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660B1 - 컨테이너 크레인용 붐 래치 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크레인용 붐 래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660B1
KR100916660B1 KR1020070125660A KR20070125660A KR100916660B1 KR 100916660 B1 KR100916660 B1 KR 100916660B1 KR 1020070125660 A KR1020070125660 A KR 1020070125660A KR 20070125660 A KR20070125660 A KR 20070125660A KR 100916660 B1 KR100916660 B1 KR 100916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fixed
brackets
frame
top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8870A (ko
Inventor
박재형
김민영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5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660B1/ko
Publication of KR20090058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2Luffing gear
    • B66C23/821Bracing equipment for booms
    • B66C23/823Bracing equipment acting in vertic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92Movement of the crane arm; Coupling of the crane arm with the counterweights; Safety devices for the movement of the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의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붐을 구성하는 2개의 박스형 프레임을 래칭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를 갖는 경량의 붐 래치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탑 빔을 포함한 수직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및 제 2 박스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붐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에 장착된 붐 래치 장치는 붐의 제 1 및 제 2 프레임에 각각 고정된 브라켓트; 붐의 어느 한 프레임에 고정된 브라켓트 상에 장착된 볼 스크류 유니트; 볼 스크류 유니트의 작동 로드의 이동에 의하여 왕복 운동하며, 양 종단부에는 소정 길이의 래치 핀이 각각 고정되어 있는 컨넥팅 바; 탑 빔에 설치되며, 붐의 각 프레임에 설치된 브라켓트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브라켓트를 포함한다. 붐의 회전에 따라 붐의 2개의 프레임에 각각 고정된 브라켓트와 탑 빔에 설치된 2개의 브라켓트가 각각 대응하며, 볼 스크류 유니트의 동작에 따라 컨넥팅 바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각 래치 핀이 붐의 각 프레임에 각각 고정된 브라켓트의 관통홀과 탑 빔에 각각 고정된 브라켓트의 관통홀에 끼워져 붐을 탑 빔에 래칭시킨다. 각 프레임에 고정된 브라켓트는 그 선단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되며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2개의 연장편을 포함하여, 붐의 회전에 따라 2개의 연장편 사이에 대응하는 탑 빔의 브라켓트가 위치한다.
컨테이너 크레인, 래치 장치

Description

컨테이너 크레인용 붐 래치 장치{Boom latch device for container crane}
본 발명은 컨테이너 크레인용 붐 래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붐에 설치되며 단일의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붐을 프레임에 대하여 래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붐 래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컨테이너 하역 부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컨테이너가 적재된 선박(10) 및 선박(10)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하역하기 위하여 하역 부두에 설치된 컨테이너 크레인(20)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컨테이너 크레인(20)은 수직 프레임(21) 및 수직 프레임(21)에 설치된 붐(22)을 포함한다. 붐(22)은 서로 평행한 2개의 박스형 프레임(22a, 22b)으로 이루어지며, 각 프레임(22a, 22b)은 수직 프레임(21)에 설치된 힌지 샤프트(도시되지 않음)를 중심으로 수직 프레임(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크레인(20)에서는, 입항하는 선박(10)과 붐(22)의 충돌을 방지하고 또한 정상 조건을 초과한 풍속의 바람으로부터 크레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붐(22)이 상승하며, 이 상태에서 붐(22)은 수직 프레임(21)에 고정된다.
즉, 붐(22)의 박스형 프레임(22a, 22b)을 프레임(21)에 설치된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도 1의 화살표 방향)시키며, 이후 래치 장치를 이용하여 붐(22)을 수직 프레임(21), 특히 탑 빔(top beam; 21a)에 고정시킨다.
도 2는 컨테이너 크레인(20)의 프레임(21)의 탑 빔(21a)에 장착된 일반적인 래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에서는 편의상 붐(22)을 구성하는 어느 한 박스형 프레임(22a)만을 도시하였으며, 또한 박스형 프레임(22a)의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붐(22)의 2개의 박스형 프레임(21a, 22b)에는 도 2에 도시된 래치 장치(30)가 각각 설치되나, 이하에서는 하나의 래치 장치만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박스형 프레임(22a)은 프레임(도 1이 21)에 설치된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박스형 프레임(22a)의 어느 지점은 수직 프레임(21)의 탑 빔(21a)에 인접한 상태가 된다.
한편, 탑 빔(21a)에는 브라켓트(31), 브라켓트(3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래치 바(32) 및 래치 바(32)를 회전시키는 트러스터(33; thrustor)를 포함하는 래치 장치(30)가 장착되어 있다.
래치 바(32)의 중앙부는 브라켓트(31)에 고정된 힌지 샤프트(31a)가 관통하며, 따라서 트러스터(33)의 작동에 따라 래치 바(32)는 브라켓트(31)의 힌지 샤프트(31a)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래치 바(32)의 선단에는 후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후크부는 붐의 박스형 프레임(22a)에 고정된 브라켓트(22a-1)에 장착된 수평 핀(22a-2)과 맞물린다. 한편, 도 2에서 점선은 트러스트(33) 작동 전의 래치 바(32)의 위치를, 실선은 트러스트(33) 작동 후의 래치 바(32)의 위치를 각각 도시한다.
탑 빔(21a)에는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2개의 래치 장치(30)가 설치되며, 각 래치 장치(30)는 붐(22)을 구성하는 2개의 박스형 프레임(도 1의 22a, 22b)과 각각 대응된다.
도 2에서, 와이어 로프에 의하여 붐의 박스형 프레임(22a)이 회전하여 프레임(22a)에 고정된 수평 핀(22a-2)이 래치 바(32)의 선단 하부에 위치하면, 트러스트(33)가 작동하여 래치 바(32)가 회전(도 2의 화살표 방향)한다. 따라서, 래치 바(32)의 선단에 형성된 후크부와 박스형 프레임(22a)에 장착된 수평 핀(22a)이 맞물린다.
한편, 박스형 프레임(22a)의 접근에 따라 트러스트(33)를 작동시키는 수단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 "22a-3"은 스토퍼로서, 박스형 프레임(22a)의 과도한 회전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래치 장치(30)에 의하여 붐의 박스형 프레임(22a)과 탑 빔(21a)이 연결 상태가 되며, 이후 와이어 로프를 통한 당김력이 제거되더라도 붐의 박스형 프레임(22a)은 탑 빔(21a)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붐의 박스형 프레임(22a)에 대한 지지력은 지지 수단(도시되지 않으나, 붐의 하부에 위치함)에 의하여 제공되며, 따라서 상부의 래치 장치(30)와 하부의 지지 수단에 의하여 붐의 지지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은 래치 장치(30)는 비교적 중량(重量)의 래치 바(32)가 이용되며, 또한 이 래치 바(32)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트러스트(33)를 장착해야 한다. 따라서, 래치 장치(30)는 부재의 과도한 소요라는 문제점을 갖는다.
특히, 래치 바(32)와 트러스트(33)가 크레인(도 1의 20)의 최상단인 프레임의 탑 빔(21a; 약 60미터의 높이)에 설치되어야 하며, 따라서 래치 장치(30)의 설치, 점검 및 교체를 위하여 별도의 리프트 장치를 이용해야 한다.
이와 함께, 컨테이너 크레인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래치 장치(30)의 점검이 수시로 이루어져야 하나, 컨테이너 크레인에 설치된 엘리베이터가 도달되지 않는 탑 빔(21a)에 작업자가 올라가기 어려워 점검이 소홀해지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 크레인의 필수 장치인 래치 장치가 갖고 있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일의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붐을 구성하는 2개의 박스형 프레임을 래칭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를 갖는 경량의 붐 래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및 제 2 박스형 프레임("프레임")을 갖는 붐 그리고 제 1 및 제 2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에 장착되어 제 1 및 제 2 프레임을 수직 프레임에 래치시키는 붐 래치 장치는 제 1 및 제 2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며,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브라켓트; 제 1 및 제 2 브라켓트 중 어느 한 브라켓트 상에 장착된 볼 스크류 유니트; 볼 스크류 유니트의 작동 로드에 연결되어 볼 스크류 유니트의 작동에 따라 왕복 운동하며, 양 종단부에는 래치 핀이 각각 고정되어 있는 컨넥팅 바; 및 수직 프레임의 탑 빔에 설치되어 붐의 제 1 및 제 2 프레임에 고정된 제 1 및 제 2 브라켓트에 각각 대응하며,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 3 및 제 4 브라켓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붐의 회전에 따라 붐의 제 1 및 제 2 프레임에 고정된 제 1 및 제 2 브라켓트와 탑 빔에 설치된 제 3 및 제 4 브라켓트가 각각 대응하며, 볼 스크류 유니트의 동작에 따라 컨넥팅 바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컨넥팅 바의 한 래치 핀이 제 1 프레임에 고정된 제 1 브라켓트의 관통홀과 탑 빔에 고정된 제 3 브라켓트의 관통홀에 끼워지고, 컨넥팅 바의 또 다른 래치 핀이 제 2 프레임에 고정된 제 2 브라켓트의 관통홀과 탑 빔에 고정된 제 4 브라켓트의 관통홀에 끼워져 붐을 탑 빔에 래치시킨다.
각 프레임에 고정된 브라켓트는 그 선단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되며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2개의 연장편을 포함하여, 붐의 회전에 따라 2개의 연장편 사이에 대응하는 탑 빔의 브라켓트가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용 붐 래치 장치는 붐의 제 1 프레임에 고정된 수직의 지지 포스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 1 종단은 볼 스크류 유니트의 작동 로드에 힌지 핀으로 연결된 회전 로드; 양 종단이 회전 로드의 종단 및 컨넥팅 바의 중간부에 힌지 운동 가능하게 고정된 링크 부재; 컨넥팅 바의 양 종단에 각각 고정되며, 한 종단부에는 래치 핀이 각각 고정된 2개의 연장 바를 더 포함한다.
붐을 래칭하기 위하여 중량(重量)의 래치 바 및 2개의 트러스트를 이용한 종래의 래치 조립체와 비교하여,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용 붐 래치 장치는 래치 바를 이용하지 않고 또한 단일의 구동 수단을 통하여 붐(즉, 2개의 박스형 프레임)을 프레임(즉, 탑 빔)을 간단하게 래칭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재료의 과도한 소비를 억제하고 구성 부재를 최소화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래치 장치의 주요 구성 부재가 탑 빔이 아닌 붐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래치 장치로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점검, 보수 및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엘리베이터와 같은 별도의 장비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용 붐 래치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3에서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수직 프레임(도 1의 21)을 구성하는 탑 빔(100)의 일부 및 붐의 어느 한 박스형 프레임(200)의 일부만을 도시하였으며, 붐이 회전하여 박스형 프레임(200)이 탑 빔(100)에 대응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도 4에서는 탑 빔(100)의 일부 및 붐의 2개의 박스형 프레임에 각각 고정된 브라켓트(210, 220)의 일부를 도시하였으며, 붐의 박스형 프레임(도 3의 200)이 탑 빔(100)에 래칭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컨테이너 크레인의 붐을 구성하는 2개의 제 1 및 제 2 박스형 프레임(200)에는 소정 길이의 제 1 및 제 2 브라켓트(210 및 220)가 각각 고정되며, 각 박스형 프레임(200)에 고정된 제 1 및 제 2 브라켓트(210 및 220) 선단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된 연장편(211, 212 및 221, 2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장편(211, 212 및 221, 222)의 선단부에는 관통공(211a, 212a 및 221a, 22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붐의 제 1 프레임(도 3의 200)의 제 1 브라켓트(210)에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장치(300)가 장착된다.
래치 장치(300)는 제 1 프레임(200)의 제 1 브라켓트(210)에 장착된 볼 스크류 유니트(310), 제 1 브라켓트(210)에 고정된 수평 지지 포스트(3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 1 종단은 볼 스크류 유니트(310)의 작동 로드(311)에 힌지 핀으로 연결된 회전 로드(320), 링크 부재(340)를 통하여 회전 로드(330)의 제 2 종단에 고정된 컨넥팅 바(350), 컨넥팅 바(350)의 양 종단에 직교 상태로 고정된 2개의 연장 바(361, 362) 및 연장 바(361, 362)에 각각 고정된 2개의 래칭 핀(371, 372)을 포함한다.
삭제
여기서, 컨넥팅 바(350)와 2개의 래칭 핀(371, 372)은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며, 볼 스크류 유니트(310)에 의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이송이 가능하게 설치 된다.
한편, 탑 빔(100) 상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 3 및 제 4 브라켓트(110 및 120)가 고정되며, 제 3 및 제 4 브라켓트(110 및 120)에는 소정 직경의 관통공(110a, 12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3 및 제 4 브라켓트(110, 120)는 붐의 제 1 및 제 2 프레임(200) 상에 각각 고정된 제 1 및 제 2 브라켓트(210 및 220)와 각각 대응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래치 부재(300)의 기능을 도 3 및 도 4를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항하는 선박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또는 정상 조건을 초과한 풍속의 바람으로부터 크레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붐의 제 1 및 제 2 프레임(도 3의 200)을 수직 프레임(도 1의 2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승시키면, 붐의 제 1 및 제 2 프레임(도 3의 200)에 고정된 제 1 및 제 2 브라켓트(210 및 220)와 탑 빔(100)에 고정된 제 3 및 제 4 라켓트(110 및 120)는 서로 대응하는 상태가 된다(도 3 및 도 4의 상태).
즉, 붐의 각 프레임(200)에 고정된 제 1 및 제 2 브라켓트(210 및 220)의 선단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된 연장편(211, 212 및 221, 222)의 사이에 탑 빔(100)에 고정된 제 3 및 제 4 브라켓트(110 및 120)가 각각 위치하게 되며, 래치 장치(300)의 컨넥팅 바(350)의 양단에 고정된 2개의 연장 바(361, 362), 즉 연장 바(361, 362)에 각각 고정된 2개의 래칭 핀(371 및 372)은 탑 빔(100)에 고정된 제 3 및 제 4 브라켓트(110 및 120)의 외측에 각각 위치한다.
이때, 붐의 어느 한 박스형 프레임(도 3의 200)에 장착된 스프링 조립체(400)가 탑 빔(100)에 접촉하여 붐의 과도한 회전(상승)이 억제되며, 이 스프링 조립체(400)에 장착된 신호 발생 수단(도시되지 않음)에서 전송된 신호에 의하여 볼 스크류 유니트(310)가 작동한다.
볼 스크류 유니트(310)가 작동하면, 작동 로드(311)가 후진하며, 따라서 작동 로드(311)에 한 종단이 고정된 회전 로드(330)는 지지 포스트(320)를 중심으로 회전한다(도 4의 화살표 상태).
회전 로드(330)의 회전에 따라 링크 부재(340)를 통하여 회전 로드(340)에 연결된 컨넥팅 바(350)는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며, 결과적으로 컨넥팅 바(350)의 양 종단의 연장 바(361, 371)에 각각 고정된 2개의 래칭 핀(371, 372) 역시 대응하는 프레임(200)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브라켓트(210, 220)를 향하여 각각 직선 이동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붐의 각 프레임(220)의 제 1 및 제 2 브라켓트(210 및 220)의 연장편(211, 212 및 221, 222)에 형성된 관통공(211a, 212a 및 221a, 222a)과 탑 빔(100)에 고정된 제 3 및 제 4 브라켓트(110 및 120)에 형성된 관통공(110a 및 120a)이 서로 대응되어 있는 상태이며, 따라서 직선 이동된 래칭 핀(371 및 372)은 프레임(200)의 제 1 및 제 2 브라켓트(210 및 220; 실질적으로는 연장편(211, 212 및 221, 222))에 형성된 관통공(211a, 212a 및 221a, 222a)과 탑 빔(100)에 고정된 제 3 및 제 4 브라켓트(110 및 120)에 형성된 관통공(110a 및 120a) 내로 각각 삽입, 수용된다.
이와 같이 2개의 래칭 핀(371 및 372)에 의하여 붐의 각 프레임(200)의 제 1 및 제 2 브라켓트(210 및 220)와 탑 빔(100)에 고정된 제 3 및 제 4 브라켓트(110 및 120)는 견고하게 래칭되며, 결과적으로 붐의 각 프레임(200)은 탑 빔(100)에 래칭(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래치 장치(300)에 의하여 붐의 프레임(200)과 탑 빔(100)이 연결 상태가 되며, 이후 와이어 로프를 통한 당김력이 제거되더라도 붐의 프레임(200)은 탑 빔(100)에 대하여 유동 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붐의 프레임(200)에 대한 지지력은 지지 수단(도시되지 않으나, 붐의 하부에 위치함)에 의하여 제공되며, 따라서 상부의 래치 장치(300)와 하부의 지지 수단에 의하여 붐의 지지 상태가 유지된다.
참고로, 컨테이너 하역 작업을 위하여 붐을 도 1에 도시된 상태로 전환시키는 과정에서 볼 스크류 유니트(310)는 역으로 작동되며, 따라서 각 부재가 상술한 과정과 역순으로 작동하며, 따라서 붐의 프레임(200)과 탑 빔(100)의 래칭 상태가 해제된다.
중량(重量)의 래치 바 및 2개의 트러스트를 이용한 종래의 래치 조립체와 비교하여,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용 붐 래치 장치는 래치 바를 이용하지 않고 또한 단일의 구동 수단을 통하여 붐과 탑 빔을 간단하게 래칭시킬 수 있다.
특히, 래치 장치의 주요 구성 부재가 탑 빔이 아닌 붐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접근이 용이하여 점검, 보수 및 교체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엘리베이터와 같은 별도의 장비가 요구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컨테이너 크레인과 선박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상부 프레임에 장착된 일반적인 래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의 대응 도면으로서, 붐과 탑 빔이 래칭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Claims (3)

  1. 제 1 및 제 2 박스형 프레임을 갖는 붐 그리고 제 1 및 제 2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에 장착되어 제 1 및 제 2 프레임을 수직 프레임에 래치시키는 붐 래치 장치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며,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브라켓트;
    제 1 및 제 2 브라켓트 중 어느 한 브라켓트 상에 장착된 볼 스크류 유니트;
    볼 스크류 유니트의 작동 로드에 연결되어 볼 스크류 유니트의 작동에 따라 왕복 운동하며, 양 종단부에는 래치 핀이 각각 고정되어 있는 컨넥팅 바; 및
    수직 프레임의 탑 빔에 설치되어 붐의 제 1 및 제 2 프레임에 고정된 제 1 및 제 2 브라켓트에 각각 대응하며,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 3 및 제 4 브라켓트를 포함하여,
    붐의 회전에 따라 붐의 제 1 및 제 2 프레임에 고정된 제 1 및 제 2 브라켓트와 탑 빔에 설치된 제 3 및 제 4 브라켓트가 각각 대응하며,
    볼 스크류 유니트의 동작에 따라 컨넥팅 바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컨넥팅 바의 한 래치 핀이 제 1 프레임에 고정된 제 1 브라켓트의 관통홀과 탑 빔에 고정된 제 3 브라켓트의 관통홀에 끼워지고, 컨넥팅 바의 또 다른 래치 핀이 제 2 프레임에 고정된 제 2 브라켓트의 관통홀과 탑 빔에 고정된 제 4 브라켓트의 관통홀에 끼워져 붐을 탑 빔에 래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용 붐 래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브라켓트 각각은 그 선단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되며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2개의 연장편을 포함하여, 붐의 회전에 따라 2개의 연장편 사이에 탑 빔의 제 3 및 제 4 브라켓트 중 어느 한 브라켓트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용 붐 래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붐의 제 1 프레임에 고정된 수직의 지지 포스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 1 종단은 볼 스크류 유니트의 작동 로드에 힌지 핀으로 연결된 회전 로드;
    양 종단이 회전 로드의 종단 및 컨넥팅 바의 중간부에 힌지 운동 가능하게 고정된 링크 부재; 및
    컨넥팅 바의 양 종단에 각각 고정되며, 한 종단부에는 래치 핀이 각각 고정된 2개의 연장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용 붐 래치 장치.
KR1020070125660A 2007-12-05 2007-12-05 컨테이너 크레인용 붐 래치 장치 KR100916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660A KR100916660B1 (ko) 2007-12-05 2007-12-05 컨테이너 크레인용 붐 래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660A KR100916660B1 (ko) 2007-12-05 2007-12-05 컨테이너 크레인용 붐 래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870A KR20090058870A (ko) 2009-06-10
KR100916660B1 true KR100916660B1 (ko) 2009-09-08

Family

ID=4098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660A KR100916660B1 (ko) 2007-12-05 2007-12-05 컨테이너 크레인용 붐 래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6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1192U (ja) 1982-04-05 1983-10-11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タワ−ジブクランプ装置
JPH078544Y2 (ja) * 1989-08-28 1995-03-0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ワークレーンにおけるタワージブの折畳みロック装置
JP2000281281A (ja) 1999-03-30 2000-10-10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タワークレーンの折畳み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1192U (ja) 1982-04-05 1983-10-11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タワ−ジブクランプ装置
JPH078544Y2 (ja) * 1989-08-28 1995-03-0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ワークレーンにおけるタワージブの折畳みロック装置
JP2000281281A (ja) 1999-03-30 2000-10-10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タワークレーンの折畳み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870A (ko)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23417A (zh) 集装箱门式起重机吊具防摇机构
JPWO2014038385A1 (ja) スタッカクレーン
WO2013081262A1 (ko) 풍력 발전기
KR100916660B1 (ko) 컨테이너 크레인용 붐 래치 장치
EP3311024B1 (en) Portable and modular hoisting assembly for a wind turbine
CN102322409A (zh) 一种海上风机运输安装平台及其变幅装置
CN207002035U (zh) 起重机货物稳定装置
CN115979579A (zh) 一种采用四自由度机构迎角框架连接模型支架的结构
CN209835466U (zh) 一种桥式起重机
CN210214583U (zh) 一种起升机构及起重机
CN208791059U (zh) 塔机主钢丝绳托绳装置
KR102635602B1 (ko) Boom 양측면 설치형 캐트너리 트롤리 추락방지장치
CN210646412U (zh) 盐浴炉可升降侧移的反应釜
CN107859604A (zh) 风电机组塔筒内部组装式升降作业平台
KR100461749B1 (ko)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CN213011497U (zh) 一种乘降板撑杆装置
CN109132784B (zh) 一种肘夹式电梯下机械阻止装置
CN220811497U (zh) 一种新型安全钳提拉装置
CN208946104U (zh) 一种翻转工装以及复材制件翻转设备
CN212774069U (zh) 一种抗风卷帘门
CN210973634U (zh) 一种抗风新型龙门吊
JP7276773B2 (ja) 昇降装置
JPH09268757A (ja) 足場装置
SU614021A1 (ru) Привод подъемника
KR100845265B1 (ko) 센터빔 추락 방지기능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