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648B1 -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648B1
KR100873648B1 KR1020070018412A KR20070018412A KR100873648B1 KR 100873648 B1 KR100873648 B1 KR 100873648B1 KR 1020070018412 A KR1020070018412 A KR 1020070018412A KR 20070018412 A KR20070018412 A KR 20070018412A KR 100873648 B1 KR100873648 B1 KR 100873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obile terminal
control unit
conversion gender
g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8369A (ko
Inventor
노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Priority to KR1020070018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648B1/ko
Publication of KR20080078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6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duplex wall recepta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넥터가 서로 다르더라도 충전기, 핸즈프리, 데이터 케이블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변환 젠더 본체; 상기 변환 젠더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이동 단말기의 접속 커넥터와 접속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 및 스피커 출력단과 각각 연결하는 메인 커넥터; 상기 메인 커넥터와 동일한 핀 수를 갖거나 다른 핀 수를 갖는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변환 젠더 본체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 및 스피커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 커넥터와 각각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리셉터클; 및 상기 변환 젠더 본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 및 스피커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 커넥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커넥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핀 수를 갖는 커넥터 사이에 적절한 정합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이동통신, 휴대폰, 젠더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Gender for mobile devic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제 1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제 2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제 3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제 4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제 5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다른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또 다른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변환 젠더
110: 메인 커넥터 120: 연결부
130, 130a, 130b: 본체 131, 131a, 132b: 제 1 리셉터클
132, 132a, 132b: 제 2 리셉터클 133: 제 3 리셉터클
134: 제 1 오디오 커넥터 135, 135a, 135b: 제 2 오디오 커넥터
140: 제 1 제어부 150: 제 2 제어부
160: 제 3 제어부 170: 음향 입력부
171: 데이터 입력부 180: FM 신호 송수신부
190: 라디오 수신부 200: 이동통신 단말기
210: 이동통신 단말기 커넥터 300: 충전기
310: 충전기 커넥터 320: 연결부
330: 충전기 본체 400: 이어폰
410: 이어폰 커넥터
본 발명은 변환 젠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넥터가 서로 다르더라도 충전기, 핸즈프리, 데이터 케이블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팜PC, PDA, 전자수첩,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플레이어, PMP 등의 휴대용 전자장치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사용은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크기도 더욱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제조사(Maker)와 이동 단말기의 기종에 따라서 다양한 내부회로를 구성하고,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다수의 커넥터를 이동 단말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설치하여 인터페이싱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특히, 데이터통 신이나 충전을 위한 IF커넥터와 이어폰 커넥터의 삽입을 위한 오디오 커넥터가 대부분 구비되어 충전은 IF커넥터로 수행하고 이어폰 기능은 오디오 커넥터를 사용하도록 분리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 이동 단말기 특히 휴대폰이 박형화 및 경량화됨에 따라서 복수개의 커넥터를 휴대폰에 구비하는 것은 설계 및 적용상 바람직하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휴대폰이 충전 및 데이터통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커넥터를 확장하여 핀수를 20 핀(Pin)을 가지는 커넥터가 구성되도록 제공함으로써 휴대폰의 슬림 화에 부응하고 있다.
이러한 제조사 측의 요구에 따라 제공되는 커넥터와는 별도로 예를 들면 충전기의 제공에 의한 자원의 낭비와 경제적 부담의 증대를 방지하기 위하여 24핀을 가지는 표준형 커넥터가 대부분의 충전기와 데이터통신케이블에 채택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소유한 휴대폰 기종에 따라 커넥터 핀수를 정합시키기 위해 소위, 젠더(gender changer)라 불리는 부가적인 커넥터 변환 부품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젠더는 인터페이스 간의 상이한 핀수를 정합시키기 위한 자웅커넥터부를 일체로 가지는 것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젠더는 예를 들면 24핀 커넥터가 20핀 커넥터와 정합될 수 있도록 변환할 뿐 다른 핀 수 예를 들면 24핀 커넥터가 동시에 20핀 커넥터 및 10핀 커넥터와 정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젠더는 예를 들면, 20핀 커넥터를 사용하는 휴대폰에 오디오 커넥터 또는 10핀 커넥터를 연결 사용하는 경우 휴대폰의 입력 회로부에 불합리한 연결구성으로 인하여 20핀으로 구성된 휴대폰에 무리한 전기적 연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하여 휴대폰이 오동작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입력 구조가 다른 커넥터들 사이에 무리한 전기적 연결로 인하여 일부 특정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정상적으로 20핀 커넥터를 연결한 경우 음성 통화의 송수신 및 통화 발신 및 통화 종료 등의 부가기능이 모두 수행되지만, 변환 젠더를 사용하여 20핀을 24핀 또는 24핀을 20핀으로 변환한 경우 음성 통화의 송수신만 제공되고, 통화 발신 및 통화 종료 등의 부가기능은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핀 수를 갖는 커넥터 사이에 적절한 정합을 제공하여 변환 젠더를 통해 접속된 기기들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변환 젠더로서, 변환 젠더 본체; 상기 변환 젠더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이동 단말기의 접속 커넥터와 접속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 스피커 출력단, 데이터 통신단 및 충전단과 연결하는 메인 커넥터; 상기 메인 커넥터와 동일한 핀 수를 갖거나 또는 다른 핀 수를 갖는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변환 젠더 본체의 타측에 설치한 다수의 리셉터클; 상기 메인 커넥터와 다수의 리셉터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커넥터와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제 1 제어부; 상기 변환 젠더 본체의 타측에 설치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커넥터; 및 일측이 상기 오디오 커넥터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 1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제어부의 메인 커넥터와 오디오 커넥터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며, 상기 제 1 제어부와 접속된 리셉터클들의 접지 전원과 상기 오디오 커넥터의 접지 전원이 분리되도록 하여 각 커넥터들 사이의 입력 구조가 서로 다름에 따른 부정합 발생과 이동 단말기의 일부 기능의 사용 불능을 방지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한다.
삭제
또한, 상기 변환 젠더 본체에 설치되어 음향 신호를 검출하는 음향 입력부; 상기 변환 젠더 본체에 설치되어 동작 제어 신호를 검출하는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음향 입력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음향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동작 제어 신호가 상기 제 1 제어부와 인터페이스 되도록 제어하는 제 3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 제어부는 상기 제 1 제어부에서 인터페이스 되는 신호를 FM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FM 신호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 제어부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제어부로 출력하는 라디오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환 젠더 본체는 사면체, 오면체, 육면체, 칠면체 또는 팔면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은 10핀-리셉터클, 20핀-리셉터클 또는 24핀-리셉터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커넥터는 직경이 2.5 파이(φ) 또는 3.5 파이(φ)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제 1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변환 젠더(100)는 이동통신 단말기 커넥터(210, 도 7 참조)와 연결되는 메인 커넥터(110)와, 다수의 외부 장치들과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리셉터클(receptacle)이 설치된 변환 젠더 본체(130)를 포함한다.
메인 커넥터(110)는 이동 단말기의 접속 커넥터(210, 도 7 참조)와 접속하고, 바람직하게 메인 커넥터(110)는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자 및 스피커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본 실시에에서 메인 커넥터(110)는 20핀 커넥터를 사용한다.
또한, 메인 커넥터(110)는 변환 젠더 본체(130)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고, 변환 젠더 본체(130)의 일측에 연결부(120)를 통해 결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때 연결부(120)는 바람직하게 케이블이다.
변환 젠더 본체(130)는 합성 수지재로 구성되고, 사면체 형상, 오면체 형상 또는 육면체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고 본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의 육면체 형상이다.
또한, 변환 젠더 본체(130)의 측면에는 메인 커넥터(110)와 동일한 핀 수를 갖거나 다른 핀 수를 갖는 핸즈프리 장치(미도시) 등의 커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리셉터클(131, 132 및 133)과, 이어폰(400, 도 7 참조) 등의 커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가 설치된다.
리셉터클(131, 132 및 133)은 메인 커넥터(110)와 케이블 또는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리셉터클(131, 132 및 133)에 접속한 상기 핸즈프리 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200, 도 7 참조)와 통화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제 1 리셉터클(131)은 메인 커넥터(110)와 동일한 핀 수의 커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20핀-리셉터클이고, 제 2 리셉터클(132)은 24핀 커넥터와 접속할 수 있도록 24핀-리셉터클로 구성되며, 제 3 리셉터클(133)은 10핀 커넥터와 접속할 수 있도록 10핀-리셉터클로 이루어진다.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는 메인 커넥터(110)와 케이블 또는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에 접속한 핸즈프리용 이 어폰 또는 헤드 셋이 이동통신 단말기(200, 도 7 참조)와 통화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제 1 오디오 커넥터(134)는 직경이 2.5 파이(φ)인 이어폰 또는 헤드셋의 이어폰 커넥터와 연결하기 위한 2.5 파이(φ) 접속용 오디오 커넥터이고, 제 2 오디오 커넥터(135)는 직경이 3.5 파이(φ)인 이어폰 또는 헤드셋의 이어폰 커넥터와 연결하기 위한 3.5 파이(φ) 접속용 오디오 커넥터이다.
한편, 제 1 내지 제 3 리셉터클(131 내지 133)과, 제 1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는 바람직하게 메인 커넥터(110)와 각각 병렬 연결되고, 메인 커넥터(110)를 통해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 및 스피커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제 2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100a)는 이동 단말기의 접속 커넥터와 접속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 스피커 출력단, 데이터 통신단 및 충전단과 연결하는 메인 커넥터(110)와, 메인 커넥터(110)와 동일한 핀 수를 갖거나 또는 다른 핀 수를 갖는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해 변환 젠더 본체(130)의 타측에 설치한 다수의 리셉터클(131 내지 133) 및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와, 메인 커넥터(110)와 다수의 리셉터클(131 내지 133)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제 1 제어부(140)와, 메인 커넥터(110)와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고, 다수의 리셉터클(131 내지 133)과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의 접지 전원이 분리되도록 하는 제 2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즉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는 다르게 메인 커넥터(110)와 제 1 내지 제 3 리셉터클(131 내지 133)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위한 제 1 제어부(140)가 설치되고, 메인 커넥터(110)와 제 1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제 2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한편,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커넥터(110)는 이동 단말기의 접속 커넥터(210, 도 7 참조)에 접속되도록 하는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210)의 마이크 입력단자, 스피커 출력단자, 데이터 통신단자 및 전원 충전단자 등과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제 1 제어부(140)는 메인 커넥터(110)와 다수의 리셉터클(131 내지 133)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구성으로써, 바람직하게 사용하는 핀 수가 서로 다른 커넥터들 사이에 원활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데이터 변환을 수행한다.
즉 메일 커넥터(110)와 다수의 리셉터클(131 내지 133) 사이에 마이크 신호, 스피커 신호, 통화 스위치 신호, 데이터 신호 및 충전 전원 등의 전기적인 연결이 원활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각각의 핀 연결과, 데이터 신호의 전송 포멧 변환(예를 들면, 병렬 전송을 시프트 시켜 직렬 전송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반대 기능)을 수행한다.
제 2 제어부(150)는 제 1 제어부(140)와 연결되어 메인 커넥터(110)와,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구성으로써, 메인 커넥터(110)의 핀 수(예를 들면, 20핀)보다 오디오 커넥터의 핀 수(3핀~4핀)가 현저하게 작아 원활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데이터 변환을 수행한다.
즉 제 1 제어부(140)를 통해 연결된 메인 커넥터(110)와 제 1 오디오 커넥터(134)를 연결하는 경우 마이크 신호, 스피커 신호 및 통화 스위치 신호가 연결되도록 하고, 메인 커넥터(110)와 제 2 오디오 커넥터(135)를 연결하는 경우 마이크 신호, 스피커 신호가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제 2 제어부(150)는 제 1 제어부(140)와 연결된 다수의 리셉터클(131 내지 133)과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의 접지 전원이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면 20핀의 커넥터 입력구조와 오디오 커넥터의 입력구조가 서로 다름에 따른 부정합 발생과 일부 기능의 사용 불능 상태 발생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환 젠더(100a)는 제 1 제어부(140)를 통해 메인 커넥터(110)와 다수의 리셉터클(131 내지 133)이 연결되고, 제 1 및 제 2 제어부(140 및 150)를 통해 메인 커넥터(110)와 다수의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가 연결된다.
(제 3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제 3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100b)는 이동 단말기의 접속 커넥터와 접속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 스피커 출력단, 데이터 통신단 및 충전단과 연결하는 메인 커넥터(110)와, 메인 커넥터(110)와 동일한 핀 수를 갖거나 또는 다른 핀 수를 갖는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해 변환 젠더 본체(130)의 타측에 설치한 제 1 내지 제 3 리셉터클(131 내지 133) 및 제 1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와, 메인 커넥터(110)와 제 1 및 제 2 리셉터클(131 및 132)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제 1 제어부(140)와, 메인 커넥터(110)와 제 1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고, 제 1 내지 제 3 리셉터클(131 내지 133)과 제 1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의 접지 전원이 분리되도록 하는 제 2 제어부(150)와, 메인 커넥터(110)와 제 3 리셉터클(133)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고, 변환 젠더 본체(130)에 설치되어 음향 신호를 검출하는 음향 입력부(170)와 동작 제어용 신호를 검출하는 데이터 입력부(171)로부터 검출한 음향 신호 및 동작 제어용 신호가 제 1 제어부(140)와 인터페이스 되도록 제어하는 제 3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즉 제 3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와는 다르게 마이크 등의 음향 입력부(170)와, 키 패드, 스위치 입력수단 또는 가변저항 등의 데이터 입력부(171)와, 음향 입력부(170) 및 데이터 입력부(171)로부터 검출한 신호 또는 데이터가 제 1 및 제 2 제어 부(140 및 150)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하는 제 3 제어부(160)가 부가된 구성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리셉터클(133)이 제 3 제어부(160)를 통해 제 1 제어부(140)와 접속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제 2 실시예와 같이 제 1 제어부(140)에 접속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3 제어부(160)는 마이크, 통화 스위치, 볼륨 등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마이크나 볼륨 제어 스위치 또는 통화 스위치 등의 데이터 입력 수단이 포함된 핸즈프리용 이어폰이 아니라 일반적인 오디오 이어폰이 연결된 경우 핸즈프리 기능이 가능하도록 동작한다.
즉 제 3 제어부(160)는 음향 입력부(170)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와, 데이터 입력부(171)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제어용 신호를 제 1 제어부(140)로 전송하고, 제 1 제어부(140)로부터 전송되는 음향 신호는 제 2 제어부(150)로 전송하여 제 2 오디오 커넥터(135)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제 3 제어부(160)는 데이터 입력부(171)로부터 볼륨 제어를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크기 신호에 따라 제 1 제어부(140)로 전송되는 음향 신호의 크기가 증폭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 2 제어부(150)로 송신되는 음향 신호의 크기가 증폭되도록 제어한다.
음향 입력부(170)는 변환 젠더 본체(1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 또는 음향 신호를 검출하는 구성으로써, 바람직하게 마이크이다.
데이터 입력부(171)는 변환 젠더 본체(130)의 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핸즈프리 동작 선택 신호를 검출하는 구성으로써, 스위치, 키패드 또는 가변 저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핸즈프리 기능이 없는 이어폰이 접속되어도 핸즈프리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제 4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100c)는 이동 단말기의 접속 커넥터와 접속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 스피커 출력단, 데이터 통신단 및 충전단과 연결하는 메인 커넥터(110)와, 메인 커넥터(110)와 동일한 핀 수를 갖거나 또는 다른 핀 수를 갖는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해 변환 젠더 본체(130)의 타측에 설치한 제 1 내지 제 3 리셉터클(131 내지 133) 및 제 1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와, 메인 커넥터(110)와 제 1 및 제 2 리셉터클(131 및 132)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제 1 제어부(140)와, 메인 커넥터(110)와 제 1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고, 제 1 내지 제 3 리셉터클(131 내지 133)과 제 1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의 접지 전원이 분리되도록 하는 제 2 제어부(150)와, 메인 커넥터(110)와 제 3 리셉터클(133)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고, 변환 젠더 본체(130)에 설치되어 음향 신호를 검출하는 음향 입력부(170)와 동작 제어용 신호를 검출하는 데이터 입력부(171)로부터 검출한 음향 신호 및 동작 제어용 신호가 제 1 제어부(140)와 인터페이스 되도록 제어하는 제 3 제어부(160)와, 제 1 제어부(140)에서 인터페이스 되는 신호를 FM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FM 신호 송신부(180)를 포함한다.
즉 제 4 실시예는 제 3 실시예와는 다르게 차량이나 휴대용 오디오 기기에 설치된 FM 라디오로 통화 내용이 송신되도록 FM 신호 송신부(180)가 부가된 구성으로써, 제 4 실시예에 따른 FM 신호 송신부(180)는 제 3 제어부(160)와 연결되어 데이터 입력부(171)로부터 FM 신호를 이용한 음향 송신이 입력된 경우 제 1 제어부(140)로부터 전송되는 음향 출력 신호를 미리 설정된 FM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여 출력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리셉터클(133)이 제 3 제어부(160)를 통해 제 1 제어부(140)와 접속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제 2 실시예와 같이 제 1 제어부(140)에 접속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제 4 실시예에 따른 변환 젠더(100c)는 별도의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없이 사용자에게 핸즈프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 5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제 5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100d)는 이동 단말기의 접속 커넥터와 접속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 스피커 출력단, 데이터 통신단 및 충전단과 연결하는 메인 커넥터(110)와, 메인 커넥터(110)와 동일한 핀 수를 갖거나 또는 다른 핀 수를 갖는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해 변환 젠더 본체(130)의 타측에 설치한 제 1 내지 제 3 리셉터클(131 내지 133) 및 제 1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와, 메인 커넥터(110)와 제 1 및 제 2 리셉터클(131 및 132)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제 1 제어부(140)와, 메인 커넥터(110)와 제 1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고, 제 1 내지 제 3 리셉터클(131 내지 133)과 제 1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의 접지 전원이 분리되도록 하는 제 2 제어부(150)와, 메인 커넥터(110)와 제 3 리셉터클(133)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고, 변환 젠더 본체(130)에 설치되어 음향 신호를 검출하는 음향 입력부(170)와 동작 제어용 신호를 검출하는 데이터 입력부(171)로부터 검출한 음향 신호 및 동작 제어용 신호가 제 1 제어부(140)와 인터페이스 되도록 제어하는 제 3 제어부(160)와,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제 1 제어부(140) 또는 제 2 제어부(150)로 출력하는 라디오 수신부(190)를 포함한다.
즉 제 5 실시예는 제 3 실시예와는 다르게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제 1 내지 제 3 리셉터클(131 내지 133) 또는 제 1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와 접속된 이어폰으로 출력되도록 부가된 구성으로써, 제 5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수신부(190)는 제 3 제어부(160)와 연결되어 데이터 입력부(171)로부터 라디오 신호의 출력이 입력된 경우 미리 설정된 주파수 신호로부터 라디오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리셉터클(133)이 제 3 제어부(160)를 통해 제 1 제어부(140)와 접속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제 2 실시예와 같이 제 1 제어부(140)에 접속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제 5 실시예에 따른 변환 젠더(100d)는 사용자에게 핸즈프리 기능 이외에 라디오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환 젠더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하부에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 커넥터(210)에 메인 커넥터(110)를 접속하고, 변환 젠더 본체(130)의 일측에 설치된 다수의 리셉터클(131)들 또는 오디오 커넥터(135) 중 어느 하나에 이동통신 단말기 커넥터(210)의 핀 수와 다른 핀 수를 갖는 장치를 연결한 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 커넥터(210)의 핀 수(예를 들면, 20핀)와 다른 핀 수(예를 들면, 24핀)를 갖는 충전기(300)를 연결하는 경우 변환 젠더의 메인 커넥터(110)는 이동통신 단말기 커넥터(210)에 접속하고, 충전기 본체(330)와 연결부(320)를 통해 연결된 충전기 커넥터(310)를 변환 젠더 본체(130)의 일측에 형성한 리셉터클에 접속하여 서로 다른 핀 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충전기(3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핸즈프리 기능이 없는 오디오 이어폰(400)을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접속하는 경우 변환 젠더의 메인 커넥터(110)는 이동통신 단말기 커넥터(210)에 접속하고, 이어폰 커넥터(410)를 변환 젠더 본체(130)의 일측에 형성한 제 2 오디오 커넥터(135)에 접속하여 서로 다른 핀 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핸즈프리 기능이 없는 이어폰(4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다른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변환 젠더(100e)는 이동통신 단말기 커넥터(210, 도 7 참조)와 연결되는 메인 커넥터(110)와, 다수의 외부 장치들과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리셉터클이 설치된 변환 젠더 본체(130a)와, 메인 커넥터(110)와 변환 젠더 본체(130a)를 연결하는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즉 도 8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변환 젠더(100e)는 도 1의 변환 젠더 본체 (130) 형상과 다르게 대략 정사각형상의 육면체로 구성되고, 상기 정사각형상의 육면체 측면에는 제 1 리셉터클(131a), 제 2 리셉터클(132a), 제 3 리셉터클(미도시), 제 1 오디오 커넥터(미도시)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5a)가 설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또 다른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변환 젠더(100f)는 이동통신 단말기 커넥터(210, 도 7 참조)와 연결되는 메인 커넥터(110)와, 다수의 외부 장치들과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리셉터클이 설치된 변환 젠더 본체(130b)와, 메인 커넥터(110)와 변환 젠더 본체(130b)를 연결하는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즉 도 9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변환 젠더(100f)는 도 1의 변환 젠더 본체(130) 형상과 다르게 대략 오각형상의 팔면체로 구성되고, 상기 오각형상의 팔면체 측면에는 제 1 리셉터클(131b), 제 2 리셉터클(132b), 제 3 리셉터클(미도시), 제 1 오디오 커넥터(미도시)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5b)가 설치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의 변환 젠더 형상은 육면체, 팔면체 이외에 사면체, 오면체, 칠면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는 서로 다른 핀 수를 갖는 커넥터 사이에 적절한 정합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는 서로 다른 커넥터를 갖는 외부 기기들이 변환 젠더를 통해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이동 단말기의 변환 젠더로서,
    변환 젠더 본체;
    상기 변환 젠더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이동 단말기의 접속 커넥터와 접속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 스피커 출력단, 데이터 통신단 및 충전단과 연결하는 메인 커넥터;
    상기 메인 커넥터와 동일한 핀 수를 갖거나 또는 다른 핀 수를 갖는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변환 젠더 본체의 타측에 설치한 다수의 리셉터클;
    상기 메인 커넥터와 다수의 리셉터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커넥터와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제 1 제어부;
    상기 변환 젠더 본체의 타측에 설치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커넥터; 및
    일측이 상기 오디오 커넥터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 1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제어부의 메인 커넥터와 오디오 커넥터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며, 상기 제 1 제어부와 접속된 리셉터클들의 접지 전원과 상기 오디오 커넥터의 접지 전원이 분리되도록 하여 각 커넥터들 사이의 입력 구조가 서로 다름에 따른 부정합 발생과 이동 단말기의 일부 기능의 사용 불능을 방지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젠더 본체에 설치되어 음향 신호를 검출하는 음향 입력부;
    상기 변환 젠더 본체에 설치되어 동작 제어 신호를 검출하는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음향 입력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음향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동작 제어 신호가 상기 제 1 제어부와 인터페이스 되도록 제어하는 제 3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제어부는 상기 제 1 제어부에서 인터페이스 되는 신호를 FM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FM 신호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 말기용 변환 젠더.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제어부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제어부로 출력하는 라디오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젠더 본체는 사면체, 오면체, 육면체, 칠면체 또는 팔면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
  7.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10핀-리셉터클, 20핀-리셉터클 또는 24핀-리셉터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
  8.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커넥터는 직경이 2.5 파이(φ) 또는 3.5 파이(φ)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
KR1020070018412A 2007-02-23 2007-02-23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 KR100873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412A KR100873648B1 (ko) 2007-02-23 2007-02-23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412A KR100873648B1 (ko) 2007-02-23 2007-02-23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369A KR20080078369A (ko) 2008-08-27
KR100873648B1 true KR100873648B1 (ko) 2008-12-12

Family

ID=39880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412A KR100873648B1 (ko) 2007-02-23 2007-02-23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64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523Y1 (ko) 2008-12-03 2010-10-07 안효진 휴대폰용 젠더의 보호케이스
KR200451805Y1 (ko) 2009-07-14 2011-01-12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휴대폰용 젠더
KR101062958B1 (ko) * 2009-11-23 2011-09-07 크레신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
KR101066831B1 (ko) 2009-09-28 2011-09-26 안경은 다기능 젠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0501A1 (ko) * 2009-03-25 2010-09-30 크레신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
KR100983984B1 (ko) * 2009-05-28 2010-09-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단말기과 모바일 칩 서비스용 외장 젠더의 인터페이스 방법
KR101107247B1 (ko) * 2010-04-27 2012-01-25 조부연 휴대용메모리장치가 결합된 휴대단말기용 젠더장치
KR101239024B1 (ko) * 2010-10-12 2013-03-04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KR101239044B1 (ko) * 2010-12-14 2013-03-04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KR101239002B1 (ko) * 2010-12-14 2013-03-04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KR101148955B1 (ko) * 2011-01-24 2012-05-22 (주)바늘 젠더 및 모바일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
CN105898639A (zh) * 2016-04-20 2016-08-24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适用于耳机的usb接口插入端和耳机
CN105896221A (zh) * 2016-05-17 2016-08-24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转接器和双面磁吸式转换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2205A (ja) 2002-03-25 2003-10-03 Murata Mfg Co Ltd マルチアダプタおよびアダプタケーブル
KR20050078922A (ko) * 2004-02-03 2005-08-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단말기용 멀티 인터페이스 장치
KR200399441Y1 (ko) * 2005-08-08 2005-10-24 심종섭 멀티 usb 젠더
KR200416690Y1 (ko) * 2006-03-08 2006-05-22 (주) 지.티 텔레콤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2205A (ja) 2002-03-25 2003-10-03 Murata Mfg Co Ltd マルチアダプタおよびアダプタケーブル
KR20050078922A (ko) * 2004-02-03 2005-08-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단말기용 멀티 인터페이스 장치
KR200399441Y1 (ko) * 2005-08-08 2005-10-24 심종섭 멀티 usb 젠더
KR200416690Y1 (ko) * 2006-03-08 2006-05-22 (주) 지.티 텔레콤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523Y1 (ko) 2008-12-03 2010-10-07 안효진 휴대폰용 젠더의 보호케이스
KR200451805Y1 (ko) 2009-07-14 2011-01-12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휴대폰용 젠더
KR101066831B1 (ko) 2009-09-28 2011-09-26 안경은 다기능 젠더
KR101062958B1 (ko) * 2009-11-23 2011-09-07 크레신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젠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369A (ko) 200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648B1 (ko)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
EP1998415A1 (en) Multipurpose accessory 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
CN101207256B (zh) 一种音频信号转接装置
CN111356044B (zh) 音频通信系统及操作音频通信系统的方法
CN103533141A (zh) 用于有线及无线通信的免提通信装置
CN210536921U (zh) 一种多功能tws蓝牙耳机音箱
EP3804352B1 (en) A headset system with a headset and a control box
CN202750204U (zh) Usb耳机麦克风装置
CN201528042U (zh) 天线装置和终端设备
US11449300B2 (en) Audio output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audio processing system device
KR1007443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
US6782099B1 (en) Speaker-phone base for a portable telephone
KR20060120303A (ko)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장치
KR200421707Y1 (ko) 무선통신 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다기능 컴퓨터 키보드
CN203813936U (zh) 音频传输装置
CN204014026U (zh) 音频传输电路
KR1006067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듀얼 uart회로
US8160643B2 (en) Radio accessory having pass through connector
CN215991145U (zh) 一种双向无线麦克风
CN215815175U (zh) 一种可分离式uhf无线麦克风系统及大屏终端
CN219372568U (zh) 一种带双接口多功能发射器的耳机
CN210780787U (zh) 一种蓝牙转接器
CN219086405U (zh) 一种音频转换设备
CN106652994A (zh) 一种实现主动降噪的终端配件及终端组件
CN203026982U (zh) 一种带音响的手机充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