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772B1 - 택지개발 단지내 설치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우수저장장치 - Google Patents

택지개발 단지내 설치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우수저장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772B1
KR100914772B1 KR1020090009951A KR20090009951A KR100914772B1 KR 100914772 B1 KR100914772 B1 KR 100914772B1 KR 1020090009951 A KR1020090009951 A KR 1020090009951A KR 20090009951 A KR20090009951 A KR 20090009951A KR 100914772 B1 KR100914772 B1 KR 100914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concrete box
vegetation
aquatic plant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to KR1020090009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7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7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택지개발 단지내 설치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우수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낙수뿐만 아니라 우수관거로 유입되는 빗물을 저장하여 수생식물을 통해 정화한 후 재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측구(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관통홀(11)과 연통되는 제2 관통홀(101)이 형성되며, 상측에 그레이팅(110)이 설치되는 빗물받이(100)와; 제1 및 제2 관통홀(11, 101)로부터 하측으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유입관(210)을 통해 우수를 공급받는 콘크리트박스(200)와; 하면에 복수개의 부유재(310)가 고정되고, 내측 공간의 가로 및 세로방향을 따라서 구획패널(320)이 연장되며, 구획패널(320)에 식생망(321) 및 식생포(322)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식생프레임(300)과; 콘크리트박스(200)의 저면에 형성된 배출홀(201)과 이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하수도관(20) 사이에 연결되는 배출관(4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우수의 저장과 정화를 통한 재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택지개발 단지내 설치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우수저장장치{RAINWATER STORING APPARATUS USING AQUATIC PLANT INSTALLED IN CURTILAGE COMPLEX}
본 발명은 택지개발 단지내 설치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우수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낙수뿐만 아니라 측구를 통해 우수관거로 유입되는 우수를 별도로 저장하여 수생식물을 통해 정화한 후 재활용하기 위한 택지개발 단지내 설치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우수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지개발단지, 주택단지, 상공업단지 등과 같은 곳에서는 건물의 옥상으로 내린 우수를 처리하기 위해 별도의 우수용 파이프를 사용하여 하수관거로 흘러 보내게 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에 따라서는 우수량이 많아질 시에 차도, 보행로 등에 우수가 고임에 따라 통행상의 불편한 원인이 되고 있음과 더불어, 물의 효율적인 사용이 간과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책 중 일안으로는 우수를 저장하여 수생식물로 정화한 후 재사용하는 종래의 방식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낙수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면적을 갖는 저장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점과 대량으로 저장공간에 물이 유입될 시에 월류에 대한 대처방안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친환경적으로 우수를 정화하여 재사용 가능하도록 하고 저장부 내 우수의 유입량을 기능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택지개발 단지내 설치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우수저장장치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저장부 내 대량의 우수 유입에 대한 처리가 가능한 택지개발 단지내 설치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우수저장장치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택지개발 단지 내 우수가 유도되는 측구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관통홀과 연통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측에 그레이팅이 설치되는 빗물받이와; 상기 측구의 저면보다 더 낮은 저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로부터 하측으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유입관을 통해 우수를 공급받으며, 각 모서리부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높이의 안착부가 형성된 콘크리트박스와; 하면에 복수개의 부유재가 고정되고, 내측 공간의 가로 및 세로방향을 따라서 구획패널이 연장되며, 상기 구획패널에 수생식물의 식생을 위한 식생망 및 식생포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되, 상기 콘크리트박스의 내주면보다 작거나 같은 외주면을 갖고 상기 안착부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박스의 저면과 이격되는 사각형상의 식생프레임과; 상기 콘크리트박스의 저면에 형성된 배출홀과 이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하수도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홀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상기 콘크리트박스 내 우수량에 따라 개폐상태가 결정되는 플랩밸브(flap valve)나 수동으로 마개가 설치되는 복수개의 배출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관의 입구부에는 복수개의 여과망이 중첩된 여과부가 끼움되고, 상기 여과부는 로프를 통해 상기 그레이팅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택지개발 단지내 설치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우수저장장치는 우수가 저장되는 콘크리트박스에 수생식물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수위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식생프레임을 통해 유입된 물을 정화하여 재사용할 수 있음과 더불어, 빗물받이로 유도된 물 또한 유입관을 통해 콘크리트박스에 저장할 수 있어 우수의 유입 및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박스 내 대량의 우수가 유입될 시에는 콘크리트박스와 하수관을 연결하는 배출관을 통해 플랩밸브로 유량을 제어하여 이를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택지개발 단지내 설치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우수저장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택지개발 단지내 설치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우수저장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택지개발 단지내 설치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우수저장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택지개발 단지내 설치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우수저장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택지개발 단지내 설치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우수저장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택지개발 단지내 설치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우수저장장치는 기본적으로 측구(10)에 설치되는 빗물받이(100)와, 빗물받이(100)로부터의 유수와 낙수를 저장하기 위한 콘크리트박스(200)와, 수생식물을 콘크리트박스(200)에서 식생가능하도록 하는 식생프레임(300)과, 콘크리트박스(200) 내 저장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배출관(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빗물받이(100)에는 택지개발 단지 내 우수가 유도되는 측구(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관통홀(11)과 연통되는 제2 관통홀(101)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그레이팅(110)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측구(10) 및 빗물받이(100)의 설치는 택지개발 단지 내 보도 또는 차도의 주변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이 쉽게 측구(10)측으로 유도되도록 노상의 경사면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콘크리트박스(200)는 측구(10)의 저면보다 더 낮은 저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1 및 제2 관통홀(11, 101)로부터 하측으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유입관(210)을 통해 우수를 공급받으며, 이에 따라 측구(10)의 저부에 형성된 제1 관통홀(11)에 유입관(210)이 하향 배치된 상태로 콘크리트박스(200) 상부에 형성된 제2 관통홀(101)로 연결될 수 있도록 측구(10) 및 콘크리트박스(200)의 크기 및 위치관계가 고려되어야 한다. 추가로 콘크리트박스(200)는 이의 각 모서리부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높이 돌출되는 안착부(220)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단순히 낙수를 콘크리트박스(200) 내에 저장 가능할 뿐만 아니라 측구(10)로 유입되는 우수 또한 이의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식생프레임(300)은 하면에 복수개의 부유재(310)가 고정되고, 내측 공간의 가로 및 세로 방향을 따라서 구획패널(320)이 연장되며, 구획패널(320)에 식생망(321) 및 식생포(322)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되, 콘크리트박스(200)의 내주면보다 작거나 같은 외주면을 갖고 안착부(220)에 의해 콘크리트박스(200)의 저면과 일정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사각형상의 구조를 갖게 된다. 식생프레임(300)은 그 단면이 L형인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하여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구획패널(320)은 상호 열십자의 교차점을 제외하고 그 단면을 역 T형으로 하여 식생프레임(300)에 일체로 압출성형 방식에 따라 제작된다. 부유재(310)는 스티로폼과 같은 것을 재질로 하여 식생프레임(300)이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부유되도록 하며 단순히 끈으로 동여매어 식생프레임(30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식생망(321) 및 식생포(322)는 수생식물의 종자가 발아되어 이의 뿌리가 고정되도록 하여 수생식물이 콘크리트박스(200) 내에서 수분 및 양분을 공급받아 식생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식생망(321) 및 식생포(322)의 순서대로 적층하여 설치되며, 이의 고정구조를 보강하기 위해서 식생프레임(300) 및 구획패널(320)의 수직부에 슬릿을 형성하여 이 슬릿에 각각이 끼움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식생프레임(300)의 구조를 통해 콘크리트박스(200) 내 물의 양에 따라 식생프레임(300)의 위치가 상하로 이동되고 콘크리트박스(200)에 물이 없는 경우에는 식생프레임(300)의 모서리 또는 부유재(310)가 안착부(200)와 접면하게 되어 수생식물이 식생프레임(300)의 자중에 의해 압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400)은 콘크리트박스(200)의 저면에 형성된 배출홀(201)과 이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하수도관(20) 사이에 연결되고, 배출홀(201)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콘크리트박스(200) 내 우수량에 따라 개폐상태가 결정되는 플랩밸브(flap valve)(41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박스(200) 내 저장된 우수량에 따른 수압이 플랩밸브(410)의 개폐상태가 결정되도록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플랩밸브(410)가 개방되어 우수가 하수도관(20)측으로 배출된다. 배출관(400)을 하수도관(20)보다 상측으로 배치하는 이유는 배출관(400)을 통하여 방출된 물이 역행하는 것을 플랩밸브(410) 자체만으로도 방지할 수 있으나, 하수도관(20)과 배출관(400)이 수평하게 배치될 경우에는 콘크리트박스(200) 내 수압에 의해서만 물이 방출되므로, 콘크리트박스(200) 내 채워진 우수의 수압에 의해서 물이 방출되도록 함과 더불어 콘크리트박스(200)와 하수도관(20)의 높이차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물을 방출하기 위한 것이다. 추가적으로 플랩밸브(410)가 고장난 경우를 대비하여 배출관(400)과 동일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마개를 통해 입구부를 수동으로 개폐가능한 배출관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으로 상기 유입관(210)의 입구부에 복수개의 여과망이 중첩되어 이루어진 여과부(211)를 끼움설치하여 빗물받이(100)로 유입된 일정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콘크리트박스(200) 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여과부(211)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레이팅(110)과 여과부(211)를 로프(212)로 연결함으로써 그레이팅(110)을 빗물받이(100)로부터 분리함에 따라 여과부(211) 또한 손쉽게 유입관(2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Claims (2)

  1. 택지개발 단지 내 우수가 유도되는 측구(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관통홀(11)과 연통되는 제2 관통홀(101)이 형성되며, 상측에 그레이팅(110)이 설치되는 빗물받이(100)와;
    상기 측구(10)의 저면보다 더 낮은 저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11, 101)로부터 하측으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유입관(210)을 통해 우수를 공급받으며, 각 모서리부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높이의 안착부(220)가 형성된 콘크리트박스(200)와;
    하면에 복수개의 부유재(310)가 고정되고, 내측 공간의 가로 및 세로방향을 따라서 구획패널(320)이 연장되며, 상기 구획패널(320)에 수생식물의 식생을 위한 식생망(321) 및 식생포(322)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되, 상기 콘크리트박스(200)의 내주면보다 작거나 같은 외주면을 갖고 상기 안착부(220)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박스(200)의 저면과 이격되는 사각형상의 식생프레임(300)과;
    상기 콘크리트박스(200)의 저면에 형성된 배출홀(201)과 이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하수도관(20)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홀(201)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상기 콘크리트박스(200) 내 우수량에 따라 개폐상태가 결정되는 플랩밸브(flap valve)(410)나 수동으로 마개가 설치되는 복수개의 배출관(4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입관(210)의 입구부에는 복수개의 여과망이 중첩된 여과부(211)가 끼움되고, 상기 여과부(211)는 로프(212)를 통해 상기 그레이팅(110)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지개발 단지내 설치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우수저장장치.
  2. 삭제
KR1020090009951A 2009-02-06 2009-02-06 택지개발 단지내 설치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우수저장장치 KR100914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951A KR100914772B1 (ko) 2009-02-06 2009-02-06 택지개발 단지내 설치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우수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951A KR100914772B1 (ko) 2009-02-06 2009-02-06 택지개발 단지내 설치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우수저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772B1 true KR100914772B1 (ko) 2009-08-31

Family

ID=4121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951A KR100914772B1 (ko) 2009-02-06 2009-02-06 택지개발 단지내 설치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우수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7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607Y1 (ko) * 2005-05-31 2005-08-18 솔렌스(주) 산불 예방용 매립형 물탱크 설치구조
KR100645873B1 (ko) * 2006-05-04 2006-11-15 (주)신도시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내에 설치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우수저장장치
KR100676692B1 (ko) * 2006-10-09 2007-02-01 비.씨.에이취 주식회사 저수조를 겸한 식물재배용기
KR100749400B1 (ko) * 2007-03-20 2007-08-14 한경구 우수의 중수 재활용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607Y1 (ko) * 2005-05-31 2005-08-18 솔렌스(주) 산불 예방용 매립형 물탱크 설치구조
KR100645873B1 (ko) * 2006-05-04 2006-11-15 (주)신도시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내에 설치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우수저장장치
KR100676692B1 (ko) * 2006-10-09 2007-02-01 비.씨.에이취 주식회사 저수조를 겸한 식물재배용기
KR100749400B1 (ko) * 2007-03-20 2007-08-14 한경구 우수의 중수 재활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4237B2 (en) Backwashing filter basket
CN104947781A (zh) 一种雨水收集分流、涵养地层的调蓄系统
KR101781334B1 (ko) L형 측구를 활용한 다기능 배수관
KR101096768B1 (ko) 빗물이용장치
CN204781254U (zh) 一种雨水收集分流、涵养地层的调蓄系统
KR101461655B1 (ko)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
KR100847826B1 (ko) 빗물 이용 및 저장장치
KR100704901B1 (ko) 강우의 특성을 고려한 우수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US11479487B2 (en) Stormwater management system with internal bypass
KR200409378Y1 (ko)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
KR100601908B1 (ko) 우수저류연못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정화 및 친수시설활용방법과 그 장치
KR101626502B1 (ko)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JP4511077B2 (ja) 雨水排水処理システム
KR20060008252A (ko) 오물 감지 및 제거구조를 구비한 교량 배수설비 시스템
KR100681933B1 (ko) 저류지에서의 수질 정화 증대 장치
KR100914772B1 (ko) 택지개발 단지내 설치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우수저장장치
KR100898839B1 (ko) 초기 강우 유출 조절장치
KR100763119B1 (ko) 우수처리시스템
KR101316313B1 (ko) 저류조를 이용한 계곡수용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KR101189252B1 (ko)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
KR102249356B1 (ko)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
CN209082657U (zh) 一种园林绿化的节能排水系统
CN209082658U (zh) 一种市政道路排水系统
KR101154026B1 (ko)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
KR101233695B1 (ko) 우수 유도패널을 구비한 도로의 집수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