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485B1 -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 - Google Patents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485B1
KR100914485B1 KR1020070123494A KR20070123494A KR100914485B1 KR 100914485 B1 KR100914485 B1 KR 100914485B1 KR 1020070123494 A KR1020070123494 A KR 1020070123494A KR 20070123494 A KR20070123494 A KR 20070123494A KR 100914485 B1 KR100914485 B1 KR 100914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rail
installation work
lower plate
rail installation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6367A (ko
Inventor
장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070123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485B1/ko
Publication of KR20090056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5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both rails and slee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 대차에 관한 것으로, 상부레일 설치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 프레임 측면에 형성되는 개폐 가능한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및 측면 커버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프레임의 하부 플레이트에 일단이 결합되는 행거 샤프트, 및 행거 샤프트의 타단에 결합되어 몰드 바에 고정되는 레이스웨이를 포함하는 상부 지지부와, 프레임의 하부 플레이트에 일단이 결합되는 레그, 및 레그의 타단에 결합되어 지면에서 이동가능하게 하는 캐스터를 포함하는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고, 레그는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하부 플레이트 하부의 빈 공간으로 물류장비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본체부에 의해 상부레일 설치작업 공간이 실질적으로 밀폐되는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 대차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정 중 장비 다운으로 인한 생산 손실을 최소화하고, 양산장비 생산품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LCD, 오버헤드셔틀(OHS;Over Head Shuttle) 상부레일, 작업 대차, FFU(Fan Filter Unit)

Description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Work Truck for Establishing Upper Guide Rail}
본 발명은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 디스플레이 양산공정 중 공정진행의 방해 없이 물류 반송을 위한 오버헤드셔틀의 이동을 위한 상부레일 설치 작업이 가능하고, 상부레일 설치 작업중 발생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상부레일 설치 작업을 예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양산공정에 필요한 물류를 반송하기 위한 상부레일(110)을 행거 샤프트(130)를 이용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는데, 상부레일(110) 설치 작업조건으로 인해서 하부 공간의 양산 장비(120)를 다운시켜야만 한다. 하지만, 상부레일(110) 설치를 위한 양산 장비(120)의 다운은 액정 디스플레이의 생산 수율 손실을 과도하게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촉박한 설치작업 시간 내에 상부레일(110)을 설치해야 하므로, 안전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 디스플레이 앙산공정 중 공정진행의 방해 없이 오버헤드셔틀의 이동을 위한 상부레일 설치작업이 가능한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레일 설치 작업중 발생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부레일 설치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측면에 형성되는 개폐 가능한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및 측면 커버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 플레이트에 일단이 결합되는 행거 샤프트, 및 상기 행거 샤프트의 타단에 결합되어 몰드 바에 고정되는 레이스웨이를 포함하는 상부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 플레이트에 일단이 결합되는 레그, 및 상기 레그의 타단에 결합되어 지면에서 이동가능하게 하는 캐스터를 포함하는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 하부의 빈 공간으로 물류장비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에 의해 상부레일 설치작업 공간이 실질적으로 밀폐되는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면에는 상기 상부레일 설치작업 공간 내의 공기를 정화 하며,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순화용 집진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 및 후면 커버에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레일 설치작업 공간 내부로 상부레일 설치 또는 연장을 위한 상부레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폐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구는 상기 상부레일 설치작업시 상부레일 설치작업 공간 내부를 실질적으로 밀폐할 수도 있다. 상기 행거 샤프트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앵글 이음부에 의해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레그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종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레그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레그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지지부를 지면에 고정하는 레벨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부에는 반사판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순화용 집진장치가 형성된 측면 커버와 대향하는 본체부의 타 측면은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타 측면을 덮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앵글 이음부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는 행거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부의 양 단부에는 다른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를 순차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블 형식의 작업 방법을 개선하고, 셋업 지그 개발로 인한 양산 중 상부레일 설치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양산공정 중 장비 다운으로 인한 생산 손실을 최소화하고, 상부레일 설치작업 중 이물질을 제거하여 양산장비 생산품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 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를 예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200)는 본체부(210), 상부 지지부(220), 및 하부 지지부(230)로 이루어진다.
첫째, 본체부(210)는 상부레일 설치작업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211), 프레임 측면에 형성되는 개폐가능한 전면 커버(212)와 후면 커버(213), 및 측면 커버(214)를 포함한다.
프레임(211)은 실질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이루며, 몰드 바(mold bar)에 상부레일을 설치하기 위한 충분한 작업 공간을 한정하게 된다.
전면 커버(212)와 후면 커버(213)는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10)의 전면 및 후면의 상단은 고정적으로 밀폐되고 하단은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하단은 테이핑 마감으로 개폐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레일을 본체부(210) 내부의 상부레일 설치작업 공간 안으로 받아들여, 새로이 상부레일을 설치하거나 이전 설치작업에서 배치된 상부레일 을 순차적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테이핑 마감을 실시하였으나, 전면 커버(212)와 후면 커버(213)의 개폐구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부(210)의 측면에는, 측면 커버(214)를 제외한 영역에, 공기순화용 집진장치(FFU;Fan Filter Unit)(215)가 설치되어, 밀폐된 상부레일 설치작업 공간 내의 공기를 정화하며, 상부레일 설치작업 중 발생하는 이물질, 예컨대 파티클(particle)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공기순화용 집진장치(215)의 외측면에는 공기 방출을 위한 후드(미도시)가 설치되는데, 후드는 수평 방향이 아닌 지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공기를 방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11)의 공기 순화용 집진장치(215)가 형성된 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에는 커버가 형성되지 않고 개방되어 있다. 하지만, 상부레일 설치작업시 양산장비의 아이리드(eyelid)와 접하게 되어 본체부(210)의 작업공간이 실질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추가로, 개방되어 있는 측면에 보다 실질적인 밀폐를 위해 탈부착이 가능한 덮개부 또는 테이핑 마감(미도시)을 이용할 수도 있다.
프레임(211)의 하부 플레이트(216) 상에는 반사판(217)을 형성하여 상부레일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하부 플레이트(216) 상에 형성된 반사판(217)을 이용하면, 상부레일 하면의 설치작업시 원활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가능한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를 통해서 설치 또는 연장하기 위한 상부레일을 작업공간 안으로 받아들일 수 있으며, 이후, 상부레일의 설치 또는 연장 작업시 전면 커버, 후면 커버 및 측면 커버에 의해 작업공간을 실질적으로 밀폐하여 이물질의 유출을 용이하게 막을 수 있다.
둘째, 상부 지지부(220)는 프레임(211)의 하부 플레이트(216)에 일단이 결합되는 행거 샤프트(221), 및 행거 샤프트(221)의 타단에 결합되고 몰드 바(미도시)에 고정되는 레이스웨이(raceway)(222)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 샤프트(221)는 본체부(210), 예컨대 하부 플레이트(216)에 앵글 이음부(223)에 의해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작업대차(200)를 지지하여 설치 작업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216)에 결합된 앵글 이음부(223)에 대각선 행거 샤프트(미도시)를 더 추가하여 흔들림 방지를 보강할 수 있다. 여기서, 대각선 행거 샤프트는 프레임의 측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된다.
셋째, 하부 지지부(230)는 프레임(211)의 하부 플레이트(216)에 일단이 결합되는 레그(231), 레그(231)의 타단에 결합되어 지면에서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200)를 이동가능하게 하는 캐스터(caster)(232), 및 레벨러(leveler)(233)를 포함한다.
여기서, 레그(231)는 하부 플레이트(216) 하부의 빈 공간으로 물류 장비, 예컨대 자동가이드차량(AVG;Automaticcally Guided Vehicle)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정 높이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레일 설치작업 중에도 물류 장비가 양산 공정에 필요한 물류를 아무런 방해 없이 레그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 사이로 이송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양산장비의 아이리드와 접하는 레그(231a), 즉 개방되어 있는 측면의 하부 플레이트(216)에 결합된 레그(231a)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작업대차(200)가 위치한 양산 장비에 아무런 방해 없이 물류를 로더 포트(loader port)(미도시)에 공급하거나 임의의 조립공간에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임의의 조립 공간에서는 모든 레그(231a,231b)가 하부 플레이트(216)에 부착된 상태로 작업대차(200)를 조립한 후에 캐스터를 이용하여 상부레일 설치작업 공간으로 이동한다. 이후, 양산장비의 아이리드와 접하는 레그(231a)를 제거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216)에 결합된 일부 레그(231a)가 제거되더라도, 레그(231a)가 제거된 하부 플레이트(216)에 결합된 행거 샤프트(221)만에 의해서도 작업대차(200)의 고정 및 지지가 가능하다. 한편, 공기순화용 집진장치(215)가 설치된 측면의 하부 플레이트(216)에 결합된 레그(231b)는 하부 플레이트(216)에 종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거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상부레일 설치작업 중에도 물류장비가 작업대차(200)가 위치한 양산 장비에 아무런 방해 없이 물류를 로더 포트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레그(231b)를 이동시키거나 제거함으로써 그 사이 충분히 확보된 공간으로 물류를 로더 포트로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레벨러(233)는 레그(231)의 타단에 형성되어 설치작업 위치의 지면에 작업대차(200)를 고정시킨다.
또한, 본체부(210)의 양 단부에는 다른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를 순차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예컨대, 실질적으로 동일한 세 대의 작업대차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충분한 길이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여 상부레 일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200)는 실질적으로 밀폐된 공간에서의 상부레일 설치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상부레일 설치작업 중 별다른 방해 없이 양산 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3a는 도 2의 작업대차의 제1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1 측면도이다.
본체부의 측면에 공기순화용 집진장치(315)가 설치되어 작업공간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고, 설치작업시 발생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상부 지지부의 수직 행거 샤프트(321a) 및 대각선 행거 샤프트(324a)의 일단이 앵글 이음부(323a)에 의해 본체부에 고정설치되고, 이의 타단이 레이스웨이(미도시)에 고정설치되어 작업대차를 지지하고 작업대차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하부 지지지부의 레그(331b)의 일단이 앵글 이음부(334)에 의해 본체부 하부 플레이트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이의 타단에는 작업대차의 활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캐스터(332)가 설치되고, 레그(331b)를 지면에 접촉시켜 위치를 고정하는 레벨러(333)가 설치된다. 한편, 레그(331b)는 물류 장비의 로더 포트 이용이 가능하도록,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하부 플레이트에 결합된 두 개 또는 세 개의 레그(331b)에 의해서도 작업대차의 지지가 가능하다.
도 3b는 도 2의 작업대차의 제2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2 측면도이다.
공기순화용 집진장치가 설치된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을 도시한 것인데, 공기순화용 집진장치가 설치된 측면은 측면 커버와 공기순화용 집진장치에 의해 밀폐되 어있는 반면에, 도 3b에 도시된 측면은 개폐가 가능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즉, 측면을 실질적으로 밀폐하기 위해 테이핑 마감(미도시)을 이용할 수 있다.
수직 행거 샤프트(321b) 및 대각선 행거 샤프트(324b)의 일단이 본체부의 하부 플레이트(316)에 앵글 이음부(323b)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작업대차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임의의 조립 공간에서는 모든 레그가 하부 플레이트(316)에 부착된 상태로 작업대차를 조립한 후에 캐스터(332)를 이용하여 상부레일 설치작업 공간으로 이동한다. 이후, 물류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서 양산 장비의 아이리드와 접하는 레그(331a)가 모두 제거될 수 있다.
도 3c는 도 2의 작업대차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서의 설치작업에 의해서 상부레일(341)이 상부, 예컨대 몰드 바에 설치되어 있다. 상부레일(341)은 수직 행거 샤프트(343a,343b)에 의해 몰드 바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부레일(341) 설치 작업시, 레일 하부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하부 플레이트(316)에는 반사판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부레일(341)을 통해서 물류장비가 액정 디스플레이 양산 공정에 필요한 물류를 상부로도 반송할 수 있게 된다.
공기 순화용 집진장치(316)의 외측면에 후드(318)가 설치되는데, 수평 방향이 아닌 지면을 향하는 수직한 방향으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316) 하부 및 하부 지지부의 레그(331)에 의한 빈 공간 사이로 물류장비(335)의 이동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레일(341) 설치작업 중에도, 물류장비(335)가 아무런 방해 없이 로더 포트에 물류를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전면 또는 후면 커버(343a,343b)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개방된 영역(343b)은 상부레일(341)의 설치 또는 연장 작업시에 테이핑 마감에 의해 실질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도 4a는 도 2의 작업대차의 하부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하부 플레이트(416)는 작업 공간을 한정하게 되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반사판(417)이 형성되어 상부레일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도 4b는 도 2의 작업대차의 행거 샤프트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 이음부(323)에 수직 행거 샤프트 또는 대각선 행거 샤프트(324)가 고정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작업대차를 이용하여 상부레일을 설치하는 작업을 예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는 본체부 양단에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어서, 다른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는 임의의 조립 공간에서 작업대차를 조립한 후에 캐스터를 이용하여 상부레일 설치작업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행거 샤프트 및 레벨러를 이용하여 작업대차를 상부 및 지면에 각각 고정하여 작업시 작 업대차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여기서, 본체부의 밀폐된 공간으로 인해 작업시 발생하는 이물질의 유출을 막을 수 있으며, 본체부 하부의 빈 공간 사이로 물류장비가 아무런 방해 없이 물류를 반송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상부레일 설치 작업을 예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의 상부레일 설치 작업을 예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작업대차의 제1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1 측면도이다.
도 3b는 도 2의 작업대차의 제2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2 측면도이다.
도 3c는 도 2의 작업대차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a는 도 2의 작업대차의 하부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2의 작업대차의 행거 샤프트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작업대차를 이용하여 상부레일을 설치하는 작업을 예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Claims (11)

  1. 상부레일 설치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측면에 형성되는 개폐 가능한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및 측면 커버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 플레이트에 일단이 결합되는 행거 샤프트, 및 상기 행거 샤프트의 타단에 결합되어 몰드 바에 고정되는 레이스웨이를 포함하는 상부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 플레이트에 일단이 결합되는 레그, 및 상기 레그의 타단에 결합되어 지면에서 이동가능하게 하는 캐스터를 포함하는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 하부의 빈 공간으로 물류장비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에 의해 상부레일 설치작업 공간이 밀폐되는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에는 상기 상부레일 설치작업 공간 내의 공기를 정화하며,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순화용 집진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 및 후면 커버에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레일 설치작업 공간 내부로 상부레일 설치 또는 연장을 위한 상부레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폐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구는 상기 상부레일 설치작업시 상부레일 설치작업 공간 내부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샤프트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앵글 이음부에 의해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종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지지부를 지면에 고정하는 레벨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부에는 반사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화용 집진장치가 형성된 측면 커버와 대향하는 본체부의 타 측면은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타 측면을 덮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앵글 이음부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는 행거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양 단부에는 다른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를 순차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
KR1020070123494A 2007-11-30 2007-11-30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 KR100914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494A KR100914485B1 (ko) 2007-11-30 2007-11-30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494A KR100914485B1 (ko) 2007-11-30 2007-11-30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367A KR20090056367A (ko) 2009-06-03
KR100914485B1 true KR100914485B1 (ko) 2009-08-28

Family

ID=40987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494A KR100914485B1 (ko) 2007-11-30 2007-11-30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4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585A (ko) 2017-03-10 2018-09-19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궤도 이동 설치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9233B1 (de) 1989-04-26 1992-12-23 Horst H. Theisen Hubarbeitsbühne
JPH0722581Y2 (ja) * 1991-11-18 1995-05-24 富士建設工業株式会社 台車式火葬炉における台車運搬車の集塵装置
KR20030020203A (ko) * 2001-09-03 2003-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집진용 대차와 이것을 이용한 로봇 용접건의 팁 드레싱 방법
JP2007197176A (ja) 2006-01-27 2007-08-09 Netsukoo Kk 高所作業用台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9233B1 (de) 1989-04-26 1992-12-23 Horst H. Theisen Hubarbeitsbühne
JPH0722581Y2 (ja) * 1991-11-18 1995-05-24 富士建設工業株式会社 台車式火葬炉における台車運搬車の集塵装置
KR20030020203A (ko) * 2001-09-03 2003-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집진용 대차와 이것을 이용한 로봇 용접건의 팁 드레싱 방법
JP2007197176A (ja) 2006-01-27 2007-08-09 Netsukoo Kk 高所作業用台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585A (ko) 2017-03-10 2018-09-19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궤도 이동 설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367A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15815B (zh) 作业车辆的驾驶室
US20180099680A1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CN115138160B (zh) 干式漆雾分离过滤处理系统
KR100914485B1 (ko) 상부레일 설치용 작업대차
CN108792995A (zh) 一种防止汽车滑移的四柱举升机
TWI555460B (zh) Unit storage device
CN106861297A (zh) 悬挂式除尘设备
KR101416433B1 (ko) 이동 재치 장치
CN208233718U (zh) 一种用于物流运输的纸箱
CN206218780U (zh) 一种功率模块运输及装配工装
JP2003095088A (ja) 車両用半導体装置
KR101540456B1 (ko) 화물 운반 차량용 화물 적재함
JPH1194462A (ja) 木材乾燥装置における木材搬入口の扉密閉構造
CN1008427B (zh) 钢水包扒渣机
CN111237171A (zh) 一种易于检修的空压机机组开闭式组合外罩及空压机
TWM572893U (zh) 搬運系統
KR101931039B1 (ko) 진공 처리 장치
CN214349405U (zh) 摩托车连杆全自动锻造送料装置
CN219193437U (zh) 一种导料槽安全护板的拆卸安装结构
CN212155100U (zh) 一种易于检修的空压机机组开闭式组合外罩及空压机
KR101360925B1 (ko) 차량용 상부 교체형 배터리의 배터리장착부 개폐장치
CN217206537U (zh) 双层行走台车、通风机并联行走系统
KR100766810B1 (ko) 각형 몰드프레임 운반용 대차의 하부 먼지막이장치
KR100971887B1 (ko) 철도차량용 통합 가대차
CN212447632U (zh) 一种建筑施工用物料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