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736B1 - 디스플레이 글라스용 브러쉬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글라스용 브러쉬 세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736B1
KR100914736B1 KR1020070139914A KR20070139914A KR100914736B1 KR 100914736 B1 KR100914736 B1 KR 100914736B1 KR 1020070139914 A KR1020070139914 A KR 1020070139914A KR 20070139914 A KR20070139914 A KR 20070139914A KR 100914736 B1 KR100914736 B1 KR 100914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tube
bearing
brush
tub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7130A (ko
Inventor
박승주
Original Assignee
박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주 filed Critical 박승주
Publication of KR20090027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 H01L21/67046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using mainly scrubbing means, e.g. brus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 H01L21/67051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using mainly spraying means, e.g. nozz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러쉬의 전장을 길게 하더라도 처짐 구간을 최소로 줄임에 따라 세정 중 브러쉬의 중간이 처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세정중 브러쉬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글라스용 브러쉬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외주연에 스폰지나 다수의 브러쉬심이 구비되는 외측관과 외측관의 내부 양측에 구비된 베어링 지지부와 상기 외측관의 양단에서 내부의 안쪽으로 양 베어링 지지부에 비 회전되게 관통 삽입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양 중심축을 포함하는 브러쉬와, 상기 양 중심축을 지지하면서 외측관이 회전되게 외측관에 동력을 전달하는 지지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각 베어링 지지부는, 외측관의 내부 측부에 구비되어 각 중심축이 수평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부로 구성되며; 상기 베어링부는 외측관의 내측 주연부의 단부측과 단부측의 안쪽에 다수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관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베어링부 중 외측관의 단부측에 구비된 양 베어링부에 양 단부가 밀착되는 축소된 내경을 가지는 둘레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글라스용 브러쉬 세정장치{Roller brushing apparatus for cleaning glass of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글라스용 브러쉬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러쉬의 전장을 길게 하더라도 처짐 구간을 최소로 줄임에 따라 세정 중 브러쉬의 중간이 처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세정중 브러쉬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글라스용 브러쉬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FT LCD 및 디스플레이(이하. 총칭하여 "디스플레이"라 한다) 제조공정에서는, 글라스의 표면에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세정용 롤러 브러쉬를 포함하는 세정장치가 사용된다.
이에, 종래의 세정장치는, 디스플레이의 세대의 진화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대형화됨으로써 세정용 롤러 브러쉬(이하, "브러쉬"라 한다)의 전장도 대형화 되어 왔다.
따라서 최근에는 브러쉬의 길이가 길어지게 됨으로써 브러쉬의 자체 중량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브러쉬의 자체 중량이 증가됨으로써 브러쉬의 중간이 하부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글라스의 세정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브러쉬와 글라스의 표면이 효율적으로 마찰되어 이물 및 미세입자(particle)를 제거해야 하는데, 브러쉬의 중간이 자중으로 처짐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중앙부 및 일부의 면만이 편중되게 세정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브러쉬의 중간이 처짐에 따라서 브러쉬의 양단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빠른 시간에 마모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브러쉬의 처짐으로 인하여 베어링의 마모가 빠르게 일어남으로써, 고가인 베어링의 교체 주기가 빨라지게 되는 문제점과 베어링의 마모 과정에서 많은 양의 이물질이 발생되어 글라스 표면을 오염시키는 심각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브러쉬 세정장치를 구성하는 롤러 브러쉬의 처짐 구간을 최소로 줄여 브러쉬의 중간이 자중에 의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글라스용 브러쉬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외측관과 중공관으로 브러쉬를 구성함에 따라 브러쉬 세정장치를 구성하는 브러쉬의 자체 중량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다른 목적도 있다.
또 브러쉬의 양측으로 돌출된 중심축을 지지하면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목적도 있다.
또 브러쉬의 양측을 지지하는 양 지지부와 브러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의 자체 중량을 최소로 줄임으로써, 동력 전달시 브러쉬가 떨리는 등의 진동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주연에 스폰지나 다수의 브러쉬심이 구비되는 외측관과 외측관의 내부 양측에 구비된 베어링 지지부와 상기 외측관의 양단에서 내부의 안쪽으로 양 베어링 지지부에 비 회전되게 관통 삽입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양 중심축을 포함하는 브러쉬와, 상기 양 중심축을 지지하면서 외측관이 회전되게 외측관에 동력을 전달하는 지지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각 베어링 지지부는, 외측관의 내부 측부에 구비되어 각 중심축이 수평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부로 구성되며; 상기 베어링부는 외측관의 내측 주연부의 단부측과 단부측의 안쪽에 다수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관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베어링부 중 외측관의 단부측에 구비된 양 베어링부에 양 단부가 밀착되는 축소된 내경을 가지는 둘레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상기 지지 구동수단은, 양측에 구비되어 각각은 상기 양 중심축을 베어링을 통해 비 회전되게 지지하며 상기 외측관의 양측과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된 회전관을 포함하는 양 지지부와, 양 지지부중 하나에 구비되어 회전관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회전 구동부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과 회전관을 상호 연결하는 동력 전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연결수단은, 회전관의 안쪽에 구비되어 외측관을 감싸 체결부를 통해 고정하는 커플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각각의 베어링부는, 상기 중심축이 내륜에 관통 삽입된 베어링과, 각 베어링을 구성하는 외륜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외측관이나 둘레 돌출부의 내주연에 고정되는 부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 상기 연결수단은, 회전관의 안쪽면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조립 돌출부와, 상기 외측관의 양측에 구비된 베어링부를 구성하는 부싱의 외측면에 상기 조립 돌출부들이 삽입되게 구비된 다수의 조립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조립 돌출부는 돌출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립홈은 축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조립 돌출부는 돌출키로 구성되고, 상기 조립홈은 키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둘레 돌출부 내주연 중간에는, 상기 양 베어링부 중 외측관의 내부 중간의 양측에 구비된 양 베어링부에 양 단부가 밀착되는 축소된 내경을 가지는 중간 둘레 돌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중심축은 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롤러 브러쉬용 브러쉬의 중간이 자중에 의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브러쉬의 양단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마모를 최소로 줄일 수 있음에 따라 베어링의 교체주기를 길게 함과 동시에, 베어링의 마모로 인한 이물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로 줄여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 자체 하중을 최소로 줄인 브러쉬를 제공함으로써 처짐 현상을 좀 더 줄일 수 있는 다른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 브러쉬의 양측으로 돌출된 중심축을 지지하면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브러쉬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구동부의 동력을 좀 더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효과도 있다.
또 브러쉬의 양측을 지지하는 양 지지부와 브러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의 자체 중량을 최소로 줄임에 따라, 브러쉬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브러쉬의 양측에서 비틀림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브러싱 과정 중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브러쉬 세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C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브러쉬가 장착된 세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브러쉬 세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4의 D-D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단을 확대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연결수단이 장착된 브러쉬 세정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9a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용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측관
삭제
111 : 둘레 돌출부, 112 : 중간 둘레 돌출부
2 : 베어링 지지부
21 : 베어링부
211 : 베어링, 212 : 부싱
3 : 중심축
삭제
5 : 브러쉬심
6 : 지지 구동수단
61 : 지지부
611 : 프레임, 612 : 외측 베어링
62 : 회전관
621 : 베어링
63 : 연결수단
631 : 커플링, 632 : 체결부 651 : 조립 돌출부, 652 : 돌출축, 653 : 돌출키, 654 : 조립홈, 655 : 축홈, 656 : 키홈
64 : 회전 구동부
641 : 모터, 642 : 동력 전달부, 643 : 풀리, 644 : 밸트
10 : 브러쉬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브러쉬 세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세정장치는, 외주연에 스폰지나 다수의 브러쉬심(5)이 구비되는 외측관(1)과, 외측관(1)의 내부 양측에 구비된 베어링 지지부(2)와 상기 외측관(1)의 양단에서 내부의 안쪽으로 양 베어링 지지부(2)에 비 회전되게 관통 삽입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양 중심축(3)을 포함하는 브러쉬(10)와, 상기 양 중심축(3)을 지지하면서 외측관(1)이 회전되게 외측관(1)에 동력을 전달하는 지지 구동수단(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브러쉬(10)는, 외주연에 스폰지나 다수의 브러쉬심(5)이 구비된 외측관(1)과 베어링 지지부(2) 및 양 중심축(3)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폰지는 글라스와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으로, PVA(폴리비닐알콜)스폰지나 PVC(폴리염화비닐)스폰지 또는 우레탄스폰지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각 베어링 지지부(2)는, 외측관(1)의 내부 측부에 구비되어 각 중심축(3)이 수평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부(21)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 2도에서는 상기 각 베어링 지지부(2)가 외측관(1)의 내부 측부에 이격되게 구비된 2개의 베어링부(21)로 구성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또한 상기 브러쉬(10)는 상기 외측관(1)의 내측 둘레에 축소된 내경을 가지면서 형성된 둘레 돌출부(111)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 상기 둘레 돌출부(111)는, 상기 베어링부(21) 중 외측관(1)의 양 단부측에 구비된 양 베어링부(21)에 양 단부가 밀착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 각각의 베어링부(21)는, 상기 중심축(3)이 내륜에 관통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211)과, 각 베어링(211)을 구성하는 외륜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외측관(1)이나 둘레 돌출부(111)의 내주연에 고정되는 부싱(212)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양 베이링 지지부(2)를 구성하는 베어링부(21) 중 내측에 위치된 양 베어링부(21)의 간격을 줄임에 따라서, 외측관(1)의 처짐 구간을 줄임으로써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그리고 상기 중심축(3)은, 축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브러쉬(10)의 전체적인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관으로도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4는 도 2의 C부 확대도로서, 도 1,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구동수단(6)은, 양측에 구비되어 각각은 상기 양 중심축(3)을 베어링(621)을 통해 비 회전되게 지지하며 상기 외측관(1)의 양측과 연결수단(63)을 통해 연결된 회전관(62)을 포함하는 양 지지부(61)와, 양 지지부(61)중 하나에 구비되어 회전관(62)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64)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지지부(61)는, 프레임(611)을 포함하고, 프레임(611)에는 상기 회전관(62)의 외측 주연부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외측 베어링(612)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관(62)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64)는, 프레임(611)에 고정되는 모터(641)와, 모터(641)의 회전축과 회전관(62)을 상호 연결하는 동력 전달부(64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 전달부(642)는, 기어들이나 체인 등으로 구성되거나 밸트등의 연결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면에서 밸트를 통한 연결 상태를 도시하였다. 즉 상기 동력 전달부(642)는, 회전관(62)과 모터(641)의 회전축에 구비된 풀리(643)와 각 풀리(643)를 상호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밸트(644)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61)을 구성하는 회전관(62)과 상기 브러쉬(10)를 구성하는 외측관(1)을 상호 연결하는 상기 연결수단(63)은, 회전관(62)의 안쪽에 구비되어 외측관(1)을 감싸 체결부(632)를 통해 고정하는 커플링(631)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체결부(632)는 볼트와 탭홀로 구성되는 것으로, 체결부(632)의 체결을 통해 커플링(631)의 내경을 축소하는 과정을 통해 커플링(631)과 외측관(1)을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 지지부(2)를 구성하는 각각의 베어링부(21)는 외측관(1)의 내측 주연부의 단부측과 단부측의 안쪽에 다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10)는 상기 외측관(1)의 내측 둘레에 축소된 내경을 가지면서 형성된 둘레 돌출부(1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둘레 돌출부(111)는 상기 베어링부(21) 중 외측관(1)의 양 단부측에 구비된 양 베어링부(21)에 양 단부가 밀착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삭제
즉 상기 외측관(1)은 1mm 내지 2mm 두께의 비중이 가벼운 서스(SUS)나 알루미늄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둘레 돌출부(111)는 탄소섬유인 CFRP 복합소재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둘레 돌출부(111)는 외측관(1)의 내측에 접착재 등이나 억지끼워맞춤을 통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둘레 돌출부(111)는 외측관(1)의 내측 둘레에 구비되어 외측관(1)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둘레 돌출부(111)의 양단은 외측관(1)의 양 단부측에 구비된 양 베어링부(21)에 밀착됨으로써, 외측관(1)이 회전될 경우에는 외측관(1)을 전체적으로 보강함으로써 처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브러쉬가 장착된 세정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브러쉬(10)는, 상기 외측관(1)의 내측에 둘레 돌출부(111)가 구비된 브러쉬(1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10)에 형성된 둘레 돌출부(111)의 내주연 중간에는, 상기 양 베어링부(21) 중 외측관(1)의 내부 중간의 양측에 구비된 양 베어링부(21)에 양 단부가 밀착되는 축소된 내경을 가지는 중간 둘레 돌출부(11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간 둘레 돌출부(112)는 탄소섬유인 CFRP 복합소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중간 둘레 돌출부(112)는 둘레 돌출부(111)에 일체로 돌출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둘레 돌출부(112)의 내주연 중간에 중간 둘레 돌출부(112)를 더 구비하여 브러쉬(10)의 강도를 전체적으로 더 보강함으로써, 휨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간 둘레 돌출부(112)의 양단은 상기 외측관(1)의 내부 중간의 양측에 구비된 양 베어링부(21)에 밀착됨으로써, 외측관(1)에서 휨이 발생되는 중간을 좀 더 보강함에 따라 브러쉬의 중간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구동수단(6)을 구성하는 하나의 지지부(61)에 장착된 모터(641)를 구동시키게 되면, 모터(641)의 구동력이 동력 전달부(642)의 동력 전달을 통해 회전관(62)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회전관(62)으로 전달된 구동력은 커플링(631)을 통해 외측관(1)으로 전달됨으로써 외측관(1)이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외측관(1)이 회전되는 과정에서는, 외측관(1)의 내부 양측에 베어링부(21)를 통해 고정된 양 중심축(3)은 비 회전되면서 외측관(1)만이 회전됨으로써, 글라스의 표면에 끼어있는 이물과 미세입자를 마찰 접촉을 통해 제거하는 작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작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3)을 지지하는 베어링부(21)가 외측관(1)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양 베어링부(21)의 각각은 상호 이격된 2개의 베어링(211)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양 중심축(3)이 양측에 2개씩 구비된 베어링(211)에 관통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양 베어링부(21) 중 내측에 위치된 양 베어링부(21)의 간격을 줄임에 따라서, 외측관(1)의 처짐구간을 줄임에 따라서 자중으로 인하여 외측관(1)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각 베어링부(21)을 구성하는 베어링(211)의 마모를 최소로 줄일 수 있음에 따라 베어링(211)의 교체주기를 길게 할 수 있고, 베어링(211)으로부터 이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로 줄여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측관(1)의 내부에는 외측관(1)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중공관의 내측 돌출부(111)가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서, 외측관(1)을 이중으로 보강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외측관(1)의 처짐을 좀 더 줄일 수 있는 강도가 보강된 브러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의 전장이 길어짐과 더불어 양 베어링부(21)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외측관(1)의 처짐구간을 줄임으로써 브러쉬의 전장이 길어지더라도 중간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브러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중공의 외측관(1)과 중공관의 내측 돌출부(111)로 브러쉬를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인 무게를 줄임에 따라서 처짐을 좀 더 줄일 수 있는 브러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구동수단(6)은, 양측에 구비되어 각각은 상기 양 중심축(3)을 베어링을 통해 비 회전되게 지지하는 양 지지부(61)를 포함하고, 양 지지부(61)의 하나에는 상기 회전관(62)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6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외측관(1)을 회전시킬 경우에는, 양 중심축(3)을 비 회전되게 지지한 상태에서 외측관(1)을 회전시킴에 따라서, 브러쉬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구동부의 동력을 좀 더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즉 양 중심축(3)을 비 회전되게 지지한 상태에서 외측관(1)을 회전시킴에 따라, 양 중심축(3)을 통해 외측관(1)의 내부를 지짐함으로써 브러쉬(10)의 처짐을 방지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브러쉬 세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D-D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단을 확대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브러쉬 세정장치는, 지지 구동수단(6)을 구성하는 양 지지부(61)에 구비된 회전관(62)과 브러쉬(10)의 외측관(1)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63)과 베어링부(21)를 제외하고 타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브러쉬 세정장치는, 상기 베어링부(21)는 외측관의 단부측 내측 주연부와 그 안쪽에 다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베어링부(21)는, 상기 중심축이 내륜에 관통 삽입된 베어링(211)과, 각 베어링(211)을 구성하는 외륜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외측관(1)이나 내측 돌출부(111)의 내주연에 고정되는 부싱(2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의 연결수단(63)은, 회전관(62)의 안쪽면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조립 돌출부(651)와, 상기 외측관(1)의 양측에 구비된 베어링부(21)를 구성하는 부싱(212)의 외측면에 상기 조립 돌출부(651)들이 삽입되게 구비된 다수의 조립홈(65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 돌출부(651)는 돌출축(652)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립홈(654)은 축홈(655)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수단(63)은, 다수의 돌출축(652)과 축홈(655)으로 구성됨으로써, 연결수단(63)의 자체 중량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즉 연결수단(63)은 다수의 돌출축(652)이 부싱(212)에 구비된 다수의 축홈(655)에 삽입됨으로써, 돌출축(652)의 중량은 부싱(212)의 중량으로 상쇄됨으로써 연결수단(63)의 자체중량은 거의 없게 된다.
그러므로, 회전관(62)에서 외측관(1)으로 동력을 전달되는 과정에서는, 연결수단(63)의 회전 관성을 최소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알루미늄이나 서스(SUS)의 재질로 구성된 외측관(1)에 비틀림 하중이 걸리는 것을 최소로 줄임에 따라서, 브러쉬(10)가 진동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연결수단이 장착된 브러쉬 세정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9a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연결수단(63)은, 회전관(62)의 안쪽면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조립 돌출부(651)와, 상기 외측관(1)의 양측에 구비된 베어링부(21)를 구성하는 부싱(212)의 외측면에 상기 조립 돌출부(651)들이 삽입되게 구비된 다수의 조립홈(654)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립 돌출부(651)는 돌출키(653)로 구성되고, 상기 조립홈(654)은 키홈(65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수단(63)은, 다수의 돌출키(653)와 키홈(656)으로 구성됨으로써, 연결수단(63)의 자체 중량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즉 상기 연결수단(63)은 다수의 돌출키(653)가 부싱(212)에 구비된 다수의 키홈(656)에 삽입됨으로써, 돌출키(653)의 중량은 부싱(212)의 중량으로 상쇄됨으로써 연결수단(63)의 자체중량은 거의 없게 된다.
그러므로, 회전관(62)에서 외측관(1)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는, 연결수단(63)의 회전 관성을 최소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알루미늄이나 서스(SUS) 재질로 구성된 외측관(1)에 비틀림 하중이 걸리는 것을 최소로 줄임에 따라서, 브러쉬가 진동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도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12)

  1. 외주연에 스폰지나 다수의 브러쉬심(5)이 구비되는 외측관(1)과 외측관(1)의 내부 양측에 구비된 베어링 지지부(2)와 상기 외측관(1)의 양단에서 내부의 안쪽으로 양 베어링 지지부(2)에 비 회전되게 관통 삽입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양 중심축(3)을 포함하는 브러쉬(10)와, 상기 양 중심축(3)을 지지하면서 외측관(1)이 회전되게 외측관(1)에 동력을 전달하는 지지 구동수단(6)을 포함하며;
    상기 각 베어링 지지부(2)는, 외측관(1)의 내부 측부에 구비되어 각 중심축(3)이 수평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부(21)로 구성되며;
    상기 베어링부(21)는 외측관(1)의 내측 주연부의 단부측과 단부측의 안쪽에 다수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관(1)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베어링부(21) 중 외측관(1)의 단부측에 구비된 양 베어링부(21)에 양 단부가 밀착되는 축소된 내경을 가지는 둘레 돌출부(1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글라스용 브러쉬 세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동수단(6)은,
    양측에 구비되어 각각은 상기 양 중심축(3)을 베어링을 통해 비 회전되게 지지하며 상기 외측관(1)의 양측과 연결수단(63)을 통해 연결된 회전관(62)을 포함하는 양 지지부(61)와,
    양 지지부(61)중 하나에 구비되어 회전관(62)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6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글라스용 브러쉬 세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64)는,
    모터(641)와 모터(641)의 회전축과 회전관(62)을 상호 연결하는 동력 전달부(6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글라스용 브러쉬 세정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63)은,
    회전관(62)의 안쪽에 구비되어 외측관(1)을 감싸 체결부(632)를 통해 고정하는 커플링(63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글라스용 브러쉬 세정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베어링부(21)는,
    상기 중심축(3)이 내륜에 관통 삽입된 베어링(211)과, 각 베어링(211)을 구성하는 외륜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외측관(1)이나 둘레 돌출부(111)의 내주연에 고정되는 부싱(2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글라스용 브러쉬 세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63)은,
    회전관(62)의 안쪽면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조립 돌출부(651)와,
    상기 외측관(1)의 양측에 구비된 베어링부(21)를 구성하는 부싱(212)의 외측면에 상기 조립 돌출부(651)들이 삽입되게 구비된 다수의 조립홈(65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글라스용 브러쉬 세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돌출부(651)는 돌출축(652)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립홈(654)은 축홈(65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글라스용 브러쉬 세정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돌출부(651)는 돌출키(653)로 구성되고,
    상기 조립홈(654)은 키홈(65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글라스용 브러쉬 세정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돌출부(111) 내주연 중간에는,
    상기 양 베어링부(21) 중 외측관(1)의 내부 중간의 양측에 구비된 양 베어링부(21)에 양 단부가 밀착되는 축소된 내경을 가지는 중간 둘레 돌출부(11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의 글라스 세정용 롤러 브러쉬 세정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3)은 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글라스용 브러쉬 세정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070139914A 2007-09-11 2007-12-28 디스플레이 글라스용 브러쉬 세정장치 KR100914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92295 2007-09-11
KR1020070092295 2007-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130A KR20090027130A (ko) 2009-03-16
KR100914736B1 true KR100914736B1 (ko) 2009-08-31

Family

ID=40694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914A KR100914736B1 (ko) 2007-09-11 2007-12-28 디스플레이 글라스용 브러쉬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7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7153A (ko) 2015-09-25 2017-04-04 박승주 세정용 브러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2797B (zh) * 2018-11-14 2021-08-13 蚌埠高华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回旋式液晶盒冲洗机构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1230A (ja) * 2005-06-10 2006-12-21 Shibaura Mechatronics Corp ブラシ洗浄装置
KR100683959B1 (ko) * 2004-11-24 2007-02-15 비젼이노텍(주) 복합재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롤 브러시
KR100862705B1 (ko) * 2007-07-18 2008-10-10 세메스 주식회사 브러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기판 처리 장치, 그리고상기 브러쉬 어셈블리의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959B1 (ko) * 2004-11-24 2007-02-15 비젼이노텍(주) 복합재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롤 브러시
JP2006341230A (ja) * 2005-06-10 2006-12-21 Shibaura Mechatronics Corp ブラシ洗浄装置
KR100862705B1 (ko) * 2007-07-18 2008-10-10 세메스 주식회사 브러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기판 처리 장치, 그리고상기 브러쉬 어셈블리의 설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7153A (ko) 2015-09-25 2017-04-04 박승주 세정용 브러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130A (ko) 2009-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736B1 (ko) 디스플레이 글라스용 브러쉬 세정장치
KR100547407B1 (ko) 평판 디스플레이용 세정장치
CN214603647U (zh) 一种回转支承边缘打磨设备
US20230358281A1 (en) Transmission mechanism and anti-blocking motor
KR200456460Y1 (ko) 대면적 기판의 이송축
JP2018188311A (ja) 圧延装置の巻取デバイスの駆動ローラ、及びそれの生産のための方法
KR200496461Y1 (ko) 기판이송장치
KR101640000B1 (ko) 3방향 하중의 지지가 가능한 감속 유니트
KR200382382Y1 (ko) 평판 디스플레이 세정용 브러쉬로울러
JP2010241557A (ja) ローラコンベヤ装置
KR200370644Y1 (ko) 평판 디스플레이 세정용 브러쉬로울러
KR100921428B1 (ko) 박막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세정샤프트
KR100676601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세정용 브러쉬로울러
KR102492779B1 (ko) 기판 이송장치
CN218460380U (zh) 光伏清扫用清扫组件及光伏清扫机器人
CN217349519U (zh) 一种便于安装的带式输送机托辊组
US20060100023A1 (en) Spider and universal joint arrangement
CN220548808U (zh) 一种可拆卸式印刷辊
CN210826289U (zh) 一种便于拆卸的退火炉用传动辊装置
JP2009097565A (ja) 駆動装置
CN216880863U (zh) 一种用于清理油套管的传动长轴及清洁装置
CN210064479U (zh) 大尺寸玻璃清洗用的传输装置
JP2012067902A (ja) ピン構造体およびピン駆動機構
US20080218020A1 (en) Shaft assembly
CN110255149B (zh) 一种储坯器驱动部件及储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