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418B1 - 휴대폰 - Google Patents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418B1
KR100913418B1 KR1020020077458A KR20020077458A KR100913418B1 KR 100913418 B1 KR100913418 B1 KR 100913418B1 KR 1020020077458 A KR1020020077458 A KR 1020020077458A KR 20020077458 A KR20020077458 A KR 20020077458A KR 100913418 B1 KR100913418 B1 KR 100913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ard
connection terminal
mobile phone
main bod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9626A (ko
Inventor
이우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7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418B1/ko
Publication of KR20040049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휴대폰에 있어서, 휴대폰 본체에 형성된 본체 표준접속단자와, 상기 본체 표준접속단자에 결합될 수 있는 모듈 표준접속단자를 구비하며 각각 보조기능을 구비하는 표준확장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제공함으로써, 접속단자의 수를 줄여 휴대폰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표준화된 접속단자로 인해서 주변장치 개발에 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휴대폰, 표준모듈

Description

휴대폰{MOBILE PHONE}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휴대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1은 표준확장모듈을 구비한 휴대폰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표준접속단자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표준확장모듈을 구비한 휴대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휴대폰 본체 20a: 본체 표준접속단자
20b: 추가 표준접속단자 21, 22: 전원전송단자
30: 표준확장모듈 31: 모듈 표준접속단자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표준확장모듈을 구비함으로서 접속단자의 수를 줄여 휴대폰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통일된 접속단자로 인해서 주변장치 개발에 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폰이 단순히 통화 기능만을 가지고 있던 것에서 벗어나 멀티 미디어 단말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주변장치들에 대한 연구가 있어 왔다. 예를 들면, 화상통신을 하기 위한 카메라, 또한 음악재생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스테레오 스피커, MP3 플레이어, 메모리 증대를 위한 확장메모리 등이 휴대폰에 장착되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주변장치들이 별도의 전용접속단자를 통해서 휴대폰의 본체에 접속됨으로서, 휴대폰에 구비되어야 하는 접속단자의 수가 증대되어, 소형화를 요구하는 수요자의 욕구에 반하여 휴대폰의 크기가 증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주변장치들이 휴대폰의 본체에 견고히 결합되지 못하고, 돌출 되어 결합됨으로서,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사용하는 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개발자의 입장에서도 각 주변장치마다 별도의 전용 접속단자를 설계하여야 함으로서, 개발의 어렴움이 있으며, 생산단계에서도 별도의 전용접속단자를 제조하여야 함으로서 제조원가의 상승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표준확장모듈을 구비함으로서 접속단자의 수를 줄여 휴대폰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통일된 접속단자로 인해서 주변장치 개발에 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휴대폰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폰 본체에 형성된 본체 표준접속단자와; 상기 본체 표준접속단자에 결합될 수 있는 모듈 표준접속단자를 구비하며 각각 보조기능을 구비하는 표준확장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폰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표준확장모듈은 추가적으로 확장모듈을 장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추가 표준접속단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폰 본체는 장착된 표준확장모듈에 신호를 보내어, 표준확장모듈의 종류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표준접속단자는 본체의 전원을 송신할 수 있도록 전원전송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폰 본체와 표준확장모듈을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휴대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1은 표준확장모듈을 구비한 휴대폰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표준접속단자의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휴대폰은 휴대폰 본체(11)와, 휴대폰 본체(11)의 측면에 형성된 본체 표준접속단자(20a)와, 상기 본체 표준접속단자(20a)에 결합될 수 있는 모듈 표준접속단자(31)를 구비하며 각각 보조기능 을 구비하는 표준확장모듈(30)과, 장착된 표준확장모듈(30)에 신호를 보내어, 표준확장모듈(30)의 종류를 감지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휴대폰 본체(11)는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12)과, 상기 액정의 상단에 설치된 스피커(13)와, 정보를 입력하는 키패드(14)와, 음성을 전달하는 마이크(15)와, 상기 본체 표준접속단자(20a)를 수용하기 위해 본체(11)의 측면이 요입되어 형성된 접속단자 수용부(15)를 구비한다.
상기 표준확장모듈(30)은 각각 보조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카메라 표준확장모듈(30a)은 카메라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되고, 오디오 표준확장모듈(30b)은 스피커나 엠피쓰리(MP3)플레이어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표준확장모듈(30)의 각각의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은 이미 알려져 있다.
상기 카메라 표준확장모듈(30a)은 카메라의 렌즈(33)와, 상기 본체 표준접속단자에 결합될 수 있는 모듈표준접속단자(31)와, 다른 표준확장모듈(30b)을 장착할 수 있는 추가 표준접속단자(20b)와, 상기 추가 표준접속단자(20b)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표준확장모듈(30b)의 측면이 요입되어 형성된 표준접속단자수용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오디오 표준확장모듈(30b)은 상기 본체 표준접속단자 혹은 상기 추가 표준접속단자(20b)에 결합될 수 있는 모듈표준접속단자(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2는 도1의 표준접속단자의 사시도이다.
표준접속단자(20a, 20b)는 다수개 신호전송단자(23)와, 상기 표준확장모듈(30)이 본체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원전송단자(21, 22)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표준확장모듈(30)은 상기와 같이 본체의 전원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전원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휴대폰에 카메라의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카메라 표준확장모듈(30a)을 상기 본체 표준접속단자(20a) 와 상기 모듈 표준접속단자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표준확장모듈(30a)이 장착되면, 본체의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카메라 표준확장모듈(30a)에 신호를 전송하여 표준확장모듈의 종류를 감지한 후 휴대폰 상에서 상기 카메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오디오 표준확장모듈(30b)은 상기 카메라 표준확장모듈(30b)의 추가 표준접속단자(20b)에 상기 모듈 표준접속단자(31)를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본체의 표준접속단자(20a)에 상기 모듈 표준접속단자(31)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주변장치들을 표준 모듈화하고, 접속단자를 표준화함으로서, 한 개의 접속단자를 구비하고도 다수개의 주변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개의 전용접속단자를 구비하지 않아도 됨으로, 휴대폰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표준모듈을 직렬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 한 번에 다수개의 모듈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전용접속단자를 설계할 필요가 없으므로 개발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생산단계에서도 별도의 전용접속단자를 제조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제조 원가를 절약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표준확장모듈을 구비한 휴대폰의 사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휴대폰은 휴대폰 본체(11)의 하단면에 형성된 본체 표준접속단자(120)와, 상기 본체 표준접속단자(120)에 결합될 수 잇는 모듈 표준접속단자(131)를 구비하며 보조기능을 구비하는 표준확장모듈(130)과, 상기 본체(11)와 상기 표준확장모듈(130)을 견고히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장치는 휴대폰 본체(11)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홈(116)과, 상기 고정홈에 착탈될 수 있도록 상기 표준확장모듈(130)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부재(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고정부재 본체(141)와 상기 본체(141)에서 돌출 되어 형성된 걸림쇠(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표준확장모듈(130)의 하단은 상기 휴대폰 본체911)의 하단을 감싸도록 형성된 하단고정부(13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휴대폰과 결합하는 표준확장모듈(130)이 하단고정부(132)와 고정장치를 구비하여 휴대폰 본체(11)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주변장치들을 표준 모듈화하고, 접속단자를 표준화함으로서, 한개의 접속단자를 구비하고도 다수개의 주변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개의 전용접속단자를 구비하지 않아도 됨으로, 휴대폰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표준모듈을 직렬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 한 번에 다수개의 모듈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전용접속단자를 설계할 필요가 없으므로 개발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생산단계에서도 별도의 전용접속단자를 제조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제조원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장치를 구비함으로서 휴대폰 본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Claims (9)

  1. 본체측 표준접속단자를 갖는 휴대폰 본체;
    상기 휴대폰 본체의 기능을 보조적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제1보조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측 표준접속단자에 연결될 수 있게 제1모듈측 표준접속단자를 갖는 제1표준확장모듈; 및
    상기 휴대폰 본체의 기능을 보조적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제2보조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측 표준접속단자에 연결될 수 있게 상기 제1모듈측 표준접속단자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제2모듈측 표준접속단자를 갖는 제2표준확장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표준확장모듈에는 상기 제1표준확장모듈이 상기 휴대폰 본체에 먼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2표준확장모듈이 상기 제1표준확장모듈을 경유하여 상기 휴대폰 본체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표준확장모듈의 제2모듈측 표준접속단자가 연결되기 위한 추가 표준접속단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본체는
    장착된 표준확장모듈에 신호를 보내어, 표준확장모듈의 종류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측 표준접속단자 및 추가 표준접속단자는
    상기 휴대폰 본체의 전원을 송신할 수 있도록 전원전송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본체와 상기 제1 또는 제2표준확장모듈을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6. 휴대폰 본체와 상기 휴대폰 본체에 연결되어 서로 다른 보조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확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폰 본체는 상기 복수의 확장모듈을 연결하는 표준화된 하나의 표준접속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확장모듈들은 상기 표준접속단자에 접속될 수 있도록 표준화된 모듈 표준접속단자를 가짐과 아울러 추가적으로 확장모듈을 장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추가 표준접속단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7. 삭제
  8. 삭제
  9. 휴대폰 본체에 형성된 본체 표준접속단자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듈 표준접속단자와;
    상기 모듈 표준접속단자가 상기 휴대폰 본체에 먼저 접속된 상태에서 추가적인 다른 확장모듈이 경유하여 상기 휴대폰 본체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다른 확장모듈의 모듈 표준접속단자가 연결되기 위한 추가 표준접속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확장모듈.
KR1020020077458A 2002-12-06 2002-12-06 휴대폰 KR100913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458A KR100913418B1 (ko) 2002-12-06 2002-12-06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458A KR100913418B1 (ko) 2002-12-06 2002-12-06 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626A KR20040049626A (ko) 2004-06-12
KR100913418B1 true KR100913418B1 (ko) 2009-08-21

Family

ID=3734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458A KR100913418B1 (ko) 2002-12-06 2002-12-06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4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296B1 (ko) * 2006-07-26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통신 단말기의 보조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9339A (ja) * 1996-08-28 1998-03-10 Nec Yonezawa Ltd 外部機器接続用インタフェース機構
JP2000148316A (ja) * 1998-11-06 2000-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のインタフェース切替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200218544Y1 (ko) * 2000-11-02 2001-04-02 주식회사이지엘 보조 메모리수단을 내장하는 이동단말기용 어댑터
KR200271284Y1 (ko) * 2002-01-25 2002-04-09 최인식 이동통신 단말기용 휴대 메모리팩과 그 연결장치
KR100382932B1 (ko) * 2001-04-12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직렬 및 유에스비 포트에 대한 공용인터페이스장치
KR100413329B1 (ko) * 2001-03-27 2003-12-31 블루텍 주식회사 공용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디지털 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9339A (ja) * 1996-08-28 1998-03-10 Nec Yonezawa Ltd 外部機器接続用インタフェース機構
JP2000148316A (ja) * 1998-11-06 2000-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のインタフェース切替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200218544Y1 (ko) * 2000-11-02 2001-04-02 주식회사이지엘 보조 메모리수단을 내장하는 이동단말기용 어댑터
KR100413329B1 (ko) * 2001-03-27 2003-12-31 블루텍 주식회사 공용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디지털 기기
KR100382932B1 (ko) * 2001-04-12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직렬 및 유에스비 포트에 대한 공용인터페이스장치
KR200271284Y1 (ko) * 2002-01-25 2002-04-09 최인식 이동통신 단말기용 휴대 메모리팩과 그 연결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정보통신단체표준 TTAS.KO-06.0028/R1 *
정보통신단체표준 TTAS.KO-06.0028/R1(2001.12.03.) *
정보통신단체표준 TTAS.KO-06.0028/R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626A (ko) 200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3144B1 (ko)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US7470148B1 (en) USB bluetooth connector
KR101572828B1 (ko) 휴대 단말기용 스피커 장치
CN107547997B (zh) 电路板组件及电子设备
KR19990000037A (ko) 양방향으로 플립커버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US8851907B2 (en) Contact node of portable terminal
CN103296383A (zh) 便携式终端
EP3734939B1 (en) Electronic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KR200416690Y1 (ko)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
US20040017361A1 (en)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a generic user interface
KR100830556B1 (ko) 블루투스 스피커
KR100913418B1 (ko) 휴대폰
KR100605895B1 (ko) 휴대폰의 잭 타입 렌즈 모듈
US20050079900A1 (en) Structure of a folder-style mobile phone
KR100663490B1 (ko) 안테나 실장 공간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100312422B1 (ko) 확장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US20030073469A1 (en) Hands-free amplifier for mobile telephone
JP4705527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350503B1 (ko) 목걸이 모듈 폰을 구비한 폴더형 단말기
KR200364500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위한 다기능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KR1006983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JP7158617B1 (ja) 撮像モジュール
KR20100012233A (ko) 이동 단말기의 부가 기능 확장 장치
CN111711719B (zh) 摄像头组件及电子设备
KR200347095Y1 (ko) 휴대폰에 탈부착되어 사용되는 다기능 복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