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653B1 -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 - Google Patents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653B1
KR100916653B1 KR1020070103751A KR20070103751A KR100916653B1 KR 100916653 B1 KR100916653 B1 KR 100916653B1 KR 1020070103751 A KR1020070103751 A KR 1020070103751A KR 20070103751 A KR20070103751 A KR 20070103751A KR 100916653 B1 KR100916653 B1 KR 100916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valve
ground
handl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8322A (ko
Inventor
고종철
Original Assignee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3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653B1/ko
Publication of KR20090038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236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relating to electrostatic 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58Arrangements of pumps
    • B67D7/62Arrangements of pumps power ope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3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actuated in consequence of extraneous circumstances, e.g. shock, change of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유류공급관에 설치된 밸브는 물론 펌프가 작동되지 않게 차단함으로서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유류가 유조차에 공급되지 않게 함으로서 정전기 등의 충격전기에 의해 발생된 불꽃이 유류에 점화되어 화재 및 폭발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은 저유소에 저장되고 펌프를 통해 펌핑하여 유조차에 유류를 적재하는 유류공급관의 중단에 설치된 밸브를 개폐하는 밸브손잡이를 단속하는 레버단속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의 전기 충격을 지중으로 배출하는 접지선의 접속여부를 감지하는 접지감지부와 ; 상기 접지감지부에서 접지가 감지되면 밸브손잡이가 자유롭게 작동될 수 있게 하고,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손잡이가 작동되지 않도록 잠그는 손잡이잠금부와 ; 상기 손잡이잠금부가 해제되어 밸브손잡이가 작동되어 밸브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손잡이작동감지부와 ; 접지가 안된 상태에서 밸브손잡이가 작동되면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경고하는 경고부와 ; 접지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밸브손잡이가 작동되어 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출하펌프에 전원을 인가하여 유류가 펌핑되도록 출하펌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출하펌프구동부 및 ;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접지, 저유소, 접지감지부, 손잡이잠금부, 경고부

Description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oil lever control system using the ground}
본 발명은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유류공급관에 설치된 밸브는 물론 출하펌프가 작동되지 않게 차단함으로서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유류가 유조차에 공급되지 않게 함으로서 정전기 등의 충격전기에 의해 발생된 불꽃이 유류에 점화되어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유류를 유조차에 접지하는 과정에서 음성으로 접지 여부에 대하여 확인하고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유류 적재자에게 경고함으로서 접지를 할 수 있게 하고, 접지가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밸브를 개폐시키는 밸브손잡이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도 출하펌프가 구동되게 하여 유류를 유조차에 탑재할 수 있게 함으로서 적재자가 접지한 후 출하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해 차량으로부터 하차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한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경유나 가솔린 등의 유류는 통상적으로 소정 지역에 설치된 저유시설(이하, "저유소"라 칭한다.)로부터 각 주유소로 유류를 공급하고 있으며, 공급 수단으로 유조차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조차를 이용한 유류의 분배에 있어서, 저유소에 저장된 유류는 저장고에 저장되어 있으며, 소정 높이에 설치된 급유장치를 통해 유조차에 공급된다.
이러한 급유장치는 통상적으로 유조차까지 유류를 이송하는 유류공급관에 밸브가 구비되어 있고, 유류공급관의 중간 어느 부분에는 유류를 펌핑(pumping)하기 위한 출하펌프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저유소에는 유류를 유조차로 탑재하는 도중 정전기 등의 전기 충격에 의해 불꽃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저유소에서 유류를 유조차에 탑재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조차를 해당 유류를 급유받기 위한 장소에 주차한 후, 관리자로부터 출하표를 발급받고 발급받은 출하표를 출하표함에 넣는다.
차량의 접지선에 연결된 접지판 집게로 유류공급관의 일측에 구비된 접지판를 집어 접지를 한 후 유류공급관의 배출구를 유조차의 유류 투입구에 넣은 후, 차량으로부터 하차하여 출하펌프 구동을 위한 스위치를 작동시킨 후 다시 차량에 탑승하여 유류공급관의 배출구를 유조차의 각 탱크로 이동시키면서 유류를 적재시킨다.
유류의 탑재가 완료되면 차량으로 적재자가 하차하여 출하펌프 구동용 스위치를 오프시킨 후 접지선을 접지판으로부터 분리하고, 차량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유조차에 유류를 적재하는 과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접지를 일일이 적재자가 확인하여야 하고, 접지가 이루어진 후 적재자가 차량으로부터 하차하여 출하펌프 구동용 스위치를 수동으로 작동시켜야 함으로 번거로움이 많았다.
또한, 적재자가 접지선을 접지판에 연결시켰으나 접지여부의 확인이 육안으로만 이루어짐으로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유류가 유조차로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전기 충격이 발생되면 대형의 화재가 발생할 위험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유류공급관에 설치된 밸브는 물론 출하펌프가 작동되지 않게 차단하여 유류가 유조차에 공급되지 않게 함으로서 정전기 등의 충격전기에 의해 발생된 불꽃이 유류에 점화되어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유류를 유조차에 탑재하는 과정에서 음성으로 접지 여부에 대하여 확인하고,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적재자에게 경고함으로서 접지를 할 수 있게 하고, 접지가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밸브를 개폐시키는 밸브손잡이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도 출하펌프가 구동되게 하여 유류가 유조차에 탑재되게 함으로서 유류를 탑재하는 과정에서 적재자가 유조차를 오르내리는 번거로움을 해소한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은 저유소에 저장되고 출하펌프를 통해 펌핑하여 유조차에 유류를 적재하는 유류공급관의 중단에 설치된 밸브를 개폐하는 밸브손잡이를 단속하는 레버단속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의 전기 충격을 지중으로 배출하는 접지선의 접속여부를 감지하는 접지감지부와 ; 상기 접지감지부에서 접지가 감지되면 밸브손잡이가 자유롭게 작동될 수 있게 하고,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손잡이가 작동되지 않도록 잠그는 손잡이잠금부와 ; 상기 손잡이잠금부가 해제되어 밸브손잡이가 작동되어 밸브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손잡이작동감지부와 ; 접지가 안된 상태에서 밸브손잡이가 작동되면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경고하는 경고부와 ; 접지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밸브손잡이가 작동되어 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출하펌프에 전원을 인가하여 유류가 펌핑되도록 출하펌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출하펌프구동부 및 ;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접지가 이루어졌을 때만 밸브손잡이가 작동될 수 있게 하고, 이렇게 밸브손잡이가 작동됨에 의해 출하펌프가 구동되게 함으로서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급유가 이루어지지 않게 하여 급유 중 전기 충격이 발생하여도 이 를 접지로 배출시킴으로서 불꽃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급유중 화재가 발생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지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밸브손잡이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 출하펌프에 공급되는 전원이 단속됨으로서 적재자가 유조차를 오르내리지 않고 유류를 유조차에 탑재할 수 있으므로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높은 유조차를 오르내리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의 일예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에 있어서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의 밸브손잡이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에 있어서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의 밸브손잡이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을 이용한 유류 적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접지가 이루어진 상태에서만 출하펌프에 전원이 인가되게 하기 위해 접지 여 부를 감지하는 접지감지부(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접지감지부(2)를 포함하여 구성된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은 저유소에 저장되고 출하펌프(6a)를 통해 펌핑하여 유조차에 유류를 적재하는 유류공급관의 중단에 설치된 밸브를 개폐하는 밸브손잡이(41)를 단속하는 레버단속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의 전기 충격을 지중으로 배출하는 접지선의 접속여부를 감지하는 접지감지부(2)와 ; 상기 접지감지부(2)에서 접지가 감지되면 밸브손잡이가 자유롭게 작동될 수 있게 하고,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손잡이가 작동되지 않도록 잠그는 손잡이잠금부(3)와 ; 상기 손잡이잠금부(3)가 해제되어 밸브손잡이가 작동되어 밸브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손잡이작동감지부(4)와 ; 접지가 안된 상태에서 밸브손잡이가 작동되면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경고하는 경고부(5)와 ; 접지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밸브손잡이가 작동되어 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출하펌프(6a)에 전원을 인가하여 유류가 펌핑되도록 출하펌프(6a)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출하펌프구동부(6) 및 ;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은 접지 여부를 확인하고 접지가 이루어진 후에만 출하펌프(6a)가 가동되게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통상의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과 동일 유사하다.
즉, 출하펌프(6a)를 포함하는 출하펌프구동부(6)는 종래와 동일하게 유류공급관의 중단에 설치된 출하펌프(6a)에 공급되는 전원을 펌프제어회로(6b)에서 제어함에 의해 출하펌프(6a)가 구동된다.
이러한 출하펌프(6a) 구동을 위한 펌프제어회로(6b)는 상기한 바와 같이 출하펌프(6a)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회로로서 종래와 동일 유사하고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이 추구하는 접지 여부에 따라 출하펌프(6a)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기 위해 제어부(1)의 제어 신호에 의해 펌프제어회로(6b)가 제어된다.
이렇게 접지 여부에 따라 출하펌프(6a)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 상기 접지감지부(2)는 접지판(2a)에 차량의 접지선(미도시)이 연결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두 개의 접지선에 각각 접지판(2a)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하고, 차량의 접지선에 연결된 접지용 집게로 두 접지판을 물어줌으로서 두 접지선이 연결되며, 이렇게 두 접지선이 연결됨으로서 제어부(1)에서는 접지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두 접지판(2a)이 서로 접촉되었는 지 여부는 접지감지회로(2b)에서 감지되며, 이 점지감지회로(2b)는 두 접지선의 통전 상태만을 확인함으로서 접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회로 또한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와 같이 접지감지부(2)에서 접지가 이루어진 것을 감지한 상태에서만 출하펌프(6a)가 구동되게 하기 위해서는 출하펌프(6a)의 구동을 접지감지부(2)와 연계하여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며, 이러한 수단으로 상기한 손잡이잠금부(3)와 손잡이작동감지부(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잠금부(3)는 유류공급관의 중간에 설치된 밸브를 작동시키는 밸 브손잡이(41)가 작동되지 않게 제한하거나 작동될 수 있게 놓아주는 수단이다.
상기 밸브손잡이(41)은 기존의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에 구비된 것과 동일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손잡이잠금부(3)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부연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밸브손잡이(4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레버들(41a, 41b, 41c)로 구성되어 잇으며, 이렇게 다수의 레버로 구성한 이유는 유류공급관의 배출구가 유조차의 위까지 연장되게 구성되고, 이렇게 연장되게 구성된 유류공급관의 단부측 즉, 유조차의 위에서 밸브손잡이(41)를 작동시켜 밸브를 개폐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밸브손잡이(41)는 적재자가 파지하여 작동시키는 작동레버(41a)와 ; 유류공급관의 중단에 설치된 밸브에 연결되어 밸브를 개폐하는 밸브레버(41b)와 ; 상기 밸브레버(41b)와 작동레버(41a) 사이에 연결된 연결레버(41c)로 구성되며, 상기 밸브레버(41b)의 단부에는 상기 손잡이잠금부(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잠금부(3)는 잠금장치부(31)와 잠금센싱부(32)로 구성된다.
상기 잠금장치부(31)는 실제로 밸브손잡이(41)의 밸브레버(41b)가 움직이지 못하게 하거나 움직일 수 있게 방치하는 수단으로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수단(311a)와, 상기 자력발생수단(311a)의 자력에 의해 당겨져 고정되고, 상기 밸브레버(41b)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판(312a)으로 구성된 잠금장치(3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부(31)는 상기 잠금장치(3a)에 전원을 인가하여 자력발생수단(311a)에서 발생되는 자력을 단속하는 잠금제어회로(31b)를 더 포함하며, 이 잠금제어회로(31b)는 단순히 자력발생수단(311a)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회로로서, 상기 접지감지부(2)에서 감지된 접지 확인 신호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어 자력발생수단(311a)가 자력을 상실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밸브레버(41b)는 자유롭게 작동될 수 잇는 상태가 된다.
상기 잠금센싱부(32)는 상기 고정판(312a)이 자력발생수단(311a)에 밀착됨을 감지하는 레버잠금센서(32a)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레버잠금센서(32a)는 마이크로 스위치의 한 종류로서 상기 자력발생수단(311a)의 자력에 의해 고정판(312a)이 자력발생수단(311a)에 부착된 상태가 되면 이를 감지하여 출하펌프구동부(6)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출하펌프(6a)가 구동되지 않게 한다.
상기 손잡이작동감지부(4)는 상기 자력발생수단(311a)에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작동감지부(4)는 상기한 밸브손잡이(41)의 밸브레버(41b)가 작동하여 밸브가 개방되었는 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밸브레버(41b)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접점이 단속되는 손잡이감지센서(4a)로 구성되며, 이 손잡이감지센서(4a)는 마이크로 스위치의 한 종류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밸브레버(41b)가 접촉되면 출하펌프(6a)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밸브레버(41b)가 멀어지면 출하펌프(6a)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즉, 유조차의 상부로 연장된 유류공급관 측에 설치된 작동레버(41a)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겨지면 상기 밸브레버(41b)가 당겨지고 이렇게 밸브레 버(41b)가 당겨지면 손잡이감지센서(4a)는 밸브레버(41b)가 당겨진 것을 인식하여 출하펌프(6a)에 전원을 공급하여 유류가 유류공급관을 통해 유조차로 공급되게 한다.
상기 손잡이감지센서(4a)에도 손잡이작동감지회로(4b)가 연력되어 있으며, 이 손잡이작동감지회로(4b) 또한, 단순하게 상기 손잡이감지센서(4a)의 접속여부만을 판단하고 이 접속 여부에 대한 신호를 제어기(1)에 전송하여 출하펌프(6a)의 구동을 제어하게 한다.
상기 경고부(5)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유류의 적재를 시작하기 전이나 유류를 적재하는 과정에서 접지가 이루어진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수단으로서 음성을 출력하는 경고스피커(5a)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상적인 것이기는 하지만 상기 경고스피커(5a)에는 음성출력시호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출력 증폭회로(5b)를 더 설치하여 음성 출력을 높일 수 있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의 상기 손잡이잠금부(3)에는 상기 자력발생수단(311a)에 공급되는 전원을 임의로 단속할 수 잇는 수동 작동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지감지부(2)가 고장을 일으켜 접지가 되었음에도 이를 감지못하거나 오동작 할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주동 작동수단을 구비하며 이는 적재자 또는 관리자의 임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자력발생수단(311a)에 공급되는 전원을 강제로 차단시켜 밸브레버(41b)가 임의로 작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기(1)는 위에서 설명한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 로 각 수간의 신호를 상호 연결하여 각 구성요소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의 작동은 상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설명되었으나 이를 다시 한 번 정리하면 아래와 같으며, 전체적인 과정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다.
먼저, 유류를 적재할 차량이 해당 유류 적재 위치에 주차를 하고, 적재자가 관리자로부터 출하표를 받아 출하표함(미도시)에 넣는다.
적재자가 유조차의 유조탱크에 탑승하여 유조차에 구비된 접지선의 끝에 구비된 집게로 접지판(2a)을 집어 접지판(2a)들이 서로 접촉되게 한다.
이에 따라 접지판(2a)은 두 전지선을 연결하여 접지가 이루어진 상태가 되고, 잠금손잡이부(3)를 구성하는 잠금수단(31a)의 자력발생수단(311a)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고, 고정판(312a)이 자유롭게 놓여진다.
이에 따라 고정판(312a)이 단부에 설치된 밸브손잡이(41)를 구성하는 밸브레버(41b)가 자유롭게 작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자가 작동레버(41a)를 당김으로서 밸브가 개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감지센서(4a)는 밸브가 개방됨을 제어부에 알리고 제어부에서는 출하펌프구동부(6)에 출하펌프 구동신호를 전송하여 출하펌프(6a)가 구동하게 된다.
이렇게 출하펌프(6a)가 구동되어 유류가 유조차에 탑재되고 유류의 탑재가 완료되면 적재자는 작동레버(41a)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어 밸브가 닫히게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감지센서(4a)는 밸브레버(41b)가 작동되어 밸브가 닫 혀짐을 감지하여 제어기(1)에 전송한다.
제어기(1)는 펌프제어회로(6b)에 신호를 보내 출하펌프(6a)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적재자는 접지판으로부터 접지용 집게를 분리한다.
이때 경고스프커(5a)는 접지가 분리되었음을 알린다.
또한 이러한 유류 적재과정에서 상기 접지감지부(2)는 지속적으로 접지여부를 감지하고, 유류 적재 과정에서 어떠한 이유로 접지가 풀렸을 때에는 이를 경고스피커를 통해 알린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의 일예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에 있어서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의 밸브손잡이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에 있어서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의 밸브손잡이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을 이용한 유류 적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제어부
2 : 접지감지부 2a : 접지판 2b : 접지감지회로
3 : 손잡이잠금부 31 : 잠금장치부 31a : 잠금수단
311a : 자력발생수단 312a : 고정판 31b : 잠금제어회로
32 : 잠금센싱부 32a : 잠금센서 32b : 잠금센서감지회로
4 : 손잡이작동감지부 4a : 손잡이센서 4b : 손잡이작동감지회로
5 : 경고부 5a : 경고스피커 5b : 음성출력 증폭회로
6 : 출하펌프구동부 6a : 출하펌프 6b : 펌프제어회로

Claims (6)

  1. 저유소에 저장되고 출하펌프(6a)를 통해 펌핑하여 유조차에 유류를 적재하는 유류공급관의 중단에 설치된 밸브를 개폐하는 밸브손잡이(41)를 단속하는 레버단속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의 전기 충격을 지중으로 배출하는 접지선의 접속여부를 감지하는 접지감지부(2)와 ; 상기 접지감지부(2)에서 접지가 감지되면 밸브손잡이가 자유롭게 작동될 수 있게 하고,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손잡이가 작동되지 않도록 잠그는 손잡이잠금부(3)와 ; 상기 손잡이잠금부(3)가 해제되어 밸브손잡이(41)가 작동되어 밸브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손잡이작동감지부(4)와 ; 접지가 안된 상태에서 밸브손잡이가 작동되면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경고하는 경고부(5)와 ; 접지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밸브손잡이가 작동되어 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출하펌프(6a)에 전원을 인가하여 유류가 펌핑되도록 출하펌프(6a)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출하펌프구동부(6) 및 ;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밸브손잡이(41)는 적재자가 파지하여 작동시키는 작동레버(41a)와 ; 유류공급관의 중단에 설치된 밸브에 연결되어 밸브를 개폐하는 밸브레버(41b)와 ; 상기 밸브레버(41b)와 작동레버(41a) 사이에 연결된 연결레버(41c)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잠금부(3)는 잠금장치부(31)와 잠금센싱부(32)로 구성되고, 상기 잠금장치부(31)는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수단(311a)와, 상기 자력발생수단(311a)의 자력에 의해 당겨져 고정되고, 상기 밸브레버(41b)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판(322a)으로 구성된 잠금장치(3a)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센싱부(32)는 상기 고정판(322a)이 자력발생수단(311a)에 밀착됨을 감지하는 레버잠금센서(31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작동감지부(4)는 상기 자력발생수단(311a)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레버(41b)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밸브레버(41b)가 작동되어 밸브가 개방되었는 지 여부를 감지하는 손잡이감지센서(4a)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레버(41b)의 단부에는 상기 손잡이잠금부(3)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5)는 음성을 출력하는 경고스피커(5a)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
KR1020070103751A 2007-10-15 2007-10-15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 KR100916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751A KR100916653B1 (ko) 2007-10-15 2007-10-15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751A KR100916653B1 (ko) 2007-10-15 2007-10-15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322A KR20090038322A (ko) 2009-04-20
KR100916653B1 true KR100916653B1 (ko) 2009-09-11

Family

ID=40762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751A KR100916653B1 (ko) 2007-10-15 2007-10-15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6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8100A (ja) * 1996-04-12 1997-10-28 Takamasa Sone 灯油分配装置
JP2002012297A (ja) * 2000-06-30 2002-01-15 Bridgestone Flowtech Corp 供給流体の圧力調整装置
KR20040050694A (ko) * 2002-12-09 2004-06-16 다쯔노 코포레이션 급유장치
JP2004196373A (ja) 2002-12-19 2004-07-15 Tokiko Techno Kk 燃料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8100A (ja) * 1996-04-12 1997-10-28 Takamasa Sone 灯油分配装置
JP2002012297A (ja) * 2000-06-30 2002-01-15 Bridgestone Flowtech Corp 供給流体の圧力調整装置
KR20040050694A (ko) * 2002-12-09 2004-06-16 다쯔노 코포레이션 급유장치
JP2004196373A (ja) 2002-12-19 2004-07-15 Tokiko Techno Kk 燃料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322A (ko) 2009-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6523B2 (en) Method and diagnostic facility for checking high-pressure tank valves, high-pressure tank system and motor vehicle with a high-pressure tank system
US9857807B2 (en) Automated relief valv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7671482B2 (en) Hydrogen powered vehicle refueling strategy
US7171989B2 (en) Fuel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JP6848784B2 (ja) タンク搭載装置
JP7184808B2 (ja) 車両用の圧力容器システム
US10850609B2 (en) Solenoid assembly for a valve
JP3736414B2 (ja) 車両用燃料装置及び燃料充填設備並びに燃料充填システム
US6789519B1 (en) Remote engine stop/start system with backup motor control
KR100916653B1 (ko) 접지를 이용한 저유소의 유류레버 단속시스템
CN109624824B (zh) 罐式车辆
CN106314245B (zh) 自卸汽车辅助举升系统
WO2004014683A1 (en) Safety device for vehicles with gas fuelled engines
JP2018048635A (ja) 燃料タンクシステム内の圧力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JP7117153B2 (ja) 燃料荷卸しシステム
CA2810380C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tanker truck overfill
KR20040005144A (ko) 연료 전지 에어 공급장치
EP1526276B1 (en) Remote engine stop/start system with backup motor control
EP0805121B1 (en) Safety system for tank lorries
JP3263610B2 (ja) キャブ・ティルト装置
KR100446470B1 (ko) 트럭전도방지 장치
KR19980077558A (ko) 가스충전장치의 가스차단방법
US7497524B2 (en) System for signaling potential unintended application of park air brake in a vehicle having a lift platform
CN207237138U (zh) 消防泵稳压控制装置
JPS621851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