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677B1 - 우수정화시스템용 투수블록 및 투수블록 프레임 - Google Patents

우수정화시스템용 투수블록 및 투수블록 프레임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677B1
KR100914677B1 KR1020090020801A KR20090020801A KR100914677B1 KR 100914677 B1 KR100914677 B1 KR 100914677B1 KR 1020090020801 A KR1020090020801 A KR 1020090020801A KR 20090020801 A KR20090020801 A KR 20090020801A KR 100914677 B1 KR100914677 B1 KR 100914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lock
water
permeable block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빅
Priority to KR1020090020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6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6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정화를 위한 시스템에 사용되는 투수블록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하나 이상의 투수공이 형성된 두 개의 플레이트와 각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투수블록에서 연결부가 형성된 공간의 측면이 개방된 우수정화시스템용 투수블록을 제공하여, 사출로 한 번에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여 투수블록의 제조공정을 줄이고, 투수블록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우수정화시스템용 투수블록 및 투수블록 프레임{WATER PERMEABLE BLOCK AND WATER PERMEABLE BLOCK FRAME FOR WATER PURIFING SYSTEM}
본 발명은 우수정화를 위한 시스템에 사용되는 투수블록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지면서 각종 건물, 차도, 보도 등에 의해 지표의 포장률이 증가하여 우천 시 대부분의 우수가 지하로 침수되지 못하고 하수도나 하천으로 배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우기에는 갑자기 많은 양의 우수가 하수도나 하천으로 배출되어 하수의 역류 또는 하천이 범람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고, 건기에는 하천으로 유입되는 우수의 양이 적어 수질이 악화되고 지하수가 고갈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게다가 근래에 들어 우리나라는 국제인구행동연구소에서 물 부족국가로 분류될 정도로 물의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고 있다. 그리하여 수자원의 개발이 매우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고, 이와 관련된 다수의 선행기술이 있는데, 그 중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한 선출원 출원번호 제10-2008-0083098호(수중펌프, 투수블록 및 이를 이용한 우수정화시스템)는 불순물을 여과하고 침전하여 정화된 우수를 저수하여 상층부에 있는 물을 저수된 물의 수위에 영향 없이 취수할 수 있는 우수정화시스템에 대해서 제시되어 있다.
도1은 우수정화시스템의 침투조(12)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 투수블록(10)은 우수정화시스템의 침투조(12)에 포함되는데, 침투조(12)는 여과조(11)에서 배출되는 오염수를 지중으로 침투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여과조(11)에서 배출되는 오염수의 양이 많을 때(일례로, 비가 많이 오는 경우)는 하수도 또는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오염수를 지중으로 침투시켜 처리한다. 상기와 같은 침투조(12)는 다수의 투수블록(10)으로 조립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우수정화시스템에 사용되는 투수블록에 대해서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투수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우수정화시스템용 투수블록은 상측에 위치하여 일면에 하나 이상의 투수공이 형성된 제1플레이트부; 하측에 위치하여 일면에 하나 이상의 투수공이 형성된 제2플레이트부; 외부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상기 제1플레이트부과 제2플레이트부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부 및 제2플레이트부가 상기 연결부로 연결된 공간의 측면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플레이트부, 제2플레이트부 및 연결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제1플레이트부, 제2플레이트부 및 연결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플레이트부에는 이동체의 이동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우수정화시스템용 투수블록 프레임은 일면에 하나 이상의 투수공이 형성된 플레이트부; 일측은 상기 플레이트부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돌기가 형성된 N개의 제1연결부; 일측은 상기 플레이트부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돌기를 삽입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된 N개의 제2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가 형성된 공간의 측면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부,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부,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를 사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에는 이동체의 이동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플레이트부, 제2 플레이트부 및 연결부를 포함하여 투수블록을 형성하고, 연결부가 연결된 공간의 측면을 개방함으로써, 별도의 투수블록 측면을 닫는 플레이트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투수블록 제조에 필요한 공정을 줄이고, 투수블록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및 제2플레이트부와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출로 한 번에 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여 투수블록의 제조공정을 줄이고, 투수블록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레이트부와 연결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투수블록 프레임을 사출로 한 번에 제조하여 제조된 투수블록 프레임들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투수블록을 제조하기 때문에 투수블록 프레임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이 하나만 있으면 되므로 투수블록제조의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투수블록이 설치되어 사용되는 우수정화시스템의 침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사용되는 투수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사용되는 투수블록에 통로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사용되는 투수블록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투수블록 프레임이 결합되어 투수블록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사용되는 투수블록 프레임에 통로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투수블록 프레임의 조립으로 형성된 침투조의 맨 하층에 통로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300: 투수블록
110: 제1플레이트부 120: 제2플레이트부
P: 돌기 S: 결합홈
H: 투수공
130: 연결부
132: 홀
140: 통로
142: 투수공
200: 투수블록 프레임
210: 플레이트부
220: 연결부
232: 돌기 234: 결합홈
230: 통로
232: 투수공
400: 이동로봇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제시되는 투수블록(100)은 제1플레이트부(110), 제2플레이트부(120) 및 연결부(130)로 구성되는데, 도2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플레이트부(110)는 투수블록(100)의 상측에 위치하고, 판의 형상을 가지면서 일면에 하나 이상의 투수공(H)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다수의 돌기(P)와 돌기(P)를 삽입할 수 있는 결합홈(S)이 형성된다.
제2플레이트부(120)는 투수블록(100)의 하측에 위치하고, 제1플레이트부(110)와 마찬가지로 판의 형상을 가지면서 내측에 하나 이상의 투수공(H)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다수의 돌기(P)와 돌기(P)를 삽입할 수 있는 결합홈(S)이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플레이트부(110, 120)에 형성되는 돌기(P)와 결합홈(S)은 상기와 같이 형성된 투수블록(100)이 다른 투수블록(100)들과 조립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투수블록(100)은 다수의 투수블록(100)들과 조립되어 우수정화시스템의 침투조(12)를 형성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제1 및 제2플레이트부(110, 120)에 돌기(P)와 결합홈(S)이 마련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공되는 제1 및 제2플레이트부(110, 120)는 사각형의 형상의 평면을 이루고 있어, 그 중 제1 및 제2측면에는 각각 다수의 돌기(P)가 형성되고, 제3 및 제4측면에는 각각 다수의 결합홈(S)을 형성된다. 그러므로 투수블록(100)들이 측면으로 서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1 및 제2플레이트부(110, 120)에 형성되는 투수공(H)은 물이 통과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므로 투수공(H)의 개수 와 모양은 어떠한 곳에 투수블록(100)이 설치되는지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되어, 제1플레이트부(110)와 제2플레이트부(120)를 연결하는데, 제1플레이트부(110)의 일면과 제2플레이트부(120)의 일면이 마주보도록 연결되어, 제1 및 제2플레이트부(110, 120)의 일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되는 외부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러므로 투수블록(100)이 외부의 하중이 무겁게 작용하는 곳에 설치될 때에는 연결부(130)의 수를 증가시키고, 외부의 하중이 가볍게 작용하는 곳에 설치 설치될 때에는 연결부(130)의 수를 제한하여 재료비를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투수블록(100)에는 투수블록(100)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플레이트부(110)와 하측에 위치하는 제2플레이트부(120) 외에 측면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투수블록(100)은 연결부(130)에 의해서 제1플레이트부(110)와 제2플레이트부(120)가 연결된 상태가 되는데, 연결부(130)의 측면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투수블록(100)과 투수블록(100)이 결합되더라도 측면은 모두 개방된 형태로 조립된다.
이렇게 투수블록(100)이 조립되어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태의 침투조(12)가 형성됨에 있어, 연직방향으로는 조립된 투수블록(100)들에 의해 층이 형성되는데, 각 투수블록(100)들의 층을 살펴보면, 각 층의 상부와 하부는 제1 및 제2플레이트부(110, 120)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조립된다. 이때, 본 발명의 투수블록(100)의 측면은 개방된 형상이므로 투수블록(100)의 조립에 의한 층도 측면이 개방된 형태가 된다.
물론, 외부에서 작용되는 하중은 연결부(130)에서 지탱하기 때문에 투수블록(100)과 투수블록(100)의 사이가 개방되더라도 본 발명의 투수블록(100)을 이용하여 침투조(12)를 조립한 이후에도 외부의 하중으로 인해 침투조(12)는 견고하게 외부의 하중을 견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투수블록(100)을 조립하여 침투조(12)를 형성하는 경우에 필요에 따라서 측면에 제1 및 제2플레이트부(110, 120)와 같은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개방된 측면을 덮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다수의 투수블록(100)을 조립하여 침투조(12)를 형성하고, 측면의 개방된 면도 다른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개방된 면을 덮은 후에 필요에 따라 부직포 등의 천을 이용하여 침투조(12)를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및 제2플레이트부(110, 120) 및 연결부(130)는 별도의 조립이 필요치 않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투수블록(100)을 형성하는데, 이를 위해서 투수블록(100)은 한 벌의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에서와 같이, 연결부(130)의 측면이 모두 개방된 상태가 되어도, 제1 및 제2플레이트부(110, 120)와 연결부(130)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투수블록(100)이 외부의 하중에 의해서 뒤틀리거나 붕괴될 위험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투수블록(100)의 측면에 조립되던 플레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제1 및 제2플레이트부(110, 120)와 연결부(130)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기 때문에 투수블록(100)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이 간단해지고, 간단한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비용도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부(130)가 제1 및 제2플레이트부(110, 120)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부(110)의 상부까지 연결부(130)의 일부가 드러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투수블록(100)을 일체로 사출 성형함에 있어 필요한 경우에는 연결부(130)의 내부에 홀(132)을 형성하여 연결부(130)가 관의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해당하는 투수블록(100)이 조립되어 정육면체나 직육면체의 침투조(12)가 형성되는데, 투수블록(100)들에 의해 연직방향으로 다수의 층이 형성된 침투조(12)의 맨 하층에는 이동로봇이 다닐 수 있는 통로(1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2실시예에서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므로 이동로봇이 지날 수 있는 통로(140)를 침투조(12)에 형성하기 위해 침투조(12)의 맨 하층에 사용되는 투수블록(10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와 함께 투수블록(100)을 일체로 형성하여 사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고, 아니면 투수블록(100)을 조립하여 침투조(12)를 형성한 다음에 별도의 통로(140)를 침투조(12)의 맨 하층에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통로(140)에도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투수공(14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2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되는 투수블록 프레임(200)은 플레이트부 및 연결부(220a, 22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도4 및 도5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플레이트부(210)는 판의 형상을 가지면서 내측에 하나 이상의 투수공(H)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는 다수의 돌기(P)와 돌기(P)를 삽입할 수 있는 결합홈(S)이 형성되어,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제1 및 제2플레이트부(110, 12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플레이트부(210)에 형성되는 투수공(H), 돌기(P) 및 결합홈(S)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부(220a, 220b)는 적어도 둘 이상이 마련되는데, 연결부(220a, 220b)의 일측은 플레이트부(210)에 연결된다. 그리고 플레이트부(210)에 연결되지 않은 타측에는 돌기(222)가 형성되거나 돌기(222)를 삽입할 수 있는 결합홈(224)이 형성된다. 즉,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에 돌기(222)가 형성되어 있는 N개의 제1연결부(220a)와 타측에 결합홈(224)이 형성되어 있는 N개의 제2연결부(220b)의 일측이 각각 플레이트부(210)에 연결된다.
이때, 제1연결부(220a)와 제2연결부(220b)의 개수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제작된 투수블록 프레임(200)이 두 개를 제작하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투수블록(300)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투수블록(300)은 투수블록 프레임(200) 두 개를 결합하여 만들기 때문에, 돌기(222)가 형성된 제1연결부(220a)와 결합홈(224)가 형성된 제2연결부(220b)를 동일한 개수로 형성하여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연결부(220a, 220b)가 위로 올라오도록 놓인 투수블록 프레임(200)과 플레이트부(210')가 위로 올라오도록 놓인 투수블록 프레임(200')을 결합할 때, 하부에 놓인 투수블록 프레임(200)의 돌기(222)가 형성된 제1연결부(220a)가 상부에 놓인 투수블록 프레임(200')의 결합홈(224')이 형성된 제2연결부(220b')와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투수블록(300)을 형성한다.
그리고 투수블록 프레임(200)은 플레이트부(210)와 제1 및 제2연결부(220a, 220b)를 일체로 형성하기 때문에 투수블록 프레임(200)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을 하나만 제작함으로써, 투수블록(300)을 제조할 수 있어서 투수블록 프레임(200)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투수블록 프레임(200)을 사출 성형으로 한 번에 제작함으로써,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연결부(220a, 220b)가 플레이트부(210)의 상부에 일부가 드러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해당하는 투수블록 프레임(200) 두 개를 이용하여 투수블록(300)을 형성하고, 투수블록(300)이 조립되어 정육면체나 직육면체의 침투조(12)가 형성되는데, 투수블록 프레임들(200)에 의해 연직방향으로 다수의 층이 형성된 침투조(12)의 맨 하층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로봇(400)이 다닐 수 있는 통로(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7에서의 통로(230)에 대한 형상은 하나의 예에 해당하고, 제1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의 형태를 가지도록 통로(140)가 형성되지만, 통로(230)의 형상이 잘 드러나도록 하기 위해 제2실시예에 해당하는 투수블록 프레임(200)을 이용하여 통로(230)의 형상을 도시하였다.
이동로봇(400)은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침투조(12)의 맨 하층을 이동하면서 침투조(12) 내부에 이물질이 침투하였는지를 촬영 등을 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관리자에게 촬영된 영상을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동로봇(400)은 본 발명의 투수블록 프레임(200)의 플레이트부(210) 일면 위에서 무선 조종 등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동로봇(400)의 크기를 작게 하면 플레이트부(210)에 형성된 투수공(H)으로 인해 이동로봇(400)의 이동에 제약이 가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동로봇(400)이 다닐 수 있는 통로(23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이동로봇(400)의 통로(230)를 침투조(12)에 형성하기 위해 침투조(12)의 맨 하층에 사용되는 투수블록 프레임(200)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와 함께 투수블록 프레임(200)을 일체로 형성하여 사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고, 아니면 투수블록 프레임(200)을 조립하여 침투조(12)를 형성한 다음에 별도의 통로(230)를 침투조(12)의 맨 하층에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통로(230)에도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투수공(23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일면에 하나 이상의 투수공이 형성된 플레이트부;
    일측은 상기 플레이트부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돌기가 형성된 N개의 제1연결부;
    일측은 상기 플레이트부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돌기를 삽입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된 N개의 제2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가 형성된 공간의 측면이 개방되며,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의 일측은 상기 플레이트부의 한 점을 기준으로 점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측면에는 다수의 플레이트 돌기 및 플레이트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정화시스템용 투수블록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정화시스템용 투수블록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에는 이동체의 이동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정화시스템용 투수블록 프레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해당하는 우수정화시스템용 투수블록 프레임 한 쌍이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정화시스템용 투수블록.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90020801A 2009-03-11 2009-03-11 우수정화시스템용 투수블록 및 투수블록 프레임 KR100914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801A KR100914677B1 (ko) 2009-03-11 2009-03-11 우수정화시스템용 투수블록 및 투수블록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801A KR100914677B1 (ko) 2009-03-11 2009-03-11 우수정화시스템용 투수블록 및 투수블록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677B1 true KR100914677B1 (ko) 2009-08-31

Family

ID=41210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801A KR100914677B1 (ko) 2009-03-11 2009-03-11 우수정화시스템용 투수블록 및 투수블록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6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17834A (zh) * 2013-08-26 2015-03-18 苏州础润生态科技有限公司 蓄水池组件装置
CN112942493A (zh) * 2021-04-12 2021-06-11 沈阳促晋科技有限公司 雨水花园循环系统
EP4261356A1 (en) * 2022-04-14 2023-10-18 Pipelife Nederland B.V. Rainwater box with side connecto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1019A (ja) * 2006-11-08 2007-03-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雨水の貯水施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1019A (ja) * 2006-11-08 2007-03-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雨水の貯水施設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17834A (zh) * 2013-08-26 2015-03-18 苏州础润生态科技有限公司 蓄水池组件装置
CN112942493A (zh) * 2021-04-12 2021-06-11 沈阳促晋科技有限公司 雨水花园循环系统
EP4261356A1 (en) * 2022-04-14 2023-10-18 Pipelife Nederland B.V. Rainwater box with side connectors
NL2031592B1 (en) * 2022-04-14 2023-11-06 Pipelife Nederland Bv Side connectors for rainwater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284B1 (ko)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
WO2018076940A1 (zh) 蓄渗系统、蜂窝式路基及其筛桶
KR100914677B1 (ko) 우수정화시스템용 투수블록 및 투수블록 프레임
KR20180071063A (ko) 집수식 투수블록
CN105735461A (zh) 一种井及集水井
CN109457566A (zh) 一种装配式缝隙透水路面
KR101510615B1 (ko)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CN109403181A (zh) 一种透水路面
KR20090104424A (ko) 조립식 우수 저장시설
KR100864236B1 (ko) 공간 투수블럭
KR100736157B1 (ko)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200262800Y1 (ko) 투수성 보도블록
CN211498347U (zh) 一种排水结构
KR200403791Y1 (ko)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KR101510517B1 (ko) 보도블록용 배수부재
CN202214806U (zh) 阶段式隐形密闭自动公路排水器
CN211645818U (zh) 一种基于海绵城市的市政道路路面结构
KR100758603B1 (ko)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도로노면 측구의 티형 확장우수받이
CN210002192U (zh) 一种快速渗水的网球场地面结构
KR100888947B1 (ko) 공간 투수블럭
JP3182036U (ja) 浸透側溝
KR100784174B1 (ko) 초연약지반의 표층처리가 되게 한 투수와 배수를 겸한 부재의 집배수 장치와 이에 의한 초연약지반 표층 처리 공법
KR101663914B1 (ko) 조립식 우수 침투형 측구
KR100799697B1 (ko) 지하바닥용 배수판
KR200406811Y1 (ko) 하천연안의 토사유출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