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690Y1 -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690Y1
KR200416690Y1 KR2020060006279U KR20060006279U KR200416690Y1 KR 200416690 Y1 KR200416690 Y1 KR 200416690Y1 KR 2020060006279 U KR2020060006279 U KR 2020060006279U KR 20060006279 U KR20060006279 U KR 20060006279U KR 200416690 Y1 KR200416690 Y1 KR 200416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der
mobile phone
changer unit
transmitte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주원
Original Assignee
(주) 지.티 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7661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16690(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티 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지.티 텔레콤
Priority to KR2020060006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6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6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의 20핀커넥터(C)와 상용의 충전기 또는 데이터통신케이블 등의 24핀의 외부웅형접속핀(OC)을 결선정합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폰(H)의 악세서리형상의 젠더체인저유니트(U)를 제공하고, 상기 젠더체인저유니트(U)는 휴대폰(H)에 부속되어지는 스트링(S)에 끼워 연결되는 장착캡(U1)과, 상기 장착캡(U1)에 끼워져 삽입, 고정되는 젠더(U2) 및 상기 젠더(U2) 에 수용되는 회로기판(P) 상의 상기 휴대폰의 20핀커넥터(C)으로의 삽입용의 20핀웅형(Male)커넥터(20M)와, 상기 외부웅형접속핀(OC)으로의 24핀용의 자형커넥터(24F)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악세서리 형상체로서 제공됨으로서 언제나 용이하게 휴대하여 사용환경에 맞는 젠더를 구성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FM트랜스미터로서 활용할 수 있음으로서 휴대폰의 부가적인 기능인 라디오나, MP3플레이어의 활용성을 더욱 증대할 수 있는 유용성을 가진다.
휴대폰, 젠더, FM트랜스미터

Description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A gender changer for interfaces of mobile phones}
도 1 은 본 고안의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의 사용을 설명하는 예시적인 사용상태의 사시도 및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의 예시적인 구성의 형상을 도시하는 유니트의 전체육면도 및 젠더 만의 평면도, 측면도, 배면도.
도 3 는 본 고안의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에 채용되는 회로기판유니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에 채용되는 회로기판상의 핀대응의 결선관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5 은 본 고안의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의 응용된 실시구성을 도시하는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의 응용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아그램도.
도 7 는 본 고안의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에서 채용가능한 기능의 하나인 절전기능을 수행하는 예시적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H: 휴대폰
R: FM수신기
U: 젠더체인저유니트
P: 회로기판
U2: 젠더
본 고안은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다양한 기종의 이동통신기기, 특히 휴대폰에서의 외부인터페이스와의 접속의 확장성을 위하여 제공되는 젠더체인저의 유니트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의 메이커와 기종에 따라서 다양한 내부회로를 구성하고 이 내부회로와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다수개의 커넥터를 휴대폰 하우징의 저면 또는 측면에서 인터페이싱이 가능하도록 구비하고 있다.
특히, 데이터통신이나 충전을 위한 IF커넥터와 이어폰잭의 삽입을 위한 이어폰커넥터가 대부분 구비되어 충전은 IF커넥터로 수행하고 이어폰 기능은 이어폰커넥터를 사용하여 분리하여 기능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 휴대폰이 박형화 및 경량화됨에 따라서 복수개의 커넥터를 휴대폰 케이스에 구비하는 것은 설계 및 적용상 바람직하지 않게 됨으로서 이어폰커넥터를 통하여 충전 및 데이터통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이어폰커넥터를 확 장하여 핀수를 20 핀(Pin)을 가지는 이어폰커넥터가 구성되도록 제공함으로서 슬림화에 부응하고 있다.
이러한 메이커 측에서의 요구에 따라서 제공되는 이어폰커넥터와는 별도로 불요한 충전기의 필수제공에 의한 자원의 낭비와 경제적 부담의 증대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24핀을 가지는 표준형커넥터가 대부분의 충전기와 데이터통신케이블로 채택되고 있다.
따라서, 불가불 어떤 기종의 휴대폰의 사용자는 커넥터핀수를 정합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커넥터부품인 소위, 젠더(gender changer:이하 ‘젠더’라 함)라 불리는 부품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젠더는 인터페이스 간의 상이한 핀수를 정합시키기 위한 자웅커넥터부를 일체로 가지는 것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메이커 또는 부품메이커에서 제공되는 젠더는 그 크기가 대단히 작고 파손이 용이한 부품으로서 사용자가 이를 분리된 부품으로서 소지하고 다니기에는 상당한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지 외부에서의 충전만을 위하여 이러한 젠더를 소지한다는 것은 분실의 우려, 소지의 불편함 등의 관점에서 불합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악세서리 형상의 젠더를 제공하고 이 젠더에 부가적인 기능을 부여함으로서 활용성 및 소지성을 증대하고 휴대폰의 활용도 또한 높이기 위한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기술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의 사용을 설명하는 예시적인 사용상태의 사시도 및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2 는 젠더체인저 유니트의 예시적인 구성의 형상을 도시하는 유니트의 전체육면도 및 젠더 만의 평면도, 측면도, 배면도, 도 3 는 유니트에 채용되는 회로기판유니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 는 유니트에 채용되는 회로기판상의 핀대응의 결선관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5 은 젠더체인저 유니트의 응용된 실시구성을 도시하는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6 은 젠더체인저 유니트의 응용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아그램도, 도 7 는 본 고안의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에서 채용가능한 기능의 하나인 절전기능을 수행하는 예시적인 회로도이다.
본 고안의 젠더체인저유니트(U)는 다양한 형상과 디자인으로 제공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례로서 도시되는 것은 도 1 내지 도 3 과 같이,
휴대폰(H)에 부속되어지는 장식용 등의 스트링(S)에 스트링공(O)으로 끼워 연결되는 캡 또는 커버체 형상의 장착캡(U1)과 이 장착캡(U1) 내방으로 끼워져 기계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젠더(U2)가 전체 유니트를 형성하게 된다.
장착캡(U1)과 젠더(U2)가 형성하는 젠더체인저유니트(U)는 서로 분리되고 장착캡(U1)의 측방의 반원형형상의 개방부인 록킹홈(K)에 젠더(U2)의 케이싱의 대응 하는 위치에 돌출된 원주형상의 록킹돌기(L)가 상호 끼움되어 압입고정됨으로서 휴대 시에 이탈이 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장착캡(U1)으로부터 젠더(U2)가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은 본 고안의 휴대성 및 적용성에 중요한 관점이 된다.
젠더(U2)는 휴대폰의 20핀커넥터(C)로 삽입되는 20핀웅형(Male)커넥터(20M)와, 충전기 또는 데이터통신케이블 등의 외부웅형접속핀(OC)이 삽입되는 24핀용의 자형커넥터(24F)가 정합을 위한 통상적인 회로기판(P) 상에 고정되어 외부케이스에 수용된 형상으로 제공된다.
회로기판(P) 상에는 도 4 와 같은 예시적인 결선관계도에서와 같이, 전원선(VBATT)과 오디오신호선(TX,RX AUDIO)이 각각 대응되는 핀에 맞게 결선됨으로서 20핀 - 24 핀을 결선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하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사용자는 통상적인 휴대 시에는 젠더체인저유니트(U)를 휴대폰(H)에 스트링(S)으로 악세서리와 같은 형태로서 소지하여 휴대하다가, 외부에서의 충전기 등의 사용 시에는 젠더(U2)를 장착캡(U1)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 이후에 다시 장착캡(U1)에 끼워 휴대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로 의식적인 젠더의 휴대와 주의를 기울일 필요없이도 악세서리와 같이 항상 일체화된 젠더체인저유니트(U)를 소지하게 됨으로서 사용의 편리성과 분실의 우려를 극소화하고 다양한 충전기와 데이터통신 케이블을 사용하게 되어 적용성이 제고된다.
본 고안의 젠더체인저유니트(U)는 하우징 내에 회로기판(P)을 수용하여 가지 게 되고 이 회로기판(P) 상에는 다양한 응용구성을 부가할 수 있다는 것도 주요한 기술적인 관점이 되고 있다.
최근 들어 휴대폰(H)은 라디오나 MP3 플레이어 기능을 내장하는 경향이 있고, 사용자는 작업 중이나 차량의 운행 중에 이러한 기능을 사용하고자 음량이 작은 휴대폰(H)의 스피커 대신 이어폰을 사용하게 되나, 이어폰의 사용에 따른 동작의 제약이나 음질의 한계가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 근거하여 휴대폰(H)의 발생 오디오를 가정이나 차량 등의 FM수신기(R)에서 수신하여 재생함으로서 음악을 감상하거나 필요한 경우에는 핸즈프리로서의 기능이 부가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젠더체인저유니트(U)의 회로기판(P) 상에 FM트랜스미터를 내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경우에는 젠더(U2)의 케이싱에 도 1 내지 2 에서와 같이 송신하고자 하는 FM수신기의 공백의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는 주파수선택스위치(SW)를 더 제공하여 예를 들면 107.5 MHz 나 107.9 MHz 와 같은 비상용 주파수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채택이 가능한 FM트랜스미터의 예시적인 회로가 도 6 에 제공되고 이러한 회로는 다양한 등가적인 구성으로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 는 이러한 FM 트랜스미터로서의 본 고안의 젠더체인저유니트(U)의 사용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휴대폰(H) 내의 회로기판 상의 보이스디코더(Vd)로부터의 리시버코덱(Rx)과 트랜스미터코덱(Tx)중, 트랜스미터코덱(Tx)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인출하여 휴대폰 (H)의 20핀커넥터(C)로부터 젠더(U2) 및 회로기판(P)으로 인출하여 젠더(U2)의 삽입하여 전송되고, 트랜스미터코덱(Tx)으로부터의 오디오신호는 FM주파수발생회로(10)에서 변조되어 회로기판(P) 상에 내장되는 안테나(11)로 송신된다.
20핀커넥터(C)의 잔여 극의 전선을 통하여서는, 휴대폰(H)의 전원을 수용받아 FM트랜스미터(U)의 구동원으로 하는 전원회로(12)로 하는 연결선과, 삽입된 부품이 FM트랜스미터임을 휴대폰(H)에 인식시키는 ID발생부(14)와 휴대폰(H)과의 연결선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폰(H)의 사용자가 송신하고자 하는 FM수신기(R)에 맞는 FM주파수발생회로(10)의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핸즈프리유니트(U)의 주파수선택부(13)를 더 가질 수 있다.
휴대폰(H)으로 젠더(U2)의 삽입 시에 도시하지 아니한 모우드선택스위치로서 젠더변환을 위한 젠더모우드로 할 것인지, FM 트랜스미터로 사용하는 트랜스미터모우드로 할 것인지를 젠더(U2)의 케이싱에 부가적으로 설치가능한 절환스위치(도시하지 아니함)전기적인 결선 또는 휴대폰에서의 소프트웨어적인 사용자 설정에 의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의 구성의 젠더체인저유니트(U)의 젠더(U2)는 휴대폰(H)으로 삽입 시에 휴대폰(H)의 발생오디오를 FM수신기(R)라디오로 전송할 뿐만아니라 FM트랜스미터모드로서 휴대폰(H)이 설정되면 라디오 또는 MP3플레이어의 오디오 역시 FM수신기(R)로 전송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통화 시의 휴대폰(H)의 수화음은 젠더체인저유니트(U)의 젠더(U2)의 내장된 FM트랜스미터에 의하여 통하여 FM수신기(R)로 전송되어 수화를 하고, 송화는 젠더(U2) 내의 내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마이크(도시하지 아니함)로서 수행하게 됨으로서 양손의 작업중 통화가 가능한 핸즈프리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의 기본적인 구성에 부가하여 본 고안에서 주요한 안점으로서 제공이 되는 것은 휴대폰(H)을 사용하지 않는 비통화 상태에서 젠더체인저유니트(U)의 젠더(U2)가 삽입된 채로 방치되어 있다면 휴대폰(H)의 통화유무에 무관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된 젠더(U2)의 회로기판(P) 상의 소자와 후술하는 부가적인 구성의 FM트랜스미터의 회로 등에 의한 전력소모로서 급속하게 방전이 되는 문제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에서는 상기의 젠더체인저유니트(U)의 회로기판(P) 상에 절전회로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절전회로의 구성은 다양한 전기적인 회로의 구성으로서 가능하고 예시적인 구성으로서는 이동통신사의 기지국으로부터 개별 단말기인 휴대폰(H)을 호출하는 호출채널의 데이터의 슬롯(Slot)에 근거하는 방법이다.
통상적인 슬롯은 80msec 단위정도의 연속적인 전송에 의한 슬립상태임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응용할 수 있다. 휴대폰의 MIC 단자는 TCXO 전원단자와 연결되어 있고 휴대폰이 동작하는 동안 이 단자는 일정한 전원이 공급되므로 이를 체크하여 도 7 에서와 같은 예시적인 스위칭회로를 구성하여 (볼티지)레귤레이터(Rg)의 EN 단자를 제어하는 회로를 회로기판(P) 상에 부가하여 가지면 된다.
휴대폰(H)이 슬립모드임을 감지하여, 즉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고 대기중인 상태라면, 슬롯모드가 ON 상태인 동안만 EN 단자를 인에이블상태로 하고, OFF 일 경우에는 EN 단자를 디스에이블로 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젠더체인저유니트(U)가 FM트랜스미터로서 작동하거나 통화중인 경우에만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는;
악세서리 형상체로서 제공됨으로서 언제나 용이하게 휴대하여 사용환경에 맞는 젠더를 구성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FM트랜스미터로서 활용할 수 있음으로서 휴대폰의 부가적인 기능인 라디오나, MP3플레이어의 활용성을 더욱 증대할 수 있는 유용성을 가진다.

Claims (6)

  1. 휴대폰의 20핀커넥터(C)와 상용의 충전기 또는 데이터통신케이블 등의 24핀의 외부웅형접속핀(OC)을 결선정합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폰(H)의 악세서리형상의 젠더체인저유니트(U)를 제공하고,
    상기 젠더체인저유니트(U)는 휴대폰(H)에 부속되어지는 스트링(S)에 끼워 연결되는 장착캡(U1)과, 상기 장착캡(U1)에 끼워져 삽입, 고정되는 젠더(U2) 및 상기 젠더(U2) 에 수용되는 회로기판(P) 상의 상기 휴대폰의 20핀커넥터(C)으로의 삽입용의 20핀웅형(Male)커넥터(20M)와, 상기 외부웅형접속핀(OC)으로의 24핀용의 자형커넥터(24F)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젠더(U2)의 회로기판(P)에는 휴대폰(H)의 보이스디코더(Vd)로부터의 리시버코덱(Rx)과 트랜스미터코덱(Tx)중, 트랜스미터코덱(Tx)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인출하여 휴대폰(H)의 20핀커넥터(C)로부터 젠더(U2) 및 회로기판(P)으로 인출하여 젠더(U2)의 삽입하여 전송되고, 트랜스미터코덱(Tx)으로부터의 오디오신호는 FM주파수발생회로(10)에서 변조되어 회로기판(P) 상에 내장되는 안테나(11)로 송신하는 FM트랜스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FM트랜스미터로서의 젠더(U2)는 케이싱에 비상용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는 주파수선택스위치(SW)및 상기 FM트랜스미터 회로에 주파수선택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
  4. 제 2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 젠더(U2)의 FM트랜스미터의 사용절환은,
    상기 젠더(U2)의 케이싱에 형성된 절환스위치 또는 휴대폰의 소프트웨어적인 설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
  5.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H)의 비통화 상태에서 젠더(U2)에서의 전기적인 소모를 방지하기 위한 절전회로를 상기 회로기판(P) 상에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회로는 이동통신사의 기지국으로부터 개별 단말기인 휴대폰(H)을 호출하는 호출채널의 데이터의 슬롯(Slot)에 근거하여 슬립상태임을 감지하여 스위칭회로에서 (볼티지)레귤레이터(Rg)의 EN 단자를 제어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
KR2020060006279U 2006-03-08 2006-03-08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 KR200416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279U KR200416690Y1 (ko) 2006-03-08 2006-03-08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279U KR200416690Y1 (ko) 2006-03-08 2006-03-08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690Y1 true KR200416690Y1 (ko) 2006-05-22

Family

ID=41766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279U KR200416690Y1 (ko) 2006-03-08 2006-03-08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690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648B1 (ko) * 2007-02-23 2008-12-12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
KR200448194Y1 (ko) * 2007-12-26 2010-03-24 주식회사 이랜텍 보조배터리를 내장한 휴대폰 젠더
WO2010110501A1 (ko) * 2009-03-25 2010-09-30 크레신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
KR200453310Y1 (ko) 2008-07-18 2011-04-19 주식회사 오라컴 안테나가 탑재된 다기능 젠더
KR101031621B1 (ko) * 2009-08-04 2011-04-27 송길석 안테나 겸용 젠더
KR101062958B1 (ko) 2009-11-23 2011-09-07 크레신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
KR200457265Y1 (ko) 2010-12-30 2011-12-13 (주)대영케이티엑스 포터블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젠더
US8502769B2 (en) 2006-10-16 2013-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Universal input devic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2769B2 (en) 2006-10-16 2013-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Universal input device
KR100873648B1 (ko) * 2007-02-23 2008-12-12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
KR200448194Y1 (ko) * 2007-12-26 2010-03-24 주식회사 이랜텍 보조배터리를 내장한 휴대폰 젠더
KR200453310Y1 (ko) 2008-07-18 2011-04-19 주식회사 오라컴 안테나가 탑재된 다기능 젠더
WO2010110501A1 (ko) * 2009-03-25 2010-09-30 크레신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
KR101031621B1 (ko) * 2009-08-04 2011-04-27 송길석 안테나 겸용 젠더
KR101062958B1 (ko) 2009-11-23 2011-09-07 크레신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
KR200457265Y1 (ko) 2010-12-30 2011-12-13 (주)대영케이티엑스 포터블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젠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6690Y1 (ko)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
US7130654B2 (en) Wireless headset having a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and being detachable from a communication device
US8275165B2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combined electrical socket and microphone opening
KR100642310B1 (ko) 와치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어셈블리
US891377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water exposure indicator label
CN106877897A (zh) 射频通信设备
US20060068857A1 (en) Hybrid mobile headset
GB2420048A (en) Bluetooth headset and bluetooth device connectable to audio equipment
WO2005053289A1 (en) Accessory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6424842B1 (en) Dual function connector for cellular phones
KR100827110B1 (ko) 착탈식 헤드 셋을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
CN211128124U (zh) 颈带式耳机
KR100650572B1 (ko) 휴대폰과 에프엠트랜스미터 어셈블리
KR100655102B1 (ko) 휴대폰을 위한 무선 에프엠 스테레오 송신기
CN217135669U (zh) 一种耳机盒及配套使用的耳机
KR20050111273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마이크장치
KR200385662Y1 (ko) 커넥터를 갖춘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
KR200386705Y1 (ko) 핸드폰용 에프엠 스테레오 핸즈프리
WO2008072816A1 (en) A fm transmitter assembly with bluetooth headset for vehicle
KR1006983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395448B1 (ko) 휴대폰용 연결커넥터
KR200409931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연속 공급장치
JP2004080344A (ja) 携帯通信端末及び通話装置
KR200372106Y1 (ko) 각종 오디오기기와 음성통화용 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기능과 usb충전기능이 함께 포함된 복합장치
KR20070029339A (ko) 다기능 블루투스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1209

Effective date: 20090422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812

Effective date: 20090422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1212

Effective date: 20090422

J30C Consolidated trial decis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