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628B1 -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628B1
KR100916628B1 KR1020080093735A KR20080093735A KR100916628B1 KR 100916628 B1 KR100916628 B1 KR 100916628B1 KR 1020080093735 A KR1020080093735 A KR 1020080093735A KR 20080093735 A KR20080093735 A KR 20080093735A KR 100916628 B1 KR100916628 B1 KR 100916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olyethylene
extruder
manufacturing
blow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한
이영국
김영식
Original Assignee
이상한
이영국
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35555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1662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한, 이영국, 김영식 filed Critical 이상한
Priority to KR1020080093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6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6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73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blow-moulding ope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49/4278Cut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08J9/102Azo-compounds
    • C08J9/103Azodicarbon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 B29K2105/0032Pigments, colouring agents or opacifiy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72Roughness, e.g. anti-s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재질로 구성된 펠렛 형태의 원료를 제1압출기의 투입부로 투입하는 단계; 실리카,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및 발포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황토에 첨가되어 제조되는 황토 혼합물을 제2압출기의 투입부로 투입하는 단계; 제1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폴리에틸렌과 제2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황토 혼합물이 블로우 성형을 통해 블로우 성형물의 외측면에 폴리에틸렌 성분이 위치하고 블로우 성형물의 내측면에 황토 혼합물이 위치하도록 성형되는 단계; 및, 상기 블로우 성형물의 종단면을 절단하여 절단된 블로우 성형물을 시트 형태로 각각 펴지도록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미끄럼 방지 기능이 우수하면서 친환경적이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미끄럼, 블로우 성형, 시트, 폴리에틸렌, 황토

Description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heet preventing slipe}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이나 토목 현장 등에서 비포장도로의 보행 편의를 위해 바닥에 시트를 설치하는데, 보행자나 작업자가 시트 위를 걸을 경우 시트의 특성상 바닥이 미끄러워 불편함이 발생하고, 비나 이슬이 내린 경우에는 더욱 미끄럼이 심하여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항상 상존하고 있었다.
또한, 논두렁 및 밭두렁을 비닐 시트로 덮어 잡초들이 논 및 밭으로 내려가는 것을 예방하는데, 비닐 시트의 특성상 걸어다니기 미끄럽고, 특히 이슬 및 비가 내린 후에는 미끄러워 농사일에 지장을 주고 있고 있으며, 시각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면서도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재질로 구성된 펠렛 형태의 원료를 제1압출기의 투입부로 투입하는 단계; 실리카,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및 발포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황토에 첨가되어 제조되는 황토 혼합물을 제2압출기의 투입부로 투입하는 단계; 제1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폴리에틸렌과 제2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황토 혼합물이 블로우 성형을 통해 블로우 성형물의 외측면에 폴리에틸렌 성분이 위치하고 블로우 성형물의 내측면에 황토 혼합물이 위치하도록 성형되는 단계; 및, 상기 블로우 성형물의 종단면을 절단하여 절단된 블로우 성형물을 시트 형태로 각각 펴지도록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을 단계별로 세분화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계 1: 폴리에틸렌 재질로 구성된 펠렛 형태의 원료를 제1압출기의 투입부로 투입하는 단계
본 단계 1은 폴리에틸렌 재질로 구성된 펠렛 형태의 원료를 제1압출기의 투입부로 투입하는 단계이다.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은 유연성이 좋으면서 내수성,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고, 산 또는 알카리에 대해 잘 견디며, 저온에서도 유연성을 잃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틸렌 재질은 특정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단계 2: 실리카,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및 발포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황토에 첨가되어 제조되는 황토 혼합물을 제2압출기의 투입부로 투입하는 단계
본 단계 2는 실리카,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및 발포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황토에 첨가되어 제조되는 황토 혼합물을 제2압출기의 투입부로 투입하는 단계이다.
한편, 일반 폴리 에틸렌 재질로 구성된 시트는 시트의 특성상 걸어다니기 미끄럽고, 특히 비나 이슬이 내린 뒤에는 미끄러움이 더욱 심하여 불편을 주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실리카,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및 발포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황토에 첨가되어 제조되는 황토 혼합물을 제2압출기의 투입부로 투입하는데, 상기 단계 1에서 투입된 폴리에틸렌 재질로 구성된 펠렛 형태의 원료와 황토 혼합물이 일체형으로 성형된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서이 다. 본 발명으로부터 제조된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는 본 단계에서 제2압출기의 투입부로 투입된 황토 혼합물로 인하여 미끄러움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나 이슬이 내린 뒤에도 황토의 수분 흡수력으로 인해 미끄러움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황토는 동-식물의 성장에 꼭 필요한 원적외선을 다량 방사하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물질을 방출시키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황토 혼합물에 포함되는 실리카(SiO2)는 흡습성과 탈지성 있어서 황토 혼합물이 폴리에틸렌 재질의 시트에 접합되어 단시간에 건조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며, 보강제 및 미끄럼 방지제의 역할도 한다.
탄산칼슘(CaCO3)은 황토 혼합물 각 성분 간의 응집력 및 결집력을 증대시켜 강도를 양호하게 유지시키며, 미끄럼 방지제의 역할도 한다.
제올라이트(Zeolite)는 미세한 다공질 함수 규산염 광물질로서, 물리적 흡착력과 화학적 양이온 치환작용이 뛰어난 물질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올라이트가 황토와 혼합되는 경우, 수분 조절 기능이 더욱 향상된다는 점을 이용하여 황토 혼합물에 포함시켰으며, 또한,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어 미끄럼 방지 기능이 우수한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벤토나이트(Bentonite)는 몬모릴로나이트를 주로 한 점토로서, 이온 교환성, 현탁성, 흡착성, 팽윤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본 발명에서는 제조된 시트의 강성을 향상시키며, 미끄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발포제는 특정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아조디카본아미 나이드(Azodicarbonamide)인 것이 좋다.
한편, 황토 혼합물은 바람직하게 산화방지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 또는 색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 흡수제는 황토 혼합물의 변패를 예방한다. 산화방지제는 특정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또는 티오에스테르인 것이 좋고, 색소의 종류는 사람의 기호에 따라 첨가될 수 있는데, 가장 바람직하게는 녹색 색소인 것이 좋다.
단계 3: 제1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폴리에틸렌과 제2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황토 혼합물이 블로우 성형을 통해 블로우 성형물의 외측면에 폴리에틸렌 성분이 위치하고 블로우 성형물의 내측면에 황토 혼합물이 위치하도록 성형되는 단계
본 단계 3은 제1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폴리에틸렌과 제2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황토 혼합물이 블로우 성형을 통해 블로우 성형물의 외측면에 폴리에틸렌 성분이 위치하고 블로우 성형물의 내측면에 황토 혼합물이 위치하도록 성형되는 단계이다.
블로우 성형이란 성형물을 주입하여 관의 내부로 공기를 불어줌으로서 성형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은 제1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폴리에틸렌과 제2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황토 혼합물이 블로우 성형을 통해 블로우 성형물의 외측면에 폴리에틸렌 성분이 위치하고 블로우 성형물의 내측면에 황토 혼합물이 위치하도록 성형함으로서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단계 4: 상기 블로우 성형물의 종단면을 절단하여 절단된 블로우 성형물을 시트 형태로 각각 펴지도록 성형하는 단계
단계 4는 상기 블로우 성형물의 종단면을 절단하여 절단된 블로우 성형물을 시트 형태로 각각 펴지도록 성형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3에서 생산된 블로우 성형물은 이어진 형태이기 때문에 시트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서로 이어진 형태인 성형물의 종단면을 절단함으로써 블로우 성형물을 시트 형태로 각각 펴지도록 성형하는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구성된 시트의 한쪽 전체적인 면에 황토 혼합물이 적층되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 기능이 우수하고, 친환경적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의 제조방법은 폴리에틸렌 재질로 구성된 시트의 전체적인 한면에 황토 혼합물이 적층되어 결합된 시트를 제조할 수 있어 미끄럼 방지 기능이 우수하면서 폴리에틸렌 재질로 구성된 시트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및 열에너지를 발생하여 유해물질을 정화 및 분해하는 황토의 효과로 인해 친환경적인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 제조
폴리에틸렌 재질로 구성된 펠렛 형태의 원료를 제1압출기의 투입부로 투입하고, 실리카,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아조디카본아미나이드(Azodicarbonamide), 벤트나이트, ANOX 20(페놀계 산화방지제), LOWITITE 22(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 녹색 색소가 황토에 첨가되어 제조된 황토 혼합물을 제2압출기의 투입부로 투입한 후, 제1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폴리에틸렌과 제2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황토 혼합물이 블로우 성형을 통해 블로우 성형물의 외측면에 폴리에틸렌 성분이 위치하고 블로우 성형물의 내측면에 황토 혼합물이 위치하도록 성형하였다. 상기 블로우 성형물의 종단면을 절단하여 절단된 블로우 성형물을 시트 형태로 각각 펴지도록 성형함으로서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이하 '미끄럼 방지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미끄러짐 각도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미끄럼 방지 시트와 일반 시트를 일정크기의 유리판에 씌운 후, 아크릴판을 사용하여 경사판의 각도를 올려 추가 미끄러지기 시작할 때의 경사각을 측정하였다.
각도(˚)
미끄럼 방지 시트 28.4
일반 시트 13.9
미끄러짐 각도를 측정한 결과, 미끄럼 방지 시트가 일반 시트보다 높은 각도를 나타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시트는 미끄럼 방지 기능이 우수하여 일반 시트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관능검사
패널 1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미끄럼 방지 시트와 일반시트 대해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미끄럼 방지 시트와 일반 시트로 야외의 바닥을 각각 덮어 15일 동안 사용한 후, 외관, 미끄러움 및 종합적인 기호도를 5점 척도법으로 측정하였는데, 외관 및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5점은 '매우 좋다', 3점은 '보통이다', 1점은 '매우 나쁘다'로 나타내고, 미끄러움에서 5점은 '미끄러움이 전혀 없다', 3점은 ' 보통이다', 1점은 '미끄러움이 심하다'라고 나타냈다.
외관 미끄러움 종합적인 기호도
미끄럼 방지 시트 4.5 4.3 4.7
일반 시트 2.1 1.9 2.3
관능평가 결과, 미끄럼 방지 시트는 황토가 도포되어 있어 외관이 좋으면서 미끄러움이 없었고, 특히 아침에 이슬이 내린 뒤에도 미끄럽지 않아 걸어다니기 용이한 반면, 일반 시트는 외관이 좋지 않으면서 미끄러웠고, 특히 이슬이 내린 뒤에는 미끄러움이 심하여 걸어다니기 불편하였다. 또한, 종합적인 기호도에서도 미끄럼 방지 시트가 일반 시트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시트는 미끄러움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외관이 좋은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폴리에틸렌 재질로 구성된 펠렛 형태의 원료를 제1압출기의 투입부로 투입하는 단계;
    실리카,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및 발포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황토에 첨가되어 제조되는 황토 혼합물을 제2압출기의 투입부로 투입하는 단계;
    제1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폴리에틸렌과 제2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황토 혼합물이 블로우 성형을 통해 블로우 성형물의 외측면에 폴리에틸렌 성분이 위치하고 블로우 성형물의 내측면에 황토 혼합물이 위치하도록 성형되는 단계; 및,
    상기 블로우 성형물의 종단면을 절단하여 절단된 블로우 성형물을 시트 형태로 각각 펴지도록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재질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발포제는,
    아조디카본아미나이드(Azodicarbonam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황토 혼합물은,
    산화방지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 또는 색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또는 티오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색소는,
    녹색 색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080093735A 2008-09-24 2008-09-24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의 제조방법 KR100916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735A KR100916628B1 (ko) 2008-09-24 2008-09-24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735A KR100916628B1 (ko) 2008-09-24 2008-09-24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6628B1 true KR100916628B1 (ko) 2009-09-08

Family

ID=41355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735A KR100916628B1 (ko) 2008-09-24 2008-09-24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6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156A (ko) * 1985-06-10 1987-02-16 이데미쓰 세끼유 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다층수지재료의 제조방법
JPH10309744A (ja) 1997-05-13 1998-11-24 Tokai Rubber Ind Ltd ゴムシートの製法
JPH1177787A (ja) 1997-09-02 1999-03-23 Daikin Ind Ltd 高導電性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高導電性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幅広長尺状シート
KR100623495B1 (ko) 2006-05-01 2006-09-13 장한봉 자연친화적인 비닐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156A (ko) * 1985-06-10 1987-02-16 이데미쓰 세끼유 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다층수지재료의 제조방법
JPH10309744A (ja) 1997-05-13 1998-11-24 Tokai Rubber Ind Ltd ゴムシートの製法
JPH1177787A (ja) 1997-09-02 1999-03-23 Daikin Ind Ltd 高導電性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高導電性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幅広長尺状シート
KR100623495B1 (ko) 2006-05-01 2006-09-13 장한봉 자연친화적인 비닐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304B1 (ko)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KR102222628B1 (ko) 탄소저감 및 미세먼지 포집이 용이한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 조성물 및 그 조성물로 제조되는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
KR102267726B1 (ko) 인조잔디용 섬유보강 탄성 배수판
KR101751678B1 (ko) 인조잔디용 충진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44420B1 (ko) 우수한 탈취효과를 가진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 방사용 조성물 첨가 폴리스티렌 몰딩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몰딩 제품
KR101847592B1 (ko) Pvb 수지를 포함하는 인조 잔디 충진재 제조 방법
KR101450764B1 (ko) 미끄럼 방지 및 물성성능이 향상된 합성목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52281B1 (ko) 재활용 자재를 이용한 발포 목재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1992602B1 (ko) 대나무 분말이 포함된 합성목재 제조방법
KR100916628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시트의 제조방법
KR101869049B1 (ko) 코르크 칩 탄성포장재
KR101684179B1 (ko) 인조잔디용 친환경 탄성체 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32141B1 (ko) 시트형 탄성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070663B (zh) 连续长纤维增强木塑制品的工艺
KR101009279B1 (ko) 친환경 기능성 이피디엠 고무칩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탄성포장로 및 그 시공방법
KR100299908B1 (ko) 벤트나이트를 사용하는 합성수지의 발포방법 및 합성수지발포체
KR101584493B1 (ko) 다단 적층 구조를 갖는 놀이방 매트
KR101932142B1 (ko) 시트형 탄성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7843B1 (ko) 폐 중밀도섬유판 및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친환경 탄성포장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22623B1 (ko) 탄소 저감 및 미세먼지 포집이 용이한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16880B1 (ko) 폐자원의 재활용을 통한 친환경 합성목재 제조방법
KR102220885B1 (ko) 유리섬유와 발포를 이용한 데크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85917B1 (ko) 외장보드 및 외장보드 제조방법
KR102096717B1 (ko) 포설용 코르크 바닥재 조성물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포설용 코르크 바닥재 조성물
JP2007151502A (ja) 農業用積層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10000149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529

Effective date: 20131205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529

Effective date: 2013120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