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728B1 - 블로우성형 용기 - Google Patents

블로우성형 용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728B1
KR100915728B1 KR1020037008849A KR20037008849A KR100915728B1 KR 100915728 B1 KR100915728 B1 KR 100915728B1 KR 1020037008849 A KR1020037008849 A KR 1020037008849A KR 20037008849 A KR20037008849 A KR 20037008849A KR 100915728 B1 KR100915728 B1 KR 100915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ner layer
outer layer
bonding
reg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3108A (ko
Inventor
요네야마마사시
나카무라히로유키
세구치마사토
고토다카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35632A external-priority patent/JP385816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35631A external-priority patent/JP387111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2/011356 external-priority patent/WO2003037726A1/ja
Publication of KR20040043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7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2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two or mor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블로우성형에 의해 정형의 외각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제의 바깥쪽층(11)과, 이 바깥쪽층(11)과 박리자유롭게 적층되어, 안자루를 형성하는 가소성 합성수지제의 안쪽층(12)과, 바깥쪽층(11)와 안쪽층(12)을, 전체 높이범위에 걸쳐 접착고정하여, 용기(1)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하여, 또한 바깥쪽층(11)에 형성된, 바깥쪽층(11)와 안쪽층(12)과의 사이에 외부공기를 침입시키는 흡기구멍(7)을 피하여 위치한 세로방향띠 형상의 한 쌍의 규제대(15)로 구성하는 것, 적어도 한쪽의 규제대(15)를, 서로 평행하게 된 가는 세로방향띠 형상의 복수의 접착대(14)로 구성함에 의해, 바닥부의 기계적 강도를 충분히 갖고, 또한 통상의 금형으로 성형 가능하고, 생산성이 높은 데라미타입의 용기를 제공하고, 또한 균일하고 양호한 스퀴즈변형성을 갖고, 감촉의 위화감이 없는, 또한 접착대의 형성에 의한 외관의 열화가 작은 스퀴즈타입의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로우성형 용기 {BLOW-MOLDED CONTAINER}
본 발명은, 정형의 외각을 형성하는 바깥쪽층내에, 변형자유로운 안쪽 자루를 형성하는 안쪽층을 박리 자유롭게 적층형성하여, 외관형상을 변화시키는 일 없이, 내용액의 배출 사용을 가능하게 한 적층박리합성수지제의 블로우성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퀴즈(squeez)변형 자유로운 외부용기본체내에, 자유자재로 부피축소변형하는 내부용기본체를 박리 가능하게 적층하여, 외부공기를 흡인하지 않고, 내용액의 반복 배출사용을 가능하게 한 합성수지제의 블로우성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정형의 외각을 형성하는 바깥쪽층내에는, 변형자유로운 안쪽 자루를 형성하는 안쪽층을 박리 자유롭게 적층하여 구성한 일반적으로 데라미병(delaminated bottles)이라 불리우는 블로우성형 병체인 적층박리 합성수지제 용기가 알려지고 있다.
이 블로우성형된 적층박리 합성수지제 용기는, 상용성(相溶性)이 없는 바깥쪽층 패리슨(parison)과 안쪽층 패리슨을 공압출(共押出)로 적층 패리슨에 압출성형하고, 이 적층 패리슨을 블로우성형으로 얻지만, 블로우금형의 핀치오프 (pinch-off)부에서 핀치오프 성형되는 바닥시일부분은, 기본적으로는 상용성이 없는 바깥쪽층 부분과 안쪽층 부분과의 적층구조가 되기 때문에, 바깥쪽층 부분에 용이하게 바닥의 깨짐이 발생한다는 불만이 있었다.
이 불만을 해소하는 종래 기술로서, 블로우금형의 핀치오프부에 의해 편평하게 핀치오프 성형되는 바닥시일부를, 한 쌍의 리브편을 중합압착하여 파팅라인 (parting line)에 따른 돌출조형상으로 성형하여, 이 돌출조형상물에, 한 쌍의 리브편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파들어가는 파들어감부을 복수개 형성하여 구성한 기술(일본 특허공개 평성 8-216238호 공보참조)이 있다.
이 종래 기술은, 바닥시일부를 높이 폭을 갖는 돌출조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바닥시일부에서의 바깥쪽층과 안쪽층과의 압착면적을 크게 하고, 또한 복수개의 파들어감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바깥쪽층과 안쪽층과의 압착면적을 더욱 증대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압착면에 평행하는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을 비약적으로 높여, 이에 따라 바닥 깨짐이 발생하기 어렵고, 기계적 강도가 높은 바닥시일부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용기의 블로우성형 완료후에 서의 바닥부의 시간 경과에 따른 수축의 영향에 의해, 바닥시일부에 바닥 깨짐이 발생할 경우가 있고, 특히 대형의 용기에 있어서는, 내용액을 충전한 상태로 떨어뜨리거나, 충격을 주거나 하면, 바닥 깨짐이 종종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이 종류의 블로우성형 용기는, 금형내에서 수축, 즉 냉각수축을 완료시킬 필요가 있지만, 바닥시일부는 큰 높이폭과 두께를 갖기 때문에 그 부피가 큰 것이 되고, 이 때문에 냉각에 장시간을 요하여 용기의 생산효율을 극히 낮은 것으로 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소화 57-44063호 공보 및 일본 실용공개 평성 7-22951호 공보에는, 내부용기본체, 및 내부용기본체를 수납한 외부용기본체로 이루어지는, 스퀴즈타입의 배출용기에 대한 종래 기술의 기재가 있다.
일본 실용공개 소화 57-44063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 기술은, 용기본체의 바닥부에 통기구멍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용기본체의 스퀴즈로 내부용액을 배출한 후, 외부용기본체와 내부용기본체와의 사이에 외부의 공기가 도입되어, 내부용기본체는 변형된 채로의 형상을 유지하고, 또한 용기본체는 그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도록 한 것이다.
일본 실용공개 평성 7-22951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 기술은, 외부용기본체와 내부용기본체를 결합고정하여, 내부용기본체로부터의 내부용액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외부공기가 내부용액으로 진입하는 것은 저지하는 제 1 역지밸브와, 외부용기본체와, 내부용기본체와의 사이에 외부공기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외부용기본체와 내부용기본체와의 사이에 진입한 외부공기의 배출은 저지하는 제 2 역지밸브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용기본체의 전체 높이범위에 걸쳐 외부용기본체와 내부용기본체를 접착고정한 세로방향띠(종횡帶)형상의 접착대를 한 쌍 설치하는 것에 의해, 내부용기본체의 부피축소변형을, 높이방향의 축소가 생기는 일이 없는 일정한 형태로 규제하고, 이에 따라 내부용액의 유동통로를 확보하여, 배출조작을 원활하게 하는 방법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몸통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축대칭의 위치에 한 쌍의 접착대를 배치하는 방법이 간단하고, 효과적이다.
그러나, 접착대에 내부용기본체의 부피축소변형의 제어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일정한 폭을 갖은 접착대가 필요하지만, 접착대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두께가 두꺼워지고, 또한 외부용기본체의 몸통부가 스퀴즈용기로서의 가소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 비교적 얇은 두께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접착대 부분이 뼈대 형상이 되어, 균일한 스퀴즈변형이 방해된다고 하는 문제, 또한 사용자가 손의 감촉에서 위화감을 기억한다고 하는 문제, 접착대를 형성하는 접착성수지가 고가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통상, 용기의 몸통부 바깥표면은, 라벨의 부착, 인쇄 등에 의해, 상품명을 나타내거나, 장식하거나 하여 상품의 외관상 중요한 부분이지만, 접착대의 형성에 의해 몸통부의 외표면에 요철이 생겨, 공정상 또는 외관상의 문제가 있고, 또한 뼈대 형상의 접착대 자체가 눈에 띈다고 하는 외관상의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주로 바깥쪽층(외부용기본체)과 안쪽층(내부용기본체)을 접착고정하는 세로방향띠 형상의 접착대의 형성개수, 형성위치 등의 구성에 의해,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이다.
첫째로, 본 발명은, 바닥시일부의 부피를 증대시키는 일 없이, 바닥시일부에서의 안쪽층과 바깥쪽층 또는 안쪽층을 사이에 둔 바깥쪽층끼리가 강고한 접착을 달성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함으로써, 바닥부의 강도 및 시트기능의 저하가 없고, 또한 생산성, 경제성에 뛰어난, 적층박리 합성수지제 블로우성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로, 본 발명은 균일한 스퀴즈변형이 가능하고, 외관의 영향이 작은 접착대의 형성을 기술적 과제로서, 배출조작을 최후까지 원활하게 달성할 수가 있고, 저비용으로 외관이 뛰어난 스퀴즈타입의 합성수지제의 블로우성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낸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바닥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바닥시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양 규제대의 조합의 예를 나타내는 저면확대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예에서 양 규제대의 조합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확대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예에서 양 규제대의 조합의 더욱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낸 전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실시예의 평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나타낸 실시예의, 바닥부 확대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바닥시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1에서 바닥시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0의 평단면도이고, 안쪽층의 변형 추이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용기를 일부파단하여 나타낸 전체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용기에 배출캡체를 부착하여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반종단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있어서의 A-A선을 따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반종단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나타낸 평단면도에서의 안쪽층의 변형 추이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16의 용기의 바닥부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2는, 도 16의 용기에 블로우성형되는 패리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있어서의 B-B선을 따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24는, 패리슨 및, 패리슨을 핀치오프한 상태에 있어서의 접착대의 배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중,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블로우성형에 의해, 정형의 외각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제의 바깥쪽층과, 이 바깥쪽층과 박리자유롭게 적층되어, 안쪽 자루를 형성하는 가소성 합성수지제의 안쪽층과, 바깥쪽층과 안쪽층을, 전체 높이범위에 걸쳐 접착고정하고, 용기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으로, 또한 바깥쪽층에 형성된 바깥쪽층과 안쪽층과의 사이에 외부공기를 침입시키는 흡기구멍을 피하여 위치한 세로방향띠 형상의 한 쌍의 규제대로 구성되는 것과, 적어도 한쪽의 규제대를, 서로 평행하게 된 가는 세로방향띠 형상의 복수의 접착대로 구성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바깥쪽층과 안쪽층을, 전체 높이범위에 걸쳐 접착고정하여, 용기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으로 위치한 세로방향띠 형상의 규제대와, 한 쌍의 규제대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기구멍에 의해, 내용액의 배출에 의한 안쪽층에 의해 형성되는 안쪽 자루의 부피축소변형의 형상의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배출조작을 원활하게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용기의 바닥부에 있어서는 규제대에 의해 바닥시일부의 바깥쪽층과 안쪽층을 접착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이 바닥시일부의 강도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본 청구항 1의 구성에서는, 규제대를 복수의 가는 세로방향띠 형상의 접착대로 형성하기 때문에, 접착대 자체의 폭을 확대하는 일없이 규제대의 폭을 상기한, 안쪽층의 부피축소변형의 제어, 또는 바닥시일부의 강도향상에 필요충분한 폭으로 할 수 있고, 접착대 자체의 폭을 확대하는 것에 의한, 외관불량의 문제, 균일한 스퀴즈변형이 방해된다고 하는 문제, 또한 사용자가 손의 감촉에서 위화감을 기억한다고 하는 문제, 접착대를 형성하는 접착성수지가 고가인 등의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청구항 1의 구성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규제대를, 서로 평행하게 된 가는 세로방향띠 형상의 복수의 접착대로 구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는 것은, 한 쌍의 규제대중 한쪽의 규제대를 복수의 접착대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도 상기한 청구항 1의 작용효과가 발휘되기 때문이고, 본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는 용기의 사용목적 등에 따라서, 쌍방의 규제대를 복수의 접착대로 구성할 수가 있고, 한쪽만의 규제대를 복수의 접착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한 쌍의 규제대를, 파팅라인(parting line)을 경계로 하여, 서로 반대측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용기의 바닥부의, 블로우분할금형의 핀치오프(pinch-off)부에 의해 편평하게 핀치오프 성형되는 바닥시일부에서의 상기 한 쌍의 규제대의 하단가장자리를, 서로 대향위치시키는 것에 있다.
용기는, 통상의 핀치오프부 구조를 갖는 블로우분할금형으로 블로우성형되기 때문에, 바닥부에 형성되는 핀치성형 부분인 바닥시일부는, 통상의 블로우성형품과 마찬가지로, 낮은 돌출높이의 한 쌍의 리브돌출편이 중합한 돌출조형상이 되어, 양 리브돌출편은 중합한 안쪽층끼리를 강고히 용착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이 바닥시일부의 부피는, 통상의 블로우성형품의 바닥시일부와 같이, 충분히 작기 때문에, 용기의 이형(離型)에 있어서의, 바닥시일부에 대한 냉각은, 조속히 또한 충분히 달성할 수 있게 된다.
파팅라인을 경계로 하여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양 규제대는, 그 하단가장자리를, 파팅라인상에 위치하는 바닥시일부의 각 리브돌출편의 앞끝부분(핀치성형 부분)에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이 규제대의 하단가장자리가 위치한 리브돌출편부분에서는, 규제대의 하단가장자리의 폭범위에서, 바깥쪽층과 안쪽층이 강고히 접착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규제대의 하단가장자리에서 바깥쪽층과 안쪽층이 강고히 접착고정된 부분과, 바닥시일부의 좌우 끝단부의 3곳이, 바깥쪽층과 안쪽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바닥시일부에서의 변형에 대하여 접합부의 기능을 다하고, 바닥시일부의 규제대가 없는 부분에 있어서도, 바깥쪽층 및 안쪽층 단독에서의 변형은 억제되고, 그 결과, 바닥시일부에 어떤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이 힘에 대항할 수가 있어, 밑바닥시일부의 깨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규제대를 구성하는 복수의 접착대의 간격을 두는 것에 의해, 규제대의 폭범위를 넓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접합부로서의 기능이 확실히 발휘되어, 바깥쪽층 및 안쪽층 단독에서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어, 충분한 깨짐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한쪽의 규제대를 가느다란 복수의 접착대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원하는 폭의 규제대를 구성하는데 소비되는 고가의 접착성 합성수지제의 양을 대폭 적게 할 수 있고, 또한 바닥시일부에서의 양 규제대의 하단가장자리의 대향위치관계를, 엄격한 위치맞춤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양 규제대의 각각을, 복수의 접착대에서 구성한 것을 더한 것이다.
이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양 규제대를, 각각 복수의 접착대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큰 폭의 규제대를 적은 접착성 합성수지제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규제대의 폭을, 간단하게 변경설정할 수가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양 규제대를, 복수로 같은 수의 접착대로 구성한 것을 더한 것이다.
이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양 규제대를 각각 복수로 동수의 접착대에서 구성하였기 때문에, 큰 폭의 규제대를 적은 접착성 합성수지제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규제대의 폭을, 간단히 변경설정할 수가 있고, 또한 양 규제대의 각 접착대의 하단가장자리를, 1대 1로 대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양 규제대의 하단가장자리의 대향자세의 설정이 용이하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2, 3 또는 4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한쪽의 규제대를 구성하는 각 접착대의 하단가장자리의 전체영역을, 다른쪽의 규제대를 구성하는 접착대의 하단가장자리에, 맞닿게 하여 대향위치시킨 것을 더한 것이다.
이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한쪽의 규제대의 하단가장자리의 전체영역이, 다른쪽의 규제대에 대하여, 용착한 안쪽층을 통해 대단히 아주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양 규제대의 하단가장자리는, 직접 접착결합한 상태가 되어, 규제대의 하단가장자리가 위치한 바닥시일부부분이 강고한 접착결합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2, 3 또는 4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한쪽의 규제대를 구성하는 각 접착대의 하단가장자리를 다른쪽의 규제대를 구성하는 접착대의 하단가장자리에 대하여, 양 하단가장자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안쪽층부분이 휨변형하지않는 범위에서 최대로 어긋나게 하여 대향시킨 것을 더한 것이다.
이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대향한 접착대의 하단가장자리 사이에, 휨변형을 하지 않는 상태의 안쪽층부분이 위치하는 최대의 어긋남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양 하단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 안쪽층부분이 휨변형하지 않기 때문에, 각 접착대에서 바깥쪽층과 안쪽층을 접착고정된 리브돌출편부분은, 이 휨변형하지 않은 안쪽층부분으로 부동(不動)하게 결합되는 것이 되어, 규제대의 하단가장자리가 위치하는 양 리브돌출편과, 이 리브돌출편부에 대향하여 인접위치하는 다른쪽의 리브돌출편부가 위치하는 바닥시일부 부분을, 쉽게 변형시키는 일없이, 안정하여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와 같이, 규제대의 하단가장자리가 위치하는 바닥시일부 부분의 자세가, 안정하여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이 바닥시일부 부분에, 접합하고 있는 바깥쪽층과 안쪽층을 박리시키도록 외력이 작용하는 일은 없고, 바깥쪽층과 안쪽층의 접합상태가 비교적 안정하게 유지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한쌍의 규제대를 각각 한 쌍의 접착대로 구성하여, 각 접착대의 하단가장자리 전체폭을, 반대측의 접착대의 하단가장자리와 1대 1로 맞닿는 형상으로 대향위치시키는 것에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상기 구성은, 하나의 규제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접착대의 2개씩을 파팅라인을 경계로 하여, 서로 반대측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바닥시일부에서의 각 접착대의 하단가장자리 전체폭을, 반대측의 접착대의 하단가장자리와 1대 1로 맞닿는 형상으로 위치시키고 있고, 이 2개소의 맞닿는 부분에서는, 파팅라인의 양측의 바깥쪽층과 이 양 바깥쪽층에 끼워지는 안쪽층은, 접착대의 하단가장자리의 폭의 범위에서, 접착대를 통해 강고하게 접착고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2개소의 접착대의 맞닿는 형상부분의 사이의 영역은 접착대는 존재하지 않지만, 그 양측에서 바깥쪽층과 안쪽층이 접착대를 통해 강고하게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바깥쪽층과 안쪽층은 일체가 된 변형을 나타내고, 그 결과, 양접착대의 폭과 접착대 사이부분의 폭을 맞춘 즉 규제대의 폭의 범위를 바깥쪽층과 안쪽층이 강고하게 접착한 접착고정부분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규제대와 바닥시일부의 좌우 끝단부의 3개소가, 바깥쪽층과 안쪽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바닥시일부에서의 변형에 대하여 접합부의 기능을 다하고, 바닥시일부의, 규제대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도, 바깥쪽층 및 안쪽층 단독에서의 변형은 억제되어, 그 결과, 바닥시일부에 어떤 힘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이 힘에 대항할 수가 있어, 바닥시일부의 깨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지만, 규제대의 폭을 접착고정부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접합부로서의 기능이 확실히 발휘되고, 바깥쪽층 및 안쪽층 단독에서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때문에, 충분한 깨짐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양 접착대폭과 접착대 사이부분의 폭을 합한 폭, 즉 규제대의 폭의 영역에서 바깥쪽층과 안쪽층이 일체화한 거동(擧動)을 나타내기 때문에, 접착대의 폭 자체는 좁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재료비용이 높은 접착성재료의 사용량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체 높이범위에 걸쳐 위치한 규제대는, 안쪽층의 오므라짐 변형을 규제하는 기능을 다하여, 내용액의 배출을 원활하게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2, 3, 4, 5, 6 또는 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몸통부에 있어서의, 규제대의 폭을, 오므라짐 변형 가능한 안쪽층이, 내용액을 다 사용한 단계에서, 용기의 몸통부의 평단면을 정확히 막을 수 가 있도록 설정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의해, 내용액이 아직 잔존한 상태에서의 몸통부 평단면이 완전한 찌그러짐 변형을 막을 수 있고, 또한 내용액을 다 사용한 상태로, 몸통부평단면이 완전히 찌그러지기 때문에, 내용액의 유동통로를 확보하고, 양호한 배출성을 유지하면서, 내용액의 전량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2, 3, 4, 5, 6, 7 또는 8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흡기구멍을, 용기의 중심축으로 관해서 축대칭으로, 파팅라인 부근의 2개소의 바깥쪽층에 설치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의해, 외부공기가 파팅라인 부근에 설정된 흡기구멍으로부터 침입하기 때문에, 안쪽층의 오므라짐 변형을 보다 대칭적으로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내용액의 배출을 원활하게 달성할 수가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바깥쪽층이 스퀴즈변형 가능하고 복원 자유로운 가소성을 갖는 외부용기본체를 형성하여, 안쪽층이 내용액을 그 내부에 수용하여, 내압의 감소에 의해 자유자재로 부피축소변형하는 내부용기본체를 형성하는 것, 한 쌍의 규제대의 각각을 한 쌍의 접착대에 의해 구성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상기 구성의 용기를 용기본체로서 스퀴즈타입의 배출용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세로방향띠 형상의 규제대는, 한쌍의 접착대 및 이 접착대에 끼워져, 바깥쪽층과 안쪽층이 접착하지 않는 부분(이하 접착대 사이부라고 한다.)으로 형성되지만, 이 한 쌍의 접착대 및 접착대 사이부를 합한 전체폭에 있어서, 안쪽층의 부피축소변형을 규제하는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이 규제대가, 용기본체의 전체높이 범위에 걸쳐, 외부용기본체의 중심축으로 대하여 축대칭으로 한 쌍, 형성되면 내부용기본체가 자유로운 부피축소변형이 규제되어, 몸통부의 평단면에서 보아, 이 규제대를 경계로 하여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접착되어 있지 않은 안쪽층부분(이후, 안쪽층변형부라고 한다)의 중앙부를 편평하게 변형시키면서, 스퀴즈조작에 의한 내용액의 배출의 진행에 따라서 내부용기본체의 부피축소변형이 진행된다.
여기서, 규제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세로가는띠 형상의 접착대는 블로우성형공정으로 형성되지만, 이 공정에서 기술적, 생산성 등의 관점에서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가는 폭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규제대의 전폭이 두께가 두꺼워져서 뼈대형상이 되는 일없이 용기의 몸통부 전체에 걸쳐 균일한 스퀴즈변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압압시에서의 뼈대형상의 세로대에 의한 감촉의 위화감도 없앨 수 있다.
또한, 접착대를 형성하는 접착성수지의 사용량도 적게 할 수 있지만, 통상 이 접착성수지가 고가이기 때문에, 재료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입구통부에, 내부용기본체내에의 내용액의 역류 및 외부의 공기의 진입을 막는제 1 역지밸브부를 부설한 배출캡체를 입구통부에 달라 붙여 고정하여, 또한 흡기구멍으로부터의 공기의 배출을 불가능하게 이 흡기구멍을 개폐하는 제 2 역지밸브부를 부설하여, 배출용기로서 사용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의해, 특히 외부의 공기의 진입을 막는 스퀴즈타입의 배출용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즉, 용기의 스퀴즈에 의해 내용액을 배출한 후, 스퀴즈를 멈춰, 가압을 해제하면, 외부용기본체가 탄성적인 회복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기 시작하여, 배출캡체에 설치한 제 1 역지밸브부의 기능에 의해 내용액의 배출이 멈춰, 내부용기본체에의 내용액의 역류 및 외부공기의 유입이 멈춰지고, 내부용기본체는 부피축소변형한 상태를 유지한 채이기 때문에, 흡기부에서, 바깥쪽층과 안쪽층과의 층간에, 외부의 공기가 도입되어 외부용기본체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외부용기본체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한 상태로부터, 다시 스퀴즈하면, 제 2 역지밸브부에 의해 층간의 공기가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공기가 가압되어, 내부용기본체에 압력이 가해져서, 내용액이 배출된다.
제 1 역지밸브부에 의해, 내부용기본체내에의 외부공기의 유입이 없기 때문에, 내부용기본체내에 공기가 쌓이지 않고, 그러므로 내용액은 항상 입구통부에 임하여 위치하는 것이 되어, 이 때문에 배출용기를 어떠한 자세로 사용하더라도, 내용액을 간단히 재빠르게 배출할 수가 있고, 또한 공기에 의한 내용액의 분해, 산화열화 등의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2 역지밸브부의 부설위치는 특히 한정되어 것이 아니지만, 예를 들면 입구통부에 흡기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배출캡체의 이 흡기구멍에 대향하는 위치에 부설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0 또는 1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용기의 좌우 파팅라인 부근에 1대의 규제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의해, 규제대를 파팅라인 부근에 위치시킴으로써, 통상 용기의 정면부에서 라벨을 첨부하거나, 인쇄를 하는 파팅라인에 직각인 몸통부의 전후면을 요철이 없는 원활한 상태로 할 수 있어, 외관이 양호하고 상품성이 높은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2의 발명에 있어서, 규제대의 좌우중심선이 파팅라인상에 위치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의해, 규제대를 용기의 정면에서 보아 정화히 90°의 위치로 할 수 있어, 외관을 더욱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안쪽층의 변형을 좌우의 파팅라인을 잇는 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양호한 조작성, 배출성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2의 발명에 있어서, 규제대의 좌우중심선을 파팅라인상에서 어긋나게 하여 위치하는 것에 있다.
용기는 통상, 핀치오프부구조를 갖는 블로우성형 분할금형으로 블로우성형되기 때문에, 바닥부 핀치오프부로 형성되는 용기의 바닥시일부에서는, 안쪽층을 양측에서 바깥쪽층으로 낀 샌드위치형상이 되어 있고, 바깥쪽층과 안쪽층은 박리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시일부는 파팅라인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 원통형상의 패리슨(parison)을 분할금형의 핀치오프부에서 양측에서 끼워, 편평하게 핀치오프 성형되지만, 청구항 14의 상기 구성에 의해, 용기에 있어서 규제대의 좌우중심선을 파팅라인상에서 어긋나서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 규제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접착대 중 파팅라인으로부터 보다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접착대는, 바닥시일부에서는, 좌우길이 방향의 중앙에 의해 가까운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밑바닥시일부의 중앙에 의해 가까운 위치의 2개소에서 안쪽층과 바깥쪽층이 접착한 부분을 형성할 수가 있어, 이 접착부분과 바닥시일부의 좌우 끝단부의 4개소가, 바깥쪽층과 안쪽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바닥시일부에서의 변형에 대하여 접합부의 기능을 다하여, 바닥시일부에 어떤 힘이 가해진 상태라도, 이 힘에 대항할 수가 있어, 바닥시일부의 깨짐을 보다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0, 11, 12, 13 또는 1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몸통부를 원형상의 평단면형상으로 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의해, 몸통부가 원통형상이면, 잡는 방향을 걱정하는 일없이 스퀴즈용기를 사용할 수가 있고, 또한 통상, 원형상의 경우는 타원형상 또는 긴 원형상 등의 편평한 단면형상을 가진 것에 비교하여 양호한 배출조작성을 얻기 위해서 규제대의 폭을 넓게 설정해야 하지만, 본 구성에서는 규제대를 한 쌍의 세로가는 띠형상의 접착대에 의해 형성하기 때문에, 폭이 넓은 규제대가 스퀴즈변형의 균일성을 저해하지 않고, 어떤 방향에서라도 같은 스퀴즈성을 갖은 원통형상의 몸통부를 가진 스퀴즈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0, 11, l2, 13, 14 또는 15의 발명에 있어서, 몸통부를 원형상과 타원형상과 긴 원형상 중 어느 하나의 평단면형상으로 하는 것, 규제대의 폭을 (1/4) (L/2D1)에 설정하는 것 에 있다. (L; 평단면의 둘레길이, D1 ; 평단면의 지름) 규제대의 폭을, 넓게 설정하면, 내용액을 상당히 많이 남긴 상태에서, 안쪽층변형부의 둘레방향의 길이의 치수인 한계에 있고, 변형가능한 부분이 없어져서, 이 때문에, 외부용기본체를 손으로 누르더라도, 내용액을 배출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규제대를 좁게 설정하면, 안쪽층변형부의 길이에 충분한 여유가 있기 때문에, 용기전체로서는 아직 내용액이 많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도, 용기의 배출이나 보관의 상태에 의해, 용액 안에서 내용액이 적어지기 쉬운 부분에서는, 내부용기본체의 평단면형상이, 내용액의 유동통로를 폐쇄하여 버리는 상태가 되어, 이후 내용액의 원활한 배출을 실시할 수 없게 된다.
원형상의 경우 길이지름은 지름에 해당하고, 타원형상 및 긴 원형상의 경우는 손으로 잡을 때의 스퀴즈성을 고려하여 통상 길이지름의 방향에 파팅라인이 있어, 규제대를 위치시키지만, 여기서 청구항 16의 상기 구성에 의해, 규제대의 폭을 (1/4) (L-2D1)로 설정함에 의해, 안쪽층변형부의 둘레방향의 길이는 정확히, 부피축소변형에 의한 찌그러짐에 의하여 몸통부의 평단면을 막는 길이가 된다. 즉, 전체 높이방향에 걸쳐 이상적인 변형이 진행되면 내용액의 배출완료와 동시에, 내부용기본체의 전체 높이범위에 있어서 평단면이 완전히 찌그러진 상태로 할 수 있어, 양호한 배출성, 스퀴즈조작성을 최후까지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2, 3, 4, 5, 6, 7, 8, 9, 10, 11, l2, 13, 14, 15 또는 16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흡기구멍을, 입구통부의 바깥쪽층에 형성한 것을 더한 것이다.
이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흡기구멍을, 캡으로 덮여지는 입구통부에 형성하기 때문에, 이 흡기구멍이 용기의 외관을 열화시키는 일이 없고, 또한 이 흡기구멍을 후가공으로 잘라내어 성형하는 것에 있어서, 입구통부에서의 안쪽층부분의 두께가 크기 때문에, 이 흡기구멍의 잘라내기 성형을, 안쪽층부분에 구멍을 여는 일 없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용기(1)의 제 1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용기(1)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등의 합성 수지재료로, 필요로 하는 자기형상유지능력을 갖게 한 외각체로서 성형된 바깥쪽층(11)과, 나일론, 에틸렌비닐알콜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등의 바깥쪽층(11)에 대하여 상용성(相溶性)이 낮은 합성수지재료로, 휨변형이 자유로운 자루 형상으로 성형된 안쪽층(12)과, 바깥쪽층(11) 및 안쪽층(12)에 대하여 충분한 접착성을 발휘하는 접착성 합성수지제로 성형되어, 용기(1)의 전체 높이범위에 걸쳐 설치된 세로띠형상의 접착대(14)를 적층시킨 블로우성형 용기이고, 접착대(14)에 의해 용기(1)의 앞뒤에 한 쌍의 규제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용기(1)의 몸통부(3)는 원통형상을 하고 있으며, 몸통부(3)의 상단에 세워 연이어 형성되고, 바깥둘레면에 나선돌기를 형성한 입구통부(2)의 좌우의 바깥쪽층(11)에는, 외부공기를 바깥쪽층(11)과 안쪽층(12)과의 사이에 도입하기 위한 흡기구멍(7)이 형성되어 있고, 양 규제대(15)는, 이 흡기구멍(7)에 대하여 중심각 90°변위한 장소에 대칭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몸통부(3)의 하단에는, 반구형상으로 함몰한 바닥벽을 갖는 바닥부(4)가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4)(도 3, 도 4, 도 5 참조)는, 바닥벽의 주위에, 용기(1)의 다리 기능부를 형성하고, 이 바닥벽의 하면중앙에, 파팅라인(21)상에 위치하여 바닥벽을 횡단하는 블로우분할금형의 핀치오프부에서 핀치오프 성형된 한 쌍의 리브돌출편(23)을 중합시킨 바닥시일부(22)를 형성하고 있다.
용기(1)의 블로우성형은, 바깥쪽층(11)이 되는 바깥쪽층 패리슨과, 이 바깥쪽층 패리슨의 안쪽에 위치하는 안쪽층(12)이 되는 안쪽층 패리슨과, 바깥쪽층 패리슨과 안쪽층 패리슨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는 세로방향띠 형상 또는 세로방향띠 형상의 접착대(14)를 함께 압출하여, 중심축에 대해 대칭위치에 한 쌍, 세로방향띠 형상의 규제대(15)가 형성된 패리슨을 압출성형하고, 이 패리슨을 블로우분할금형으로 용기(1)에 블로우성형한다.
이 용기(1)의 블로우성형에 있어서, 패리슨은, 그 중심축으로부터 블로우분할금형의 금형조임방향으로 한 쌍 2개의 규제대(15)를 위치시키도록, 블로우분할금형에 대한 자세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규제대(15)는, 바닥부(4)의 파팅라인(21)상에 위치하는 바닥시일부(22)까지 이르게 되고, 이 때문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잘린 부분인 바닥시일부(22)를 구성하는 양 리브돌출편(23)의, 규제대(15)가 위치하는 중앙부분에서의 바깥쪽층(11)과 안쪽층(12)은 규제대(15)에 의해 강고하게 접착고정된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양 규제대(15)의 조합의 일례를 나타낸다. 한쪽의 규제대(15)가 1개의 세로방향띠 형상의 접착대(14)로 구성되고, 다른쪽의 규제대(15)가 2개의 가는 세로방향띠 형상의 접착대(14)로 구성되어 있며, 한 쪽의 규제대(15)의 접착대(14)는, 다른쪽의 규제대(15)의 양 접착대(14)사이에, 양 끝단부를 맞닿는 형상으로 대향한 자세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바닥시일부(22)에서 양 규제대(15)의 하단가장자리는, 그 맞닿는 측단부에 의해 바깥쪽층(11)끼리를 강고히 접착 결합한 상태로, 다른쪽(타면)의 규제대(15)의 폭범위 전역에서, 바깥쪽층(11)과 안쪽층(12)과의 접합을 안정하여 유지한다.
도 7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양 규제대(15)의 조합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6 도시의 예의 양 규제대(15)의 구성에 있어서, 바닥시일부(22)에서의 한 쪽의 규제대(15)의 접착대(14)의 하단가장자리와, 다른쪽의 규제대(15)의 접착대 (14)의 하단가장자리와의 사이에, 휨변형을 하지 않는 상태의 안쪽층부분(19)을 위치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바닥시일부(22)에 있어서, 각 접착대(14)의 하단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안쪽층부분(19)이 휨변형을 하지 않기 때문에, 바깥쪽층(11)과 안쪽층(12)이 접착대(14)로 접착고정된 양 리브돌출편(23)부분은, 휨변형하지 않는 안쪽층부분(19)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쉽게 휨변형하지 않는 바닥시일부(22)의 폭을 다른쪽의 규제대(15)의 큰 범위로 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예의 경우, 양 규제대(15)는, 도 6에 도시된 예와 같이, 부동(不動)하게 용착 결합한 안쪽층(12)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결합하는 것은 아니고, 휨변형하지 않는 안쪽층(12)부분을 통해 연결하기 때문에, 규제대(15)의 부동인 결합정도는, 도 6에 도시된 예에 비교해서 뒤떨어지지만, 쉽게 휨변형하지 않는 범위를 보다 크게 얻을 수 있다.
도 8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양 규제대(15) 조합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 예의 경우, 양 규제대(15)를, 동일폭 치수 및 간격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접착대(14)로 동일형태로 구성하여, 각 접착대(14)의 하단가장자리 전체영역을, 다른쪽(타면)의 규제대(15)의 접착대(14)의 하단가장자리에 맞닿는 형상으로 대향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대향한 접착대(14)의 결합은 극히 강력하게 되어, 바닥시일부 (22)에 있어서의 바깥쪽층(11)과 안쪽층(12)과의 결합을 가장 강력하게 달성 유지한다.
흡기구멍(7)은, 둘레방향을 따라, 양 규제대(15)로부터 같은 거리가 되는, 대략 파팅라인(21)상에 위치시키는 것이, 안쪽층(12)의 오므라짐 변형을 원활하게 또한 양호하게 하는 데 유리하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한쪽의 접착대(15)를 1 개의 접착대(14)로 구성하여, 다른쪽의 규제대(15)를 2개의 접착대(14)로 구성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규제대(15)를 구성하는 접착대(14)의 수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규제대(15)을 구성하는 접착대(14)의 수는,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는 것이고, 이 것은 도 8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도 같다.
또한, 본원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규제대(15)를, 서로 평행하게 된 세로방향띠 형상의 복수의 접착대(14)로 구성하고 있는 것은, 한 쌍의 규제대(15) 중 한 쪽의 규제대(15)를 복수의 접착대(14)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도 상기한 본원발명의 작용효과가 발휘되기 때문이고, 상기한 양 규제대(15)의 조합의 예(도 6∼도 8 참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의 사용목적 등에 따라서, 쌍방의 규제대(15)를 복수의 접착대(14)로 구성할 수 있고, 한쪽만의 규제대(15)를 복수의 접착대(14)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용기(1)을 바깥쪽층(11)과 안쪽층(12)과의 2층 구조로서 설명하였지만, 안쪽층(12)은 단층구조에 특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바깥쪽에 바깥쪽층(11)과의 박리성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층을, 그리고 안쪽에 내(耐)내용액성에 뛰어난 합성수지제의 층을 정층한 것으로 하더라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1)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용기(1)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재료로, 필요로 하는 자기형상유지능력을 갖게 한 외각체로서 성형된 바깥쪽층(11)과, 나일론, 에틸렌비닐알콜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바깥쪽층(11)에 대하여 상용성이 낮은 합성수지재료로, 휨변형이 자유로운 자루 형상으로 성형된 안쪽층(12)과, 바깥쪽층(11) 및 안쪽층(12)에 대하여 충분한 접착성을 발휘하는 접착성수지로 성형되고, 용기(1)의 전체높이범위에 걸쳐 설치된 세로방향띠 형상의 2쌍, 합 4개의 접착대(14)를 적층시킨 블로우성형 용기이고, 한 쌍 2자루의 접착대(14)에 의해 용기(1)의 앞뒤로 한 쌍의 규제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용기(1)의 몸통부(3)는 원통형상을 하고 있으며, 몸통부(3)의 상단에 세워 연이어 형성되고, 바깥둘레면에 나선돌기를 형성한 입구통부(2)의 좌우의 파팅라인(21)의 위치의 바깥쪽층(11)에는, 외부공기를 바깥쪽층(11)과 안쪽층(12)과의 사이에 도입하기 위한 흡기구멍(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기구멍(7)에 대하여 중심각 90°변위한 위치를 사이에 두고, 접착대(14)가 4개(14a1,14a2,14b1,14b2)위치하고 있으며, 이 중 14a1와 14b2 및 14a2와 14b1는 축대칭의 위치에 있고, 몸통부(3)에 있어서 파팅라인(21)을 경계로 같은 측에 있는 2개의 접착대(14)(l4a1와 14b1 및 14a2와 14b2)와 이 2개의 접착대(14)에 끼워진 부분을 합친 영역[이하, 규제대(15)라고 한다.]의 폭이(l/4)(L-2D)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L; 몸통부평단면의 둘레길이, D; 몸통부평단면의 지름)
몸통부(3)의 하단에는, 반구형상으로 함몰한 바닥벽을 갖는 바닥부(4)가 연이어 형성되어 있고, 이 바닥부(4)(도 11, 도 12 참조)는, 바닥벽의 주위에, 용기 (1)의 다리부를 형성하고, 이 바닥벽의 하면중앙에, 파팅라인(21)상에 위치하여 바닥벽을 횡단하는, 블로우금형의 핀치오프부에서 핀치오프 성형된 바닥시일부 (22)를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용기(1)의 블로우성형은, 바깥쪽층(11)이 되는 바깥쪽층 패리슨과, 이 바깥쪽층 패리슨의 안쪽에 위치하는 안쪽층(12)이 되는 안쪽층 패리슨과, 바깥쪽층 패리슨과 안쪽층 패리슨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는 세로방향띠 형상의 접착대(14)를 동시에 압출하여, 중심축에 대해 대칭위치에 한 쌍, 세로방향띠 형상의 규제대(15)가 형성된 패리슨을 압출성형하고, 이 패리슨을 블로우분할금형으로 용기(1)에 블로우성형한다.
본 제 2 실시예의 용기(1)의 블로우성형에 있어서, 패리슨은 그 중심축으로부터 블로우성형 분할금형의 결합방향에, 2쌍, 합 4개의 접착대(14)를, 위치시키도록 블로우성형 분할금형에 대한 자세가 설정되어 있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대(14)는 바닥부(4)의 파팅라인(21)상에 위치하는 바닥시일부(22)까지 달한다.
또한, 파팅라인(21)을 경계로 하여 반대측에 위치하는 접착대(14)의 14a1와 14a2 및 14b1과 14b2는, 도 11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시일부(22)에 있어서, 그 한쪽의 하단가장자리의 전체폭이 반대측의 하단가장자리에 1대 1로 맞닿는 형상으로 위치한다.[이하 이 2개의 접착체가 맞닿는 형상으로 위치하는 부분을 맞닿음부(24)라고 한다.]
이 때문에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치오프 성형한 바닥시일부(22)의, 맞닿음부(24)가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파팅라인(21)의 양측의 바깥쪽층(11)과 이 양 바깥쪽층(11)에 끼워지는 안쪽층(12)은, 접착대(14)에 의해 강고히 접착고정되고, 이 양 맞닿음부(24)의 사이의 접착대 사이부분(18)에 대해서도, 그 양측이 맞닿음부(24)로 고정되어 있고, 안쪽층(11) 또는 바깥쪽층(12)의 단독의 변형은 억제되어, 그 결과, 양 접착대(14)의 폭과 접착대 사이부분(18)의 폭을 합한, 즉 규제대(15)의 폭영역에서, 바깥쪽층(11)과 안쪽층(12)과의 강고한 결합이 달성된다.
도 15는, 도 10에서의 평단면도이고, 안쪽층의 변형의 추이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제 2 실시예에서는, 흡기구멍(7)이 입구통부(2)의 파팅라인(21)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내압의 감소, 내용액(31)의 감소 등에 의한 안쪽층(12)의 오므라짐 변형은, 파팅라인(21)에 대하여 중심각 90°변위한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규제대(15)가 변형을 규제하는 기능을 다하면서, 접착대(14a1)와 접착대 (14a2)의 사이, 및 접착대(14b1)와 접착대(14b2)의 사이에 위치하는 2개의 안쪽층변형부(17)로 진행한다.
내용액(31)의 배출의 진행에 따라서, 몸통부(3)의 평단면으로 안쪽층변형부 (17)의 변형의 진행을 보면, 우선 이 좌우의 안쪽층변형부(17)의 중앙부가 편평형상으로 변형하고, 더욱 변형이 진행하여, 중앙부에서 접촉, 또한 내용액(31)을 둘레방향, 규제대(15)가 형성된 부분에 눌려지도록 이 접점부가 신장하면서 이상적으로는 좌우대칭인 형태로, 오므라짐변형이 진행한다.
더욱 내용액(31)의 배출이 진행되어, 오므라짐 변형이 진행되면, 내용액(31)이 없어진 상태로, 평단면이 완전히 찌그러진 상태에 가까워지지만, 여기서, 안쪽층변형부(17)의 길이를 몸통부(3) 평단면의 지름(D)과 규제대(15)의 폭과의 합과 같고, 즉 규제대(15)의 폭을(1/4) (L-2D)와 같게 되도록 설정함에 의해 내용액(31)의 유동통로를 확보하면서 내용액(31)을 사용 중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용기(1)를 바깥쪽층(11)과 안쪽층 (12)과의 2층구조로서 설명하였지만, 안쪽층(12)은 단층구조에 특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바깥쪽에 바깥쪽층(11)과의 박리성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층을, 그리고 안쪽에 내(耐)내용액성에 뛰어난 합성수지제의 층을 적층한 것으로 하더라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6, 도 18,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1)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용기(1)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제수지로 이루어지는 바깥쪽층 (11)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제수지와의 상용성이 낮은 나일론제수지로 이루어지는 안쪽층(12)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제수지 및 나일론제수지에 대하여, 충분한 접착성을 발휘하는 접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대(15)로 구성된다.
용기(1)는, 바닥부(4)와, 원통형상의 몸통부(3)와, 이 몸통부(3)의 상단에 어깨부를 통해 세워 연이어 형성하여, 바깥둘레면에 나선돌기를 형성한 원통형의 입구통부(2)로 이루어지는 병체형상이다.
용기(1)의 높이는 160mm, 몸통부(3)의 원형상 평단면의 지름은 60mm(안지름으로 나타낸다.)이다.
용기(1)를 형성하는 바깥쪽층(11)과 안쪽층(12)은, 접착대(14)로 접착고정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 박리가능하게 적층하고 있고, 바깥쪽층(11)은, 충분한 기계적 강도와 스퀴즈변형성과 복원자유자재인 가소성을 갖는 외부용기본체(5)를 형성하고, 안쪽층(12)은, 자유자재로 부피축소변형을 발휘할 수 있는 두께가 얇은 내부용기본체(6)를, 외부용기본체(5)의 안쪽에 형성하고 있다(도 16, 17 참조).
도 18은, 몸통부(3)의 평단면도를 나타내지만, 몸통부(3)의 원형상의 평단면형상의 좌우의 파팅라인(21)의 위치[도 18에서는 상하의 위치에 표시된다.]에, 한 쌍의 규제대(15)가, 용기(1)의 전체 높이범위에 걸쳐 형성하고 있다.
이 규제대(15)는, 한 쌍의 접착대(14)와 그 사이에 있는 접착대 사이 부(18)로부터 구성되어 있고, 이 한 쌍의 규제대(15)에 의해 내부용기본체(6)의 부피축소변형이 규제되어, 스퀴즈조작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규제대(15)의 폭은 (1/4) (L-2D1) 즉 원형상으로는 (1/4) D(π-2)에 따라서 산출한 17mm이고, 접착대(14)의 폭은 2mm 이다(D는 지름, π는 원주율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규제대(15)를 파팅라인(21)상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통상 용기(1)의 정면에서 라벨을 첨부하거나, 인쇄를 하는 파팅라인(21)에 직각인 몸통부(3)의 앞뒤면은 요철이 없는 원활한 상태로 할 수 있고, 또한 접착대(14)를 가늘게 할 수가 있어, 규제대(15)가 눈에 띄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양호하고 상품성이 높은 용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 용기(1)의 블로우성형은,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깥쪽 패리슨(63)과, 이 바깥쪽 패리슨(63)의 안쪽에 위치하는 안쪽 패리슨(62)과, 바깥쪽층 패리슨(63)과 안쪽층 패리슨(62)의 사이에, 패리슨의 중심축에 대해 축대칭으로 위치하는 2쌍 4개의 가는 세로방향띠 형상의 접착대(14)를, 동시에 압출하여 패리슨(61)을 성형하고, 이 패리슨(61)을 블로우성형의 분할금형을 사용하여 용기(1)로 성형한다.
바깥둘레면에 나선돌기를 형성한 원통형상의 입구통부(2)에는, 흡기구멍(7)을 외부용기본체(5)의 중심축에 관해서, 파팅라인(21)으로부터 90°의 위치에 축대칭으로 한 쌍 형성하고 있다(도 16 참조).
도 17 및 도 19는 본 제 3 실시예의 용기(1)에 배출캡체(41)를 부착하여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배출캡체(41)는, 중앙부에 개구통부(44)를 형성한 천장벽을 가지고, 안둘레면에 용기(1)의 입구통부(2)와 나사맞춤하기 위한 나선돌기를 형성한 천장을 갖는 원통형상의 캡본체(42)와, 이 캡본체(42)의 천장벽의 상면에, 개구통부(44)의 개구가장자리부분에 세워 연이어 형성한 배출통(48)을 가지며, 이 배출통(48)의 앞끝부분의 배출구(43)로부터 내용액(31)이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이고, 배출구(43)는 커버캡(49)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배출캡체(41)는, 나사맞춤에 의해 용기(1)의 입구통부(2)에 부착되고, 캡본체(42)의 천장벽의 하면에 아래로 늘어뜨려 형성한 시일통편(48a)과, 캡본체 (42)의 통벽의 안둘레면 하단에 부설한 시일둘레돌기(45)가, 각각 용기(1)의 입구통부(2)의 안둘레면 상단과 바깥둘레면 하단에 밀착하여, 용기(1)에 밀접하게 부착된다.
또한, 배출캡체(41)는, 캡본체(42)의 개구통부(44)에, 제 1 밸브 본체(46a)를 갖는 제 1 역지 밸브부(46)를 설치함으로써 평상시는, 개구통부(44)를 폐쇄하여, 외부 공기의 진입을 저지하는 역지기능을 발휘시키고, 용기(1)를 스퀴즈하여 내용액(31)을 배출할 때에는, 내부용기본체(6)의 내압에 의해 열어, 개구통부(44)를 개방하는 기능을 발휘시킨다.
또한, 배출캡체(41)에는, 캡본체(42)의 통벽에, 입구통부(2)에 형성한 흡기구멍(7)의 위치에 맞춘 장소에, 제 2 역지밸브부(47)를 구성하는 제 2 밸브본체 (47a)가 부설되어 있고, 이 제 2 밸브본체(47a)는 흡기구멍(7)을 지나 바깥쪽층 (11)과 안쪽층(12)의 층간(16)에 외부의 공기를 도입하는 기능과, 반대로 층간(16)의 공기를 외부에 놓치지 않은 역지기능을 갖는다.
다음에, 상기 본 제 3 실시예의 용기(1)에 배출캡체(41)를 설치한, 배출용기의 사용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출용기에 있어서는, 용기 (1)를 스퀴즈하면, 제 2 밸브본체(47a)가 닫힌 상태이고, 내용액(31)을 수용하고 있는 내부용기본체(6)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제 1 밸브본체(46a)를 열어, 배출캡체 (41)의 앞끝부분의 배출구(43)로부터, 내용액(31)이 외부로 배출되고, 그만큼 내부용기본체(6)는 부피축소변형한다.
여기서, 규제대(15) 자체는 17mm로 그 폭은 넓고, 이 폭 전체에 접착대(14)를 적층하여 바깥쪽층(11)과 안쪽층(12)을 접착하고 있는 구성이면, 가소성도 갖게 하기 때문에 그 몸통부는 비교적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는 외부용기본체(5)에 비교하여 이 규제대(15)가 변형하기 어려운 뼈대형상의 부분이 되어, 균일한 스퀴즈변형을 할 수 없고, 또한 손으로 잡아 스퀴즈할 때에 이 뼈대형상의 부분에 의해 위화감을 기억하는 감촉이 된다.
그러나, 본 제 3 실시예의 용기(1)에서는, 이 규제대(15)를 폭 2mm 정도의 접착대(14)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1)의 몸통부(3)를 어떤 방향에서 잡고 스퀴즈하더라도 같은 스퀴즈변형성를 얻을 수 있어, 상술한 위화감도 없앨 수 있다.
용기(1)의 스퀴즈를 멈추고, 몸통부(3)에 대한 누름을 해제하면, 외부용기본체(5)는 탄성적인 회복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기 시작하여, 외부용기본체 (5)와 내부용기본체(6)의 사이 즉 층간(16)의 압력이 저하하고, 그 결과, 내부용기본체(6)의 내압이 외부공기압력으로 되돌아가, 제 1 밸브본체(46a)가 닫히고, 내용액(31)의 배출이 멈춘다.
외부용기본체(5)의 원래의 형태로의 복원이 더욱 진행하면, 내부용기본체(6)는 부피축소변형한 형상을 유지한 채로, 제 2 밸브본체(47a)가 열어 흡기구멍(7)을 통해서 바깥쪽층(11)과 안쪽층(12)과의 층간(16)에 외부의 공기가 흡인되며, 이 때에 바깥쪽층(11)과 안쪽층(12)과의 박리가 진행된다.
도 20은, 본 제 3 실시예의 용기(1)의, 몸통부(3)의 평단면도이고, 안쪽층 (12)[내부용기본체(6)]의 변형의 추이를 나타낸 설명도이고, 부피축소변형의 이상적인 진행상황을 평단면으로 보면, 우선 규제대(15)로 좌우로 2분된 안쪽층변형부 (17a,17b)가 편평형상으로 변형하고, 이 변형이 진행되어, 파팅라인(21)을 잇는 선상에서 접촉하고, 또한 이 접촉이 규제대(15)가 위치하는 부분을 향해서 진행하면서 부피축소변형이 진행된다.
여기서 규제대(15)의 폭을 17mm로 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안쪽층변형부 (17a,17b)의 각각의 둘레방향의 길이는 77mm가 되지만, 이 길이는 지름과 규제대 (15)의 폭을 더한 것으로, 이와 같이 규제대(15)의 폭을 설정함으로써, 변형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 있어서도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용액(31)이 없어질 때까지, 규제대(15) 부근에 유동통로(32)가 확보되기 때문에, 최후까지 양호한 배출조작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1은 본 제 3 실시예의 용기(1)의 바닥면도이지만, 용기(1)는 핀치오프부 구조를 갖는 블로우성형 분할금형으로 블로우성형되기 때문에, 핀치오프부에 형성된 용기(1)의 바닥시일부(22)에서는, 안쪽층(12)을 양측에서 바깥쪽층(11)에서 끼운 샌드위치형상이 되어 있어, 바깥쪽층(11)과 안쪽층(12)은 박리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4는, 패리슨(61)(왼쪽의 도면), 및 이 패리슨(61)을 핀치오프한 상태(오른쪽의 도면)에서의 접착대(14)의 위치를 나타낸 설명도이고, 그 중(a)은 규제대 (15)의 좌우중심선(폭방향의 중심)을 파팅라인(21)에 맞춘 케이스, (b)는 파팅라인 (21)으로부터 어긋나게 위치시킨 케이스에 관해서 나타내고 있다.
중심선을 파팅라인(21)상에 배치한 경우의 접착대(14a1, 14a2, 14a3, 14a4)에 비교하여, 어긋나게 배치시킨 케이스로는 패리슨(61)과 파팅라인(21)으로부터 보다 떨어져 위치하는 접착대(14b1, 14b4)는 핀치오프한 상태로서는 핀치오프부의 길이 방향의 보다 중앙에 가까이 위치한다.
이 때문에 용기(1)의 바닥시일부(22)의 보다 중앙에 가까운 위치의 2개소에서 안쪽층(12)과 바깥쪽층(11)을 접착고정한 부분을 형성할 수가 있고, 이 접착부분과 바닥시일부(22)의 좌우 끝단부의 합 4개소가, 바깥쪽층(11)과 안쪽층(12)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바닥시일부(22)에 있어서의 변형에 대하여 접합부의 기능을 다하여, 바닥시일부(22)에 어떤의 힘이 가해진 상태라도, 이 힘에 대항할 수가 있어, 바닥시일부(22)의 깨짐을 보다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몸통부(3)의 평단면형상은 상기 제 3 실시예에서 기재한 원형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타원형상, 긴 원형상의 평단면형상, 기타 블로우성형품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상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작용효과가 충분히 발휘된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예에서는, 흡기부(7)를 입구통부(3)의 외부용기본체 (11)에 작은 둥근 구멍을 형성한 흡기구멍(7)으로 하였지만, 이 흡기구멍(7)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바닥시일부(22)나, 블로우성형시에 입구통부(2)에 핀치오프부를 설치하여 형성한 슬릿을 흡기구멍(7)으로 할 수도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규제대를 복수의 가는 세로방향띠 형상의 접착대로 형성하기 때문에, 접착대 자체의 폭을 넓히지 않고 규제대의 폭을 안쪽층의 부피축소변형의 제어, 또는 바닥시일부의 강도향상에 필요충분한 폭으로 할 수 있어, 접착대 자체의 폭을 넓히는 것에 의한, 외관불량의 문제, 균일한 스퀴즈변형이 방해된다고 하는 문제, 또한 사용자가 손의 감촉으로 위화감을 기억한다고 하는 문제, 접착대를 형성하는 접착성수지가 고가인 등의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용기의 바닥부의 바닥시일부에 대한 냉각을, 조속히 또한 충분히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의 생산사이클을, 통상의 블로우성형제품과 같은 정도까지 높일 수 있다.
또한, 금형냉각효율을 고려한 특수한 금형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통상의 금형을 사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설비비의 대폭적인 저감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규제대의 폭을, 고가의 접착성 합성수지제의 소비량을 늘리는 일없이, 실질적으로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깥쪽층과 안쪽층과의 박리 불가능한 접착고정을, 넓은 폭범위로 달성할 수가 있어, 이에 따라 바깥쪽층과 안쪽층을 박리자유로운 합성수지재료로 성형한 것에 의한, 바닥부의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확실하고 충분하게 염가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규제대를 복수의 접착대로 구성함으로써, 양 규제대의 하단가장자리의, 바닥부의 바닥시일부에서의 대향위치맞춤에 있어서, 허용치수오차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용기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보다 경제적으로 규제대의 폭을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규제대의 폭을 간단히 변경설정하여, 바닥부의 기계적 강도의 보강정도를 낭비없이 설정할 수가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 외에, 양 규제대의 하단가장자리의 대향자세의 설정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양 규제대의 하단가장자리 사이를, 직접 접착결합한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규제대의 하단가장자리가 위치한 바닥시일부 부분의 대단히 강고한 접착결합을 확실히 얻을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규제대의 하단가장자리가 위치하는 바닥시일부 부분의 자세가 비교적 안정하여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이 바닥시일부 부분에, 접합하고 있는 바깥쪽층과 안쪽층을 박리시키도록 외력이 작용하는 일은 없고, 바깥쪽층과 안쪽층과의 접합상태가, 큰 폭범위로 비교적 안정하게 유지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이 있어서는, 합 4개의 접착대를 배치하지만, 접착대 사이의 폭도 포함시켜 규제대의 폭 영역에서 강고한 결합을 달성하는 구성이고, 접착대의 폭자체는 좁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재료 비용이 높은 접착성재료의 사용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내용액의 유동통로를 확보하여, 양호한 배출성을 유지하면서, 내용액의 전량을 다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외부공기가 파팅라인 부근에 설정된 흡기구멍으로부터 침입하기 때문에, 안쪽층의 오므라짐 변형을 보다 대칭적으로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내용액의 배출을 원활하게 달성할 수가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한 쌍의 가는 폭의 접착대에 의해 규제대를 형성함으로써, 뼈대형상의 변형하기 어려운 부분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균일하고 양호한 스퀴즈변형성을 갖고, 감촉의 위화감이 없고, 또한 접착대의 형성에 의한 외관의 열화가 작은 스퀴즈타입의 용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역지밸브부를 부설한 배출캡체를 입구통부에 부착고정하여, 배출용기로서 사용함으로써, 특히는 외부의 공기의 진입을 막는 스퀴즈타입의 배출용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규제대를 파팅라인 부근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통상 용기의 정면부에서 라벨을 첨부하거나, 인쇄를 하는 파팅라인에 직각인 몸통부의 전후면을 요철이 없는 원활한 상태로 할 수 있어, 외관이 양호하고 상품성이 높은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13의 발명에 있어서는, 규제대의 좌우중심선이 파팅라인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규제대를 용기의 정면에서 보아 정확히 90°의 위치로 할 수 있어, 외관을 더욱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안쪽층의 변형을 좌우의 파팅라인을 잇는 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양호한 조작성, 배출성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에 있어서는, 규제대의 좌우중심선을 파팅라인상에서 어긋나게 위치함으로써, 바닥시일부에서 접착대가 보다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이 되어, 바닥시일부의 깨짐을 보다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15의 발명에 있어서는, 몸통부를 원통형으로 하는 것에 의해, 가는 폭의 접착대로 형성되는 규제대의 작용효과와 더불어 어떤 방향에서라도 동일한 스퀴즈성을 갖은 스퀴즈용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청구항 16의 발명에 있어서는, 몸통부의 평단면형상을 원형상과 타원형상과 긴 원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하여, 규제대의 폭을 이 형상에 의해서 결정되는 일정한 폭으로 하는 것에 의해, 최후까지 양호한 배출조작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용기의 외관모양에 악영향을 주는 일없이, 흡기구멍을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흡기구멍을 안전하고 간단하게, 후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가 있다.

Claims (17)

  1. 블로우성형에 의해, 정형의 외각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제의 바깥쪽층(11)과, 상기 바깥쪽층(11)과 박리자유롭게 적층되어, 안쪽 자루를 형성하는 가소성합성수지제의 안쪽층(12)과, 상기 바깥쪽층(11)과 안쪽층(12)을 전체 높이범위에 걸쳐 접착고정하여, 용기(1)의 중심축으로 대하여 대칭으로, 또한 상기 바깥쪽층(11)에 형성된, 상기 바깥쪽층(11)과 안쪽층(12)과의 사이에 외부공기를 침입시키는 흡기구멍(7)을 피하여 위치한 세로방향띠 형상의 한 쌍의 규제대(15)로 구성되며,
    적어도 한쪽의 상기 규제대(15)를 서로 평행하게 된 가는 세로방향띠 형상의 복수의 접착대(14)로 구성한 블로우성형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규제대(15)를, 파팅라인(21)을 경계로 하여, 서로 반대측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용기(1)의 바닥부(4)의, 블로우분할금형의 핀치오프부에 의해 편평하게 핀치오프 성형되는 바닥시일부(22)에서의 상기 한 쌍의 규제대(15)의 하단가장자리를, 서로 대향위치시킨 블로우성형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양 규제대(15)의 각각을, 복수의 접착대(14)로 구성한 블로우성형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양 규제대(15)의 각각을 복수로 같은 수의 접착대(14)로 구성한 블로우성형 용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쪽의 규제대(15)를 구성하는 각 접착대(14)의 하단가장자리의 전체영역을, 다른쪽의 규제대(15)를 구성하는 접착대(14)의 하단가장자리에, 맞닿게 하여 대향위치시킨 블로우성형 용기.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쪽의 규제대(15)를 구성하는 각 접착대(14)의 하단가장자리를, 다른쪽의 규제대(15)를 구성하는 접착대(14)의 하단가장자리에 대하여, 양 하단가장자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안쪽층부분(19)이 휨변형하지않는 범위에서 최대로 어긋나게 대향위치시킨 블로우성형 용기.
  7. 제 2 항에 있어서, 한 쌍의 규제대(15)를 각각 한 쌍의 접착대(14)로 구성하고, 각 접착대(14)의 하단가장자리 전체폭을, 반대측의 접착대(14)의 하단가장자리와 1대 1로 맞닿는 형상으로 대향위치시킨 블로우성형 용기.
  8. 제 2 항 내지 제 4 항,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통부(3)에 있어서의, 규제대(15)의 폭을, 오므라짐변형 가능한 안쪽층(12)이, 내용액(31)을 다 사용한 단계에서 용기(1)의 몸통부(3)의 평단면을 정확히 막을 수 있도록 설정한 블로우성형 용기.
  9. 제 2 항 내지 제 4 항,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기구멍(7)을, 용기(1)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으로, 파팅라인(21) 부근의 2개소의 바깥쪽층에 형성한 블로우성형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바깥쪽층(11)이 스퀴즈변형 가능하고 복원자유로운 가소성을 갖는 외부용기본체(5)를 형성하여, 안쪽층(12)이 내용액(13)을 그 내부에 수용하고, 내압의 감소에 의해 자유롭게 부피축소변형하는 내부용기본체(6)를 형성하여, 한 쌍의 규제대(15)의 각각을 한 쌍의 접착대(14)에 의해 구성한 블로우성형 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입구통부(2)에 내부용기본체(6) 내로의 내용액(31)의 역류 및 외부의 공기의 진입을 방지하는 제 1 역지밸브부(46)를 부설한 배출캡체(41)를 부착고정하여, 흡기구멍(7)으로부터의 공기의 배출을 불가능하게 상기 흡기구멍 (7)을 개폐하는 제 2 역지밸브부(47)를 부설하여, 배출용기로서 사용되는 블로우성형 용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용기(1)의 좌우 파팅라인(21) 부근에 한 쌍의 규제대(15)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블로우성형 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규제대(15)의 좌우 중심선이 파팅라인(21)상에 위치한, 블로우성형 용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규제대(15)의 좌우 중심선이 파팅라인(21)상에서 어긋나 위치한 블로우성형 용기.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통부(3)의 평단면형상이 원형상인 블로우성형 용기.
  16.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통부(3)가 원형상과 타원형상과 긴 원형상중 어느 하나의 평단면형상이고, 규제대(15)의 폭을 (1/4) (L-2D1)로 설정한 블로우성형 용기(L ; 평단면의 둘레길이, D1 ; 평단면의 지름).
  1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7 항,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기구멍(7)을, 입구통부(2)의 바깥쪽층(11)에 형성한 블로우성형 용기.
KR1020037008849A 2001-10-31 2002-10-31 블로우성형 용기 KR1009157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35632A JP3858169B2 (ja) 2001-10-31 2001-10-31 ブロー成形容器
JPJP-P-2001-00335632 2001-10-31
JP2001335631A JP3871114B2 (ja) 2001-10-31 2001-10-31 ブロー成形容器
JPJP-P-2001-00335631 2001-10-31
PCT/JP2002/011356 WO2003037726A1 (fr) 2001-10-31 2002-10-31 Contenant moule par souff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108A KR20040043108A (ko) 2004-05-22
KR100915728B1 true KR100915728B1 (ko) 2009-09-04

Family

ID=50272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849A KR100915728B1 (ko) 2001-10-31 2002-10-31 블로우성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7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241A (ja) * 1994-07-13 1996-01-30 Yoshino Kogyosho Co Ltd 壜体およびその成形方法
JPH0977136A (ja) * 1995-09-13 1997-03-25 Yoshino Kogyosho Co Ltd 積層ボトル
JP2000016469A (ja) * 1998-06-30 2000-01-18 Kao Corp 積層剥離容器
JP2000016459A (ja) * 1998-06-30 2000-01-18 Kao Corp スクイズ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241A (ja) * 1994-07-13 1996-01-30 Yoshino Kogyosho Co Ltd 壜体およびその成形方法
JPH0977136A (ja) * 1995-09-13 1997-03-25 Yoshino Kogyosho Co Ltd 積層ボトル
JP2000016469A (ja) * 1998-06-30 2000-01-18 Kao Corp 積層剥離容器
JP2000016459A (ja) * 1998-06-30 2000-01-18 Kao Corp スクイズ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108A (ko) 200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782B1 (ko) 블로우 성형용기
CA2433407C (en) Blow-molded container
EP1637457B1 (en) In-mold label system plastic container
AU2008272244B2 (en) Synthetic resin double container molded by direct blow molding process
EP0305976B1 (en) Easily openable sealed container
EP1911679B1 (en) In-mold labeled containers and molding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KR101153608B1 (ko) 인몰드 용기 및 그 제조장치
KR100915728B1 (ko) 블로우성형 용기
JP2887016B2 (ja) ラベル付き絞り出し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24842B2 (ja) ブロー成形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多層押出し成形装置
JP4001367B2 (ja) 注出容器
JP3907186B2 (ja) ブロー成形容器とその成形方法
JP4270640B2 (ja) パウチフィルムへの膨らみ部の形成方法、及びその形成方法による膨らみ部を備えたパウチ
JP6183680B2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付き容器
US20040108627A1 (en) Blown pet handleware for containers
JP3858169B2 (ja) ブロー成形容器
JP2003072864A (ja) 注出容器
JP2003137248A (ja) ブロー成形容器
CN215045352U (zh) 一种胶膜流体容器及其截止阀
JP2003341638A (ja) ブロー成形容器
JP4202696B2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40461A (ja) 合成樹脂製壜体とその成形方法
CN112455923A (zh) 一种胶膜流体容器及其截止阀和制造方法
JP2022160104A (ja) 容器、容器の製造方法
JPH07285536A (ja) 把手付液体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