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862B1 - 스트레커 반응을 촉매하는 탄수화물 촉매 - Google Patents

스트레커 반응을 촉매하는 탄수화물 촉매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862B1
KR100914862B1 KR1020070081841A KR20070081841A KR100914862B1 KR 100914862 B1 KR100914862 B1 KR 100914862B1 KR 1020070081841 A KR1020070081841 A KR 1020070081841A KR 20070081841 A KR20070081841 A KR 20070081841A KR 100914862 B1 KR100914862 B1 KR 100914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alpha
glucose
catalyst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7244A (ko
Inventor
정선호
이상후
조은애
권찬호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81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862B1/ko
Publication of KR20090017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8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0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B01J31/06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ntaining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3/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3/3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5/00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5/01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55/24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containing cyano groups and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further bound to other hetero atoms, bound to the same saturated acyclic carbon skeleton
    • C07C255/25Aminoaceto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9/00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carbamic acid,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69/06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carbamic acid,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arbamat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1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six-membered ring
    • C07C2601/14The ring being satur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레커 반응을 촉매하는 탄수화물 촉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생물 유래 알파-사이클로소포로헥사데카오스, 또는 숙시닐글리칸 모노머 촉매 및 그 촉매를 이용한 스트레커 반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트레커 반응을 촉매하는 탄수화물 촉매{Catalytic Carbohydrates for Strecker Reaction}
본 발명은 스트레커 반응을 촉매하는 탄수화물 촉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생물 유래 알파-사이클로소포로헥사데카오스, 또는 숙시닐글리칸 모노머 촉매 및 그 촉매를 이용한 스트레커 반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포 유래 탄수화물이 발병과 공생 모두에서 세균과 식물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Denny, T. P. Annu . Rev . Phytopathol . 1995, 58, 145-161; Breedveld, M. W.; Miller, K. J. Microbiol . Rev . 1994, 58, 145-161;Long, S. R.; Staskawicz, B. J. Cell 1993, 73, 921-935). 이러한 생물학적 기능 외에도 Rhizobial 또는 Bradyrhizobial 환형 글루칸을 사용한 생물공학적 응용에 대한 연구가 최근에 보고되었다(Kwon, C.; Park, H.; Jung, S. Carbohydr . Res . 2007, 342, 762-766; Lee, S.; Park, H.;Seo, D.; Choi, Y.; Jung, S. Carbohydr . Res . 2004, 339, 519-527; Lee, S.; Jung, S. Carbohydr . Res . 2003, 338, 1143-1146; Lee, S.; Seo, D.; Park, H.; Choi, Y.; Jung, S. Anton . Leeuw . 2003, 84, 201-207; Lee, S.; Jung, S. Carbohydr . Res . 2002, 337, 1785-1789; Lee, S.; Seo, D.; Kim, H.; Jung, S. Carbohydr . Res . 2001, 334, 119-126).
스트레커(Strecker) 반응은 질소를 함유하는 헤테로 사이클, 알파-아미노산 및 다른 생물학적으로 유용한 분자의 합성에 대한 유용한 전구체인 알파-아미노나이트릴의 합성에 대한 가장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Ramon, D. J.; Yus, M. Angew . Chem ., Int . Ed . Engl . 2005, 44, 1602-1634; (b) Groger, H.Chem . Rev. 2003, 103, 2795-2827; Enders, D.; Shilvock, J. P. Chem . Soc . Rev . 2000, 29, 359-373;Strecker, A. Ann . Chem . Pharm . 1850, 75, 27-45). 스트레커 반응은 일반적으로 산 또는 염기 촉매를 사용하여 이민에 시아나이드 이온의 친핵성 첨가에 의하여 수행된다. 그 반응의 효율성은 촉매를 사용하여 증가되고, 반응성 시아나이드 이온 공급원은 시안화수소(hydrogen cyanide), 시안화나트륨 또는 시안화칼륨, 비스(디알킬아미노)시아노보란, 디에틸포스포로시아니데이트 (diethylphosphorocyanidate) 및 트리메틸실릴 시아나티드(trimethylsilyl cyanide;TMSCN)이다. 그들 중에서, TMSCN는 HCN, NaCN, 또는 KCN과 비교하여 비교적 온화한 조건에서 친핵성 첨가 반응에 대한 좀 더 효과적이고 다루기 쉬운 시아나이드 이온 공급원으로 작용한다. 동종성 및 이종성 촉매들은 알파-아미노나이트릴의 합성을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Spino, C. Angew . Chem ., Int . Ed . Engl . 2004, 43, 1764-1766; Yet, L. Angew . Chem ., Int . Ed . Engl . 2001, 40, 875-877; Takamura, M.; Hamashima, Y.; Usuda, H.; Kanai, M.; Shibasaki, M. Angew . Chem ., Int . Ed . Engl . 2000, 39, 1650-652; 그러나 이들 방법 중 대부분은 고가의 시약, 고난이도의 조건 및 많은 양의 독성 물질들의 생성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깨끗하고 환경친화적인 용매 없는 방법들로 정량적인 수율을 가지는 알파-아미노나이트릴 생산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친화적인 스트레커 반응을 촉매하는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경친화적인 스트레커 반응을 촉매하는 물질을 이용하여 알파-아미노나이트릴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A에 기재된 스트레커 반응을 촉매하는 탄수화물 촉매를 제공한다.
[화학식 A]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촉매가 관여하는 스트레커 반응의 기질은 말론알데히드(malonaldehyde) 비스(페닐이민); (본 발명에서 "기질 1"), N-벤질리덴벤젠 설폰아민;(본 발명에서 기질 2), N-벤질리덴-N- (다이페닐메틸)아민; (본 발명에서 "기질 3")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의 A의 촉매를 이용한 알파-아미노나이트릴의 합성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합성 방법에 사용되는 반응물 기질은 말론알데히드(malonaldehyde) 비스(페닐이민), N-벤질리덴벤젠 설폰아민, 또는 N-벤질리덴-N- (다이페닐메틸)아민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물 및/또는 알코올 존재하에서 진행되는 것을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인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메탄올은 기질들이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사용한 것이고 반응에는 참여하지 않는 용매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상기 화합물 A는 X. oryzae pv. oryzae KACC 10331에서 유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기재된 용어 중" 스트레커 반응"이란 아미노산 합성시에 유용한 전구체인 알파-아미노나이트릴의 합성법으로 유명하며, 알데히드 또는 케톤(일반적으로 이민 기를 가지고 있는 화합물과 시안화알칼리의 2가지 화합물로부터 α-아미노나이트릴을 얻는 반응 즉 이민화합물과 시안화염 화합물이 일정한 용매조건하에서 특정 촉매의 작용으로 일어나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자들은 Xanthomonas oryzae 에서 유래한 알파-사이클로소포로헥사데카오스(이하, "알파-C16"이라 함)와 Rhizobium meliloti로부터 유래한 숙시노글라이칸 모노머 모두는 스트레커 반응에서 환경친화적 촉매로 작용한다는 것을 보인다(도 1). 알파-C16은 15개의 베타-(1→2)-연결과 하나의 알파-(1→6)-연결을 가지는 중성 환형 헥사데카글루코사이드로 벼 병원성 세균인 Xanthomonas oryzae pv. oryzae.에서 분리한 세포질 글루칸이다(Jung, Y.; Park, H.; Cho, E.; Jung, S. Carbohydr . Res . 2005, 340, 673-677;Talaga, P,Stahl, B.; Wieruszeski, J.-M.; Hillenkamp, F.; Tsuyumu, S.; Lippens, G.; Bohin, J.-P. J. Bacteriol . 1996, 178, 2263-2271) 한편 숙시닐글리칸 모노머(M1, M2 및 M3)는 Rhizobium meliloti 1021로부터 유래한 옥타사카라이드로 아세틸, 피루빌 및 숙시닐 기를 치환체로 가진다(도 2)( Wang, L. X.; Wang, Y.; Pellock, B.; Walker, G. C. J. Bacteriol. 1999, 181, 6788-6796).
정제된 알파-C16의 구조 분석은 NMR 분광기와 MALDI-TOF 질량 분광기를 통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기존 보고와 같다(Jung, Y.; Park, H.; Cho, E.; Jung, S. Carbohydr. Res . 2005, 340, 673-677; Talaga, P,Stahl, B.; Wieruszeski, J.-M.; Hillenkamp, F.; Tsuyumu, S.; Lippens, G.; Bohin, J.-P. J. Bacteriol . 1996, 178, 2263-2271). 도 2A 알파-C16의 구조를 보여준다. 정제된 숙시닐글리칸 모노머들의 상세한 구조적 결정도 NMR 분광기를 통하여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그 전 보고와 같다(Wang, L. X.; Wang, Y.; Pellock, B.; Walker, G. C. J. Bacteriol. 1999, 181, 6788-6796).
숙시닐글리칸 모노머들의 구조 정보를 통하여 본 발명자들은 환원 말단으로부터 세번째 포도당 잔기의 C-6 위치에 아세틸 기가 위치하고, 숙시닐 기는 6번째와 7번째 포도당 잔기의 C-6 위치에 위치하고, 피루빌 기는 4,6-케탈 연결을 통하여 8번째 포도당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숙시닐글리칸 모노머들은 그들의 치환체에 따라서 M1, M2 및 M3로 구성된다.
최종적으로 정제된 알파-C16 및 숙시닐글리칸 모노머는 물과 메탄올 혼합용액에서 스트레커 반응에 대한 촉매로 사용되었다. 알파-C16와 숙시닐글리칸 모노머의 M2가 반응에 첨가되었을 때, 기질 1은 메탄올과 물의 혼합 용액에서 1시간 이내에 그들의 생성물로 전환되고 그 전환은 100%이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자들은 1H NMR 분광 분석에 의하여 정량적인 수율을 결정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물에 해당하는 이민 카본에 연결된 양성자 d는 5분 후에 사라지고 생성물의 양성자 d는 알파-C16(도 3a의 A) 및 M2 (도 3a의 B)의 존재 하에서 명확하게 나타났다. 30 분의 반응 동안에 기질 1의 고리 양성자(a-c)에 해당하는 신호들이 그들의 생성물 신호에 나타났다(a'-c'). 기질 1의 구조적 대칭성에 기하여, 이들 결과들은 친핵성으로 시아나이드 이온은 기질 1의 친전자성 이민 카본을 동시에 공격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 그 반응 패턴은 첨가된 촉매에 따라서 30분까지는 다르다. 알파-C16의 존재 하에서, 그 반응물은 30분까지 여전히 40% 이상 남아서 결과적으로 반응은 1시간 후에 완료된다(도 3a의 A). 한편, M2 존재하에서 그 반응물은 30분에 95% 이상 생성물로 전환된다(도 3a의 B). 이들 결과들은 치환체로 숙시닐 기를 가지는 M2의 약산성에 기인한다.
UV-가시광선 분광 분석은 반응 30분 후에 물과 메탄올의 혼합물에 기질 1 만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기질 1 만은 혼합 용액에서 380 nm 부근에서 독특한 흡광도를 가진다. 일단 두 촉매에 의하여 반응이 진행되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색이 노란색에서 무색으로 변하면서 그 흡광도는 점차적으로 380 nm 근처에서 감소한다. UV-vis 스펙트럼으로부터, M2가 반응 30분 동안에는 알파-C16 보다 더 효율적이다. 알파-C16 또는 M2 부존재 하에서, 기질 1 단독으로 그것의 생성물로 전환과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베타-CD)의 첨가에 의하여 얻어진 것들은 심지어 24시간 후에도 10% 이하였고, 이것은 1H NMR 분광기 분석에 의하여 확인하였다(데이터는 도시 안됨). 기질 2에서는 숙시닐글리칸 모노머 중에서, M1 및 M3는 그 기질을 각각 48%와 40%로 생성물로 전환한다. 기질 3의 경우에, M1과 M3는 그 기질을 각각 17%와 15%로 생성물로 전환한다. 알파-C16는 기질 2와 3에 대해서는 촉매 효과가 없다(표 1).
상기 표 1에서 a는 반응이 완성된시간을 의미하고, b는 1H NMR 분석에 의하여 결정하였으며, c의 값은 키럴 컬럼을 사용한 HPLC 분석에 의하여 결정하였다.
본 발명을 통하여서 본 발명자들은 본 촉매 탄수화물에 의하여 유도된 키랄 컬럼을 가지는 에난치오머 익세스(ee)를 조사하였으나 모든 그 ee 비들은 10% 이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Rhizobium 속으로부터 분리한 Rhizobial 환형 베타-(1,2)-글루칸(사이클로소포로스)와 Bradyrhizobium 속으로부터 분리한 환형 베타-(1,3), 베타-(1,6)-글루칸과 같은 다른 미생물 환형 탄수화물들의 효과들 반응에서 테스트하였으나 그 두 환형 글루칸들은 그 반응에 대하여 효과가 없었다.
상기 기질 외에, N-벤질리덴아닐린, N-벤질리덴베질아민, N-벤질리덴-tert-부틸아민 및 N-벤질리덴-메틸아민에 대해서도 스트레커 반응을 조사하였으나 반응이 일어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알파-C16과 숙시닐글리칸 모노머가 다른 것들보다 대칭적 구조를 가지는 기질 1에 대하여 최대 반응성을 나타낸 것에 기초하여 이민 화합물에 대한 위치선택성(regioselectivity)을 가지고 스트레커 반응에 관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스트레커 반응의 가능한 기작은 주로 미생물 환형 또는 선형 올리고사카라이드들의 하이드록시 기와 이민 화합물의 질소 원자들 사이에 수소 결합하고, 그 다음에 그 이민 탄소는 더 친전자성이 될 수 있어서 시아나이드 이온의 친핵성 공격에 대하여 그것을 활성화한다는 것을 가설한다. 이 ㅎ현상은 다른 것들과는 다르게 기질 1을 가지는 반응에서 강하게 일어난다. 수소 결합 효과 외에도, 알파-C16 또는 숙시노글리칸 모노머의 구조적 성질들도 그 기질에 따라 촉매 반응에 기여한다. 특별하게 알파-C16은 그것의 환형 구조에 기초하여서 기질 1에 대하여 복합체-형성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또 숙시노글리칸 모노머들은 그 구조 내에 음이온성 치환체에 기인하여 일반적으로 약산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스트레커 반응에 대한 촉매 탄수화물로서 작용할 수 있는 미생물 환형 또는 선형 글리칸을 처음 발견하였으며, 이들 탄수화물 촉매는 여러 유기 합성 반응에서 환경 친화적인 촉매로 응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미생물 사이클로소포로헥사데카노스(알파-C16) 또는 숙시닐글리칸 모노머에 의하여 촉매된 알파-아미노나이트릴의 스트레커 합성도.
도 2는 (A) 알파-C16 및 (B) 숙시닐글리칸 모노머 (여기서 Glc: glucose; Gal: galactose; Ac: acetyl; Suc: succinyl; Pyr: pyruvyl group)의 구조.
도 3a는 0, 5, 30 및 60분에서 촉매로 (A) 알파-C16 및 (B) 숙시노글리칸, M2의 존재 또는 부존재하에서 기질 1의 부분적인 1H NMR 스펙트럼이고, 3b는 반응 30분 후에 기질 1 단독(─) 그리고 알파-C16 (--------) 또는 M2 (─­─)와 함께 있는 반응 혼합물의 기질 1의 UV-vis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냄.
1.1. 일반적인 방법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모든 기질들은 상업적인 공급원(Sigam 또는 Aldrich Chem. Co.)로부터 구입하였으며, 더 정제하지 아니하고 사용하였다. HPLC 급 물과 메탄올을 본 발명의 반응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이민 화합물들(13.5 mM), TMSCN (14 mM) 및 탄수화물들(1.3 mM)의 혼합물을 물과 메탄올 용액에서 30℃에서 교반하였다. 기질에 대한 그 반응 용액은 물과 메탄올이 1:1 비율로 구성되었으나 기질 3의 경우에는 순수한 물에 대한 매우 낮은 용해도로 인하여 그 비율을 2:8로 조정하였다. 그 반응은 254 nm에서 TLC로 처음 모니터하였다. 실리카겔 60 F254 유리-베이크된 TLC 판들에 반응 혼합물을 스팟팅하고 기질 1에 대한 혼합물에 대해서는 Hex:EtOAc:MeOH = 2:1:1의 용매 시스템에서 다른 기질에 대한 혼합물에 대해서는 Hex:EtOAc = 2:1의 용매 시스템으로 전개하였다.
1H NMR 분광 분석은 Bruker AVANCE 400 또는 500 분광기로 수행하였다. 1H NMR 분석에서 정량적인 수율을 계산하기 위하여, 각 반응 혼합물에서 앨리쿼트들을 일정 기간에 취하여서 질소 기체 하에서 메탄올을 부분적으로 제거하고 그 혼합물을 동결건조하였다. 알파-C16 또는 M2을 가지는 기질 1의 혼합물에 대한 NMR 측정은 CD3OD (99.8 원자 % D)에서 수행된 반면 다른 기질들을 갖는 것들은 CD3Cl (99.8 원자 % D)에서 수행되었다.
ee 값들을 용매 시스템으로 Hex:IPA = 95:5 또는 90:10을 가지는 키랄 컬럼(Pirkle (R, R) Whelk-O1, Regis, USA)으로 HPLC 분석에 의하여 체크하였다.
1.2. 알파- C16 숙시닐글리칸 모노머들의 제조 및 동정화
X. oryzae pv. oryzae KACC 10331는 한국 농업미생물자원센터(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KACC)로부터 구입하여서, 150rpm으로 교반하면서 28℃에서 TGY 배지(Sunish, K. R.; Sakthivel, N. Appl . Microbiol . Biotechnol . 2001, 55, 782-86.)에서 배양하였다. 그 미생물들을 2일간 배양한 후 8000 rpm,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수집하였다 그 세포 펠렛들을 5% 트리클로로초산으로 추출하고, 원심분리한 후 그 상등액을 NH4OH로 중화한 후 1 mL/분의 속도로 Sephadex G-25 (2.5 x 34 cm) 컬럼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환형 글루칸을 가질 분획을 모아서 농축하고 알파-C16의 음이온 형태를 분리하기 위하여 DEAE-Sephadex(2 x 35 cm) 컬럼에 걸었다. 중성인 것을 모아서 Bio-Gel P-4 컬럼(Bio-Rad)으로 탈염하였다. 컬럼(2.4 x 54 cm)을 상온에서 18 mL/h 속도로 증류수로 용출하였고 그 탈염된 물질을 최종적으로 동결건조하였다. 정제된 알파-C16의 구조 분석은 포지티브 모드에서 매트릭스로 2,5-dihydroxybenzoic acid (DHB)를 사용하여서 FT-NMR 분광기 및 MALDI-TOF 질량 분광기로 수행되었다.
숙시닐글리칸 모노머를 제조하기 위하여, Rhizobium meliloti 1021(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No.; 51124)(미국)에서 구입)은 500 mL의 GMS 배지에서 30℃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Wang, L. X.; Wang, Y.; Pellock, B.; Walker, G. C. J. Bacteriol . 1999, 181, 6788-6796). 세포를 모아서(13,000 g에서 10분) pH 7.0에서 25mL의 GMS 염 버퍼로 세척하고 배양 상등액을 냉동하였다. 해동 후, 배양 상등액들을 회전 증발로 5배 농축하였다. 다음, 고분자량 숙시노글리칸을 3배의 냉각된 에탄올을 첨가하여서 농축된 상등액으로부터 침전시켰다. 그 후 고 분자량 숙시노글리칸을 원심분리(12,000 g에서 10분)에 의하여 농축된 상등액으로부터 제거하였다. 그 상등액을 회전 증발로 한번 더 5배 농축하였고 저분자량 숙시노글리칸은 7배 부피의 냉각 에탄올을 첨가하고 원심분리하여 얻었다.
그 침전물을 증류수에 녹이고 샘플들을 Bio-Gel P6 컬럼(1 x 120 cm)에 걸어서 20 mL/h 속도로 0.5% AcOH로 상온에서 용출하였다. 분획(1 mL)을 모아서 탄수화물 양을 분석하였다. 저-분자량 숙시노글리칸으로부터 온 숙시닐글리칸 모노머가 예상되는 위치의 용출 물질을 모아서 숙시닐글리칸 모노머를 분리하기 위하여 30 mL/h 속도로 Bio-Gel P-4 컬럼(2 x 54 cm)을 걸었다. 모노머 분획을 모아서 농축하고 그 후에 Sephadex G-15 컬럼(1 x 49 cm)을 사용하여 탈염하였다. 숙시닐글리칸 모노머의 M1, M2 및 M3 분획을 Bio-Gel P6에 의하여 분리하고, Bio-Gel P4 크로마토그래피는 MOPS [3-(N-morpholino) 프로판설폰산] 버퍼(10 mM; pH 7.0) 내의 5 mM KCl로 미리평형화된 DEAE Sephadex 컬럼(1.5 x 48 cm)에 대하여 더 분획화하였다. 그 샘플을 그 컬럼에 걸고 400 mL의 5에서 250 mM KCl에 의한 KCl 리니어 그래디언트로 용출하였다. 분획들(4 mL)을 모아서 페놀-황산 방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피크들을 모아서 컷오프 분자량이 1,000인 SpectraPor 투석 막을 사용하여 물에 대하여 충분하게 투석하였다. 그 후 그 정제된 숙시닐글리칸 모노머를 Brucker 500 MHz NMR 분광기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A에 기재된 스트레커 반응을 촉매하는 탄수화물 촉매:
    [화학식 A]
    상기 화학식 A에서 Glc는 포도당이고, α1-6은 포도당의 1번 탄소와 이웃하는 포도당의 6번 탄소가 알파-글리코시드 결합을 의미하고, β1-2는 포도당의 1번 탄소와 이웃하는 포도당의 2번 탄소가 베타-글리코시드 결합을 의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가 관여하는 스트레커 반응의 기질은 말론알데히드(malonaldehyde) 비스(페닐이민), N-벤질리덴벤젠 설폰아민 또는 N-벤질리덴-N- (다이페닐메틸)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커 반응을 촉매하는 탄수화물 촉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식 A 화합물은 X. oryzae pv. oryzae KACC 10331에서 유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커 반응을 촉매하는 탄수화물 촉매.
  6. 제1항에 기재된 하기 화학식 A의 촉매를 이용한 알파-아미노나이트릴의 합성 방법:
    [화학식 A]
    상기 화학식 A에서 Glc는 포도당이고, α1-6은 포도당의 1번 탄소와 이웃하는 포도당의 6번 탄소가 알파-글리코시드 결합을 의미하고, β1-2는 포도당의 1번 탄소와 이웃하는 포도당의 2번 탄소가 베타-글리코시드 결합을 의미.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방법에 사용되는 반응 기질은 말론알데히드(malonaldehyde) 비스(페닐이민), N-벤질리덴벤젠 설폰아민 또는 N-벤질리덴-N-(다이페닐메틸)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아미노나이트릴의 합성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반응은 물과 알코올 존재하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아미노나이트릴의 합성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아미노나이트릴의 합성 방법.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식 A의 촉매는 X. oryzae pv. oryzae KACC 10331에서 유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아미노나이트릴의 합성 방법.
KR1020070081841A 2007-08-14 2007-08-14 스트레커 반응을 촉매하는 탄수화물 촉매 KR100914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841A KR100914862B1 (ko) 2007-08-14 2007-08-14 스트레커 반응을 촉매하는 탄수화물 촉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841A KR100914862B1 (ko) 2007-08-14 2007-08-14 스트레커 반응을 촉매하는 탄수화물 촉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234A Division KR100910324B1 (ko) 2008-11-17 2008-11-17 스트레커 반응을 촉매하는 탄수화물 촉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244A KR20090017244A (ko) 2009-02-18
KR100914862B1 true KR100914862B1 (ko) 2009-09-02

Family

ID=40686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841A KR100914862B1 (ko) 2007-08-14 2007-08-14 스트레커 반응을 촉매하는 탄수화물 촉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862B1 (ko)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Carbohydrate Research *
논문2 : 건국대학교 *
논문3 : Carbohydrate Polymers *
논문4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논문5 : 건국대학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244A (ko)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9718B2 (en) Preparation of poly alpha-1,3-glucan ethers
CA2893950C (en) Preparation of poly alpha-1,3-glucan ethers
Liu et al. Production,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gel forming property of a new exopolysaccharide produced by Agrobacterium HX1126 using glycerol or d-mannitol as substrate
Leung et al. Efficient synthesis and protein conjugation of β-(1→ 6)-dN-acetylglucosamine oligosaccharides from the polysaccharide intercellular adhesin
EP0608636B1 (en) Cycloisomaltooligosaccharides, an enzym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id oligosaccharide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said enzyme
Azeez et al. Extraction of chitosan with differ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from Cunninghamella echinulata (Thaxter) Thaxter for biological applications
FR2471387A1 (fr) Procede de preparation de derives de moranoline, nouveaux produits ainsi obtenus et leur utilisation pour controler l'augmentation des niveaux de sucre dans le sang
Klepp et al. Mechanism of action of urocanase: Specific 13C‐labelling of the prosthetic NAD+ and revision of the structure of its adduct with imidazolylpropionate
KR100914862B1 (ko) 스트레커 반응을 촉매하는 탄수화물 촉매
US5663254A (en) Synthesis of high mannose glycopolymers
KR100910324B1 (ko) 스트레커 반응을 촉매하는 탄수화물 촉매
Lee et al. Cyclosophorohexadecaose and succinoglycan monomers as catalytic carbohydrates for the Strecker reaction
Smaali et al. Comparison of two β-glucosidases for the enzymatic synthesis of β-(1-6)-β-(1-3)-gluco-oligosaccharides
KNIREL et al. Somatic Antigens of Pseudomonas aeruginosa: The Structure of O‐Specific Polysaccharide Chains of P. aeruginosa O: 3a, b and O: 3a, d Lipopolysaccharides
JP2654825B2 (ja) 新規環状イヌロオリゴ糖およびその製造法
Shizuma et al. Chiral discrimination of permethylated gluco-oligosaccharide toward amino acid ester salts
Hamayasu et al. Enzymatic synthesis of N-acetylglucosaminyl-cyclodextrin by the reverse reaction of N-acetylhexosaminidase from jack bean
JPH0673104A (ja) β−サイクロデキストリンの製造法
JPS623795A (ja) 分枝状シクロデキストリンの製造方法
Kitahata et al. Synthesis of novel heterobranched β-cyclodextrins from α-D-mannosyl-maltotriose and β-cyclodextrin by the reverse action of pullulanase, and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products
CN109852648B (zh) 酶法制备右旋糖酐硒聚物的方法
JP4826824B2 (ja) オリゴ糖
JP3920073B2 (ja) 新規α−1,2−マンノシダーゼ及び該酵素を用いたα−マンノシル糖化合物の製造法
WO2009136601A1 (ja) α-1,4グルカングラフト化セルロース
JPH11246588A (ja) 2−メチル−{4−O−(2−アミノ−2−デオキシ−β−グルコピラノシル)−1、2−ジデオキシ−α−グルコピラノ}(2、1−d)−2−オキサゾリンおよびその塩並びに50%脱アセチル化キチンまたはそのオリゴ糖およびそれらの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