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493B1 - 다단 적층 구조를 갖는 놀이방 매트 - Google Patents

다단 적층 구조를 갖는 놀이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493B1
KR101584493B1 KR1020150119240A KR20150119240A KR101584493B1 KR 101584493 B1 KR101584493 B1 KR 101584493B1 KR 1020150119240 A KR1020150119240 A KR 1020150119240A KR 20150119240 A KR20150119240 A KR 20150119240A KR 101584493 B1 KR101584493 B1 KR 101584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foamed resin
weight
starch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철
Original Assignee
이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17284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8449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철 filed Critical 이재철
Priority to KR1020150119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493B1/ko
Priority to PCT/KR2016/009320 priority patent/WO201703429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2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both fibrous and foamed material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적층 구조를 갖는 놀이방 매트에 관한 것으로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폴리에틸렌 88 ~ 92중량%, 발포제 2중량% 이하, 난연제 6 ~ 8중량%, 가교제 0.1% 이하, 안료 1중량% 이하로 함유됨과 아울러 압출가공에 의해 폴리에틸렌(PE) 발포성형체로 형성되고, 폴리에틸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25매쉬 이하로 1차 분쇄됨과 아울러 2차 분쇄를 통해 입도 1 ~ 5㎛의 분말로 선별된 황토와 모나자이트가 각각 1:0.5~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무기질 분말을 1~1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며, 폴리에틸렌의 발포배율이 40~50배로 형성되고, 3~15㎜의 두께로 형성되는 하부발포수지층과, 상기 하부발포수지층의 상부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폴리에틸렌 88 ~ 92중량%, 발포제 2중량% 이하, 난연제 6 ~ 8중량%, 가교제 0.1% 이하, 안료 1중량% 이하로 함유됨과 아울러 압출가공에 의해 폴리에틸렌(PE) 발포성형체로 형성되고, 폴리에틸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25매쉬 이하로 1차 분쇄됨과 아울러 2차 분쇄를 통해 입도 1 ~ 5㎛의 분말로 선별된 황토와 모나자이트가 각각 1:0.5~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무기질 분말을 1~1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며, 폴리에틸렌의 발포배율이 40~50배로 형성되고, 3~15㎜의 두께로 형성되는 상부발포수지층과, 상기 하부발포수지층 및 상부발포수지층 사이에 구비되며, 상면 및 하면에 상향 및 하향으로 각각 돌출된 다수의 에어캡이 형성되고, 에어캡의 내측에는 탄성력을 증가시키는 젤 타입의 유동성 고체를 갖는 에어쿠션층과, 상기 하부발포수지층과 에어쿠션층 사이 및 상부발포수지층과 에어쿠션층 사이에 형성되며, 전분계 중합체 입자 수계 에멀젼, 접착 보강제 및 점도 조절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전분계 중합체 입자는 전분 분해물과, 경질 단량체 및 연질 단량체를 포함하는 코어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형성된 전분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경질 단량체와 연질 단량체를 포함하는 쉘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코어 상에 형성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중합체 입자이고, 경질 단량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가지며 그 단독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250℃인 단량체이고, 연질 단량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가지며 그 단독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10℃ 내지 -80℃인 단량체이고, 점도 조절제는 우레탄으로 개질된 폴리에테르 수계 에멀젼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전분계 중합체 입자 수계 에멀젼은 고형분 함량이 40~60 중량%로 형성되며, 전분계 중합체 입자의 유리전이온도는 5~25℃로 형성되고, 전분계 중합체 입자 수계 에멀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90 중량%로 형성되어 하부발포수지층과 에어쿠션층 및 상부발포수지층과 에어쿠션층을 접합하도록 형성되는 접착층과, 상기 하부발포수지층, 상부발포수지층, 에어쿠션층 및 접착층으로 형성되는 제1쿠션층이 한 쌍으로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적층되어 접착층에 의해 접착 고정되고, 다단으로 적층되는 제1쿠션층은 직물재로 형성되는 커버에 의해 감싸지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단 적층 구조를 갖는 놀이방 매트{Playroom mat having multi-layer structure}
본 발명은 다단 적층 구조를 갖는 놀이방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포 성형된 발포수지층을 다수개 적층 구비함과 아울러 다수개의 발포수지층 사이에 에어를 갖는 다수개의 에어쿠션층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놀이방 매트 위에서 사람이 뛰거나 걷는 등의 활동할 시에 그 충격이 하부로 전달되어 층간 소음 등이 유발되는 것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지속 된 하중에도 놀이방 매트의 형태가 손상되지 아니하고 복원되도록한 다단 적층 구조를 갖는 놀이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놀이방 매트는 아이들이 자주 뛰노는 놀이방의 바닥에 설치함으로써 아이들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고 놀이방 바닥의 냉기나 오염을 방지하게 하는 등 다목적으로 널리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아이들이 넘어지거나 부딪힐 때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 인체와 접촉되는 상층과 바닥에 접촉되는 하층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상층과 하층을 서로 접합시켜 완충기능을 수행하며, 부가적으로 발포층의 표면에 인쇄층을 구비하여 인쇄층에 도시된 각종 도형 또는 문자 등에 의해 교육적 목표로 사용되기 위한 기능이 있는 정도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놀이방 매트는 상층과 하층이 모두 연질 PVC와 같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로서, 촉감이 끈적한 고무판의 느낌이 나서 접촉되는 부위에 불쾌감을 유발함과 아울러 특유의 기름 냄새가 오랫동안 나거나 악취 원인물질이 쉽게 흡착되어 냄새가 오랫동안 잔류할 뿐만 아니라 수분, 먼지 등의 각종 오염물질이 표면의 끈적거림에 의해 흡착되어 쉽게 더러워지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놀이방 매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매트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일정 형상 및 두께를 갖는 한 쌍의 폴리염화비닐(PVC) 발포물 사이에 동일 형상의 폴리에틸렌(PE) 발포물 또는 폴리프로필렌(PP) 발포물이 접착되어 고정된 후, 상기 매트의 가장자리 부분은 압착기를 매개로 고주파 압착되며, 최상층에 위치한 상기 폴리염화비닐(PVC) 상면에는 다양한 색상 및 문양의 디자인을 갖는 직물원단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6181호에서와 같이 공지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은 저가의 원재료를 사용함에 따라 제품의 생산단가를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지속적인 하중을 받을 시에는 복원력이 저하되어 쿠션감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주로 사용하는 놀이방 매트에서 유해물질이 배출되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다단 적층 구조를 갖는 놀이방 매트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618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발포 성형된 발포수지층을 다수개 적층 구비함과 아울러 다수개의 발포수지층 사이에 에어를 갖는 에어쿠션층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놀이방 매트 위에서 사람이 뛰거나 걷는 등의 활동할 시에 그 충격이 하부로 전달되어 층간 소음 등이 유발되는 것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지속 된 하중에도 놀이방 매트의 형태가 손상되지 아니하고 복원되도록 하는 다단 적층 구조를 갖는 놀이방 매트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폴리에틸렌 88 ~ 92중량%, 발포제 2중량% 이하, 난연제 6 ~ 8중량%, 가교제 0.1% 이하, 안료 1중량% 이하로 함유됨과 아울러 압출가공에 의해 폴리에틸렌(PE) 발포성형체로 형성되고, 폴리에틸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25매쉬 이하로 1차 분쇄됨과 아울러 2차 분쇄를 통해 입도 1 ~ 5㎛의 분말로 선별된 황토와 모나자이트가 각각 1:0.5~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무기질 분말을 1~1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며, 폴리에틸렌의 발포배율이 40~50배로 형성되고, 3~15㎜의 두께로 형성되는 하부발포수지층과, 상기 하부발포수지층의 상부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폴리에틸렌 88 ~ 92중량%, 발포제 2중량% 이하, 난연제 6 ~ 8중량%, 가교제 0.1% 이하, 안료 1중량% 이하로 함유됨과 아울러 압출가공에 의해 폴리에틸렌(PE) 발포성형체로 형성되고, 폴리에틸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25매쉬 이하로 1차 분쇄됨과 아울러 2차 분쇄를 통해 입도 1 ~ 5㎛의 분말로 선별된 황토와 모나자이트가 각각 1:0.5~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무기질 분말을 1~1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며, 폴리에틸렌의 발포배율이 40~50배로 형성되고, 3~15㎜의 두께로 형성되는 상부발포수지층과, 상기 하부발포수지층 및 상부발포수지층 사이에 구비되며, 상면 및 하면에 상향 및 하향으로 각각 돌출된 다수의 에어캡이 형성되고, 에어캡의 내측에는 탄성력을 증가시키는 젤 타입의 유동성 고체를 갖는 에어쿠션층과, 상기 하부발포수지층과 에어쿠션층 사이 및 상부발포수지층과 에어쿠션층 사이에 형성되며, 전분계 중합체 입자 수계 에멀젼, 접착 보강제 및 점도 조절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전분계 중합체 입자는 전분 분해물과, 경질 단량체 및 연질 단량체를 포함하는 코어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형성된 전분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경질 단량체와 연질 단량체를 포함하는 쉘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코어 상에 형성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중합체 입자이고, 경질 단량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가지며 그 단독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250℃인 단량체이고, 연질 단량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가지며 그 단독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10℃ 내지 -80℃인 단량체이고, 점도 조절제는 우레탄으로 개질된 폴리에테르 수계 에멀젼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전분계 중합체 입자 수계 에멀젼은 고형분 함량이 40~60 중량%로 형성되며, 전분계 중합체 입자의 유리전이온도는 5~25℃로 형성되고, 전분계 중합체 입자 수계 에멀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90 중량%로 형성되어 하부발포수지층과 에어쿠션층 및 상부발포수지층과 에어쿠션층을 접합하도록 형성되는 접착층과, 상기 하부발포수지층, 상부발포수지층, 에어쿠션층 및 접착층으로 형성되는 제1쿠션층이 한 쌍으로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적층되어 접착층에 의해 접착 고정되고, 다단으로 적층되는 제1쿠션층은 직물재로 형성되는 커버에 의해 감싸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층 구조를 갖는 놀이방 매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다단 적층 구조를 갖는 놀이방 매트는 발포 성형된 하부발포수지층 및 상부발포수지층을 적층 구비함과 아울러 하부발포수지층 및 상부발포수지층 사이에 에어를 갖는 에어쿠션층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놀이방 매트 위에서 사람이 뛰거나 걷는 등의 활동할 시에 그 충격이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지속된 하중에도 놀이방 매트의 형태가 손상되지 아니하고 복원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단 적층 구조를 갖는 놀이방 매트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다단 적층 구조를 갖는 놀이방 매트는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폴리에틸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황토와 모나자이트가 각각 1:0.5~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무기질 분말을 1~1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고, 폴리에틸렌의 발포배율이 40~50배로 형성되며, 3~15㎜의 두께로 형성되는 하부발포수지층(10)과, 상기 하부발포수지층(10)의 상부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폴리에틸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황토와 모나자이트가 각각 1:0.5~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무기질 분말을 1~1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고, 폴리에틸렌의 발포배율이 40~50배로 형성되며, 3~15㎜의 두께로 형성되는 상부발포수지층(20)과, 상기 하부발포수지층(10) 및 상부발포수지층(20) 사이에 구비되며, 상면 및 하면에 상향 및 하향으로 각각 돌출된 다수의 에어캡(32)을 갖는 에어쿠션층(30)과, 상기 하부발포수지층(10)과 에어쿠션층(30) 사이 및 상부발포수지층(20)과 에어쿠션층(30) 사이에 형성되며, 하부발포수지층(10)과 에어쿠션층(30) 및 상부발포수지층(20)과 에어쿠션층(30)을 접합하도록 형성되는 접착층(40)과, 상기 하부발포수지층(10), 상부발포수지층(20), 에어쿠션층(30) 및 접착층(40)으로 형성되는 제1쿠션층(50)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직물재로 형성되는 커버(60)로 이루어진다.
먼저,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폴리에틸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황토와 모나자이트가 각각 1:0.5~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무기질 분말을 1~1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고, 폴리에틸렌의 발포배율이 40~50배로 형성되며, 3~15㎜의 두께로 형성되는 하부발포수지층(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부발포수지층(10)은 폴리에틸렌의 발포배율이 40~50배로 형성되는 것이 아이들에게 적합한 쿠션감과 완충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후술되는 상부발포수지층(20) 및 에어쿠션층(30)에서도 쿠션감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20~40배로 발포배율이 형성되어도 무방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발포수지층(10)이 형성되는 두께는 이동 또는 보관의 편리성 및 쿠션감을 위해 3~15㎜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며, 3㎜ 이하로 형성될 시에는 쿠션감이나 충격이 완화되는 정도가 부족하고, 15㎜ 이상으로 형성될 시에는 쿠션감이나 충격의 완화는 좋아지나 이동 또는 보관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필요 이상으로 완충효과가 발현되어 매트 위에서 아이들이 활동할 시에 균형을 잡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하부발포수지층(10)의 상부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폴리에틸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황토와 모나자이트가 각각 1:0.5~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무기질 분말을 1~1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고, 폴리에틸렌의 발포배율이 40~50배로 형성되며, 3~15㎜의 두께로 형성되는 상부발포수지층(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부발포수지층(20)은 폴리에틸렌의 발포배율이 40~50배로 형성되는 것이 아이들에게 적합한 쿠션감과 완충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하부발포수지층(10) 및 에어쿠션층(30)에서도 쿠션감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20~40배로 발포배율이 형성되어도 무방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발포수지층(20)이 형성되는 두께는 이동 또는 보관의 편리성 및 쿠션감을 위해 3~15㎜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며, 3㎜ 이하로 형성될 시에는 쿠션감이나 충격이 완화되는 정도가 부족하고, 15㎜ 이상으로 형성될 시에는 쿠션감이나 충격의 완화는 좋아지나 이동 또는 보관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필요 이상으로 완충효과가 발현되어 매트 위에서 아이들이 활동할 시에 균형을 잡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발포수지층(10) 및 상부발포수지층(20)을 형성하는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은 보통 폴리에틸렌 88 ~ 92중량%, 발포제 2중량% 이하, 난연제 6 ~ 8중량%, 가교제 0.1% 이하, 안료 1중량% 이하 등으로 함유되고 압출가공에 의해 폴리에틸렌(PE) 발포성형체로 제조되며, 상기 발포성형체는 발포제의 함량 등에 따라 발포배율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은 폴리스티렌과 달리 결정성의 수지이고 또한 유리전이점(Tg)이 -70℃ 정도로 낮기 때문에 발포의 균일성이 약간 떨어지지만 유연하고 완충성이 높으며, 단열성, 방수성, 내약품성 등이 뛰어나다. 그리고 내후성이 좋기 때문에 시간경과에 의한 탈색이 거의 없으며, 제조과정에서 프레온가스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폐기하기 위해 소각하더라도 유해성분이나 유해한 가스(염소를 포함하는 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발포수지층(10) 및 상부발포수지층(20)은 폴리에틸렌(PE) 발포성형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할 때, 황토와 모나자이트(Monazite)가 각각 1:0.5~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무기질 분말을 1~1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함으로써 원적외선 방출 및 음이온 발생은 물론 탈취, 항균기능이 발휘되는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참고로, 원적외선은 인체에 가장 유익한 에너지 곡선에 근접, 인체의 중심부분이 35℃ 이상의 체온을 유지, 혈류량을 유지시켜 신진대사 촉진으로 피로를 풀어주는 역할을 하며, 또한 음이온은 일반적으로 ‘공기 속의 비타민’ 또는 ‘공기 중에 있는 산소 알맹이’라고 일컬어지는 것으로, 공기 중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오염물질, 예를 들면, 담배연기, 아황산가스,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오존 및 각종 유기물질은 양이온을 형성하고 있는데, 음이온은 이들 양이온을 중화 침전시켜 제거하므로 공기를 깨끗하고 신선하게 유지하여 준다고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연구결과에 따르면, 보통 도시에는 음이온의 농도가 30 ~ 150개/㎤ 정도이고 양이온의 농도는 1000 ~ 1500개/㎤ 정도라고 하는데, 양이온은 세균이나 먼지, 꽃가루, 곰팡이, 오염된 입자들을 자유롭게 떠다니도록 하여 공기를 혼탁하게 만드는 반면, 음이온은 이들을 중화, 제거해 주며, 통상적으로 음이온은 (-)전하를 띤 공기의 원자요소로서 유해한 양이온을 중화, 제거시킴에 의해 피를 맑게 하고 신경안정과 피로회복, 세포의 활성화를 촉진 시켜 생기 있는 생활을 영위케 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그 외에도 음이온이 많은 공기는 두통을 없애주고 호흡기질환을 일으키는 신경호르몬인 자유히스타민을 억제하며, 식욕을 증진시키고 집중력과 인체 면역력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황토와 모나자이트는 각각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어 이들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 사용하는 것이 그 복합기능을 발휘하기에 유리하므로, 황토와 모나자이트를 각각 충분히 건조 시킨 다음, 325매쉬(mesh) 이하로 1차 분쇄하여 자석 등에 의해 이물질과 유해철분을 제거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인체에 전혀 유해하지 않음은 물론 상기 분말은 PH 7.2 ~ 7.8 정도를 나타내는 약알칼리성의 환경 친화적인 소재로서 인체에 미치는 효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황토와 모나자이트 분말은 2차 분쇄를 통해 입도 1 ~ 5㎛의 분말을 선별함으로써 분산성이 우수한 입자크기로 되며, 만일 입도가 5㎛를 초과하는 분말을 함유하는 경우, 폴리에틸렌(PE) 발포성형체 내에서 무기질 분말의 분산성이 저하되며, 입도가 1㎛ 미만의 나노크기 분말을 함유하는 경우에도 나노 크기 입자 간의 강한 응집력 때문에 균일한 혼합을 하거나 결함이 없는 폴리에틸렌(PE) 발포성형체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때, 상기 폴리에틸렌(PE) 발포성형체를 제조하기 위한 용융 수지에 분산제를 첨가하여 무기질 분말의 분산성을 높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는 무기질 분말이나 폴리에틸렌(PE)과 반응성이 없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서는 다가알콜에스테르, 다가카르복시산에스테르 및 하이드록시-다가카르복시산에스테르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에스테르계, 아크릴계, 폴리실록산, 폴리올레핀 왁스, 광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분산도와 환경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황토 분말은 융점이 700~1000℃로서, 폴리에틸렌(PE) 발포성형체 내에서 고체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수지 내에 혼재하기 때문에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반영구적으로 지속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황토 분말은 평균중량비율로 이산화규소(SiO2) 42.5%, 산화철(Fe2O3) 4.05%, 산화알루미늄(Al2O3) 36.6%, 산화칼슘(CaO) 0.57%, 산화마그네슘(MgO) 0.69%, 산화티탄(TiO2) 0.23%, 산화칼륨(K2O) 0.41%, 산화나트륨(Na2O) 0.18%, 강열감량 14.8% 범위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적외선 방사, 중금속 흡착, 항균, 휘발성 물질 제거, 탈취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모나자이트는 음이온 광물로 알려져 있으며, 음이온이 발생하는 광물은 상기 모자나이트 이외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음이온 광물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나자이트는 단사정계(單斜晶系)에 속하는 세륨족 희토류원소의 인산염 광물로서 화학성분은 (Ce, La, Y, Th)PO4로서, 경도는 5~5.5, 비중은 4.6~5.4, 황색, 황갈색, 적갈색, 회색, 회록색을 띠면서 투명 또는 반투명하며, 수지광택(樹脂光澤)을 띠는 결정(結晶)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폴리에틸렌(PE) 발포성형체에 혼입되어 음이온 발산기능과 더불어 자외선 차단작용 등을 하게 된다.
참고로, 음이온이 발생하는 광물은 상기 모자나이트 이외에 토르말린(전기석), 귀양석(군마장석), 의왕석, 게르마늄, 견운모 등의 운모계 광물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상기 광물들은 각각의 구성성분과 화학적 성질이 상이하여 황토 분말과의 반응성, 경도와 비중, 그리고 (-)전하를 띤 입자를 정제 선별하는 방법과 광물 원료의 가격 등의 면에서 불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상기 하부발포수지층(10) 및 상부발포수지층(20) 사이에 구비되며, 상면 및 하면에 상향 및 하향으로 각각 돌출된 다수의 에어캡(32)을 갖는 에어쿠션층(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에어쿠션층(30)의 에어캡(32) 내측에는 젤 타입의 유동성 고체가 포함되어 있어 탄성력을 증강 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나 에어캡(32)의 내측에 에어가 포함되어 있어도 무방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쿠션층(30)은 질긴 재질의 플라스틱 비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에어캡(32) 부분은 에어 또는 유동성 고체가 충분히 쿠션으로써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얇고 부드러운 비닐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하부발포수지층(10)과 에어쿠션층(30) 사이 및 상부발포수지층(20)과 에어쿠션층(30) 사이에 형성되며, 하부발포수지층(10)과 에어쿠션층(30) 및 상부발포수지층(20)과 에어쿠션층(30)을 접합하도록 형성되는 접착층(4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접착층(40)은 전분계 중합체 입자 수계 에멀젼, 접착 보강제 및 점도 조절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전분계 중합체 입자는 전분 분해물과, 경질 단량체 및 연질 단량체를 포함하는 코어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형성된 전분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경질 단량체와 연질 단량체를 포함하는 쉘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코어 상에 형성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중합체 입자이고, 경질 단량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가지며 그 단독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250℃인 단량체이고, 연질 단량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가지며 그 단독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10℃ 내지 -80℃인 단량체이고, 점도 조절제는 우레탄으로 개질된 폴리에테르 수계 에멀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층(40)의 전분계 중합체 입자 수계 에멀젼은 고형분 함량이 40~60 중량%로 형성되며, 전분계 중합체 입자의 유리전이온도는 5~25℃로 형성되고, 전분계 중합체 입자 수계 에멀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90 중량%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접착층(40)은 전분계 중합체 입자 수계 에멀젼, 접착 보강제 및 점도 조절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나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하부발포수지층(10)과 에어쿠션층(30) 및 상부발포수지층(20)을 접합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상기 하부발포수지층(10), 상부발포수지층(20), 에어쿠션층(30) 및 접착층(40)으로 형성되는 제1쿠션층(50)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직물재로 형성되는 커버(6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버(60)는 아이들의 피부가 접촉되어도 알레르기 반응을 잘 일으키지 않는 직물재 중 면직물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1쿠션층(50)이 한 쌍으로 구비되며, 각각은 적층 되어 접착층(40)에 의해 접착 고정되고, 다단으로 적층 형성되는 제1쿠션층(50)은 커버60)에 의해 감싸지도록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쿠션층(50)은 단층으로 형성되어 사용되어도 무방한 것이나 보다 높은 충격 완화 효과 및 쿠션감 회복 효과를 위해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적층 사용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며, 한 쌍으로 사용됨으로써 에어쿠션층(30)이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다단 적층 구조를 갖는 놀이방 매트(2)는 하부발포수지층(10), 에어쿠션층(30), 상부발포수지층(20) 및 접착층(40)으로 이루어지는 제1쿠션층(50)이 한 쌍으로 형성되어 사용됨으로써 놀이방 매트(2) 위에서 사람이 뛰거나 걷는 등의 활동할 시에 그 충격이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지속된 하중에도 놀이방 매트(2)의 형태가 손상되지 아니하고 복원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2 : 놀이방 매트 10 : 하부발포수지층
20 : 상부발포수지층 30 : 에어쿠션층
40 : 접착층 50 : 제1쿠션층
60 : 커버

Claims (5)

  1.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폴리에틸렌 88 ~ 92중량%, 발포제 2중량% 이하, 난연제 6 ~ 8중량%, 가교제 0.1% 이하, 안료 1중량% 이하로 함유됨과 아울러 압출가공에 의해 폴리에틸렌(PE) 발포성형체로 형성되고, 폴리에틸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25매쉬 이하로 1차 분쇄됨과 아울러 2차 분쇄를 통해 입도 1 ~ 5㎛의 분말로 선별된 황토와 모나자이트가 각각 1:0.5~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무기질 분말을 1~1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며, 폴리에틸렌의 발포배율이 40~50배로 형성되고, 3~15㎜의 두께로 형성되는 하부발포수지층(10);
    상기 하부발포수지층(10)의 상부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폴리에틸렌 88 ~ 92중량%, 발포제 2중량% 이하, 난연제 6 ~ 8중량%, 가교제 0.1% 이하, 안료 1중량% 이하로 함유됨과 아울러 압출가공에 의해 폴리에틸렌(PE) 발포성형체로 형성되고, 폴리에틸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25매쉬 이하로 1차 분쇄됨과 아울러 2차 분쇄를 통해 입도 1 ~ 5㎛의 분말로 선별된 황토와 모나자이트가 각각 1:0.5~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무기질 분말을 1~1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며, 폴리에틸렌의 발포배율이 40~50배로 형성되고, 3~15㎜의 두께로 형성되는 상부발포수지층(20);
    상기 하부발포수지층(10) 및 상부발포수지층(20) 사이에 구비되며, 상면 및 하면에 상향 및 하향으로 각각 돌출된 다수의 에어캡(32)이 형성되고, 에어캡(32)의 내측에는 탄성력을 증가시키는 젤 타입의 유동성 고체를 갖는 에어쿠션층(30);
    상기 하부발포수지층(10)과 에어쿠션층(30) 사이 및 상부발포수지층(20)과 에어쿠션층(30) 사이에 형성되며, 전분계 중합체 입자 수계 에멀젼, 접착 보강제 및 점도 조절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전분계 중합체 입자는 전분 분해물과, 경질 단량체 및 연질 단량체를 포함하는 코어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형성된 전분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경질 단량체와 연질 단량체를 포함하는 쉘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코어 상에 형성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중합체 입자이고, 경질 단량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가지며 그 단독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250℃인 단량체이고, 연질 단량체는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가지며 그 단독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10℃ 내지 -80℃인 단량체이고, 점도 조절제는 우레탄으로 개질된 폴리에테르 수계 에멀젼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전분계 중합체 입자 수계 에멀젼은 고형분 함량이 40~60 중량%로 형성되며, 전분계 중합체 입자의 유리전이온도는 5~25℃로 형성되고, 전분계 중합체 입자 수계 에멀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90 중량%로 형성되어 하부발포수지층(10)과 에어쿠션층(30) 및 상부발포수지층(20)과 에어쿠션층(30)을 접합하도록 형성되는 접착층(40);
    상기 하부발포수지층(10), 상부발포수지층(20), 에어쿠션층(30) 및 접착층(40)으로 형성되는 제1쿠션층(50)이 한 쌍으로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적층되어 접착층(40)에 의해 접착 고정되고, 다단으로 적층되는 제1쿠션층(50)은 직물재로 형성되는 커버(60)에 의해 감싸지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층 구조를 갖는 놀이방 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19240A 2015-08-25 2015-08-25 다단 적층 구조를 갖는 놀이방 매트 KR101584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240A KR101584493B1 (ko) 2015-08-25 2015-08-25 다단 적층 구조를 갖는 놀이방 매트
PCT/KR2016/009320 WO2017034299A1 (ko) 2015-08-25 2016-08-23 다단 적층 구조를 갖는 놀이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240A KR101584493B1 (ko) 2015-08-25 2015-08-25 다단 적층 구조를 갖는 놀이방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493B1 true KR101584493B1 (ko) 2016-01-13

Family

ID=55172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240A KR101584493B1 (ko) 2015-08-25 2015-08-25 다단 적층 구조를 갖는 놀이방 매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84493B1 (ko)
WO (1) WO201703429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8500A (zh) * 2016-08-30 2016-11-16 美佳德科技(无锡)有限公司 一种新型婴儿坐垫
CN106923562A (zh) * 2017-03-18 2017-07-07 匠仙(上海)床垫科技有限公司 一种床垫结构
KR200491084Y1 (ko) 2019-04-26 2020-02-17 박상혁 실내 놀이시설용 쿠션계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132B1 (ko) * 2010-01-21 2013-01-25 김재경 소음 및 진동 저감용 받침구
KR101512806B1 (ko) * 2014-12-19 2015-04-20 주식회사 제이월드산업 친환경 놀이방 매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6540B2 (ja) * 2004-10-20 2011-12-14 ダイセルノバフォーム株式会社 敷物用積層体及びこの積層体を用いた敷物
KR101317873B1 (ko) * 2013-06-18 2013-10-18 이홍석 친환경 놀이방 매트의 제조방법 및 친환경 놀이방 매트
KR101535567B1 (ko) * 2013-12-20 2015-07-09 대상 주식회사 합성피혁 제조용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합성피혁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132B1 (ko) * 2010-01-21 2013-01-25 김재경 소음 및 진동 저감용 받침구
KR101512806B1 (ko) * 2014-12-19 2015-04-20 주식회사 제이월드산업 친환경 놀이방 매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8500A (zh) * 2016-08-30 2016-11-16 美佳德科技(无锡)有限公司 一种新型婴儿坐垫
CN106923562A (zh) * 2017-03-18 2017-07-07 匠仙(上海)床垫科技有限公司 一种床垫结构
CN106923562B (zh) * 2017-03-18 2023-04-07 匠仙(上海)床垫科技有限公司 一种床垫结构
KR200491084Y1 (ko) 2019-04-26 2020-02-17 박상혁 실내 놀이시설용 쿠션계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4299A1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806B1 (ko) 친환경 놀이방 매트
KR101584493B1 (ko) 다단 적층 구조를 갖는 놀이방 매트
KR102143642B1 (ko) 탄성 바닥재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CA2961989C (en) Panel
KR101689304B1 (ko)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조성물
ES2677346T3 (es) Materiales compuestos de varias capas que comprenden una capa de espuma,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ón y su uso
US20210046729A1 (en) Floorings prepared from composites comprising expanded thermoplastic elastomer particles
KR100815472B1 (ko) 항균성 및 샌딩성이 우수한 인조대리석용 조성물
CN108149895B (zh) 一种吸音安全地板
KR101544420B1 (ko) 우수한 탈취효과를 가진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 방사용 조성물 첨가 폴리스티렌 몰딩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몰딩 제품
KR101869049B1 (ko) 코르크 칩 탄성포장재
KR101654547B1 (ko) 천연광물을 포함하는 탈취, 제습 및 항균 효과가 있는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ATE410472T1 (de) Thermoplastische halogenierte polymerzusammensetzung
KR102074662B1 (ko) 탄성 바닥 표층 마감재 조성물
KR101932141B1 (ko) 시트형 탄성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97538Y1 (ko) 바닥재
KR100994787B1 (ko) 활성탄소섬유를 함유하는 규조토계 벽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규조토계 벽마감재
KR102504004B1 (ko) 기능성 매트
KR101438661B1 (ko) 발포유리 제조용 성형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유리의 제조 방법
KR102096717B1 (ko) 포설용 코르크 바닥재 조성물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포설용 코르크 바닥재 조성물
KR20040094553A (ko) 기능성 재료
CN103232721A (zh) 一种废旧塑料与粉煤灰生产微晶碳塑板材的方法
CN205553444U (zh) 一种除甲醛环保减震膜
KR101465225B1 (ko) 고강성 및 경량성을 보유한 항균 합성수지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90896A (ko) 맥상 점토 광석을 이용한 환경친화적 건축 자재용 조성물및 이를 이용한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240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731

Effective date: 2018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