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020B1 - Pre-engineered appratus for elevating heavy material - Google Patents

Pre-engineered appratus for elevating heavy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020B1
KR101113020B1 KR1020080095327A KR20080095327A KR101113020B1 KR 101113020 B1 KR101113020 B1 KR 101113020B1 KR 1020080095327 A KR1020080095327 A KR 1020080095327A KR 20080095327 A KR20080095327 A KR 20080095327A KR 101113020 B1 KR101113020 B1 KR 101113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fabricated
heavy
lifting
wir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3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35938A (en
Inventor
강대성
Original Assignee
강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성 filed Critical 강대성
Priority to KR1020080095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020B1/en
Publication of KR20100035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9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0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 B66C23/2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constructed to operate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 B66C23/283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constructed to operate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with frameworks composed of assembl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중량물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 분해가 용이하여 이동이 가능하며, 안전하게 수십톤 이상의 중량물을 승강할 수 있는 조립식 중량물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중량물 승강장치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조립식 교각; 상기 조립식 교각에 각각 2개씩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바; 상기 조립식 교각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승강 바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 상기 하나의 조립식 교각에 설치된 상기 2개의 승강 바의 하단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중간 부분에 중량물을 거치하는 중량물 거치대;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80095327

크레인, 중량물, 조립식, 승강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heavy lifting device, which is easy to disassemble and move, and to a prefabricated heavy lifting device that can safely lift several tens of tons or more, the prefabricated heavy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ant with each other. A plurality of prefabricated piers spaced apart in parallel; Two lifting bars installed on each of the prefabricated piers, and moving up and down in a vertical direction; A power source installed at each of the prefabricated piers and providing power for elevating the elevating bar in a vertical direction; It includes; a weight cradle for detachably coupled to each of the lower ends of the two lifting bar installed in the one prefabricated piers, and the heavy load on the middle portion.

Figure R1020080095327

Crane, Heavy Load, Prefab, Elevated

Description

조립식 중량물 승강장치{PRE-ENGINEERED APPRATUS FOR ELEVATING HEAVY MATERIAL}Prefab heavy lifting device {PRE-ENGINEERED APPRATUS FOR ELEVATING HEAVY MATERIAL}

본 발명은 조립식 중량물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 분해가 용이하여 이동이 가능하며, 안전하게 수십톤 이상의 중량물을 승강할 수 있는 조립식 중량물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heavy lifting device, which is easy to disassemble and move, and relates to a prefabricated heavy lifting device that can safely lift several tens of tons or more.

공장 등에서는 중량물을 승강하거나 이동시켜야 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공장 내의 천장에는 크레인이 설치된다. 이러한 크레인은 천장에 가로 세로 형태로 대형 빔을 설치하고 이러한 빔을 타고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In a factory or the like, a heavy lifting or moving frequently occurs. For this purpose, a crane is usually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factory. Such a crane has a structure in which a large beam is install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n a ceiling and can be moved left and right on the beam.

그런데 이러한 크레인은 그 설치비용이 수억원 이상으로 비싸며, 그 비용은 가용 중량이 증가할 수도록 더욱 높아진다. By the way, such a crane is expensive to install more than hundreds of millions of dollars, the cost is even higher to increase the available weight.

그리고 한번 설치된 크레인의 가용 중량을 변화시키는 것이 어려우며, 그 설치 장소를 변경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And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available weight of the crane once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change the installation pla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그 조립과 분해가 매우 용이하며, 안전하고 간단하게 수십톤 이상의 중량물을 승강할 수 있는 조립식 중량물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heavy lifting device that can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very easy to build a prefabricated, safe and simple to lift more than a few tons of weight.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중량물 승강장치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조립식 교각; 상기 조립식 교각에 각각 2개씩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바; 상기 조립식 교각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승강 바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 상기 하나의 조립식 교각에 설치된 상기 2개의 승강 바의 하단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중간 부분에 중량물을 거치하는 중량물 거치대;를 포함한다. Prefabricated heavy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plurality of prefabricated piers are arranged in parallel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Two lifting bars installed on the prefabricated piers, and moving upward and downward; A power source installed at each of the prefabricated piers and providing power for elevating the elevating bar in a vertical direction; It includes; a weight cradle for detachably coupled to each of the lower ends of the two lifting bar installed in the one prefabricated piers, and for placing a heavy object in the middle portion thereof.

본 발명에서 상기 조립식 교각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바닥면에 밀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바닥재; 상기 각 바닥재의 상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2개의 수직재; 상기 2개의 수직재 상부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수평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재, 수직재 및 수평재는 조립가능한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abricated piers, two floors arranged in parallel close to the bottom surfac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Two vertical members coupled vertically to the top of each floor member; A horizontal member having both end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two vertical members, wherein the bottom member, the vertical member, and the horizontal member are fastened by assembling fastening means.

그리고 상기 승강 바는, 상기 수평재의 중간 부분에 상기 수평재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승강 바의 승강 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에 삽 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elevating bar is install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the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lift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elevating bar.

또한 상기 하나의 수평재에 설치된 상기 2개의 승강 바 하단 사이에는, 상기 2개의 승강 바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 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승강바의 원활한 승강 운동을 유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gap maintaining member for maintaining the gap between the two lifting bars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two lifting bars provided in the one horizontal member, sin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mooth lifting motion of the lifting bars.

한편 상기 중량물 거치대는 유연성이 있는 와이어인 것이, 상기 중량물의 형상에 무관하게 중량물을 거치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heavy material holder is preferably a flexible wire, since the heavy material can be mounted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heavy material.

또한 상기 와이어의 외면에는 상기 중량물의 손상을 방지하는 피복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ating material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heavy material.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강 바의 하단에는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와이어 결합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와이어 결합부는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중량물 승강중에 중량물의 흔들림에 의한 외력이나 충격이 와이어 결합부가 승강바에 그대로 전달되지 않아서 바람직하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bar is further provided with a wire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wire is coupled, the wire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to be rotatable, the external force or impact caused by the shaking of the heavy weight during the lifting of the heavy weight to the lifting bar It is preferable not to be delivered as it is.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식 교각, 승강 바, 동력원 및 중량물 거치대가 모두 체결가능한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평평하고 단단한 바닥면이 존재하는 장소이면, 그 장소를 불문하고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립 및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abricated piers, the lifting bar, the power source, and the weight cradle are all prefabricated to be fastened to a place where there is a flat and solid bottom surface, regardless of the pla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installed. .

따라서 별도로 고가의 천장 크레인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수십톤 이상의 중량물을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으며, 트럭과 같은 이동수단을 이용하면, 중량물의 이동도 가능하다. Therefore, even without installing an expensive overhead crane can easily lift a few tens of tons or more heavy weight, using a moving means such as a truck, it is also possible to move the heavy weigh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중량물 승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10), 승강 바(20), 동력원(30) 및 중량물 거치대(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abricated heavy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1, comprises a pier 10, the lifting bar 20, the power source 30 and the weight cradle 40.

먼저 조립식 교각(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2개 이상의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 교각(10)이 설치되는 개수는 중량물의 크기와 길이 그리고 거치되어야 하는 개소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그러나 설치되는 각 교각(1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First, the prefabricated piers 10 are arranged in at least two or more parallel, as shown in FIG. The number of the pier 10 is installed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and length of the heavy object and the location to be mounted. However, each pier 10 to be installed should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본 실시예에서 이 교각(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재(1), 수직재(2) 및 수평재(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재(1)은 바닥면과 밀착하여 전체 교각(1)을 지지 및 지탱하는 구성요소이다. 이 바닥재(1)는 상기 교각(10)이 쓰러지지거나 흔들리지 않고 유지되도록 일정한 길이 이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바닥재(1)는 건설이나 토목 공사에서 흔히 사용하는 H 빔이나 I 빔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바닥재(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나란하게 배치된다. 2개의 바닥재(1)가 배치되는 간격은 수평재(3)의 길이 및 중량물의 폭에 의하여 결정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pier 10 includes a flooring material 1, a vertical material 2 and a horizontal material 3, as shown in FIG. The flooring material 1 is a component that adheres to the floor surface and supports and supports the entire piers 1. The flooring material 1 is composed of a predetermined length or more so that the pier 10 is maintained without falling or shaking. And this flooring material 1 may be composed of H beams or I beams commonly used in construction or civil engineering. As shown in Fig. 1, two floorings 1 are arranged side by side. The interval at which the two flooring materials 1 are arranged is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material 3 and the width of the heavy material.

다음으로 수직재(2)는 상기 바닥재(1)의 상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이 수직재(2)도 상기 바닥재(1)와 마찬가지로 H 빔이나 I 빔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수직재(2)의 높이는 중량물의 높이 및 중량물을 들어올려야 하는 높이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 수직재(2)와 바닥재(1)는 반복하여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직재(2)의 하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를 관통하여 볼트(4) 등으로 상기 바닥재(1)와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재(2)의 상단에는 상기 수평재(3)와 체결을 위한 플랜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재(2)의 상부에는 수평재(3)와 만나는 부분의 하중을 더욱 잘 견디기 위하여 날개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하부에는 바닥재와 만나는 부분의 하중 강화를 위하여 날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Next, the vertical member 2 is a component that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member (1). This vertical member 2 may also be composed of an H beam or an I beam like the floor member 1. The height of the vertical member 2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heavy material and the height of lifting the heavy material. The vertical material 2 and the floor material 1 are fastened by fastening means which can be repeated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For example, a flang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2, and may be fastened to the bottom member 1 by a bolt 4 or the like through the flange. In addition, a flange for fastening with the horizontal member 3 may be further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2.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 (2)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wing to better withstand the load of the portion meeting with the horizontal member (3), the lower portion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wing for strengthening the load of the portion meeting with the floor.

다음으로 상기 수평재(3)는 상기 2개의 수직재(2) 상부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이 수평재(3)도 바닥재(1)나 수직재(2)와 마찬가지로 H 빔이나 I 빔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수평재(3)의 양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재(2)에 결합되는데, 플랜지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를 이용하여 볼트(4)로 체결할 수 있다. Next, the horizontal member 3 is a component in which both end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two vertical members 2. This horizontal member 3 may also be composed of an H beam or an I beam like the floor member 1 or the vertical member 2. As shown in FIG. 1, both ends of the horizontal member 3 are coupled to the vertical member 2, and a flange is formed, and may be fastened by a bolt 4 using the flang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교각(10)을 구성하는 바닥재(1), 수직재(2) 및 수평재(3)는 모두 반복된 분해 조립이 가능한 볼트(4) 등으로 체결되므로 그 조립 분해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looring material 1, the vertical material 2, and the horizontal material 3 constituting the pi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all fastened with bolts 4 and the like which can be repeated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There is a very easy advantage.

다음으로 승강 바(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조립식 교각(10)에 각가 2개씩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 승강 바(20)는 상기 수평재(3)를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승강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평재(3)의 중간 부분에 상기 수평재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승강 바의 승강 운 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22)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이 승강 바(20)는 상기 가이드 부재(22)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한다. 상기 승강바(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승강 바(20)의 승강을 위하여 나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면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동력원(30)이 상기 승강바(20)를 회전시키면서 천천히 승강 바(20)를 승강시킬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 1, the elevating bar 20 is installed at each of the prefabricated piers 10 and has a structure that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ifting bar 20 moves up and down through the horizontal member 3. To this end, a guide member 22 is further installed in a middle por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3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member to guide the lift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lifting bar. And the lifting bar 20 is lifted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guide member 22. A screw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vating bar 20 to elevate the elevating bar 20. When a screw surface is formed, the power source 30 may slowly elevate the elevating bar 20 while rotating the elevating bar 20.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승강 바(2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동시에 동일한 속도록 승강한다. 이때, 중량물이 거치된 상태에서는 승강바(20)의 하단이 안쪽으로 휘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승강바(20)가 휘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22)를 통한 승강 운동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수평재(3)에 설치된 상기 2개의 승강 바(20) 하단 사이에는, 상기 2개의 승강 바(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 부재(26)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간격 유지 부재(26)도 상기 승강 바(20)들로 부터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승강 바(20) 하단에는 상기 간격 유지 부재(26)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간격 유지 부재(26) 그 홈에 양 단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간격 유지 부재(26)에 의하여 상기 2개의 승강 바(20)는 중량물이 거치되더라도 변형되지 않고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며 승강 운동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lifting bars 20 are arranged side by side,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bar 20 is bent inward in the state where the heavy object is mounted. When the elevating bar 20 is bent in this manner, the elevating motion through the guide member 22 becomes difficult.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two lifting bars 20 installed in one horizontal member 3, the gap between the two lifting bars 20 is maintained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preferable that a space keeping member 26 is further provided. This spacing member 26 also preferably has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from the lifting bars 20. For example, grooves through which the spacing members 26 may be inserted are formed at lower ends of the elevating bar 20, and both ends of the spacing members 26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s. have. The two lifting bars 20 are able to move up and down while maintaining the parallel state without being deformed even if the heavy load is placed by the space keeping member 26.

다음으로 동력원(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식 교각(10)의 수평재(3)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승강 바(20)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력원(30)이 상기 가이드 부재(22)의 사이에 배치되고, 그 상부에 상기 가이드 부재(22)의 상부와 결합되는 하우징이 더 구비되며, 이 하우징 내부에는 동력원(30)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수단(도면에 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2개의 승강 바(20)를 동시에 동일한 속도로 승강시키는 것이다. 이 동력원(30)의 용량은 중량물의 중량에 의하여 결정되며, 다양한 용량을 가진 동력원(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 1, the power source 30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members 3 of the prefabricated piers 10 and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power for elevating the elevating bar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 In this embodiment, the power source 30 is disposed between the guide member 22, a housing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member 22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the power source 30 in the housing A power transmission means (not shown in the figure) is installed to transfer the power of the two lifting bars 20 at the same time to raise and lower at the same speed. The capacity of this power source 30 is determined by the weight of the heavy material, and may be composed of a power source 30 having various capacities.

다음으로 중량물 거치대(40)는 상기 하나의 조립식 교각(10)에 설치된 상기 2개의 승강 바(20)의 하단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중간 부분에 중량물(60)을 거치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 중량물 거치대(40)는 유연성이 있는 와이어인 것이, 설치가 용이하고 다양한 형상의 중량물을 거치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의 외면에는 중량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복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피복재는 섬유 또는 비닐 소재 등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the heavy load holder 40 is detachably coupled to each of the lower ends of the two lifting bars 20 installed in the one prefabricated piers 10, and is a component for mounting the heavy weight 60 in the middle portion thereof. . In this embodiment, the heavy weight holder 40 is preferably a flexible wire, it is easy to install and can be mounted on a heavy weight of various shapes.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oating material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weight. This coating material is preferably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fiber or vinyl material.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량물 거치대(40)는 상기 승강 바(20)의 하단에 설치된느 와이어 결하부(24)에 의하여 반복적인 체결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와이어 결합부(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결합 플랜지(24a), 고정 막대(24c), 고정 막대 삽입공(24b) 및 와이어 지지대(24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와이어 결합 플랜지(24a)는 상기 와이어 지지대(24d)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막대(24c)는 상기 고정 막대 삽입공(24b) 및 와이어 지지대(24d)를 각각 통과하여 결합된다.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vy load holder 40 is coupled to enable the repetitive fastening by the wire declining portion 24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bar (20). To this end, as shown in FIG. 2, the wire coupling part 24 includes a wire coupling flange 24a, a fixing rod 24c, a fixing rod insertion hole 24b, and a wire support 24d. The wire engaging flange 24a is formed to a size into which the wire support 24d can be inserted. The fixing rod 24c is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xing rod insertion hole 24b and the wire support 24d.

이하에서는 도 3,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중량물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승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3 and 4 will be described a method of lifting the weight using the prefabricated heavy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물이 안치될 장소에 조립식 중량물 승강장치를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중량물(60)을 탑재한 트럭(50)을 조립식 중량물 승강장치 내부로 진입시킨다. First, as shown in FIG. 3, a prefabricated heavy lifting device is installed at a place where heavy weight is to be placed. Then, the truck 50 on which the heavy load 60 is mounted is inserted into the prefabricated heavy lifting device.

중량물(60)의 위치가 정확하게 승강바(20)의 하부에 위치되면 중량물 거치대(40)를 사용하여 중량물(60)을 거치한다. 중량물(60)의 거치가 완료되면, 동력원(30)을 가동하여 승강바(20)를 동시에 상승시킨다. 그러면 트럭(50)에 안치된 중량물(60)이 일정한 높이로 들린다. 중량물(60)이 일정한 높이로 들린 상태에서 트럭(50)은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으므로 외부로 배출된다. When the position of the heavy weight 60 is accurately positioned below the lifting bar 20, the heavy weight 60 is used to mount the heavy weight 60. When the mounting of the heavy material 60 is completed, the power source 30 is operated to raise the lifting bar 20 at the same time. The heavy material 60 placed in the truck 50 then sounds at a constant height. In the state in which the heavy weight 60 is lifted to a certain height, the truck 50 is not disturbed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그리고 나서 중량물이 안치될 장소에 중량물 안치대(80)를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동력원을 다시 구동하여 상기 승강바(20)를 하강시킨다. 그러면 중량물(60)이 하강하여 상기 중량물 안치대(80)에 안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중량물 거치대(40)을 해체하면 중량물(60)의 이동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Then place the weight rest 80 in the place where the weight will be placed. In this state, the power source is driven again to lower the elevating bar 20. Then, the weight 60 is lowered to be placed in the weight rest 80. Then dismantle the heavy weight holder 40 is to complete the movement of the heavy weight 60.

중량물(60)을 외부로 반출한 경우에는 전술한 반입 작업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carry out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mentioned carrying-in operation when the heavy material 60 was taken out to the exteri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중량물 승강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refabricated heavy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결합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wire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중량물 승강장치의 사용과정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3 and 4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using the prefabricated heavy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조립식 교각;A plurality of prefabricated pier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arallel intervals; 상기 조립식 교각에 각각 2개씩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바;Two lifting bars installed at each of the prefabricated piers, and moving upward and downward by rotation in a state where threads ar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조립식 교각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2개의 승강 바를 동시에 회전시켜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A power source installed at each of the prefabricated piers and providing power for elev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simultaneously rotating the two elevating bars; 상기 하나의 조립식 교각에 설치된 상기 2개의 승강 바의 하단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중간 부분에 중량물을 거치하는 유연성이 있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And a flexible wi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f the lower ends of the two elevating bars installed in the one prefabricated bridge, and having a heavy portion mounted thereon. 상기 승강 바의 하단에는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와이어 결합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와이어 결합부는,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bar is further provided with a wire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wire is coupled, the wire coupling portion, 상기 승강 바의 하단에 구비되며, 고정 막대 삽입공이 마주보게 형성되는 와이어 결합 플랜지; A wire coupling flang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elevating bar and configured to face a fixed rod insertion hole; 상기 고정 막대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 결합 플랜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고정 막대;A fixed rod inserted into the fixed rod insertion hole and installed across the wire coupling flange; 상기 고정 막대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와이어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중량물 승강장치.And a wire support rotatably inserted into the fixed ba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supported by the wire so as to be rota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교각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efabricated piers, 일정간격 이격되어 바닥면에 밀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바닥재;Two flooring materials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nd closely contacted with the bottom surface and disposed in parallel; 상기 각 바닥재의 상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2개의 수직재;Two vertical members coupled vertically to the top of each floor member; 상기 2개의 수직재 상부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수평재;를 포함하며, It includes; a horizontal member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upper two vertical members, respectively, 상기 바닥재, 수직재 및 수평재는 조립가능한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중량물 승강장치.Prefabricated heavy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oring material, the vertical material and the horizontal material is fastened by the assembling fastening mea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바는,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ifting bar, 상기 수평재의 중간 부분에 상기 수평재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승강 바의 승강 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조립식 중량물 승강장치.Prefabricated heavy lift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member, is inserted into the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lift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lifting bar.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하나의 수평재에 설치된 상기 2개의 승강 바 하단 사이에는, 상기 2개의 승강 바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 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중량물 승강장치.Prefabricated heavy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bottom of the two lifting bar provided in the one horizontal member, the interval maintaining member for maintaining the gap between the two lifting ba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와이어의 외면에는 상기 중량물의 손상을 방지하는 피복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중량물 승강장치.Prefabricated heavy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ating material to prevent damage to the heavy material. 삭제delete
KR1020080095327A 2008-09-29 2008-09-29 Pre-engineered appratus for elevating heavy material KR1011130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327A KR101113020B1 (en) 2008-09-29 2008-09-29 Pre-engineered appratus for elevating heavy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327A KR101113020B1 (en) 2008-09-29 2008-09-29 Pre-engineered appratus for elevating heavy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938A KR20100035938A (en) 2010-04-07
KR101113020B1 true KR101113020B1 (en) 2012-03-05

Family

ID=42213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327A KR101113020B1 (en) 2008-09-29 2008-09-29 Pre-engineered appratus for elevating heavy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02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840A1 (en) * 2020-10-20 2022-04-28 박근우 Building pipe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KR102587099B1 (en) 2023-05-09 2023-10-10 젠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Load distribution modular prefabricated heavy lift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251Y1 (en) * 2005-08-29 2005-11-29 주식회사 캐드이천코리아 Precise position control structure of pulling up thing for a cra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251Y1 (en) * 2005-08-29 2005-11-29 주식회사 캐드이천코리아 Precise position control structure of pulling up thing for a cra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840A1 (en) * 2020-10-20 2022-04-28 박근우 Building pipe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KR102587099B1 (en) 2023-05-09 2023-10-10 젠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Load distribution modular prefabricated heavy lif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938A (en)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068B1 (en) Multi-Horizontal Structure Member Forming Method
KR20110108357A (en) A method for mounting facade elements on a multi-storey building
KR101651840B1 (en) Pit equipment
KR101113020B1 (en) Pre-engineered appratus for elevating heavy material
KR101441332B1 (en) A method for supplying materials for access floor of clean room and an apparatus therefor
KR101119747B1 (en) Hoist for construction material
CN216552523U (en) Prefabricated combined wall and prefabricated concrete assembly
JP6508959B2 (en) Demolition system and demolition method
JP6508958B2 (en) Demolition system and demolition method
JP2017031676A (en) Earthquake resistant reinforcement method and reinforcement device of existing building
JP2011225336A (en) Machine table device of climbing elevator
KR20110046622A (en) Device and method for tightening temporary stand
KR20190037847A (en) Yuropom lifting device
JP4071249B2 (en) Thread hanging jig
JP2021095760A (en) Unloading device
KR101696155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ouble wall precast concrete
KR200410591Y1 (en) Lift apparatus for construction
KR101558793B1 (en) Automatic lifting system with top wall tie unit
CN114046031B (en) Movable construction operation platform erected on steel beam
CN217173048U (en) Lifting device for unit type building materials
JP4978218B2 (en) Elevator installation apparatus and installation method
KR102502713B1 (en) Mold and wheel type mold facility and method for installing panels
KR20240017638A (en) Interlayer lifting machine that carries formwork from a building
JP2023023264A (en) Crane elevating system, method of constructing structure, and method of dismantling structure
CN215287663U (en) Assembled prefabricated component hois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