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107B1 - 강판 두께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강판 두께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107B1
KR100916107B1 KR1020070138869A KR20070138869A KR100916107B1 KR 100916107 B1 KR100916107 B1 KR 100916107B1 KR 1020070138869 A KR1020070138869 A KR 1020070138869A KR 20070138869 A KR20070138869 A KR 20070138869A KR 100916107 B1 KR100916107 B1 KR 100916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steel plate
fixing
thickness measuring
tes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0749A (ko
Inventor
배재욱
제상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70138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107B1/ko
Publication of KR20090070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4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of the produ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 두께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강판이 자력에 의해 고정판에 부착된 상태에서 강판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강판 두께 측정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 두께 측정장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의해 지지되고, 그 상면에 탑재된 강판을 자력으로 밀착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강판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 측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판 시험편이 비틀리거나 고정부재의 상면과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강판 시험편의 두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강판 두께 측정장치, 마그네틱, 강판 분리 유닛, 가압 유닛

Description

강판 두께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THICKNESS OF STEEL PLATE}
본 발명은 강판 시험편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강판 두께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간 가공을 통하여 열연 강판이 제조되고, 냉강 가공을 통하여 냉연 강판이 제조된다. 상기 열연 강판은 산으로 세척한 후 상온에서 압연하여 제조된다. 또한, 상기 냉연 강판은 냉간 가공을 하기 때문에 표면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디스케일링 또는 산에 의한 세척처리 같은 후처리 작업이 필요없다.
상기 열연 강판과 냉연 강판의 시험편은 강판 두께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두께가 균일한지 여부를 측정된다. 다수의 강판 시험편의 두께를 반복적으로 측정하여 산출함으로써 상기 강판 시험편의 두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강판 제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각종 소재의 물리적 성질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운전 실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강판 두께 장치는 강판 시험편을 고정부재에 탑재한 후 강판 시험편의 양측을 조임수단으로 조인다. 상기 조임수단은 손잡이를 회전시킴에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강판을 가압하는 구조이다.
상기 강판 시험편이 고정된 후 상기 강판 시험편의 길이방향을 따라 두께 감지 센서가 이동되면서 상기 강판 시험편의 두께를 감지한다.
그러나, 상기 강판 시험편이 고정패널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강판의 양측이 조임수단으로 조여지므로, 상기 강판 시험편의 하면과 고정패널의 상면 사이에 벌어지는 부분이 발생되거나 강판 시험편이 비틀어질 수 있었다. 또한, 상기 강판 시험편의 양측이 하측으로 가압되므로, 상기 강판 시험편이 상측으로 둥그렇게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강판 시험편의 길이방향으로 두께 감지 센서가 이동되는 동안에 상기 강판 시험편의 두께 측정에 오차가 발생되므로, 상기 강판의 두께 편차가 정확하게 측정되기 곤란하고 상기 두께 편차에 관한 데이터를 정확하게 얻을 수 없었다.
또한, 상기 강판 시험편의 양측만 조임수단에 의해 고정되므로, 상기 강판 시험편의 두께가 얇을 경우 상기 강판 시험편과 고정패널의 사이가 벌이지는 부분에서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강판 시험편의 진동에 의해 상기 강판의 두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곤란했다.
또한, 상기 강판 시험편의 양측이 손잡이를 회전시킴에 따라 승강되는 구조의 조임수단에 의해 가압되므로, 상기 강판 시험편의 양측에 동일한 가압력이 작용하기 곤란했다. 또한, 상기 강판 시험편의 고정 시간 및 분리 시간이 증가되었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강판 시험편이 고정부재에 전체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강판 시험편의 두께 편차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데이터화 할 수 있는 강판 두께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 두께 측정정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의해 지지되고, 그 상면에 탑재된 강판을 자력으로 밀착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를 따라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강판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의 양측에는 상기 강판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 유닛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바디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강판이 탑재되는 고정패널; 및 상기 고정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강판을 고정패널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는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패널은 자석에 붙지 않는 비자성체일 수 있다. 상기 고정패널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밀착된 강판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강판 분리 유닛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강판 분리 유닛은: 상기 고정부재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하나 이상 의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하면에 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캠; 상기 캠을 회전시키는 캠축; 및 상기 캠축에 결합되는 분리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유닛은: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레버; 상기 고정 브라켓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는 제1링크; 상기 레버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와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 상기 제1,2링크가 힌지 결합되는 부분에 힌지 결합되는 고정 핸들; 상기 제1고정 핸들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링크를 가압하는 가압해제부재; 및 상기 레버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가 소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강판을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와 가압 부재 사이에는 상기 강판의 두께에 따라 가압 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판 시험편이 자력에 의해 고정패널에 밀착된 상태에서 시험편의 두께를 측정하므로, 상기 강판 시험편의 두께 편차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데이터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 유닛을 상하로 회전시키면 강판 시험편의 양측이 거의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되거나 가압 해제되므로, 상기 강판 시험편의 고정 시간 및 분리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판 시험편의 두께 측정이 완료된 후 상기 강판 분리 유닛을 구동하여 강판 시험편을 자력의 영향으로부터 멀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강판 시험편을 분리시키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두께 측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강판 두께 측정장치는 제1바디(10)와 제2바디(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바디(10)와 제2바디(20)는 이송 가이드(31)와 이송 스크류(33)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이송 가이드(31)는 상기 제1,2바디(10,20)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33)는 제1,2바디(10,20)의 중심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바디(20)는 이송 스크류(33)가 회전될 때에 상기 이송 가이드(31)를 따라 왕복 운동되므로, 상기 제1,2바디(10,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이송 스크류(33)는 구동장치(미도시)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장치가 구동됨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구동장치로는 모터장치가 적용되거나 또는 수동으로 이송 스크류(33)를 회전시킬 수 있는 수동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2바디(10,20)에는 고정부재(110)의 양측이 지지된다. 이때, 상기 제1,2바디(10,20)에는 지지면(11,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10)의 양측 하면에는 상기 제1,2바디(10,20)의 지지면(11,12)에 면접촉되도록 단차면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차면의 폭은 상기 지지면(11,12)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가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차면과 지지면(11,12) 전체가 면접촉되면 상기 고정부재(110)가 제1,2바디(10,20)에 정확하게 위치되었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110)의 상면에는 강판 시험편(121)이 탑재된다. 상기 고정부재(110)의 일측에는 상기 강판 시험편(121)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두께 측정부(127)가 배치된다. 상기 두께 측정부(127)는 상기 강판 시험편(121)의 상면과 하면에 접촉되는 두께 측정 센서를 제시한다. 상기 두께 측정 센서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두께 측정부(127)의 변위에 따라 상기 강판 시험편(121)의 두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두께 측정부(127)는 제1바디(10)와 제2바디(20)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제어장치(125)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장치(125)에는 상기 두께 측정부(127)에서 감지된 두께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부와 디스플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10)는 상면에 탑재된 강판 시험편(121)에 자력을 가하여 상기 강판 시험편(121)을 고정부재(110)의 상면에 밀착시킨다.
상기 고정부재(110)는, 상기 바디에 의해 지지되고 강판 시험편(121)이 탑재되는 고정패널(111)과, 상기 고정패널(111)에 배치되어 상기 강판 시험편(121)을 고정패널(111)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마그네트(1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부재(110)는 전체적으로 자화된 마그네트(115)일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110)의 일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패널(111)은 긴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패널(111)의 상면에는 상기 가늘고 긴 형태의 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마그네트(115)는 안착홈(미도시)에 대응되도록 가늘고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 기 마그네트(115)의 상면은 상기 고정패널(111)의 상면과 동일평면을 이룰 수 있다. 물론, 상기 마그네트(115)의 상면은 고정패널(111)의 상면보다 낮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115)는 고정패널(111)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패널(111)의 상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마그네트(115)는 고정패널(111)의 폭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115)들은 고정패널(111)의 폭방향 중심에서 대칭된 위치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강판 시험편(121)의 폭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그 양측에 동일한 인력이 작용하게 하므로, 상기 강판 시험편(121)이 고정패널(111)의 상면에 균일하게 밀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패널(111)은 마그네트(115)에 붙지 않는 비자성체 또는 자성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패널(111)이 비자성체이면 상기 마그네트(115)에 의해 자화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고정패널(111)에서 자력이 발생되는 부분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강판 시험편(121)에 작용하는 자력의 크기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상기 고정패널(111)이 자성체이면 상기 고정패널(111)은 마그네트(115)에 의해 자화되어 상기 강판 시험편(121)의 하면에 전체적으로 인력이 작용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고정패널(111) 전체가 마그네트(115)로 작용하여 상기 강판 시험편(121)의 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패널(111)은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패널(111)이 자중에 의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115)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일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115)가 전자석일 경우 상기 마그네트(115)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함에 의해 자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115)가 전자석일 경우 상기 강판 시험편(121)의 두께 측정이 완료된 후 상기 마그네트(115)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아래에서 설명할 강판 분리 유닛(130)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강판 시험편(121)의 두께 측정시에는 상기 마그네트(115)의 자력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도 있으므로, 아래에서 설명할 가압 유닛(140)을 설치하지않을 수 있다.
상기 고정패널(111)에는 상기 강판 시험편(121)의 두께 측정이 완료되면 상기 강판 시험편(121)을 고정패널(111)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키는 강판 분리 유닛(1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바디(10,20)에는 상기 강판 시험편(121)의 양측을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 유닛(14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강판 두께 측정장치의 고정부재과 강판 분리 유닛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강판 분리 유닛(130)은, 상기 고정패널(111)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부재(131)와, 상기 승강부재(131)의 하면에 접촉되는 캠(132)과, 상기 캠(132)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분리핸들(1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패널(111)에는 상기 승강부재(131)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홈(11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내홈(117)은 고정패널(111)의 폭방향 중심부에 상기 고정패널(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132)은 캠축(133)에서 반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 기 캠(132)은 캡축에서 일측으로는 큰 반경, 타측으로는 작은 반경을 갖는 형태이다. 이러한 캠(132)은 대략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132)의 양측에는 상기 캠축(13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각각 지지편(137)이 배치된다. 상기 각 지지편(137)과 캠(132) 사이에는 상기 캠축(133)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부싱(138)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캠축(133)의 일단부에는 상기 캠축(13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분리핸들(134)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패널(111)에는 상기 안내홈(117)을 다수 형성하고, 상기 각 안내홈(117)에는 승강부재(131)를 각각 배치시키고, 상기 각 승강부재(131)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캠(132)을 배치시키고, 상기 다수의 캠(132)은 하나의 캠축(133)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핸들(134)을 회전시키면 상기 다수의 캠(132)은 다수의 승강부재(131)를 동시에 승강시킬 수 있다.
도 3은 강판 시험편의 양측을 가압하는 가압 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압 유닛(140)은 고정 브라켓(141), 레버(142), 고정 핸들(146), 가압해제부재(147), 링크구조(143,145) 및 가압 부재(1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141)은 제1,2바디(10,2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고정패널(111)의 양측에 대응된다.
상기 레버(142)의 일단부 하측은 고정 브라켓(141)의 일측에 힌지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141)의 타측에는 제1링크(143)가 결합되고, 상기 레버(142)의 일단부 상측에는 제2링크(145)가 결합된다. 상기 제1링크(143)와 제2링 크(145)는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143)와 제2링크(145)의 힌지 결합부는 상기 고정 핸들(146)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 핸들(146)의 중심부 근처에는 상기 가압해제부재(147)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143)의 중심부 근처에는 상기 가압해제부재(147)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가압돌기(14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141)의 타측 상단에는 상기 고정 핸들(146)의 하단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유닛(140)은 4절 링크를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 핸들(146)을 누르면 상기 고정 핸들(146)은 고정 브라켓(141)의 상단을 기준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제1,2링크가 힌지 결합된 부분은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1,2링크의 중심측 힌지부는 상기 제1,2링크의 양측 힌지부를 연결하는 가상선(L1)의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레버(142)는 하측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가압 부재(148)는 강판 시험편(121)의 상면을 가압하고, 상기 가압력에 대한 반력은 상기 제1,2링크(143,145)의 중심부측 힌지부가 상기 가상선(L1)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가해진다. 따라서, 상기 2개의 고정 핸들(146)을 동시에 누르면, 상기 가압 부재(148)는 상기 가압 부재(148)는 상기 강판 시험편(121)의 상면을 계속적으로 가압하도록 홀딩된다. 이때, 상기 양측 가압 부재(148)가 상기 강판 시험편(121)의 양측을 누르는 압력은 동일해진다. 또한, 상기 고정 핸들(146)을 누르기만 하면, 상기 강판 시험편(121)이 간편하게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핸들(146)을 위로 상승시키기만 하면, 상기 강판 시험편(121)의 가압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부재(148)는 높낮이 조절부(150)에 의해 상기 레버(142)에 결합된 다. 이때, 상기 높낮이 조절부(150)는 상기 레버(142)의 끝단에 배치되는 스크류(151) 및 상기 스크류(151)에 체결되어 상기 스크류(151)를 상하 이동시키는 너트(15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강판 시험편(121)의 두께에 따라 상기 가압 부재(148)의 가압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부재(148)의 하면은 상기 지지면(11,12)과 평행한 매끄럽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강판 두께 측정장치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상기 고정부재에 강판이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패널(111)의 상면에 상기 강판 시험편(121)을 탑재한다. 이때, 상기 강판 시험편(121)은 상기 고정패널(111)에 배치된 마그네트(115)의 인력에 의해 상기 고정패널(111)의 상면에 균일하게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 유닛(140)의 고정 핸들(146)을 아래로 누르면, 상기 고정패널(111)의 양측이 가압 부재(148)에 의해 가압 고정된다(도 1 참조). 이때, 상기 강판 시험편(121)의 두께에 따라 상기 가압 유닛(140)의 높낮이 조절부(150)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어장치(125)가 상기 고정패널(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제어장치(125)에 배치된 두께 측정부(127)는 강판 시험편(121)의 두께를 측정한다. 상기 두께 측정부(127)는 고정패널(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씩, 예를 들면 1mm씩 이동되면서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강판 시험편(121)의 하면은 상기 마그네트(115)의 인력에 의해 고정패널(111)의 상면에 밀착되므로, 상기 강판 시험편(121)의 두께가 얇더라도 상기 강판 시험편(121)이 비틀리거나 진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두께 감지 센서는 상기 강판 시험편(121)의 두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강판 시험편(121)의 두께에 관한 정확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상기 가압 유닛이 가압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강판 시험편(121)의 두께 측정이 완료되면, 상기 강판 분리 유닛(130)의 가압해제부재(147)와 고정 핸들(146)을 꽉쥔다. 이때, 상기 가압해제부재(147)가 상측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링크(143)의 가압돌기(144)를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143)와 제2링크(145)의 중심측 힌지부는 그 양측 힌지부를 잇는 가상선(L1)의 아래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레버(142)는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강판 시험편(121)의 상면의 가압력을 해제시킨다.
도 6은 상기 고정부재에 탑재된 강판이 강판 분리 유닛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 올라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분리핸들(134)이 회전되면 상기 캠축(133)에 의해 상기 캠(132)이 회전된다. 이때, 상기 캠(132)의 반경이 큰 부분이 상기 승강부재(131)의 하면에 접촉되므로, 상기 승강부재(131)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강판 시험편(121)에 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강판 시험편(121)을 고정패널(11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패널(111)에 승강부재(131)가 다수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강판 시험편(121)의 두께가 얇더라도 상기 강판 시험편(121)이 상 기 고정패널(111)에서 적게 변형되면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강판 시험편의 두께 편차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데이터화함에 의해 상기 강판 시험편의 시험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성이 현저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두께 측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강판 두께 측정장치의 고정부재과 강판 분리 유닛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압 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고정부재에 강판이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가압 유닛이 가압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고정부재에 탑재된 강판이 강판 분리 유닛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 올라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13)

  1. 바디(10,20);
    상기 바디(10,20)에 의해 지지되고, 그 상면에 탑재된 강판(121)을 자력으로 밀착시키는 고정부재(110);
    상기 고정부재(110)를 따라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강판(121)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 측정부(127); 및
    상기 고정부재(110)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밀착된 강판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강판 분리 유닛(130);을 포함하는 강판 두께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20)의 양측에는 상기 강판(121)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 유닛(14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두께 측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10)는:
    상기 바디(10,2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강판(121)이 탑재되는 고정패널(111);
    상기 고정패널(111)에 결합되어 상기 강판(121)을 고정패널(111)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두께 측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115)는 상기 고정패널(111)의 폭방향 중심에서 양측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두께 측정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115)는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두께 측정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111)은 자석에 붙지 않는 비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두께 측정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111)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두께 측정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 분리 유닛(130)은:
    상기 고정부재(110)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승강부재(131);
    상기 승강부재(131)의 하면에 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캠(132);
    상기 캠(132)을 회전시키는 캠축(133); 및
    상기 캠축(133)에 결합되는 분리핸들(1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두께 측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10)에는 상기 승강부재(131)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홈(11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두께 측정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131)는 상기 고정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두께 측정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닛(140)은:
    상기 바디(10,20)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141);
    상기 고정 브라켓(141)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레버(142);
    상기 고정 브라켓(141)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는 제1링크(143);
    상기 레버(142)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143)와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145);
    상기 제1,2링크(143,145)가 힌지 결합되는 부분에 힌지 결합되는 고정 핸들(146);
    상기 고정 핸들(146)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링크(143)를 가압하는 가압해제부재(147); 및
    상기 레버(142)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142)가 소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강판(121)을 가압하는 가압 부재(1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두께 측정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42)와 가압 부재(148) 사이에는 상기 강판(121)의 두께에 따라 가압 부재(148)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1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두께 측정장치.
KR1020070138869A 2007-12-27 2007-12-27 강판 두께 측정장치 KR100916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869A KR100916107B1 (ko) 2007-12-27 2007-12-27 강판 두께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869A KR100916107B1 (ko) 2007-12-27 2007-12-27 강판 두께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749A KR20090070749A (ko) 2009-07-01
KR100916107B1 true KR100916107B1 (ko) 2009-09-08

Family

ID=4132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869A KR100916107B1 (ko) 2007-12-27 2007-12-27 강판 두께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1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62652A (zh) * 2011-12-08 2013-06-19 苏州工业园区高登威科技有限公司 方钢支撑架
CN103644836A (zh) * 2013-12-04 2014-03-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靶材厚度测量仪
US11754691B2 (en) 2019-09-27 2023-09-1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Target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a target
CN112575300A (zh) * 2019-09-27 2021-03-30 台湾积体电路制造股份有限公司 靶材测量装置以及测量靶材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6101A (en) * 1981-05-12 1982-11-16 Toshiba Corp Thickness measuring device
KR20040056923A (ko) * 2002-12-24 2004-07-01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의 압연 정밀도 측정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6101A (en) * 1981-05-12 1982-11-16 Toshiba Corp Thickness measuring device
KR20040056923A (ko) * 2002-12-24 2004-07-01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의 압연 정밀도 측정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749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6107B1 (ko) 강판 두께 측정장치
US8739427B2 (en) Manual thickness measurement gage
US20120297898A1 (en) Deformation testing device
KR20090079420A (ko) 벤딩 시험장치
KR20130053068A (ko) 수평 배치형 인장 압축 시험장치
KR20130053069A (ko) 인장 압축 시험장치의 시편 클램핑구조
CN107727514B (zh) 一种用于钕铁硼磁体镀层剪切力测试装置
KR101299378B1 (ko) 스트레인게이지 부착장치
WO2014201747A1 (zh) 一种靶材的刻蚀量测装置及量测方法
CN210665017U (zh) 一种桥梁伸缩缝检测装置
JP4417130B2 (ja) ガラス基板の垂直保持装置
CN113654436B (zh) 一种汽车后保尾管的检测装置
KR101641735B1 (ko) 강판 경도 측정 장치
KR101238392B1 (ko) 차량용 테이퍼 리프스프링의 두께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N214066735U (zh) 一种太阳能电池片焊接拉力测试装置
CN111218738B (zh) 用于调节皮带张紧罗拉的接触压力的调节装置和方法
JP4762277B2 (ja) 金型交換用位置決め装置
JP2010511865A5 (ko)
JP2016042048A5 (ko)
US20200101707A1 (en) Lamination machine
KR101567850B1 (ko)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흡인력 측정 장치
KR101262376B1 (ko) 인장 시험기의 시험편 고정 장치
JP4465690B2 (ja) 基板の垂直保持装置
KR20130034728A (ko) 프레스장비의 코팅성능 평가장치
KR101375647B1 (ko) 라미네이팅 장치 및 라미네이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