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099B1 - 중저탄소강 제조를 위한 용강의 정련방법 - Google Patents

중저탄소강 제조를 위한 용강의 정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099B1
KR100916099B1 KR1020020085249A KR20020085249A KR100916099B1 KR 100916099 B1 KR100916099 B1 KR 100916099B1 KR 1020020085249 A KR1020020085249 A KR 1020020085249A KR 20020085249 A KR20020085249 A KR 20020085249A KR 100916099 B1 KR100916099 B1 KR 100916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teel
steel
carbon
refining
dega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5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9575A (ko
Inventor
김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85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099B1/ko
Publication of KR20040059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9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10Handling in a vacu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087Treatment of slags covering the steel bath, e.g. for separating slag from the molten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6Deoxidising, e.g. ki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64Dephosphorising; Desulfur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03Monitoring the temperature or a characteristic of the charge and using it as a controlling value

Abstract

중저탄소강 제조를 위한 용강의 정련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진공탈가스 설비를 이용한 용강의 정련공정에 있어서, 그 정련공정중 상기 설비로부터 배출되는 배가스중 CO가스 함량이 20%이하가 될때까지 2~3Mbar의 진공도하에서 용강을 초기탈탄정련하여 용존탄소량을 100ppm이하로 제어한후 용강탈산을 실시하고, 이어, 그 진공도를 55~79Mbar로 유지하면서 가탄제를 35~40kg/270톤-용강 범위로 장입하여 용존탄소량을 0.015~0.035%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탄소강 제조를 위한 용강의 정련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저탄소강, 용강정련. 진공탈가스, 용존탄소량

Description

중저탄소강 제조를 위한 용강의 정련방법{Method of refining molten steel to manufacture semi-low carbon steel}
도 1은 일반적인 제강 공정을 설명하는 개략도로서,
(a)는 전로취련 작업을 설명하는 개략도
(b)는 전로출강 작업공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일반적으로 합금철 투입작업 과정을 설명하는 개략도로서,
(a)는 전로출강중 합금철 투입작업 상황도
(b)는 전로출강이후의 합금철 투입작업 상황도
(c)는 슬래그 개질 탈산작업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탈가스 작업공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4는 일반적인 탈가스 처리작업의 원리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5은 종래와 본 발명의 처리기술을 설명하는 작업공정도로서,
(a)는 종래법을, (b)는 본 발명법을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래들(ladle) 3. 용강
5. 수강대차 7.탈가스설비
9. 상승관 11.하강관
본 발명은 전로에서 출강과정에서 산소를 제거하지 않고 출강 하는, 경처리재 출강재인 중저탄소강용 용강정련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중탄소강 생산시 탈가스공정에서 보다 신속하게 이를 제조하기 위한 용강정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강제품의 탄소 함량이 0.015~0.025%인 강종을 중탄소강이라고 하며, 이 강종을 제조하기 위해서 전로에서 탄소를 낮추기 위한 극한값이 0.030%이하 이므로, 이 강종에 맞는 탄소 성분범위를 맞추기 위해서 탈가스 처리 공정을 반드시 경유하도록 되어 있다. 즉, 탈가스 공정에서 미세 처리를 하는 과정에서 탈탄 반응에 기인하여, 강중의 탄소를 중저탄소강에 맞는 범위로 처리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제강 공정을 설명하는 개략도로서, (a)는 전로취련 작업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며, (b)는 전로출강 작업공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일반적으로, 전로에서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로 노내에 용선과 고철을 장입하여 산소랜스를 통해 산소를 취입, 용강을 정련하게 되며, 이에 따라, 용강 중에는 산소를 약 400~900ppm 정도 다량으로 함유하게 된다. 통상, 강중 탄소범위가 0.04%이상인 철강제품에 대해서는 전로출강작업중 알루미늄등의 탈산제를 투입하여 산소를 제거하는 킬링작업을 하는데, 전로출강중 탈산제를 투입하지 않고 용강중 산소를 그대로 유지하는 출강법을 중처리출강법 이라고 한다.
한편, 도 2는 일반적으로 합금철 투입작업 과정을 설명하는 개략도로서, (a)는 전로출강중 합금철 투입작업 상황도, (b)는 전로출강이후의 합금철 투입작업 상황도, 그리고 (c)는 슬래그 개질 탈산작업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즉, 전로에서 출강하는 과정에서 철강제품의 화학성분을 조정하기 위하여 합금철을 투입하거나, 전로출강이후에 합금철을 투입하고, 때로는 용강의 청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강래들 용강 상부에 부상되어 있는 슬래그 층에 합금철을 투입하기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로정련과정이 끝나면, 수강래들 용강 품질의 청정성을 확보하고, 용강 화학성분을 미세 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탈가스 처리를 하게 되는데, 탈가스 처리설비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진공조 베셀을 이용하여, 도 4와 같이 용강을 환류시켜 용강중 가스를 제거하거나 불순물을 제거하고, 성분의 균일화를 취하게 된다.
이때, 전로에서 경처리재로 출강하는 중저탄소강의 경우에는 전로에서 출강중 온도하강폭이 큰 관계로, 탈가스 공정에 도착하는 용강의 온도가 기준 목표 온도대비 낮은 경우가 80% 이상이다. 즉,전로 정련과정에서 용강의 온도가 낮아지므로 전로의 후공정인 탈가스 공정에서 연속 주조에 작업에 적합한 온도로 다시 용강온도를 올려주기 위한 승온작업을 해야 한다.
종래의 중저탄소강 처리 방법이 도 5(a)에 나타나 있다. 즉, 종래에는 탈가스처리 개시후 3분(탈탄 작업실시)이후 측온 샘플링을 실시하고, 용강 중에 함유되어 있는 산소를 제거하는 탈산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1차적으로 전로 출강과정에서 과도하게 드롭되어 온도가 낮아진 용강을 주조 온도에 제일 적합한 범위값으로 승온을 하게 된다.그런 연후, 다시 2차측온 및 샘플링을 실시하게 되며,이때 샘플링 한 시료의 분석값에서 용강중 탄소의 함량을 인지하고, 중저탄소강의 성분값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재차 가탄제를 투입하였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중저탄소강의 처리시에는 탈 가스 공정에 용강이 도착되면, 먼저 탈탄작업을 실시하고, 이후, 용강중에 함유되어 있는 산소제거작업과 병행하여 승온작업을 하였다. 그리고 탈산이 완료된 상태에서 측온 샘플링을 실시하여, 용강중 탄소함량을 인지하고, 그 성분값이 중저탄소강의 탄소성분값에 못 미칠 경우, 탄소성분을 조정하기 위하여 탄소함량이 높은 가탄제를 투입하였다. 즉, 종래의 중저탄소강 생산시, 탈가스 공정에서 탄소성분을 조정하기 위해, 시료 채취작업을 실시,시료를 분석하여,이 분석값을 참조하여,탄소 성분을 조정하는 작업 형태를 취해 왔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강 탈가스공정에서 중저탄소강을 제조하기 위해 실시하는 종래의 기술은, 1회이상 용강시료를 채취해야 하는 불편한 작업성이 내재히고 있어 작업자의 작업 피로도를 급증시키고, 또한 용강시료 채취작업과 이를 분 석하는 시간, 그리고 분석 데이터를 인지하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탈가스 처리시간 증가로 인한 생산성 저하의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특히, 탈가스 공정에서 채취한 시료에 슬래그가 많이 들어가고,핀홀이 내재될 경우에는 시료불량으로 인해 분석을 할 수가 없어, 여러 차례 샘플링 작업과 정밀한 분석 작업을 병행해야 하는 복잡함이 초래되어 작업의 비능률이 초래되게 된다.
또한 처리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용강온도가 그 소요시간과 비례하여 계속적으로 강하되어,다시 이를 올리기 위한 작업을 해야하는 관계로, 승온 작업에 소요되는 산소와 알루미늄등의 사용량이 증대되어 용강 제조원가 상승의 문제와 원료 사용량 증대로 비용상승의 문제가 유발되게 된다. 특히, 종래의 처리기술은 대개의 경우, 성분시료의 채취와 분석과정에 이르는 작업시간이 예측하기가 곤란하여 제반 작업 공정을 관리하는 측면에서 불합리하며, 더욱이, 승온을 자주해야 하는 관계로 용강중 비금속개재물인 알루미나성 불순물 증가의 원인을 제공하여 용강 품질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강 탈가스공정에서 배출되는 배가스중 CO가스함량을 기준으로 적정 탈탄정도를 판단하고, 이어 탈산작업으로 용강을 승온한후 가탄제를 소정량 첨가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용존탄소량을 짧은 시간내에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중저탄소강 제조를 위한 용강의 정련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진공탈가스 설비를 이용한 용강의 정련공정에 있어서, 그 정련공정중 상기 설비로부터 배출되는 배가스중 CO가스 함량이 20%이하가 될때까지 2~3Mbar의 진공도하에서 용강을 초기탈탄정련하여 용존탄소량을 100ppm이하로 제어한후 용강탈산을 실시하고, 이어, 그 진공도를 55~79Mbar로 유지하면서 가탄제를 35~40kg/270톤-용강 범위로 장입하여 용존탄소량을 0.015~0.035%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탄소강 제조를 위한 용강의 정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탄소함량 0.015~0.025%인 중저탄소강 제조를 위한 용강의 정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이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탈가스 작업공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로 용강(3)을 수강하고 있는 래들(4)가 수강대차(11)상에 안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수강래들상의 용강을 정련하기 위해 진공탈가스설비(1)가 하강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일반적인 탈가스 처리작업의 원리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탈가스설비(1)의 상승관(9)과 하강관(10)을 통하여 래들용강을 환류시킴으로써 탈가스반응이 진행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진공탈가스 설비를 이용한 용강정련공정 절차가 도 5(b)에 제시되어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먼저, 관련 설비능력을 감안하여 최고 진공도(2~3Mbar)를 유지하면서 용강을 진공탈탄시킨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진공설비로 부터 배출되는 배가스중 CO함량을 고려하여 탈탄반응을 진행시킴을 특징으로 하며, 구체적으로 배가스중 CO함량이 20%이하가 될때까지 최고 진공도하에서 용강을 탈탄시킨다. 이와 같이 용강을 탈탄반응시키면 용강중 탄소함량은 100ppm이하로 제어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같이 용강중 용존탄소량이 100ppm이하로 제어될때 Al등을 용강에 투입하여 용강탈산을 실시하면서 용강온도를 승온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탈산 작업이 완료된 용강의 진공도를 55~79Mbar로 유지하면서 탄소함량이 99%이상인 가탄재를 용강량 270톤을 기준으로 35~40Kg 용강내에 투입한다. 만일 진공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거나 가탄제 투입량이 벗어난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중저탄소강 제조를 위한 용강, 즉, 용존탄소량 0.015~0.035%를 맞출 수가 없다. 예컨데, 상기 진공도를 보다 고진공으로 하거나 가탄제 투입량을 보다 줄이면 극저탄소강 제조를 위한 용강이 제조되며, 반대의 경우는 중저탄소강을 제조할 수 없는 고탄소함유 용강을 생산하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전로로 부터 수강된 용강 268~270톤의 용강을 이용하여 중저탄소강 제조용 용강을 마련하기 위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진공탈가스 설비를 이용하여 용강진공정련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강중 일부는 종래법과 동일하게 50~60Mbar진공도하에서 탈탄정련한후 6분이내 탈산한후 1차로 가탄제를 투입하고, 이어, 측온샘플링하여 최종 용존탄소량을 고려하여 2차 가탄제를 투입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용강에 대해서는 본 발명법과 동일하게 2~3Mbar의 고진공도하에서 그 배가스중 CO함량이0%이하가 될때까지 진공탈탄정련시킨후, 탈산하고 가탄제를 투입하였다.
이러한 진공탈가스정련을 행하여 0.015~0.025%범위의 중저탄소강 제조를 위한 용강을 마련한후, 그에 소요되는 전체 조업기간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또한 나타내었다.
표 1과 같이, 본 발명법의 경우 중저탄소강용 용강을 정련함에 요하는 시간이 모두 20분 미만으로 종래법에 비하여 그 생산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용강량(톤) 탈가스도착산소(ppm) 탈가스도착 온도(℃) 탈산시점(처리개시후:분) 1차 가탄제 투입량(kg) 탈산전 진공도(Mbar) 2차 가탄제 투입량(Kg) 전체처리시간(분)
종 래 법 1 270.5 350 1572 5.1 30 55 25 23
2 270.8 400 1573 5.3 32 58 31 25
3 270.4 430 1580 4.8 45 60 24 24
4 270.4 380 1592 5.6 30 59 25 26
5 270.2 300 1576 5.2 35 56 28 26
6 269.6 482 1585 5.0 42 55 35 25
발 명 법 1 270.5 350 1592 8.0 35 2.2 17
2 269.4 300 1585 8.4 40 3.0 18
3 269.9 450 1575 8.3 36 2.5 17
4 270.5 468 1580 7.9 37 2.1 15
5 270.1 300 1598 8.6 40 3.1 16
6 270.3 486 1576 8.1 39 2.1 16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강 탈가스공정의 실조업에 적용시 시료채취 작업과 분석작업등의 횟수가 줄어들어 작업공정이 단축되고, 아울러, 작업자의 작업 피로도가 격감되어 작업능률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시료채취 작업과 분석작업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탈가스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배가스중 CO함량을 활용하여 용강중 탄소성분을 예측함으로써 탈가스 처리시간이 줄어들어,생산성 향상과 함께 공정관리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탈가스공정에서 처리시간 증가로 인해 파생되는 온도조절 작업의 불편함이 해소되고, 용강의 온도를 올리기 위한 승온작업에 사용되는 산소와 알루미늄등의 사용량이 줄어들어, 원료비가 저감되는 효과도 얻어지게 된다. 특히,본 발명에 따른 처리기술의 적용은 생산성 증대와 원가절감의 효과 이외에도, 탈가스 공정에서 처리시간이 빨라져, 상대적으로 온도하강폭이 축소됨으로써 용강온도를 올리기 위한 승온 작업이 줄어들어 승온에 의한 품질 불량의 문제가 일소되어 용강 품질이 좋아지는 실익도 얻어지게 된다.

Claims (1)

  1. 진공탈가스 설비를 이용한 용강의 정련공정에 있어서,
    그 정련공정중 상기 진공탈가스 설비로부터 배출되는 배가스중 CO가스 함량이 20%이하가 될때까지 2~3Mbar의 진공도하에서 용강을 초기탈탄정련하여 용존탄소량을 100ppm이하로 제어한후 용강탈산을 실시하고, 이어, 그 진공도를 55~79Mbar로 유지하면서 가탄제를 35~40kg/270톤-용강 범위로 장입하여 용존탄소량을 0.015~0.035%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탄소강 제조를 위한 용강의 정련방법.
KR1020020085249A 2002-12-27 2002-12-27 중저탄소강 제조를 위한 용강의 정련방법 KR100916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5249A KR100916099B1 (ko) 2002-12-27 2002-12-27 중저탄소강 제조를 위한 용강의 정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5249A KR100916099B1 (ko) 2002-12-27 2002-12-27 중저탄소강 제조를 위한 용강의 정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9575A KR20040059575A (ko) 2004-07-06
KR100916099B1 true KR100916099B1 (ko) 2009-09-08

Family

ID=37351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5249A KR100916099B1 (ko) 2002-12-27 2002-12-27 중저탄소강 제조를 위한 용강의 정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0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947B1 (ko) * 2013-08-30 2015-01-21 주식회사 포스코 중고탄소강의 제강정련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574B1 (ko) 2007-12-27 2009-04-29 주식회사 포스코 밥(bap)장 자동 장치
KR101516723B1 (ko) * 2013-10-30 2015-05-04 현대제철 주식회사 중탄소 비조질강의 제조방법
CN110468254A (zh) * 2019-09-25 2019-11-19 敬业钢铁有限公司 一种安全环保的真空碳块脱氧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1317A (ja) * 1995-04-20 1996-11-05 Nippon Steel Corp 中炭素Alキルド鋼の製造方法
KR20000039139A (ko) * 1998-12-11 2000-07-05 이구택 진공탈가스처리시 가탄제투입에 의한 극저탄소강의 정련방법
KR20010028813A (ko) * 1999-09-27 2001-04-06 이구택 극저탄소강 용강정련시의 용존탄소량 제어방법
JP2001152235A (ja) * 1999-11-22 2001-06-05 Sumitomo Metal Ind Ltd 溶鉄の炭素濃度調整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1317A (ja) * 1995-04-20 1996-11-05 Nippon Steel Corp 中炭素Alキルド鋼の製造方法
KR20000039139A (ko) * 1998-12-11 2000-07-05 이구택 진공탈가스처리시 가탄제투입에 의한 극저탄소강의 정련방법
KR20010028813A (ko) * 1999-09-27 2001-04-06 이구택 극저탄소강 용강정련시의 용존탄소량 제어방법
JP2001152235A (ja) * 1999-11-22 2001-06-05 Sumitomo Metal Ind Ltd 溶鉄の炭素濃度調整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947B1 (ko) * 2013-08-30 2015-01-21 주식회사 포스코 중고탄소강의 제강정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9575A (ko) 2004-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68866A (zh) 一种中高碳钢水的精炼工艺
KR100916099B1 (ko) 중저탄소강 제조를 위한 용강의 정련방법
CN113832300B (zh) 一种基于预测的if钢精炼结束全氧控制方法
Guo et al. Cleanliness of Ti-bearing Al-killed ultra-low-carbon steel during different heating processes
JP4790489B2 (ja) 転炉製鋼法
JP2007169717A (ja) 真空脱ガス設備における脱炭終点判定方法
CN103225009A (zh) 高洁净度钢的熔炼方法
JP2020180322A (ja) 転炉を用いた溶鋼の製造方法
JP5375419B2 (ja) 清浄鋼の溶製方法
JP3893770B2 (ja) 高清浄極低炭素鋼の溶製方法
JP4686917B2 (ja) 真空脱ガス設備における溶鋼の溶製方法
KR100977795B1 (ko) 고 청정강의 제조방법
JP6436121B2 (ja) ステンレス鋼溶湯の二次精錬方法
KR100847102B1 (ko) Lf공정에서의 탈류방법
KR100913008B1 (ko) 진공탈가스설비의 용강 정련방법
KR101239426B1 (ko) 고크롬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진공탈탄 공정설비
KR101012837B1 (ko) 탈황을 위한 용선 예비처리방법
JP3674422B2 (ja) 高清浄度低炭素鋼の溶製方法
KR20190076314A (ko) 저탄소강의 정련방법
KR100879740B1 (ko) 용강의 정련방법
KR100922058B1 (ko) 고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용강의 정련방법
CN117512270A (zh) 炉外精炼钢液纯净度评价的工艺方法
KR100905583B1 (ko) 소음치를 이용한 슬래그 두께 측정방법 및 용강의 탈황방법
KR100402005B1 (ko) 청정도가 우수한 극저탄소 알루미늄 탈산강의 정련방법
KR101408228B1 (ko) 스테인리스강의 탈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