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782B1 - 로터리 댐퍼 - Google Patents

로터리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782B1
KR100913782B1 KR1020090005038A KR20090005038A KR100913782B1 KR 100913782 B1 KR100913782 B1 KR 100913782B1 KR 1020090005038 A KR1020090005038 A KR 1020090005038A KR 20090005038 A KR20090005038 A KR 20090005038A KR 100913782 B1 KR100913782 B1 KR 100913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piston
rotating
rotary damp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만
Original Assignee
이해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만 filed Critical 이해만
Priority to KR1020090005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7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2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pneumatic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luid brakes of the rotary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과 같은 점성 유체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이용하여 회전체의 부드러운 회전 작동을 구현한 로터리 댐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로터리 댐퍼는, 베이스에 대해 회전체를 일정 각도 범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로터리 댐퍼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중공의 케이싱과; 일단부가 상기 케이싱의 중공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른 일단부가 회전체에 결합되어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케이싱 내부에 상기 회전부재와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회전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케이싱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공부 내의 공기를 압축시키는 가압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일단부에 외부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오리피스홀과; 상기 가압부재의 이동에 의해 케이싱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에 도달했을 때, 상기 오리피스홀을 개방시키는 감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로터리 댐퍼, 회전 댐퍼, 피스톤, 감압수단

Description

로터리 댐퍼{rotary damper}
본 발명은 로터리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구간을 회전하는 회전체가 자중이나 외력에 의해 급격하게 회동되는 것을 억제하여 안정된 회전 작동을 보장하는 로터리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기 커버나 피아노 커버 등과 같이 본체에 대하여 일정한 반경내에서 회동될 수 있게 힌지 결합되는 회전체는 사용자에 의해 개폐되는 경우 일정한 각도 이상에서는 자중에 의해 닫히게 되는데, 이 때 회전체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는 개폐 속도가 가속되어 본체와 충돌하면서 충격소음과 파손을 유발시키게 되므로 사용자는 회전체를 잡고 완전 개폐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일정 반경내에서 회동되는 회전체의 급격한 회동을 방지하여 충격소음 및 파손을 방지하면서 안정된 동작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감속 기능을 갖는 다양한 댐퍼가 제안되어 적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감속기능을 갖는 댐퍼로는 탄성체를 이용한 스프링 댐퍼와 유체저항을 이용한 로터리 오일댐퍼가 있다.
상기 스프링 댐퍼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한 것으로서 회전체가 완전하게 닫혀지지 않고 약간 들어 올려지는 현상과 장기간 사용시에는 스프링의 탄성력 저하로 인한 동작의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과 더불어 스프링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스프링 댐퍼가 갖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로터리 방식의 오일댐퍼가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로터리 오일댐퍼는 유체 저항이 높은 점성 오일이 충진된 케이싱의 내부에 로테이터를 결합하여 구성하고, 이 케이싱과 로테이터에 회전 방향에 따라 상이한 저항력을 생성하는 제어밸브를 구성하는 구조로 마련된다.
그런데, 이러한 로터리 오일댐퍼는 스프링 댐퍼가 지닌 여러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하강시 속도가 점차적으로 빨라져 최종 목표 지점에 도달했을 때 큰 충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오일의 점성력을 크게 할 경우 회전체의 회동 속도가 지나치게 느려지며,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많은 더 많은 힘이 요구되어 작동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로터리 오일댐퍼는 케이싱 내부에 충전되는 점성 오일 또는 그리스(grease)의 점성력에 의해 회전체의 토오크가 결정되는데, 오일 또는 그리스의 점성은 온도의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항상 일정한 사용 온도를 유지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외에도 로터리 오일댐퍼는 오일 또는 그리스가 외부로 누출되어 주변 장치의 오염과 손상을 일으킬 가능성도 있으며, 폐기시에는 환경 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낙하 회전시 회전체가 점점 감속되면서 낙하하고 최종 목표 위치 인근에서 케이싱 내부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에 도달하게 되면 감압되면서 최종 목표 위치에 충격없이 부드럽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한 로터리 댐퍼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일 또는 그리스를 사용하지 않고 회전체의 부드러운 회전 동작을 얻을 수 있는 로터리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에 대해 회전체를 일정 각도 범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로터리 댐퍼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중공의 케이싱과; 일단부가 상기 케이싱의 중공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른 일단부가 회전체에 결합되어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케이싱 내부에 상기 회전부재와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회전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케이싱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공부 내의 공기를 압축시키는 가압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일단부에 외부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오리피스홀과; 상기 가압부재의 이동에 의해 케이싱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에 도달했을 때, 상기 오리피스홀을 개방시키는 감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댐퍼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터리 댐퍼의 케이싱 내부의 공기 압력의 변화에 의해 회전체의 회전 속도가 제어되면서 회전체가 부드럽고 원활하게 회동하게 되므로, 회전체가 낙하 회전하여 베이스에 접촉될 때 충격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오일 또는 그리스 등의 점성 유체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 압력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로터리 댐퍼가 구현된다. 따라서,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할 수 있으며, 점성 유체의 누출에 따른 제품의 오염이나 손상, 환경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점성 유체의 사용으로 인한 제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터리 댐퍼는 오일과 같은 점성 유체의 점성이 아닌 공기 압력에 따라 회전 토오크가 조정되므로 크기에 비하여 큰 토오크를 얻을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따라서, 소형화가 용이한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댐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댐퍼가 적용되는 물품(예컨대 노트북)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베이스(1)와, 로터리 댐퍼(100)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1)에 연결되어 연결되어 베이스(1)에 대해 일정 각도 범위로 회전하는 회전체(2)로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6는 로터리 댐퍼(1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로터리 댐퍼(100)는 베이스(1)(도 1참조)에 고정되는 케이싱(110)과, 상기 케이싱(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회전체(2)(도 1참조)에 결합되어 회전체(2)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재(120)와, 상기 케이싱(110) 내부에서 회전부재(12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케이싱(110) 내부의 공기를 압축시키는 가압부재(130)와, 상기 케이싱(110)의 일단부에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오리피스홀(150)과, 상기 가압부재(130)에 의해 케이싱(110) 내부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에 도달했을 때 상기 오리피스홀(150)을 개방시키는 감압수단(140)과,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상기 가압부재(1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인 압축스프링(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180은 상기 케이싱(11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회전부재(120)가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링이다.
상기 케이싱(110)은 일단부는 폐쇄되고, 반대편 일단부는 개방되게 형성된 중공의 원통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싱(110)의 중공부(111) 내주면에는 상기 가압부재(130)의 축방향 이동을 위한 복수개(이 실시예에서 2개)의 나선형 가이드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120)는 상기 케이싱(110)의 중공부(111)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121)와, 상기 회전부(121)의 일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회전체(2)(도 1참조)와 결합되는 결합부(122)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부재(120)의 회전부(121)에는 상기 가압부재(130)의 피스톤(131)의 외측 단부가 삽입되는 슬라이드홈(123)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홈(123)은 피스톤(131)의 일단부와 대응하는 트랙 형태, 즉 양 측부가 면취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회전부 재(12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피스톤(131)이 회전부재(12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122)의 중앙부에는 일단부에서부터 상기 슬라이드홈(123) 내측으로 관통되는 공기유입구(124)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구(124)는 가압부재(130)가 케이싱(110) 외측으로 이동시 외부 공기가 케이싱(1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공기유입구(124)는 회전부재(120)의 결합부(122)에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케이싱(110)의 외면에도 케이싱(110)의 중공부(111)와 연통하는 공기유입구(11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122)의 공기유입구(124)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130)는 일단부가 상기 회전부재(120)의 슬라이드홈(123)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피스톤(131)와, 상기 피스톤(131)의 내측단부 외주면에 결합된 링(ring) 형태의 실링부재(133)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131)의 외주면에는 상기 케이싱(110)의 나선형 가이드홈(112)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복수개의 나선형 가이드돌기(132)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나선형 가이드돌기(132)는 피스톤(131)의 전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개(이 실시예에서 2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선형 가이드돌기(132)들 사이사이의 면이 케이싱(110)의 중공부(111) 내주면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피스톤(131)과 케이싱(110) 간의 동심이 정확하게 일치하면서 피스톤(131)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131)의 중앙부에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축방향으로 관 통하는 공기유로(1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유로(134)의 일단부에는 피스톤(131)이 케이싱(110) 내부를 가압할 때 상기 공기유로(134)를 폐쇄하고, 피스톤(131)이 케이싱(110) 외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공기유로(134)를 개방시키는 첵크밸브(170)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첵크밸브(170)는 상기 공기유로(134)의 일단부를 개폐하는 볼(171)과, 상기 볼(171)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72)과, 상기 피스톤(131)에 고정되어 상기 스프링(172)을 지지하는 원통형의 마운트블록(173)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링부재(133)는 상기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 재질로 만들어져 케이싱(110)의 중공부(111) 내주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피스톤(131)이 케이싱(110) 내측으로 이동하여 가압시킬 때 케이싱(110) 내부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기밀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실링부재(133)는 일반적인 오링(O-ring)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피스톤(131)이 케이싱(110) 외측으로 이동할 때에 외부 공기가 실링부재(133)의 외면과 케이싱(110)의 중공부(111) 내주면 사이를 통해 유동할 수 있도록 대략 'V' 또는 'U'자형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실링부재(133)가 V 또는 U자형 단면을 가질 경우, 피스톤(131)이 케이싱(110)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실링부재(133)의 외측면이 케이싱(110)의 중공부(111) 내주면에 마찰 접촉하여 외측방향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변형되면서 케이싱(110) 내주면에 단단히 밀착되고, 이에 따라 케이싱(110) 내부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피스톤(131)이 케이싱(110)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 면, 실링부재(133)의 외측면이 내측으로 수축되는 형태로 변형되면서 실링부재(133)와 케이싱(110) 내주면 간의 밀착력이 약화되고, 이에 따라 외부 공기가 실링부재(133)와 케이싱(110) 내주면 사이를 통해 흘러들어올 수 있는 상태로 된다.
한편, 상기 오리피스홀(150)은 상기 케이싱(110)의 폐쇄된 일단부에 형성되며, 오리피스홀(150)의 일단부에는 상기 감압수단(140)이 설치되는 설치홈(113)이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감압수단(140)은 상기 설치홈(113) 내측에서 상기 오리피스홀(150)의 외측 단부를 개폐하는 볼(141)과, 상기 볼(141)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42)과, 상기 설치홈(113)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142)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일단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벤트홀(144)이 관통되게 형성된 중공의 원통형 마운트블록(143)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케이싱(110) 내부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에 도달하게 되면, 볼(141)이 스프링(142)의 탄성력을 이기고 외측으로 이동하여 오리피스홀(150)이 개방되고, 케이싱(110) 내부 공기가 오리피스홀(150) 및 설치홈(1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케이싱(110) 내부 압력이 조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로터리 댐퍼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도 5는 회전체(2)(도 1참조)가 완전 개방 상태에서 로터리 댐퍼(100)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회전체(2)를 폐쇄 작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회전체(2)를 하측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체(2)와 함께 회전부재(12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재(120)의 회동에 따라 피스톤(131)이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이 때 피스톤(131)의 외면에 형성된 나선형 가이드돌기(132)가 케이싱(110)의 나선형 가이드홈(112)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하게 되므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스톤(131)이 점차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131)이 회전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케이싱(110) 내부의 체적은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케이싱(110) 내부의 공기가 압축되면서 케이싱(110) 내부 압력이 서서히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체(2)의 속도는 서서히 감소된다.
회전체(2)가 일정 각도 이상(예를 들어 최정 목표 지점에서 5~10도 정도를 남긴 지점) 회전하여 케이싱(110)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에 도달하게 되면, 감압수단(140)의 볼(141)이 스프링(142)의 탄성력을 이기고 스프링(142)을 압축시키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오리피스홀(150)이 개방되고, 케이싱(110) 내부의 공기가 오리피스홀(150) 및 벤트홀(14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회전체(2)는 계속 회전 상태에 있으므로 피스톤(131)이 계속 케이싱(110) 내측으로 이동하여 공기를 압축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케이싱(110) 내부 압력이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거나, 미세하게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체(2)가 최종 목표 지점까지 하강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하강하여 베이스(1)의 면에 부드럽게 접촉하게 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체(2)를 개방 동작시키고자 할 경우, 회전체(2)를 상승 회전시키면, 이전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부재(120) 및 피스톤(131)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131)이 케이싱(11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케이싱(110) 내부 압력이 감소된다. 이에 따라 외부 공기가 회전부재(120)의 공기유입구(114) 및 피스톤(131)의 공기유로(134)를 통해 유입된 다음, 첵크밸브(170)의 볼(171)을 밀고 케이싱(110)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압축스프링(160)은 피스톤(131)에 케이싱(110)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면서 피스톤(131)을 밀어내는 힘을 조력하여 로터리 댐퍼(100)의 토오크를 증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체(2)가 하강 회전하여 일정 각도까지는 서서히 회전 속도가 줄어들다가 베이스(1)와 접촉하기 직전에 감압수단(140)에 의해 케이싱(110) 내부 압력이 일정 수준으로 조정되면서 회전체(2)의 속도가 일정 수준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회전체(2)가 베이스(1)에 부드럽게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오일 또는 그리스 등의 점성 유체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 압력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로터리 댐퍼(100)가 구현된다. 따라서,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할 수 있으며, 점성 유체의 누출에 따른 제품의 오염이나 손상, 환경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점성 유체의 사용으로 인한 제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터리 댐퍼(100)는 오일과 같은 점성 유체의 점성이 아닌 공기 압력에 따라 회전 토오크가 조정되므로 크기에 비하여 큰 토오크를 얻을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댐퍼(100)의 다른 실시예로, 이 실시예의 로터리 댐퍼(100)는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의 로터리 댐퍼(100)와 동일하다. 다만, 이 실시예의 로터리 댐퍼(100)는 케이싱(110)의 일단부에 감압수단(140)이 설치된 설치홈(113)과 연통되는 벤트홀(145)이 형성되어, 오리피스홀(150)을 통해 설치홈(113) 내측으로 인입된 공기가 벤트홀(14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 벤트홀(145)에는 벤트홀(145)의 유로 면적을 조절하는 조절나사(146)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로터리 댐퍼(100)는 사용자가 상기 조절나사(146)를 돌려 벤트홀(145)의 개방 면적을 조정하고, 이로써 원하는 토오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로터리 댐퍼가 적용되는 물품의 일례로 노트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댐퍼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로터리 댐퍼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로터리 댐퍼의 종단면도
도 5와 도 6은 도 2의 로터리 댐퍼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케이싱을 투명하게 처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댐퍼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베이스 2 : 회전체
100 : 로터리 댐퍼 110 : 케이싱
111 : 중공부 112 : 나선형 가이드홈
120 : 회전부재 121 : 회전부
122 : 결합부 130 : 가압부재
131 : 피스톤 132 : 나선형 가이드돌기
140 : 감압수단 141 : 볼
142 : 스프링 143 : 마운트블록
144 : 벤트홀 150 : 오리피스홀
160 : 압축스프링 170 : 첵크밸브
180 : 스톱링

Claims (5)

  1. 베이스에 대해 회전체를 일정 각도 범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로터리 댐퍼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중공의 케이싱과;
    일단부가 상기 케이싱의 중공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른 일단부가 회전체에 결합되어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케이싱 내부에 상기 회전부재와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회전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케이싱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공부 내의 공기를 압축시키는 가압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일단부에 외부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오리피스홀과;
    상기 가압부재의 이동에 의해 케이싱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에 도달했을 때, 상기 오리피스홀을 개방시키는 감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가압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댐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회전부재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어 케이싱의 중공부 내에서 회전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원통형의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케이싱의 중공부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의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피스톤의 일단부 외주면에 상기 케이싱의 중공부 내주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된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댐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V 또는 U자형 단면을 갖도록 되어, 상기 피스톤의 이동 방향에 따라 외측면이 상이하게 변형되면서 피스톤이 케이싱 내측으로 이동시에는 케이싱 내주면과 단단히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고, 피스톤이 케이싱 외측으로 이동시에는 케이싱 내주면과의 밀착력이 약화되어 케이싱 내측으로의 공기 흐름을 허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댐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수단은, 상기 케이싱의 일단부에서 상기 오리피스홀의 외측 단부를 개폐하는 볼과, 상기 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일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며 외부와 연통되는 벤트홀이 관통되게 형성된 마운트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댐퍼.
KR1020090005038A 2009-01-21 2009-01-21 로터리 댐퍼 KR100913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038A KR100913782B1 (ko) 2009-01-21 2009-01-21 로터리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038A KR100913782B1 (ko) 2009-01-21 2009-01-21 로터리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3782B1 true KR100913782B1 (ko) 2009-08-26

Family

ID=41210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038A KR100913782B1 (ko) 2009-01-21 2009-01-21 로터리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7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782A (ko) * 2018-03-19 2019-09-27 동우정밀(주) 댐핑힌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1876A (ja) * 1992-08-31 1994-03-22 Fuji Seiki Co Ltd 回転ダンパ
JP2001146972A (ja) 1999-11-19 2001-05-29 Kayaba Ind Co Ltd ピストンロッドのシール構造
KR100350957B1 (ko) 2000-01-05 2002-08-28 이근용 로터리식 댐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1876A (ja) * 1992-08-31 1994-03-22 Fuji Seiki Co Ltd 回転ダンパ
JP2001146972A (ja) 1999-11-19 2001-05-29 Kayaba Ind Co Ltd ピストンロッドのシール構造
KR100350957B1 (ko) 2000-01-05 2002-08-28 이근용 로터리식 댐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782A (ko) * 2018-03-19 2019-09-27 동우정밀(주) 댐핑힌지
KR102029312B1 (ko) * 2018-03-19 2019-11-08 동우정밀(주) 댐핑힌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4724B2 (en) Damped hinge assemblies
AU2015232045B2 (en) Door anti-slamming device
EP2016248B1 (en) Fluid damper
JP2009535543A (ja) 自動閉鎖式のドアその他特にガラスドアその他のための蝶番構造物および該構造物を備えた集成体
CN109812163A (zh) 用于铰链或门关闭器的阻尼机构
KR100913782B1 (ko) 로터리 댐퍼
CN106837042B (zh) 一种液压缓冲合页
TWI804985B (zh) 自閉液壓緩衝合頁
JP4248175B2 (ja) ダンパ
EP3798399A1 (en) Hinge device for rotating door
KR102019588B1 (ko) 도어 클로저
KR20110055038A (ko) 로터리 오일 댐퍼
US10920476B1 (en) Hinge device for rotating door
KR101649099B1 (ko)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JP4136570B2 (ja) ダンパー装置
CN209761146U (zh) 一种轴心和应用其的液压地弹簧
CN109441272B (zh) 一种合页
KR101849716B1 (ko) 캠궤도 가변형 힌지댐퍼 및 힌지장치
KR20080112870A (ko) 측면 속도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매입형 자동복귀힌지장치
KR200243185Y1 (ko) 내장형 도어 개폐 완충기
RU2417298C2 (ru) Шарнирная структура для самозакрывающихся дверей или т.п., в частности стеклянных дверей или т.п., и узел, содержащий такую структуру
CN216841136U (zh) 一种长行程的阻尼转轴装置
KR20050080793A (ko) 자동닫힘 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
CN220434519U (zh) 一种闭门器的转轴承重结构
JP3189994U (ja) 非油圧式オートマチックドアクローザ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