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811Y1 - 하천연안의 토사유출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하천연안의 토사유출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811Y1
KR200406811Y1 KR2020050031079U KR20050031079U KR200406811Y1 KR 200406811 Y1 KR200406811 Y1 KR 200406811Y1 KR 2020050031079 U KR2020050031079 U KR 2020050031079U KR 20050031079 U KR20050031079 U KR 20050031079U KR 200406811 Y1 KR200406811 Y1 KR 200406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iver
block
sidewalk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영
Original Assignee
(주)화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화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50031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8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8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 법면과 보도의 경계면에 보호구를 설치하여 법면의 붕괴 방지 및 각종 오물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천연안의 토사유출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하천(80)의 측면을 이루는 법면(60)과 보도(70)의 경계부 상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하부 중앙에는 배수공(12)이 형성되며, 상측에는 삽입공(11)이 관통되게 형성된 고정블록(10)과, 상기 배수공(12)의 양 측면 및 상면 중앙에 형성된 내부 끼움공(13)과, 상기 내부 끼움공(13)에 끼워지고 중앙에는 제1거름망(41)이 설치된 제1사각틀(40)과, 상기 고정블록(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외부 끼움공(14)과, 상기 고정블록(10)의 상면에 설치되도록 저면 양측에는 삽입공(11)에 끼워지는 끼움관(21)이 형성된 회동블록(20)과, 상기 회동블록(2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공(22)과, 상기 외부 끼움공(14) 및 결합공(22)에 끼워지고 중앙에는 제2거름망(51)이 설치된 제2사각틀(50)과, 상기 회동블록(20) 및 고정블록(10)이 보도(70)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삽입공(11)에 관통되게 결합되는 고정볼트(3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하천, 법면, 보도, 거름망

Description

하천연안의 토사유출 방지구조{IMPROVE EMBANKMENT OF RIVER}
도 1은 일반적인 하천을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토사유출 방지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토사유출 방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토사유출 방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토사유출 방지구조가 하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토사유출 방지구조가 하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고정블록 11 : 삽입공
12 : 배수공 13 : 내부 끼움공
14 : 외부 끼움공 20 : 회동블록
21 : 끼움관 22 : 결합공
30 : 고정볼트 40 : 제1사각틀
41 : 제1거름망 50 : 제2사각틀
51 : 제2거름망 60 : 법면
70 : 보도 71 : 요입홈
80 : 하천
본 고안은 하천연안의 토사유출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 법면과 보도의 경계면에 보호구를 설치하여 법면의 붕괴 방지 및 각종 오물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천연안의 토사유출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는 양측면에 법면을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법면은 하천의 범람을 예방하여 하천에 인접한 주민들의 안전을 확보함은 물론, 주민들의 안락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게 된다.
상기 하천의 법면은,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옹벽을 설치하고 그 콘크리트 옹벽에 연접되게 보도를 설치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하천 법면은 대홍수시 유실에 대한 대책이 없어 우기시 하천 법면 특히, 보도와 경계면이 손쉽게 붕괴되어 대형의 인명사고 및 재산 손실을 가져오는게 매년 우리의 실정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보도에 투척된 각종 오물은 빗물과 함께 하천으로 유입되어 하천이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적인 하천은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하천(100)을 흐르는 물에 의해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하천의 법면(101)으로 물이 유입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종래에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천(100)의 측면을 이루는 법면(101)의 상단부와, 그 법면에 연접되는 보도(102)의 경계부에는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강구되지 않았으므로, 법면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였으며, 상기 경계부가 작은 외력에 의해서도 손쉽게 파손되었고, 장기간 사용시 파손이 증가하여 법면(101) 및 보도(102)를 붕괴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경계부에는 보도(102)에 투척된 오물을 차단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강구되지 않았으므로, 상기 오물이 빗물과 함께 하천(100)으로 유입되어 하천(100)을 오염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천의 법면과 보도의 경계부에 보호구를 설치하여 경계부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보도의 오물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천연안의 토사유출 방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하천연안의 토사유출 방지구조는 하천의 측면을 이루는 법면과 보 도의 경계부 상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하부 중앙에는 배수공이 형성되며, 상측에는 삽입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고정블록과, 상기 배수공의 양 측면 및 상면 중앙에 형성된 내부 끼움공과, 상기 내부 끼움공에 끼워지고 중앙에는 제1거름망이 설치된 제1사각틀과, 상기 고정블록의 양 측면에 형성된 외부 끼움공과, 상기 고정블록의 상면에 설치되도록 저면 양측에는 삽입공에 끼워지는 끼움관이 형성된 회동블록과, 상기 회동블록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외부 끼움공 및 결합공에 끼워지고 중앙에는 제2거름망이 설치된 제2사각틀과, 상기 회동블록 및 고정블록이 보도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삽입공에 관통되게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토사유출 방지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토사유출 방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토사유출 방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토사유출 방지구조가 하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토사유출 방지구조가 하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천(80)의 측면을 이루는 법면(60)과 보도(70)의 경계부 상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도록 복수개의 고정블록(10)이 마련되어 있되, 그 고정블록(10)의 하부 중앙에는 배수공(12)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양측에는 삽입공(1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배수공(12)의 양 측면 및 상면 중앙에는 내부 끼움공(13)이 형성 되어 있고, 그 내부 끼움공(13)에는 제1사각틀(40)이 삽입되어 있으며, 그 제1사각틀(40)의 중앙에는 제1거름망(4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블록(10)의 양 측면에 외부 끼움공(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블록(10)의 상면에 설치되는 회동블록(20)이 마련되어 있되, 그 회동블록(20)의 저면 양측에는 삽입공(11)에 끼워지는 끼움관(21)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블록(20)의 저면에는 결합공(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끼움공(14) 및 결합공(22)에는 제2사각틀(50)이 삽입되어 있으며, 그 제2사각틀(50)의 중앙에는 제2거름망(5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블록(20) 및 고정블록(10)이 보도(70)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삽입공(11)에 관통되게 결합되는 고정볼트(30)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법면(60)과 보도(70)의 경계부에는 제1사각틀(40) 및 제2사각틀(50)의 하부가 끼워지는 요입홈(71)을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천(80)의 법면(60)과 보도(70)가 연결되는 경계부에 고정블록(10)을 설치하되, 그 고정블록(10)은 소정간격 유지되게 설치하는 것이며, 상기 고정블록(10)을 설치할 때에는 내부 끼움공(13)에 제1사각틀(40)을 끼운 후 경계부에 안착시키는 것이고, 이때 제1사각틀(40)의 하부는 경계부에 형성된 요입홈(71)에 삽입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블록(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외부 끼움공(14)에는 제2사각 틀(50)을 결합하는 것으로서, 고정블록(10)의 설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되며, 상기 제2사각틀(50)의 하부는 경계부에 형성된 요입홈(71)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블록(10)의 설치가 완료된 후 고정블록(10)의 상면에 회동블록(20)을 설치하는 것이며, 이때에는 회동블록(20)의 저면에 형성된 끼움관(21)을 삽입공(11)에 삽입하면 고정블록(10)과 회동블록(20)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고, 상기 회동블록(20)을 결합하면 그 저면에 형성된 결합공(22)에는 제2사각틀(50)의 상측이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블록(10)은 경계부에 접촉되고 회동블록(20)은 고정블록의 상면에 안착되므로 경계부의 만곡을 따라서 고정블록(10) 및 회동블록(20)을 설치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블록(10)과 회동블록(20)의 결합이 완료된 후 그 고정블록(10)과 회동블록(20)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공(11)에 고정볼트(30)를 삽입하는 것이며, 상기 고정볼트(30)의 단부는 보도(70)의 내부로 매립설치하는 것이다.
즉, 고정블록(10)과 회동블록(20)에 의해서 보도(70)의 단부에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블록(10)과 회동블록(20)에 의해서 형성된 단턱은 보도(70)에 투척된 각종 오물이 빗물과 함께 이동될 때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빗물은 제1거름망(41) 및 제2거름망(51)을 통하여 배수되는 것이다.
또한, 법면(60)과 보도(70)의 경계부에 설치된 고정블록(10) 및 회동블록(20)에 의해서 상기 경계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법면(6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부연 하자면, 상기 고정블록(10)과 회동블록(20)은, 여름철에 비가 많이 오는 지역에서는 콘크리트 재질로 제작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고, 여름철에 비가 적게 내리는 지역에서는 플라스틱,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하천의 법면과 보도가 연접되는 경계부에 설치된 고정블록 및 회동블록에 의해서 상기 경계부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법면의 붕괴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도에 투척된 후 빗물과 함께 이동하는 오물은 차단하고 빗물은 제1거름망 및 제2거름망을 통하여 배수되므로 하천의 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빗물을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게 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하천(80)의 측면을 이루는 법면(60)과 보도(70)의 경계부 상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하부 중앙에는 배수공(12)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공(12)의 양 측면 및 상면 중앙에 형성된 내부 끼움공(13)과, 상기 고정블록(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외부 끼움공(14)과, 상측에는 삽입공(11)이 관통되게 형성된 고정블록(10)과;
    상기 고정블록(10)의 상면에 설치되도록 저면 양측에는 삽입공(11)에 끼워지는 끼움관(21)이 형성되고, 저면에 결합공(22)이 형성된 회동블록(20)과;
    상기 내부 끼움공(13)에 끼워지고 중앙에는 제1거름망(41)이 설치된 제1사각틀(40)과;
    상기 외부 끼움공(14) 및 결합공(22)에 끼워지고 중앙에는 제2거름망(51)이 설치된 제2사각틀(50)과;
    상기 회동블록(20) 및 고정블록(10)이 보도(70)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삽입공(11)에 관통되게 결합되는 고정볼트(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연안의 토사유출 방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법면(60)과 보도(70)의 경계부에는 제1사각틀(40) 및 제2사각틀(50)의 하부가 끼워지는 요입홈(71)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연안의 토사유출 방지구조.
KR2020050031079U 2005-11-02 2005-11-02 하천연안의 토사유출 방지구조 KR200406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079U KR200406811Y1 (ko) 2005-11-02 2005-11-02 하천연안의 토사유출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079U KR200406811Y1 (ko) 2005-11-02 2005-11-02 하천연안의 토사유출 방지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970A Division KR100707718B1 (ko) 2005-10-24 2005-10-24 하천연안의 토사유출 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811Y1 true KR200406811Y1 (ko) 2006-01-24

Family

ID=49295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079U KR200406811Y1 (ko) 2005-11-02 2005-11-02 하천연안의 토사유출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8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722B1 (ko) 2005-10-31 2007-04-16 (주)화신엔지니어링 하천연안의 이물질 차단 및 배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722B1 (ko) 2005-10-31 2007-04-16 (주)화신엔지니어링 하천연안의 이물질 차단 및 배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420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US20090279954A1 (en) Debris and sediment reduction apparatus for water drainage systems
KR100983466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100707718B1 (ko) 하천연안의 토사유출 방지구조
KR101977695B1 (ko) 침투측구구조
KR101656036B1 (ko) 빗물 침투 및 집수 유도 관로 삽입형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빗물 활용 시스템
KR100676164B1 (ko) 하천제방의 배수시설
KR200406811Y1 (ko) 하천연안의 토사유출 방지구조
KR101111185B1 (ko) 경계겸용 초기 강우 정화 블록
KR100487067B1 (ko) 누수파이프를 갖는 유역토양 저수능 증가장치
KR101038336B1 (ko) 도로 l형 측구에 저류조 방식을 이용한 빗물분산과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비점 오염 저감 여과 장치
KR20080073633A (ko) 공간 투수블럭
KR101906075B1 (ko) 투수성 도로 경계용 측구
KR200224137Y1 (ko)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
KR100983160B1 (ko) 기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
KR20070038377A (ko) 투수용 배수블럭
KR100799733B1 (ko) 우수 저류 장치
JP3927222B2 (ja) 堤脚水路構築物を構成する排水溝ブロック、堤防強化ドレーン構造および堤防強化ドレーン工法
JP2006328640A (ja) 暗渠排水構造及び雨水の浸透処理方法
KR200327756Y1 (ko) 도로 배수구조
KR100675583B1 (ko) 하수 역류 방지장치
JP6391008B2 (ja) 雨水貯溜管路構造とそれに用いる雨水桝
KR20090007408U (ko) 스틸그레이팅 용 배수캡
KR102638787B1 (ko) 비점 오염 빗물 분리 정화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200314875Y1 (ko) 배수처리 구조물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