Next, the moving object (M) repeats the appearance process is incremented by the
즉, 상기 이동 대상물(M)의 상승시 상기 제1 스토퍼(146)를 하우징(142a)에 장착하여 이 제1 스토퍼(146)의 상면이 그 높이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상기 안착공(120)의 상단인 보강부재(116)의 저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잭 로드(142)를 상승시키면 이 잭 로드(142)의 구동에 의해 이동 대상물(M)이 잭 로드(142)의 구동 길이만큼 상기 로드(110)를 따라 상승된다.That is, when the moving object M is raised, the
다음으로, 상기 제2 스토퍼(144)를 잭 유닛(140)의 몸체(140a)의 홀(140b)에 각각 장착하여 이 제2 스토퍼(144)의 저면이 그 높이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안착공(120)의 하단인 보강부재(116)의 상면에 지지되며 상기 하우징(142a)에서 제1 스토퍼(146)의 탈착을 상기 잭 로드(142)를 약간 하강시킨 후 실시하고 상기 잭 로드(142)를 하강시키면 상기 로드(110)는 정지된 상태에서 이 잭 로드(142)가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Next, the
다음으로, 상기 잭 로드(142)를 약간 상승시킨 후 상기 제1 스토퍼(146)를 하우징(142a)에 장착하여 이 제1 스토퍼(146)의 상면이 그 높이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상기 안착공(120)의 상단인 보강부재(116)의 저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잭 로드(142)를 상승시키면 이 잭 로드(142)의 구동에 의해 이동 대상물(M)이 잭 로드(142)의 구동 길이만큼 상기 로드(110)를 따라 상승된다.Next, after the
다음으로, 상기 제2 스토퍼(144)를 잭 유닛(140)의 몸체(140a)의 홀(140b)에 각각 장착하여 이 제2 스토퍼(144)의 저면이 그 높이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안착공(120)의 하단인 보강부재(116)의 상면에 지지되며 상기 하우징(142a)에서 제1 스토퍼(146)의 탈착을 상기 잭 로드(142)를 약간 하강시킨 후 실시하고 상기 잭 로드(142)를 하강시키면 상기 로드(110)는 정지된 상태에서 이 잭 로드(142)가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Next, the
한편, 상기 이동 대상물(M)의 상승시 상기 로드(110)에서 상기 잭 유닛(140)의 구동에 간섭하지 않는 안착공(120)에 상기 간격유지부재(122)를 고정하여 이 로드(110)의 벌어짐을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렇게 상기 이동 대상물(M)을 상기 잭 유닛(140)의 구동에 의해 이동 피치만큼 조금씩 상승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설치 위치까지 상승시킨다.Thus, the moving object (M) is raised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while repeating the process of gradually increasing as much as the moving pitch by the drive of the
반대로, 도 6a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대상물(M)의 하강시 상기 잭 로드(142)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토퍼(146)를 상기 하우징(142a)에 장착하여 이 제1 스토퍼(146)의 상면이 그 높이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안착 공(120)의 하단에 지지되며 상기 잭 로드(142)를 원위치로 하강시키면 이 잭 로드(142)의 구동에 의해 이동 대상물(M)이 잭 로드(142)의 구동 길이만큼 상기 로드(110)를 따라 하강된다.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S. 6A and 6D, the
다음으로, 상기 제2 스토퍼(144)를 잭 유닛(140)의 몸체(140a)의 홀(140b)에 각각 장착하여 이 제2 스토퍼(144)의 저면이 그 높이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안착공(120)의 하단인 보강부재(116)의 상면에 지지되며 제1 스토퍼(146)의 탈착을 상기 잭 로드(142)를 약간 하강시킨 후 탈착하고 상기 잭 로드(142)를 상승시키면 상기 로드(110)는 정지된 상태에서 이 잭 로드(142)가 상승하게 된다.Next, the
상기 잭 로드(142)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토퍼(146)를 상기 잭 로드(142)를 약간 상승시킨 후 상기 하우징(142a)에 장착하여 이 제1 스토퍼(146)의 상면이 그 높이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안착공(120)의 하단에 지지되며 상기 잭 로드(142)를 원위치로 하강시키면 이 잭 로드(142)의 구동에 의해 이동 대상물(M)이 잭 로드(142)의 구동 길이만큼 상기 로드(110)를 따라 하강된다.In the state where the
다음으로, 상기 제2 스토퍼(144)를 잭 유닛(140)의 몸체(140a)의 홀(140b)에 각각 장착하여 이 제2 스토퍼(144)의 저면이 그 높이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안착공(120)의 하단인 보강부재(116)의 상면에 지지되며 제1 스토퍼(146)의 탈착을 상기 잭 로드(142)를 약간 하강시킨 후 실시하고 상기 잭 로드(142)를 상승시키면 상기 로드(110)는 정지된 상태에서 이 잭 로드(142)가 상승하게 된다.Next, the
한편, 상기 이동 대상물(M)의 상승시 상기 로드(110)에서 상기 잭 유닛(140)의 구동에 간섭하지 않는 안착공(120)에 상기 간격유지부재(122)를 고정하여 이 로 드(110)의 벌어짐을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oving object (M) is raised in the
이렇게 상기 이동 대상물(M)을 상기 잭 유닛(140)의 구동에 의해 이동 피치만큼 조금씩 하강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설치 위치까지 하강시킨다.Thus, the moving object (M) is lowered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while repeating the process of lowering by a moving pitch little by little by the drive of the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hich are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리프터가 지반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 대상물을 하강 및 상승시키는 도면이다.1A and 1B are diagrams for lowering and raising a moving object in a state in which a li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ground structure.
도 2는 도 1a, 1b의 리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lifter of FIGS. 1A and 1B.
도 3은 도 1a, 1b의 측단면도이다.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S. 1A and 1B.
도 4a 및 도 4b는 도 1a, 1b에서 상기 리프터의 하단부와 중간단 및 상단부에 사용되는 로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s 4a and 4b is a view showing the rod used in the lower end, the middle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lifter in Figures 1a, 1b.
도 5a 내지 도 5d는 상기 리프터의 작동시 상기 이동 대상물이 상승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5A to 5D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raising the moving object when the lifter is operated.
도 6a 내지 도 6d는 상기 리프터의 작동시 상기 이동 대상물이 상승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6a to 6d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raising the moving object when the lifter is operat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연결부재 110: 로드100: connecting member 110: rod
112: 수직부재 114: 수평부재112: vertical member 114: horizontal member
116: 보강부재 118: 연결부재116: reinforcing member 118: connecting member
120: 안착공 130: 베이스 플레이트120: seating hole 130: base plate
140: 잭 유닛 142a: 하우징140:
140b: 홀 144: 제2 스토퍼140b: Hole 144: Second Stopper
146: 제1 스토퍼 B: 지반 구조물146: first stopper B: ground structure
M: 이동 대상물M: moving object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88460A KR100916749B1 (en) | 2007-08-31 | 2007-08-31 | Lif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88460A KR100916749B1 (en) | 2007-08-31 | 2007-08-31 | Lif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22818A KR20090022818A (en) | 2009-03-04 |
KR100916749B1 true KR100916749B1 (en) | 2009-09-14 |
Family
ID=40692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88460A KR100916749B1 (en) | 2007-08-31 | 2007-08-31 | Lif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16749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84240A (en) * | 2005-01-19 | 2006-07-24 | 전미선 | Device of bridge pier mould construction and methed thereof |
KR100617950B1 (en) * | 2004-11-24 | 2006-08-29 | (주) 선암기술연구소 | Under Water Dry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Functional Working Ship |
-
2007
- 2007-08-31 KR KR1020070088460A patent/KR10091674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7950B1 (en) * | 2004-11-24 | 2006-08-29 | (주) 선암기술연구소 | Under Water Dry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Functional Working Ship |
KR20060084240A (en) * | 2005-01-19 | 2006-07-24 | 전미선 | Device of bridge pier mould construction and methe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22818A (en) | 2009-03-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563413B2 (en) | Bridge girder construction method | |
CN105905843A (en) | Lifting Assembly Of A Lift Jack And Lift Jack | |
KR102305399B1 (en) | Lifting device | |
KR100916749B1 (en) | Lifter | |
CN107575031B (en) | Pretensioning compensation device capable of unloading force and method for pretensioning broken line reinforcement construction | |
KR100919498B1 (en) | Up-down type parking apparatus | |
CN110984611B (en) | Narrow space steel column installation method | |
CN219773570U (en) | Telescopic spandrel girder | |
JP5245104B2 (en) | Boiler scaffold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194932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steel beam with essentric prestressing plate | |
JPS59158794A (en) | Crane for assembling steel tower | |
CN215484763U (en) | Steel structure sliding device | |
JP5192444B2 (en) | Wall panel fixing structure | |
KR101113020B1 (en) | Pre-engineered appratus for elevating heavy material | |
JP2016216134A (en) | Crane installation structure | |
JP4296547B2 (en) | Full PC column lifting method and lifting jig | |
KR100514339B1 (en) | Elevator | |
JP4262183B2 (en) | Tower crane climbing method | |
CN219009634U (en) | Assembled well of additional elevator steel construction | |
CN220265138U (en) | Jacking device | |
CN210682975U (en) | Hoisting walking frame of low-altitude crane | |
JPH11287040A (en) | Hanging stairs | |
JP2002356996A (en) | Method of assembling construction equipment and intermediate frame | |
KR200288887Y1 (en) | Concrete block mounting structure of slope of road using winch ladder rail | |
JPH07286368A (en) | Method and device for lifting up the top floor frame for structure constru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