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656B1 - 보어간 실링구조를 갖는 가스켓 - Google Patents

보어간 실링구조를 갖는 가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656B1
KR100911656B1 KR1020080072091A KR20080072091A KR100911656B1 KR 100911656 B1 KR100911656 B1 KR 100911656B1 KR 1020080072091 A KR1020080072091 A KR 1020080072091A KR 20080072091 A KR20080072091 A KR 20080072091A KR 100911656 B1 KR100911656 B1 KR 100911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bead
substrate
gask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선
장재규
홍진기
Original Assignee
동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2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18Flat gaskets
    • F16J15/0825Flat gaskets la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1/00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1/002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involving 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18Flat gaskets
    • F16J2015/085Flat gaskets without fold o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18Flat gaskets
    • F16J2015/0862Flat gaskets with a bore 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어와 대응하는 기판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구멍의 주위에 기판비드가 형성되며 상기 기판비드 외측에는 복수의 볼트삽입공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적층되며 상기 보어와 대응하는 스토퍼구멍이 형성된 스토퍼를 구비하고, 실린더헤드와 실린더블록과의 접합면 사이에 게재하여 볼트결합으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접합면 사이를 시일 하도록 하는 가스켓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기판에서 기판비드와 평탄부가 접하는 부분과 대향하도록 스토퍼비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어간 실링구조를 갖는 가스켓에 의해 달성된다.
가스켓, 기판, 스토퍼, 기판비드, 스토퍼비드

Description

보어간 실링구조를 갖는 가스켓{GASKET WITH SEALING STRUCTURE AMONG BORE}
본 발명은 보어간 실링구조를 갖는 가스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연기관의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헤드 사이를 밀봉하는데 사용되는 가스켓에서보어간 부분에 부분적으로 스토퍼 비드를 형성함으로서 보어간 부분에서의 간극량을 보정할 수 있으며, 헤드리프트를 억제하여 시일성능이 우수하고, 스토퍼 비드를 기판에서 평탄부 및 기판비드가 접하는 부분과 대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력집중을 완화할 수 있는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켓(gasket)은 엔진(내연기관), 유/공압장치 등에서 유체, 기체 등이 왕래하는 부품과 부품간의 결합면, 혹은 접촉면 사이에 끼워져서 이들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가스켓 중 차량 등의 엔진부분에 적용되는 것을 살펴보면, 차량의 엔진에서는 특히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의 접합면 사이와,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 헤드 커버의 접촉면 사이 등에 설치되어 밀봉수단(seal)의 기능을 담당하며, 연소실내 고압 연소가스의 누설을 방지한다. 연소실의 내부는 압축, 팽창, 폭발, 배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4행정 사이클 과정 동안 실린더 내부 압력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기계적 환경에 놓여 있다.
특히, 폭발시의 내부 가스 압력은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블록을 체결하는 볼트결합의 체결력을 초과할 정도로 높기 때문에 실린더 헤드를 상향으로 밀어 올리는 힘(lift-up force : 이하 '리프트 포스'라 함)이 발생되어서, 가스켓과 실린더 헤드 내지 실린더 블록 사이에 미세한 간극이 존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압축착화기관에서 실린더 헤드는 리프트 포스를 받을 때 실린더 블록의 상면으로부터 높이 10㎛(0.01㎜) ∼ 15㎛(0.015㎜) 정도 튀어 올라가기 때문에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 블록의 사이에 유동적 간극을 만들게 된다.
이때, 내부 가스 압력이 대략적으로 대기압의 200배 정도이기 때문에, 내부 가스는 간극을 통해 외부로 세어나가게 되어서 내연기관의 연소효율에 악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렇게 미세한 간극은 사이클의 진행 동안 실린더 내부의 하중 변화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하므로, 내연기관에서 만족할만한 밀봉을 유지하고 폭발시 발생되는 미세 간극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탄성과 함께 내구성을 갖는 금속가스켓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 따른 금속가스켓은 도 1a 내지 도 1d에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보어의 변형을 최소화 하면서 실링성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로써 상, 하 기판(2a, 2b) 사이에 평판 형상의 스토퍼(1)가 게재된 구조가 제시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과 같이 보어 주변부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는 스토퍼(1)가 게재된 가스켓을 실린더블록과 실린더헤드 사이에 볼트결합에 의한 체결 시 스토퍼에 의한 면압의 분포가 균일하며 넓은 면적에 걸쳐서 걸리는 하중으로 면압의 정도는 중저압에 국한되는데, 엔진의 고출력 화 할수록 보어에서 발생하는 연소압의 상승에 의해 가스누출의 문제가 있다.
특히 보어간 부분은 보어 주변부의 타 부분보다 실린더블록과 실린더헤드 사이에 볼트결합에 의한 체결 시 밀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는데 그 간극량이 작게는 10㎛, 일반적으로는 20 ~ 30㎛정도까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보어간 부분과 보어 주변부의 타 부분과의 간극량의 차이에 의해 가스의 시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판에서 평탄부 및 기판비드가 접하는 부분에서 응력이 집중됨에 의해 기판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내구성의 저하는 결국 가스의 시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취약점을 해결하고자, 실린더블록과 실린더 헤드 사이에서 볼트결합에 의한 체결 시 보어간 부분에서의 간극량 차이를 보정할 수 있으며, 기판에서 평탄부와 기판비드가 접하는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력집 중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켓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어와 대응하는 기판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구멍의 주위에 기판비드가 형성되며 상기 기판비드 외측에는 복수의 볼트삽입공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적층되며 상기 보어와 대응하는 스토퍼구멍이 형성된 스토퍼를 구비하고, 실린더헤드와 실린더블록과의 접합면 사이에 게재하여 볼트결합으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접합면 사이를 시일 하도록 하는 가스켓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스토퍼비드를 구성하되, 상기 스토퍼비드는 산부분이 평평한 풀비드 형상이고, 상기 스토퍼비드의 산부분이 상기 기판에서 기판비드와 평탄부가 접하는 부분과 대향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어간 실링구조를 갖는 가스켓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에는 스토퍼비드가 상기 기판비드의 산부분 또는 골부분에 상기 스토퍼비드의 산부분이 대향하는 스토퍼비드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스토퍼 상에 형성되는 상기 스토퍼비드는 스토퍼 구멍 사이에만 부분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판과 하기판으로 구성되며, 상기판과 하기판의 사이에 스토퍼가 삽입되도록 구성하되 상기판의 제 1기판비드는 상향으로 구성되고, 하기판의 제 2기판비드는 하향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골부분이 대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보어간 실링구조를 갖는 가스켓은 보어간 부분에 스토퍼 비드를 구성하여 보어간 부분에서의 간극량을 보정하고, 하중을 집중시킴으로써 가스의 시일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어간 부분의 하중 집중에 의해 실린더헤드 또는 실린더블록의 변형을 주어 헤드리프트가 억제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토퍼 비드를 기판의 평탄부와 기판비드가 접하는 부분과 대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력집중을 스토퍼 비드의 탄성에 의해 완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보어간 실링구조를 갖는 가스켓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어간 실링구조를 갖는 가스켓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2a는 본 발명의 보어간 실링구조를 갖는 가스켓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 스토퍼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a는 도 2a에서 A-A부분의 측단면도로서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3b는 도 2a에서 A-A부분의 측단면도로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3c는 도 2a에서 A'-A'부분의 측단면도이고, 도 3d는 도 2a에서 B-B부분의 측단면도이고, 도 4a는 도 2a에서 A-A부분의 측단면도로서 스토퍼에 수지계 물질 코팅층이 도포된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4b는 도 2a에서 B-B부분의 측단면도로서 스토퍼에 수지계 물질 코팅층이 도포된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서 기판에 수지계 물질 코팅층이 도포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에서 기판 또는 스토퍼에 수지계 물질 코팅층이 도포되는 구조에 따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면압, 간극량, 헤드리프트량의 차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박판형상으로 보어에 대응하는 기판구멍(21a, 21b)이 각각 형성된 상기판(20a)과 하기판(20b) 사이에 상기 보어에 대응하는 스토퍼구멍(11)을 형성하는 스토퍼(10)가 적층되어 가스켓의 시일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각각의 기판구멍(21a, 21b)으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링 형상의 파형 단면을 상 또는 하향으로 향하여 탄성력을 갖는 제 1, 2기판비드(22a,22b)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판(20a)에는 상향으로 돌출 굴곡된 제 1기판비드(22a)가 형성되어 있고, 하기판(20b)에는 하향으로 돌출 굴곡된 제 2기판비드(22b)가 형성되어 있어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골부분이 스토퍼(1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본 발명이 실린더헤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실린더블록(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사이에서 볼트결합(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체결되는 경우 상기 각각의 골부분에 압력이 작용하여 시일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일 구성인 스토퍼(10)는 기판 사이에 적층되어 실린더블록과 실린더헤드 사이에 게재되어 조립되는 경우에 보어 및 기판구멍에 대응하는 스토퍼구멍(11)이 각각 형성되며, 그 너비는 적층 시 기판구멍(21)으로부터 상기 기판비드(22a,22b)의 산부분까지의 너비보다 크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 도 3a 및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0)에는 상기 기판(20a, 20b)에서 기판비드(22a, 22b)와 평탄부(23)가 접하는 부분 즉 도 3a 및 도 3b에서 P포인트로써 4개의 포인트가 제시되는데 상기 각각의 P포인트와 대향하도록 스토퍼비드(12)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비드(12)는 보어 간 부분 즉 스토퍼 구멍(11) 사이에만 부분적으로 형성됨에 특징이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3a 및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판비드(22a, 22b)와 평탄부(23)가 접하는 부분 즉 P포인트에 상기 스토퍼비드(12)의 산부분이 대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각각의 P포인트에서 응력집중에 의한 기판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스토퍼비드(12)는 보어간 부분(C부분) 즉 스토퍼 구멍(11)과 스토퍼 구멍(11) 사이 부분에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도 3d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 부분에서는 평활면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보어간 부분의 간극량을 보정하여 가스의 시일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헤드리프트를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부분적 스토퍼비 드(12)의 구성에 의해 각각의 기판비드가 완전히 압착됨을 방지하여 기판비드의 탄성력 저하로 인한 시일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비드(12)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도 3a 내지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산부분이 평평한 풀비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산부분이 평평한 풀비드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산부분이 곡면으로 구성되는 풀비드 보다 가스켓 밀착성 및 씰추종성이 우수하고 P포인트에서 평평한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은 완전히 곡면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발생하기 쉬운 프레팅에 의한 피로파괴를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특히 본 발명의 스토퍼비드(12)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어간 부분(C부분)에 부분적으로 형성함에 따라 스토퍼비드(12)의 형상을 산부분이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함에 의해 스토퍼비드(12)가 끝나는 지점에서 완만한 경사를 형성할 수 있어 가스의 릭(leak)을 방지하는데 유리한 것이다. 즉 풀비드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산부분의 곡면으로 인해 완만한 경사를 이루면서 평탄면을 구성하는 것이 어려워 가스의 릭(leak) 면에서 불리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토퍼(10)에서 스토퍼비드(12)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P지점 뿐만 아니라 기판비드(22a, 22b)와 대향하도록 즉 상기 기판비드(22a, 22b)의 산부분 또는 골부분에 상기 스토퍼비드(12)의 산부분이 대향하도록 구성함에 의해 가스켓 체결 시 기판비드(22a, 22b)의 탄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기판(20a, 20b)에서 기판비드(22a, 22b) 사이 즉 중앙부에 각 기판의 평탄부(23)가 접하는 부분에 스토퍼비드를 더 구성함으로써 탄성을 보강하고 가스의 릭(leak)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기판(20a, 20b)과 상기 스토퍼(10)가 접하는 면에 상기 기판(20a, 20b) 또는 상기 스토퍼(10)에 수지계 물질이 도포되는 수지계 물질 코팅층(30)이 구성되는데, 상기 수지계 물질 코팅층(30)은 보어간 부분에만 부분적으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기판(20a, 20b)에 도포되는 경우 상기 기판구멍(21a, 21b)과 기판구멍(21a, 21b) 사이 또는 스토퍼(10)에 도포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토퍼구멍(11)과 스토퍼구멍(11) 사이에만 도포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보어간 부분이라 함은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어중심과 볼트구멍 중심의 연결선 안(C부분)에서 기판(20a, 20b)에 도포되는 경우 상기 기판구멍(21a, 21b)과 기판구멍(21a, 21b) 사이 또는 스토퍼(10)에 도포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토퍼 구멍(11)과 스토퍼구멍(11) 사이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어간 부분에서는 실린더블럭과 실린더헤드 사이에 볼트결합에 의한 체결 시 보어 주변부의 타 부분보다 간극량이 커서 이러한 간극량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보어간 부분에만 수지계 물질 코팅층(30)을 기판 또는 스토퍼에 도포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기판(20a, 20b)에는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지계 물질 코팅층(30)이 형성됨에 있어 수지계 물질 코팅층(30)과 기판(20a, 20b) 사이에는 프라이머 코팅층(31)이 도포되고 상기 수지계 물질 코팅층(30)의 외측에는 고무코팅층(32)이 더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31)에 의해 상기 수지계 물질 코팅층(30)과 기판(20a, 20b)의 부착이 견고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고무코팅층(32)에 의해 스토퍼(10)와의 시일이 더욱 견고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지계 물질 코팅층(30)은 공지의 재질로써 200■C이상의 내열도를 갖춘 수지계 물질이 타당할 것이며,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31)은 공지의 재질로써 접착제에 해당할 것이고, 상기 고무코팅층(32)의 경우도 공지의 재질로써 일반적인 고무 재질로 일정 탄성이 부여되어야 한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써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지계 물질 코팅층(30)과 기판(20a, 20b)사이에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31) 및 고무코팅층(32)이 적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판을 상기판(20a)과 하기판(20b)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상기 수지계 물질 코팅층(30)이 도포되는 구조에 따라 다양한 실시 예가 제시될 수 있는데, 우선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0)의 양면에 수지계 물질 코팅층(30)이 도포되는 구성이 제시될 수 있다. 이렇게 스토퍼(10) 양면에 수지계 물질 코팅층(30)을 도포함으로써 스토퍼(10)와 상기판(20a) 및 하기판(20b)이 접하는 면에서의 시일이 견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지계 물질 코팅층(30)이 상기 상기판(20a)의 하면 및 상기 하기판(20b)의 상면에 도포되는 구성이 제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스토퍼(10)와 상기판(20a) 및 하기판(20b)이 접하는 면에서의 시일이 견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지계 물질 코팅층(30)이 기판(20a, 20b) 및 스토퍼(10)에 각각 도포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지계 물질 코팅층(30)이 상기 스토퍼(10)의 상면 및 상기 하기판(20b)의 상면에 도포되거나, 도 4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지계 물질 코팅층(30)이 상기 상기판(20a)의 하면 및 상기 스토퍼(10)의 하면에 도포되는 구성이 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6a 내지 도 6d의 경우는 기판 또는 스토퍼의 2면에 수지계 물질 코팅층(30)을 형성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도 6e 및 도 6f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판(20a, 20b)의 일면으로 스토퍼(10)와 접하는 면에 수지계 물질 코팅층(30)을 도포하는 구성이 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6e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기판(20b)의 상면에 도포하거나 도 6f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판(20a)의 하면에 도포하는 구조가 제시되는 것이다.
물론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스토퍼(10)의 일면에만 상기 수지계 물질 코팅층(30)을 도포하는 구성이 제시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어간 부분에만 수지계 물질 코팅층(30) 및 스토퍼비드(12)를 구성함으로써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종래기술과 대비 시 보어간 부분에 하중이 집중됨을 알 수 있다. 즉 이러한 보어간 부분에 하중의 집중에 의해 결국 보어간 부분에서 취약할 수 있는 시일 성능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스켓 체결 시 보어간 부분(3, 7)에서 종래기술은 간극량이 커짐을 알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경우에는 보어간 부분(3, 7)에서도 보어 주변부 전체(1, 2, 4, 5, 6, 8)와 간극량의 차이가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해 보어간 부분에서의 간극량이 보정됨에 의해 시일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해 헤드리프트량이 작아지는데 헤드리프트는 엔진 연소실에 상당 연소압을 가하여 연소실(보어) 주변에서 움직이는 실린더헤드의 미세 수직거동량을 측정한 것이며, 이 헤드리프트는 운전 중에 반복적으로 기판비드에 가해지므로 수명과 연계되는 것이다. 즉 그 측정량이 작을수록 시일성이 유리해짐이 예측되는데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보다 본 발명이 특히 보어간 부분(3, 7)에서 헤드리프트 량이 작은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해 종래기술보다 헤드리프트 량을 작게 하여 시일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의 가스켓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 스토퍼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c는 도 1a에서 A-A부분의 측단면도이고,
도 1d는 도 1a에서 B-B부분의 측단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보어간 실링구조를 갖는 가스켓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 스토퍼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a는 도 2a에서 A-A부분의 측단면도로서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3b는 도 2a에서 A-A부분의 측단면도로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3c는 도 2a에서 A'-A'부분의 측단면도이고, 도 3d는 도 2a에서 B-B부분의 측단면도이고,
도 4a는 도 2a에서 A-A부분의 측단면도로서 스토퍼에 수지계 물질코팅층이 도포된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4b는 도 2a에서 B-B부분의 측단면도로서 스토퍼에 수지계 물질코팅층이 도포된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서 기판에 수지계 물질 코팅층이 도포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에서 기판 또는 스토퍼에 수지계 물질 코팅층이 도포되는 구조에 따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면압, 간극량, 헤드리프트량의 차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토퍼 11 : 스토퍼구멍
12 : 스토퍼비드 20a,20b : 기판
21a,21b : 기판구멍 22a,22b : 기판비드
30 : 수지계 물질 코팅층

Claims (13)

  1. 보어와 대응하는 기판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구멍의 주위에 기판비드가 형성되며 상기 기판비드 외측에는 복수의 볼트삽입공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적층되며 상기 보어와 대응하는 스토퍼구멍이 형성된 스토퍼를 구비하고, 실린더헤드와 실린더블록과의 접합면 사이에 게재하여 볼트결합으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접합면 사이를 시일 하도록 하는 가스켓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스토퍼비드를 구성하되, 상기 스토퍼비드는 산부분이 평평한 풀비드 형상이고, 상기 스토퍼비드의 산부분이 상기 기판에서 기판비드와 평탄부가 접하는 부분과 대향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어간 실링구조를 갖는 가스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비드는 상기 기판비드의 산부분 또는 골부분에 상기 스토퍼비드의 산부분이 대향하는 스토퍼비드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어간 실링구조를 갖는 가스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비드는 스토퍼 구멍 사이에만 부분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어간 실링구조를 갖는 가스켓.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판과 하기판으로 구성되며, 상기판과 하기판의 사이에 스토퍼가 삽입되도록 구성하되 상기판의 제 1기판비드는 상향으로 구성되고, 하기판의 제 2기판비드는 하향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골부분이 대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어간 실링구조를 갖는 가스켓.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80072091A 2008-07-24 2008-07-24 보어간 실링구조를 갖는 가스켓 KR100911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091A KR100911656B1 (ko) 2008-07-24 2008-07-24 보어간 실링구조를 갖는 가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091A KR100911656B1 (ko) 2008-07-24 2008-07-24 보어간 실링구조를 갖는 가스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1656B1 true KR100911656B1 (ko) 2009-08-11

Family

ID=41209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091A KR100911656B1 (ko) 2008-07-24 2008-07-24 보어간 실링구조를 갖는 가스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6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119B1 (ko) * 2012-05-02 2014-01-27 동아공업 주식회사 피어싱이 형성된 스토퍼를 갖는 가스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2831B1 (ko) * 1996-05-22 1999-12-01 이시카와 신이치로우 금속적층형 가스킷
JP2002005292A (ja) * 2000-06-16 2002-01-09 Japan Metal Gasket Co Ltd 金属ガスケット
KR100449410B1 (ko) * 1995-10-09 2004-12-04 닛뽕가스켓토 가부시키가이샤 금속개스킷
JP3875481B2 (ja) * 2000-10-24 2007-01-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金属ガスケット用複合素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410B1 (ko) * 1995-10-09 2004-12-04 닛뽕가스켓토 가부시키가이샤 금속개스킷
KR100232831B1 (ko) * 1996-05-22 1999-12-01 이시카와 신이치로우 금속적층형 가스킷
JP2002005292A (ja) * 2000-06-16 2002-01-09 Japan Metal Gasket Co Ltd 金属ガスケット
JP3875481B2 (ja) * 2000-10-24 2007-01-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金属ガスケット用複合素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119B1 (ko) * 2012-05-02 2014-01-27 동아공업 주식회사 피어싱이 형성된 스토퍼를 갖는 가스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1631B1 (ko) 금속개스킷
US9239112B2 (en) Metal gasket
US7377520B2 (en) Cylinder head gasket
US7665741B2 (en) Laminate-type gasket
KR101186493B1 (ko) 실린더 헤드 개스킷
JP5077436B2 (ja)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KR100911656B1 (ko) 보어간 실링구조를 갖는 가스켓
JPS62261761A (ja) 積層金属ガスケツト
KR100845273B1 (ko) 중간판에 엠보싱이 형성된 가스켓
KR100819858B1 (ko) 티조인트부의 실링을 위한 가스켓
JP2001082610A (ja) 金属ガスケット
JPH1150910A (ja) シール構造
KR200418673Y1 (ko) 낌방지 돌기가 구비된 가스켓.
KR100746233B1 (ko) 엠보싱 스토퍼 메탈 가스켓.
KR200420792Y1 (ko) 스토퍼에 비드가 형성된 가스켓
KR200410421Y1 (ko) 단차가 형성된 중간판을 구비한 가스켓
KR100975364B1 (ko) 절곡단이 형성된 가스켓
JP2001032938A (ja) 金属ガスケット
KR200408641Y1 (ko) 가스켓
KR200429360Y1 (ko) 티조인트부의 실링을 위한 가스켓
JPS62261755A (ja) 金属ガスケツト
KR200430509Y1 (ko) 4각 엠보싱 스토퍼 메탈 가스켓
KR20070053946A (ko) 가스켓
KR200435840Y1 (ko) 엠보싱 스토퍼 메탈 가스켓.
JP2002005292A (ja) 金属ガス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