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779B1 -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779B1
KR100913779B1 KR1020090018530A KR20090018530A KR100913779B1 KR 100913779 B1 KR100913779 B1 KR 100913779B1 KR 1020090018530 A KR1020090018530 A KR 1020090018530A KR 20090018530 A KR20090018530 A KR 20090018530A KR 100913779 B1 KR100913779 B1 KR 100913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door
guide groove
sliding doo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제선
Original Assignee
구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제선 filed Critical 구제선
Priority to CN200980118955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046908B/zh
Priority to PCT/KR2009/002535 priority patent/WO2009145513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06B3/4618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the sliding wing being arranged beside a fixed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0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allowing an addition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2Doors or windows extensible when set in position
    • E06B3/922Doors or windows extensible when set in position with several wings opening horizontally towards the same side of the opening and each closing a separate part of the opening
    • E06B3/924Doors or windows extensible when set in position with several wings opening horizontally towards the same side of the opening and each closing a separate part of the opening positioned in one plane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78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balls or floating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05D2015/58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with travelling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4Transmiss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6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Synchronisation of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6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구조를 갖는 레일과 결합하여 동일선상으로 정렬되어 이동하는 복수 개의 도어를 여닫이 방향으로 회전시켜 완전 개폐가 가능하게 하는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 하로 평행하게 이격하여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동일선상으로 정렬되어 일측으로 이동하는 복수 개의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를 형성하여 제작되되, 일측면은 소정 높이의 톱니구조 형태가 포함되도록 하여 결착부와 잠금부가 형성된 이중 구조의 가이드홈이 구비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레일상에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부에 구비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레일 가이드홈의 결착부에 삽입 결착되어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외주연이 스프라켓으로 형성된 결속부재와; 상기 레일로부터의 이탈 및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레일 가이드홈의 잠금부에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상하 이동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도어를 일측에 위치한 결속부재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완전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18530
도어, 창문, 미닫이, 톱니, 기어, 레일, 스프라켓, 베어링

Description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SLIDING TYPE DOOR APPARATUS}
본 발명은 미닫이식으로 개폐되는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구조를 갖는 레일과 결합하여 동일선상으로 정렬되어 이동하는 복수 개의 도어를 여닫이 방향으로 회전시켜 완전 개폐가 가능하게 하는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을 포함하는 도어 장치는 그 구조에 있어서 횡적인 움직임으로 개폐되는 미닫이와 종적인 움직임으로 개폐되는 여닫이 형태로 나누어진다.
상기 여닫이 도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밖으로 밀거나 안으로 잡아당겨서 쉽게 개폐된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유동이 잦은 출입구의 일반적인 도어 형태로 많이 사용되지만, 창문의 형태로 사용될 경우에는 보온과 방음 기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미닫이 도어는 공간을 구분하기 위해 도어를 형성하기 위한 지점에 틀을 설치하고, 틀 내에서 도어가 좌, 우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목적하는 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일반 거실의 베란다나 건물 내부의 환기 및 통풍을 위해 설치되는 창문 등의 형태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 미닫이 도어는 문체가 문틀에서 손쉽게 이동하기 위해 문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롤러와 대응결합되어 문체가 이동되는 구간을 안내하는 레일이 문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미닫이 도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틀 상측에는 상부레일(101a)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하부레일(101b)이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 벽면에는 지지바(102)가 설치되고, 상기 틀 내부에는 상기 레일(101)을 따라서 좌/우로 이동되는 유리를 포함한 복수 개의 문체(110)가 결합 되어 있다.
도 1b와 도 1c에 평면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미닫이 도어 장치(100)는 상기 레일(101)들의 구성을 2중 라인으로 하기 때문에, 공간을 차단할 때에는 각 문체(110)가 겹쳐지지 않도록 닫고, 개방시킬 때에는 상기 문체(110)가 겹쳐지도록 어느 하나 또는 2개를 밀어 공간을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과정으로 개방되는 도어의 최대 폭은 전체 폭의 1/2로 제한된다.
이와 같이 공간을 개방시킬 수 있는 폭이 제한되어 문체에 의해 환기되는 면적이 축소되며, 부피가 큰 물건을 이동시킬 경우에는 문체를 문틀에서 분리시킨 후 물건을 이동시켜야만 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형태로 제작된 미닫이 창문에 있어서, 2층 이상의 연립이나 빌라 또는 아파트나 학교 등과 같은 고층 건물 외벽의 창문을 청소하고자 할 경우, 일일이 틀에서 분리시키고 결합하는 번거로움과 이중 라인으로 구성된 틀 내부의 청소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미닫이식으로 이동되는 복수 개의 도어를 동일선상으로 정렬하고 소정의 위치에서 여닫이 방식으로 회전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완전 개폐가 가능하며, 레일의 구성이 간편화되어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 하로 평행하게 이격하여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동일선상으로 정렬되어 일측으로 이동하는 복수 개의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를 형성하여 제작되되, 일측면은 소정 높이의 톱니구조 형태가 포함되도록 하여 결착부와 잠금부가 형성된 이중 구조의 가이드홈이 구비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레일상에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부에 구비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레일 가이드홈의 결착부에 삽입 결착되어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외주연이 스프라켓으로 형성된 결속부재와; 상기 레일로부터의 이탈 및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레일 가이드홈의 잠금부에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상하 이동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도어를 일측에 위치한 결속부재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완전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는 복수 개의 도어를 모두 동일 선상으로 정렬하여 상기 도어와 결합되는 레일이 단일 구조로 간편화되고, 도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레일 내부의 개방이 용이하여 레일과 도어의 청소 및 관리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도어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고 위치를 이동시킴에 따라 개방 정도가 조절되고 완전개폐가 가능함으로써 환기와 통풍이 더 효율적이며 넓은 실내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도어 장치는 창문의 형태까지 포함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로써, 상부와 하부로 평행하게 이격하여 대응되는 레일(200)이 구비되고, 상기 레일(200)에 결착되어 좌우로 동일선상으로 정렬되면서 일측으로 이동하는 사각형태로 제작되는 복수 개의 도어(300)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 방식으로 구성되는 도어 장치에서 상기 레일(200)에 정렬되는 도어(300)의 일측을 상기 레일(200)에서 이탈시키면서 레일(200)에 결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타측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복수 개의 도어(300)가 수직의 여닫이 방식으로 개방되고 일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완전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3은 상기와 같은 작용을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 른 레일(200)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복수 개의 도어(300)를 일렬로 정렬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레일(200)의 중앙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의 가이드홈(210)을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홈(210)의 내부 일측면은 소정 높이의 톱니구조 결착부(211)가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어 형성한다.
따라서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홈(210)은 저면부로부터 소정 높이로 구비되는 결착부(211)를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홈(210)이 결착부(211)와 잠금부(212)로 구분되되, 상기 결착부(211)는 가이드홈(210)의 일측면으로만 형성하도록 하여 도어(300)의 상부와 하부로 설치되는 레일(200)에서 상부 레일(200a)의 결착부(211a)와 하부 레일(200b)의 결착부(211b)가 서로 대면하는 방향을 이루도록 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상기 레일(200)에 체결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300)의 정면도를 내부 구성과 함께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는 상기 레일(200)상에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동부재(310)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상기 레일(200) 가이드홈(210)의 결착부(211)에 삽입 결착되어 회전축(321)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결속부재(320)가 상, 하부에 동일선상으로 각각 구비되며, 상기 결속부재(320)와 대응되는 타측에는 레일(200)상에 위치하는 도어(300)의 이탈 및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레일(200) 가이드홈(210)의 잠금부(212)에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상하 이동하는 잠금부재(3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이동부재(310)는 레일(200)상에 위치하는 도어(3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도어(300)의 균형유지 및 이탈과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 후측 으로 각각 이격되도록 구비하되, 완전한 구의 형태를 갖는 중심볼(ball)과 상기 중심볼(311)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 역할을 하는 복수 개의 보조볼(312)을 결합하여 하나의 이동부재(310)를 이루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볼(311)은 탄소강 재질로 마모에 대한 내구성이 강하고 외부 압력에 대한 손상이 거의 없으며, 방향 전환축이 따로 없어 중심볼(311)의 회전만으로 방향이 전환되기 때문에 레일(200)상에서의 이동과 이탈로 인한 방향 전환시 제약이 없도록 한다.
또한, 복수 개의 보조볼(312)은 중심볼(311)의 회전에 따른 마찰을 흡수하고 위로부터 내려오는 무게 하중을 이동부재(310)에서 적절히 분산하여 무게 집중으로 인한 손상 및 파손을 최소화한다.
도 5는 상기 결속부재(32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어(300)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레일(200)측으로 돌출되는 소정 길이의 회전축(321)에 베어링(322)이 결착되고, 그 외주연에는 원형의 스프라켓(323)을 형성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결속부재(320)는 레일(200)과 도어(300)의 체결구조를 강화하여 이동하는 도어(300)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고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결속부재(320)의 스프라켓(323)이 상기 레일(200)의 가이드홈(210)에 형성된 톱니구조 형태의 결착부(211)에 체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스프라켓(323)은 가이드홈(210)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30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321)을 중심으로 상기 결착부(211)와 체결된 상태를 유 지하면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톱니구조 형태의 결착부(211)는 상기 레일(200) 가이드홈(210) 내부에서 일측으로만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 레일(200a)과 하부 레일(200b)의 결착부(211) 위치가 서로 대면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은 상기 도어(300)와 레일(200)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도 4의 A-A'선을 기준으로 도시한 측단면도로써, 하부 레일(200b)에 형성된 결착부(211b)가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가이드홈(210)의 좌측면에 형성될 경우, 상부 레일(200a)에 형성된 결착부(211a)는 가이드홈(210)의 우측면에 형성되도록 하여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엇갈리는 형태를 이루도록 지지함으로써 레일(200)상에 결착되어 이동하는 도어(300)가 가이드홈(210)의 여유공간으로 인해 흔들리지 않도록 방지하며 레일(200)과의 체결력이 강화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210)이 레일(200)의 중앙으로 형성됨에 따라 레일(200)의 이동을 용이하게 유도하는 도어(300)의 이동부재(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210)의 양측으로 각각 위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200)의 일측은 상기 도어(300)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회전 및 이탈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개방된 형태를 이루고, 타측에는 상기 레일(200)과 도어(300)의 결합시 접촉되는 공간 사이로 방음 및 방수 효과를 얻기 위한 솜털(230)을 구비한다.
도 7a 및 도 7b는 상기 도어(300)에 형성된 잠금부재(340)의 구성 및 레일(200)과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도 4의 B-B'선을 기준으로 도시한 측단면 도로써, 도 7a는 잠금부재(340)가 레일(200)의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홈(210)의 잠금부(212)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상기 잠금부재(212)가 상기 가이드홈(210)의 잠금부(212)를 이탈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7c는 상기 잠금부재(340)를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잠금장치(341)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잠금부재(340)를 결속부재(320)와 대응되는 타측으로 상, 하부에 각각 설치하되, 중앙에 위치한 잠금장치(341)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부 잠금부재(340)와 하부 잠금부재(340)가 동시에 상, 하 레일(200)에 형성된 가이드홈(210)의 잠금부(212)로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형태를 이루도록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서는 레일(200)의 가이드홈(210)에 형성된 결착부(211)에 체결하는 상기 도어(300)의 결속부재(320) 회전축(321)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300)의 타측, 즉 잠금부재(340)가 구비된 측을 레일(200)에서 이탈시켜 회전함으로써 상기 도어(300)가 상기 회전축(321)을 중심으로 90도만큼 회전하여 미닫이 방식으로 정렬된 도어(300)들을 여닫이 방식으로도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도어(3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321)과 체결된 결속부재(320)의 상부에는(하부 레일을 기준으로 했을 때) 회전조절부재(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회전조절부재(330)가 레일(200)의 가이드홈(210)에 체결된 상태 를 개략적인 평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회전조절부재(3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200)의 가이드홈(210)에 형성된 잠금부(212)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회전축(321)과 고정결합되어 도어(3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축(321)과 일체로 회전하되, 상기 회전조절부재(330)의 모양에 따라 상기 도어(300)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회전조절부재(330)의 평면 직경이 상기 가이드홈(210)의 직경보다 작을 경우에는 회전축(321)이 가이드홈(210) 내부를 회전하는데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평면에서 일측에 다각을 형성하여 변형시킨 경우에는 체결되어 있는 가이드홈(210)의 잠금부(212) 내부에서 회전축(321)의 회전반경이 제약을 받게 된다.
따라서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 외에도 상기 회전조절부재(330)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상기 도어(300)의 회전각도를 다양하게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도어(30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 외벽에 형성되는 창문의 형태에 적합하게 설치되며, 복수 개의 도어(300)를 각각 일정한 회전각을 형성하여 미닫이 방식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9는 도 8과 같이 일정한 회전각을 형성할 경우, 이동하는 도어(300)들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레일(200)의 가이드홈(210)에 삽입하여 결착되는 이동조절부재(220)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로 상기 가이드홈(210)에 대응하여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도어(300) 들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삽입하여 결착시킬 경우 레일(200)의 가이드홈(210)에 체결되는 결속부재(320)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도어(300)들의 간격 및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0은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작되는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인 평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먼저 도 10a와 같이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 내에 수용되는 복수 개의 도어(300)는 종래와 같이 미닫이식으로 원활하게 밀면서 개폐가 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도어(300)들이 모두 동일선상에서 정렬되도록 한다.
도 10a와 같이 복수 개의 도어(300)들로 공간을 차단하는 경우에는 도어(300)에 구비된 잠금부재(340)가 레일(200) 가이드홈(210)의 잠금부(212)에 결착된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도어(300)의 이동 및 회전을 제약하고, 상기 도어()들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고 틈새 공간을 차단하기 위해 도어()의 외측면으로는 쿠션부재(3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동일선상으로 정렬된 도어(300)들을 이동하여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도어(300)의 일측에 위치한 잠금장치(341)를 회전하여 상기 잠금부재(340)가 레일(200)의 잠금부(212)에서 이탈되도록 하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부재(320)의 회전축(321)을 중심으로 여닫이 방식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된 도어(300)들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도어(300)에 구비된 결속부재(320)의 스프라켓(323)은 레일(200) 가이드홈(210)의 결착부(211)로 체결되어 도어(300)의 회전과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로 실시되는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상부 레일(200a)의 가이드홈(210)에 도어(30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걸림턱(201)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201)에 원형베어링(360)이 결착되는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레일(200a)의 가이드홈(210)에 삽입되는 도어(300)의 회전축(321)에는 상부에서부터 결속부재(320), 회전조절부재(330), 원형베어링(360)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형태를 이루어 상기 가이드홈(210)에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부 레일(200a)에서 상기 도어(300)의 하중을 지지하고 원형베어링(360)이 상부 레일(200a)의 걸림턱(201)에서 회전하면서 도어(300)의 이동을 용이하게 유도하기 때문에 도어(300)의 하부에 별도의 이동부재(310)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짐에 따라 상기 도어 장치를 더욱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에서는 도어(300)의 일측을 회전축(321)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이탈한 상태에서도 결속부재(320)를 통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복수 개의 도어(300)를 정렬시키는 단일 구조의 레일(200)은 실시예에서 도시된 일직선 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곡선이나 직각의 형태로도 제작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 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미닫이 도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b 및 도 1c는 종래의 미닫이 도어 장치의 개폐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재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A-A'선에 의한 측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도 4의 B-B'선을 기준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과 회전조절부재의 결합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조절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레일
200a. 상부 레일 200b. 하부 레일
210. 가이드홈
211. 결착부 212. 잠금부
220. 이동조절부재 230. 솜털
300. 도어
310. 이동부재
311. 중심볼 312. 보조볼
320. 결속부재 321. 회전축
322. 베어링 323. 스프라켓
330. 회전조절부재
340. 잠금부재 341. 잠금장치
350. 쿠션부재
360. 원형베어링

Claims (7)

  1. 상, 하로 평행하게 이격하여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레일(200)과, 상기 레일(200)에 동일선상으로 정렬되어 일측으로 이동하는 복수 개의 도어(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200)은,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를 형성하여 제작되되, 일측면은 소정 높이의 톱니구조 형태가 포함되도록 하여 결착부(211)와 잠금부(212)가 형성된 이중 구조의 가이드홈(210)이 구비되며,
    상기 도어(300)는,
    상기 레일(200)상에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부에 구비되는 이동부재(310)와;
    상기 레일(200) 가이드홈(210)의 결착부(211)에 삽입 결착되어 회전축(321)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외주연이 스프라켓(323)으로 형성된 결속부재(320)와;
    상기 레일(200)로부터의 이탈 및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레일(200) 가이드홈(210)의 잠금부(212)에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상하 이동하는 잠금부재(3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도어(300)를 일측에 위치한 결속부재(320)의 회전축(321)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완전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결속부재는 회전축(321)에 베어링(322)을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레일(200a)과 하부 레일(200b)에 형성된 톱니구조 형태의 결착부가 서로 대면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
  4. 상, 하로 평행하게 이격하여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레일(200)과, 상기 레일(200)에 동일선상으로 정렬되어 일측으로 이동하는 복수 개의 도어(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200)은,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로 형성되고, 일측면은 소정 높이의 톱니구조 형태가 포함되도록 하여 결착부(211)와 잠금부(212)가 형성된 이중 구조의 가이드홈(210)이 구비되되, 상부 레일(200a)에는 상기 가이드홈(210)의 내측으로 걸림턱(201)이 포함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300)는,
    상기 레일(200) 가이드홈(210)의 결착부(211)에 삽입 결착되어 회전축(321)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외주연이 스프라켓(323)으로 형성된 결속부재(320)와;
    상기 상부로 구비되는 결속부재(320)의 회전축(321)에 체결하여 가이드홈(210)의 잠금부(212)에 위치하되, 상기 상부 레일(200a)의 가이드홈(210)에 형성된 걸림턱(201)에 지지되는 원형베어링(360)과;
    상기 레일(200)로부터의 이탈 및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레일(200) 가이드홈(210)의 잠금부(212)에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상하 이동하는 잠금부재(3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도어(300)를 일측에 위치한 결속부재(320)의 회전축(321)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완전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200)은 소정의 디자인에 따라 곡선과 직각 형태로도 제작 가능한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의 회전축(321)과 고정 결합되고 상기 레일 가이드홈(210)의 잠금부(212)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321)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도어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회전조절부재(33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이동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레일의 가이드홈(210)에 탈부착되는 이동조절부재(22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
KR1020090018530A 2008-05-26 2009-03-04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 KR100913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801189554A CN102046908B (zh) 2008-05-26 2009-05-13 开放型推拉式门装置
PCT/KR2009/002535 WO2009145513A2 (ko) 2008-05-26 2009-05-13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8600 2008-05-26
KR1020080048600 2008-05-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3779B1 true KR100913779B1 (ko) 2009-08-26

Family

ID=41210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530A KR100913779B1 (ko) 2008-05-26 2009-03-04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13779B1 (ko)
CN (1) CN102046908B (ko)
WO (1) WO2009145513A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6603A (zh) * 2011-08-08 2013-02-13 李刚 门窗限定器
KR101493000B1 (ko) 2013-08-27 2015-02-13 한승석 안티패닉형 자동방화문
CN104975794A (zh) * 2015-07-24 2015-10-14 湖州巨力铝型材有限公司 一种两固两扇推拉门
KR20150131691A (ko) * 2014-05-16 2015-11-2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닫이여닫이 일체형 창호
KR20160016080A (ko) * 2014-08-02 2016-02-15 구제선 시스템창호
KR101841724B1 (ko) 2016-03-14 2018-05-04 안중식 개별 폴딩구조를 갖는 도어 시스템
KR102291186B1 (ko) 2021-01-14 2021-08-20 유한회사 에스지우드 도어의 완충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139B1 (ko) * 2015-01-06 2016-12-02 구제선 도어용 경첩
CN105952325B (zh) * 2016-06-27 2018-09-21 泉州满谦科技有限公司 一种门窗框架机构
CN106193869B (zh) * 2016-08-31 2018-06-19 江苏万达特种轴承有限公司 一种等曲率门扇滚球轴承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312Y1 (ko) 2001-04-24 2001-10-12 노정균 미닫이와 여닫이 겸용 창호
KR100754021B1 (ko) 2007-05-11 2007-09-03 (주)인서울 다양한 개폐구조를 갖는 전시용 실내벽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0681U (ko) * 1985-04-11 1986-10-23
CN2057949U (zh) * 1989-08-18 1990-06-06 黄建民 推拉折叠翻转式门窗
CN1123671C (zh) * 2000-05-10 2003-10-08 邢立天 一种具有移动轴的门窗
CN2556337Y (zh) * 2002-06-26 2003-06-18 黄振北 平开推拉开两用窗
US6705377B1 (en) * 2002-10-12 2004-03-16 David W. Coolman Horizontal folding door system
CN2721834Y (zh) * 2004-08-10 2005-08-31 呼文胜 多功能组合窗
CN100365243C (zh) * 2005-02-07 2008-01-30 戴新国 一种推拉、平开两用门窗的定位机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312Y1 (ko) 2001-04-24 2001-10-12 노정균 미닫이와 여닫이 겸용 창호
KR100754021B1 (ko) 2007-05-11 2007-09-03 (주)인서울 다양한 개폐구조를 갖는 전시용 실내벽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6603A (zh) * 2011-08-08 2013-02-13 李刚 门窗限定器
KR101493000B1 (ko) 2013-08-27 2015-02-13 한승석 안티패닉형 자동방화문
KR20150131691A (ko) * 2014-05-16 2015-11-2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닫이여닫이 일체형 창호
KR101668103B1 (ko) * 2014-05-16 2016-10-2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닫이여닫이 일체형 창호
KR20160016080A (ko) * 2014-08-02 2016-02-15 구제선 시스템창호
KR101688971B1 (ko) * 2014-08-02 2016-12-22 구제선 시스템창호
CN104975794A (zh) * 2015-07-24 2015-10-14 湖州巨力铝型材有限公司 一种两固两扇推拉门
KR101841724B1 (ko) 2016-03-14 2018-05-04 안중식 개별 폴딩구조를 갖는 도어 시스템
KR102291186B1 (ko) 2021-01-14 2021-08-20 유한회사 에스지우드 도어의 완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45513A3 (ko) 2010-02-18
WO2009145513A2 (ko) 2009-12-03
CN102046908B (zh) 2012-08-08
CN102046908A (zh)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779B1 (ko) 개방형 미닫이식 도어 장치
US20150121761A1 (en) Safety door
KR101552857B1 (ko) 회전이동식 도어구조
KR20120069910A (ko) 행거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CN102812198A (zh) 用于窗或门的通风系统
KR101668103B1 (ko) 미닫이여닫이 일체형 창호
KR101303105B1 (ko) 출입공간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식 및 슬라이드 겸용 출입문
JP2008248654A (ja) 引き戸用扉体案内装置
JP4410750B2 (ja) 横移動式シャッター装置
DK1892364T3 (en) Panel system equipped with a seal
JP2008025149A (ja) 面一サッシ
KR20180090102A (ko) 완전 개폐 창호 시스템
JP2004108007A (ja) 連動式吊戸装置
KR101949583B1 (ko) 양방향 미닫이 개폐도어
KR101110872B1 (ko) 연동형 슬라이딩 도어의 착탈 장치
US8307876B2 (en) Garage door/track/coupler system
KR100923838B1 (ko) 샤시구조
RU2004128466A (ru) Раздвижная стенка
JP7246252B2 (ja) 引き戸式ドア装置における吊りレールの取付け構造および取付け方法
KR20200089520A (ko)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
KR102373332B1 (ko) 스윙 도어
KR102548757B1 (ko) 환기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부분개폐형 하이퀄리티 창호시스템
KR102072459B1 (ko) 회전식 방충 창문 시스템
KR101091959B1 (ko)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
KR20120109746A (ko) 화장실용 접이식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