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176B1 -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처리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처리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176B1
KR100911176B1 KR1020090019739A KR20090019739A KR100911176B1 KR 100911176 B1 KR100911176 B1 KR 100911176B1 KR 1020090019739 A KR1020090019739 A KR 1020090019739A KR 20090019739 A KR20090019739 A KR 20090019739A KR 100911176 B1 KR100911176 B1 KR 100911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waste liquid
filler
main body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만영
Original Assignee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19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2Washers with plural different washing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4Packed sc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7/00Fertilisers from waste water, sewage sludge, sea slime, ooze or similar ma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각종 가축분뇨를 이용하여 퇴비를 만들 때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약액세정법으로 제거하고, 이때 발생하는 폐액을 이용하여 농작물에 직접 살포하는 액체비료로 사용하거나 가축분뇨에 혼합하여 퇴비를 만드는데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약액세정법에 의한 폐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폐액의 재사용에 따른 경제적 이점으로 농가에 이익이 될 수 있는 가축분뇨를 이용하여 퇴비를 만들 때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처리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세정장치본체에 충전제가 다수 충전된 약액세정탑을 구비하고, 상기 세정장치본체 하부에 구비된 세정액탱크로부터 황산이 혼합된 세정액을 펌핑하여 충전제 상부에 분사함과 동시에, 암모니아 성분의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상기 세정장치본체의 충전제 하부에서 상부로 유입시켜 세정액 중의 황산과 공기 중의 암모니아를 반응시킴으로써 공기 중의 암모니아를 제거하고, 상기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황산암모늄이 함유된 폐액을 충전제가 충전된 폐액농축탑의 농축장치본체 하부에 마련된 폐액탱크로 이송시키고, 상기 폐액탱크로 이송된 폐액을 펌핑하여 농축장치본체의 충전제 상부에 분사함과 동시에, 습도 30~80%의 공기를 농축장치본체의 충전제 하부에서 상부로 유입시켜 폐액을 농축시키고, 농축된 폐액에 알카리액을 혼합하여 폐액의 pH를 중성(6.5~7.0)이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황산암모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비료를 생산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처리방법 및 장치{Smell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generated compost site using livestock wastes}
본 발명은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처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약액세정법으로 제거할 때 발생되는 폐액을 비료(유안)로 사용하거나 가축분뇨에 혼합하여 퇴비를 만드는데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처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분뇨로 퇴비를 생산할 때 발생되는 악취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트리메틸아민 및 메틸메르캅탄 등이 혼재된 복합악취이지만 대부분이 암모니아이며, 퇴비장의 규모가 대단히 커서 처리하여야 할 악취공기의 양이 분당 수천 ㎥가 된다.
현재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에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방법과, 약액세정법 등 화학적으로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대별되는데, 미생물을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면, 2차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지만 설치비가 많이 들고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는 미생물의 활성이 떨어져 악취 제거 효율이 현저히 낮아지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악취공기를 가열해 주어야하므로 운전비용이 많이 든다. 이에 비하여 약액세정법은 장치 크기가 작고 기온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은 있으나, 화학약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2차 오염물질(폐수)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약액세정법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각종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약액세정법으로 제거하고, 이때 발생하는 폐액을 이용하여 농작물에 직접 살포하는 액체비료로 사용하거나 가축분뇨에 혼합하여 퇴비를 만드는데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약액세정법에 의한 폐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폐액의 재사용에 따른 경제적 이점으로 농가에 이익이 될 수 있는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처리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정장치본체에 충전제가 다수 충전된 약액세정탑을 구비하고, 상기 세정장치본체 하부에 구비된 세정액탱크로부터 황산이 혼합된 세정액을 펌핑하여 충전제 상부에 분사함과 동시에, 암모니아 성분의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상기 세정장치본체의 충전제 하부에서 상부로 유입시켜 세정액 중의 황산과 공기 중의 암모니아를 반응시킴으로써 공기 중의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암모니아 제거단계에서 황산과 암모니아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황산암모늄이 함유된 폐액을 약액세정탑의 세정액탱크로부터 배출하여 충전제가 충전된 폐액농축탑의 농축장치본체 하부에 마련된 폐액탱크로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폐액탱크로 이송된 폐액을 펌핑하여 농축장치본체의 충전제 상부에 분사함과 동시에, 습도 30~80%의 공기를 농축장치본체의 충전제 하부에서 상부로 유입시켜 공기중 습도를 99 %로 만들어 폐액을 일정기간 농축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농축된 폐액탱크 내의 폐액에 알카리액을 혼합하고 농축장치본체의 충전제 상부에 분사하며 pH조정수단으로 폐액의 pH를 6.5~7.0가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황산암모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비료를 만드는 단계로 이루어진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처리방법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제가 다수 충전된 세정장치본체와, 상기 세정장치본체 하부에 구비되어 세정액을 저장하는 세정액탱크와, 상기 세정액탱크에 황산을 공급하기 위한 황산공급수단과, 상기 세정액탱크 내의 세정액을 펌핑하여 충전제 상부에 분사하는 세정액분사수단과, 상기 세정장치본체 하부에 구비되어 암모니아 성분의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충전제 하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입구와, 상기 세정장치본체 상부에 구비되어 충전제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로 이루어지는 약액세정탑; 상기 약액세정탑의 장기간 사용으로 세정액이 오염되어 발생한 폐액을 세정액탱크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폐액배출수단; 및 상기 폐액배출수단에 의해 약액세정탑의 세정액탱크로부터 이송된 폐액을 저장하는 폐액탱크와, 상기 폐액탱크의 상부에 배치되어 충전제가 다수 충전된 농축장치본체와, 상기 폐액탱크에 알카리액을 공급하기 위한 pH조정수단과, 상기 폐액탱크 내의 폐액을 펌핑하여 농축장치본체의 충전제 상부에 분사하는 폐액분사수단과, 상기 농축장치본체 하부에 구비되어 외부 공기를 충전제 하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입구와, 상기 농축장치본체 상부에 구비되어 충전제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로 이루어지는 폐액농축탑으로 구성된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처리장치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에 의하면,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약액세정탑에 공급하여 황산을 혼합한 세정액으로 공기 중의 암모니아를 제거함에 따라 공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여 대기로 방출시킬 수 있으며, 세정액의 장기 사용으로 기능이 저하된 폐액의 주성분은 암모니아와 황산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황산암모늄이고, 이 황산암모늄은 질소비료로 시판되고 있는 유안비료의 주성분이다. 따라서, 폐액을 폐액농축탑에 공급하여 일정기간 농축시킨 후, 알카리액을 혼합하여 중성으로 pH를 조정함에 따라 폐액을 농작물에 직접 살포하는 액체비료로 사용하거나 가축분뇨에 혼합하여 퇴비를 만드는데 재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약액세정법으로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액에 의한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폐액을 재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이점이 있는 등, 농가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처리장치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처리장치는, 크게 악취로부터 암모니아를 제거하기 위한 약액세정탑(10)과, 상기 약액세정탑(10)에서 발생한 폐액을 폐액배출수단에 의해 공급받아 황산암모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비료를 만들기 위한 폐액농축탑(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약액세정탑(10)은 충전제(12)가 다수 충전된 세정장치본체(11)를 구비하고, 상기 세정장치본체(11) 하부에는 세정액을 저장하는 세정액탱크(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충전제(12)는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공기와 세정액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세정액탱크(13)에는 황산공급수단(14)에 의해 황산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세정액탱크(13) 내의 세정액은 세정액분사수단(15)에 의해 펌핑되어 세정장치본체(11)의 충전제(12) 상부에 분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장치본체(11) 하부에는 암모니아 성분의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충전제(12) 하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입구(16)가 구비되고, 상기 세정장치본체(11) 상부에는 충전제(12)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1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세정액분사수단(15)은 세정액탱크(13)에서 세정장치본체(11)의 충전제(12) 상부에 이르도록 분사관(15a)을 연결하고, 상기 충전제(12) 상부의 분사관(15a)에 분사노즐(15b)을 구비하며, 세정액탱크(13) 내의 세정액을 펌프(15c,25c)로 펌핑하여 분사노즐(15b)을 통해 분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황산공급수단(14)은, 황산을 약액용기(14a) 내에 저장하고, 상기 세정액분사수단(15)의 분사관(15a)에 믹싱박스(14b)를 내통하도록 연결하며, 상기 약액용기(14a)에 정량펌프(14c)를 구비하여 약액용기(14a)와 믹싱박스(14b)를 연결한 약액공급관(14d)을 통해 황산이 믹싱박스(14b)로 공급되어 세정액과 혼합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정량펌프(14c)는 세정액탱크(13)에 설치된 pH미터(14e)에 의 해 측정된 세정액의 pH가 5.0 이상이면, 황산을 공급하고, pH가 4.0 이하이면 황산 공급을 중단하도록 미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폐액배출수단(18)은, 세정액분사수단(15)의 펌프(15c)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즉, 펌프(15c)와 믹싱박스(14b) 사이의 분사관(15a)에 배출관(18a)을 분기시켜 연결하고, 분사관(15a)과 배출관(18a)에 각각 개폐밸브(18b,18c)를 구비하여, 세정액탱크(13) 내의 세정액이 선택적으로 분사관(15a) 또는 배출관(18a)으로 흐를 수 있도록 구성한다.
폐액농축탑(20)은 충전제(22)가 다수 충전된 농축장치본체(21)를 구비하고, 상기 농축장치본체(21) 하부에는 상기 약액세정탑(10)의 세정액탱크(13)로부터 폐액배출수단(18)에 의해 배출된 폐액을 저장하는 폐액탱크(2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충전제(22)는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공기와 세정액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폐액탱크(23)에는 pH조정수단(24)에 의해 알카리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알카리액은 예를 들면 Ca(OH)2 또는 NaOH를 사용하고, 폐액탱크(23) 내의 폐액은 폐액분사수단(25)에 의해 펌핑되어 농축장치본체(21)의 충전제(22) 상부에 분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농축장치본체(21) 하부에는 외부공기(보통 습도 30~80%)를 충전제(22) 하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입구(26)가 구비되고, 상기 농축장치본체(21) 상부에는 충전제(12,22)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2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폐액분사수단(25)은 폐액탱크(23)에서 농축장치본체(21)의 충전제(22) 상부에 이르도록 분사관(25a)을 연결하고, 상기 충전제(22) 상부의 분사관(25a)에 분사노즐(25b)을 구비하며, 폐액탱크(23) 내의 폐액을 펌프(25c)로 펌핑하여 분사노즐(25b)을 통해 분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pH조정수단(24)은, 알카리액을 알카리용기(24a) 내에 저장하고, 상기 폐액분사수단(25)의 분사관(25a)에 믹싱박스(24b)를 내통하도록 연결하며, 상기 알카리용기(24a)에 정량펌프(24c)를 구비하여 알카리용기(24a)와 믹싱박스(24b)를 연결한 알카리공급관(24d)을 통해 알카리액이 믹싱박스(24b)로 공급되어 폐액과 혼합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정량펌프(24c)는 폐액탱크(23)에 설치된 pH미터(24e)에 의해 측정된 폐액의 pH가 6.5 이하이면, 알카리액을 공급하고, pH가 7.0 이상이면 알카리액 공급을 중단하도록 미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9a 및 29a는 약액세정탑(10)과 폐액농축탑(20)의 출구(17,27)에 각각 설치되어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세정액 미립자를 포집하기 위한 디미스터이고, 미설명부호 19b는 약액세정탑(10)의 물공급관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가축분뇨 악취 처리장치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가축분뇨 악취 처리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축분뇨로 퇴비를 생산할 때 발생되는 악취에 포함된 암모니아의 제거단계는, 약액세정탑(10)에서 이루어진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세정장치본체(11) 하부에 구비된 세정액탱크(13)에는 세정액을 저장하여 두고, 황산공급수단(14)의 약액용기(14a) 내에 저장된 황산을 정량펌프(14c)를 이용하여 일정량 믹 싱박스(14b)에 공급함으로써 펌프(15c)에 의해 펌핑되는 세정액과 황산이 혼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펌프(15c)에 의해 펌핑된 세정액탱크(13) 내의 세정액을 믹싱박스(14b)에서 황산과 혼합시켜 분사노즐(15b)을 통해 세정장치본체(11)의 충전제(12) 상부에 분출시킴과 동시에, 악취공기를 약액세정탑(10)의 입구(16)를 통해 세정장치본체(11)의 충전제(12) 하부로 유입시켜 상부로 통과시키게 되면, 분사노즐(15b)로부터 분출되어 충전제(12) 사이로 흘러내리는 세정액 중의 황산과 충전제(12) 사이를 통해 상승하는 공기 중의 암모니아가 향류 접촉하여 하기와 같이 화학반응을 일으킴으로써 황산암모늄[(NH4)2SO4]을 생성하게 되므로, 공기 중의 암모니아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2NH3 + H2SO4 → (NH4)2SO4
이때, 세정장치본체(11)에 충전된 충전제(12)에 의해서는 공기와 세정액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공기 중의 암모니아와 세정액 중의 황산이 반응하는 양을 증대시켜 암모니아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어서 암모니아와 황산의 반응을 통해 생성된 황산암모늄은 세정액과 함께 세정액탱크(13)로 떨어져 저장되며, 상기 화학반응으로 소모된 황산은 정량펌프(14c)에 의해 약액용기(14a)로부터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보충된다.
또한, 세정액탱크(13)에 구비된 pH미터(14e)로 세정액탱크(13) 내의 세정액의 pH를 지속적으로 검출하고, 정량펌프(14c)는 상기 pH미터(14e)로부터 검출된 pH 값이 pH값이 5.0이상으로 높아질 때는 황산을 공급하여 낮추고, 4.0이하로 낮아질 때에는 황산의 공급을 중단하여 높임으로써 세정액의 pH값이 4.0~5.0 범위내에서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약액세정탑(10)에서 악취로부터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공정을 장기간 반복하여 수행하면, 황산암모늄의 농도가 높아지고 먼지 등 불순물이 쌓이므로 1달에 1번 정도는 세정액을 폐액 처리하여 교체해야 한다.
따라서, 황산암모늄이 함유된 폐액을 약액세정탑(10)의 세정액탱크(13)로부터 배출하여 충전제(22)가 충전된 폐액농축탑(20)의 농축장치본체(21) 하부에 마련된 폐액탱크(23)로 이송시키는 단계는, 폐액배출수단(18)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약액세정탑(10)의 분사관(15a)에 구비된 개폐밸브(18b)를 폐쇄하고 배출관(18a)의 개폐밸브(18c)를 개방한 후, 펌프(15c)를 구동하게 되면, 약액세정탑(10)의 세정액탱크(13)내의 폐액이 배출관(18a)을 통해 폐액농축탑(20)의 폐액탱크(23)로 이송된다.
이어서, 폐액농축탑(20)에서는 폐액을 농축시키는 단계와, 폐액의 pH를 조정하여 황산암모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비료를 만드는 단계가 수행된다.
먼저, 폐액을 농축시키는 단계는, 폐액농축탑(20)에 구비된 폐액분사수단(25)의 펌프(25c)에 의해 펌핑된 폐액탱크(23) 내의 폐액을 분사노즐(25b)을 통해 농축장치본체(21)의 충전제(22) 상부에 분출함과 동시에, 외부공기(습도 30~80%)를 폐액농축탑(20)의 입구(26)를 통해 농축장치본체(21)의 충전제(22) 하부로 유입시켜 상부로 통과시키게 되면, 분사노즐(25b)로부터 분출된 폐액이 충전제(22) 사이로 흘러내리면서 충전제(22) 사이를 통해 상승하는 공기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폐액의 수분이 공기로 이동하여 출구(27)로 습도가 99%인 공기가 배출되므로 폐액의 농도가 높아지게 되고, 이러한 과정을 일정기간 반복시켜 폐액을 농축시킬 수 있다.
이때, 농축장치본체(21)에 충전된 충전제(22)에 의해서는 공기와 폐액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폐액의 습기가 공기에 흡수되어 배출되는 양을 증대시켜 농축효율을 높임으로써 농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입구(26)로 공급되는 외부공기는 대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습도 70~80%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습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습도 30~40%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어서 농축된 폐액의 pH를 조정하여 황산암모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비료를 만드는 단계는, 상기 단계에서 농축된 폐액탱크(23) 내의 폐액을 펌핑하여 분사노즐(25b)로 농축장치본체(21)의 충전제(22) 상부에 분사하면서 pH조정수단(24)으로 알카리액을 폐액에 공급하여 혼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폐액탱크(23)에 구비된 pH미터(24e)로 폐액탱크(23) 내의 폐액의 pH를 지속적으로 검출하고, 정량펌프(24c)는 상기 pH미터(24e)로부터 검출된 pH값이 6.5이하로 낮아질 때에는 알카리액을 공급하여 높이고, 폐액의 pH값이 7.0이상으로 높아질 때에는 알카리액의 공급을 중단하여 낮춤으로써 폐액의 pH값이 6.5~7.0 범위내에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황산암모늄은 질소비료로 시판되고 있는 유안비료로서, 상기와 같이 폐액의 pH값을 조정하여 중성화시키게 되면, 황산암모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비료를 만들 수 있게 되고, 이를 농작물에 액체비료로 직접 살포하거나 가축분뇨에 혼합하여 퇴비를 만들 때 재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처리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약액세정탑 11 : 세정장치본체
12,22 : 충전제 13 : 세정액탱크
14 : 황산공급수단 15 : 세정액분사수단
16,26 : 입구 17,27 : 출구
18 : 폐액배출수단 20 : 폐액농축탑
21 : 농축장치본체 23 : 폐액탱크
24 : pH조정수단 25 : 폐액분사수단

Claims (2)

  1. 세정장치본체(11)에 충전제(12)가 다수 충전된 약액세정탑(10)을 구비하고, 상기 세정장치본체(11) 하부에 구비된 세정액탱크(13)로부터 황산이 혼합된 세정액을 펌핑하여 충전제(12) 상부에 분사함과 동시에, 암모니아 성분의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상기 세정장치본체(11)의 충전제(12) 하부에서 상부로 유입시켜 세정액 중의 황산과 공기 중의 암모니아를 반응시킴으로써 공기 중의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암모니아 제거단계에서 황산과 암모니아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황산암모늄이 함유된 폐액을 약액세정탑(10)의 세정액탱크(13)로부터 배출하여 충전제(22)가 충전된 폐액농축탑(20)의 농축장치본체(21) 하부에 마련된 폐액탱크(23)로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폐액탱크(23)로 이송된 폐액을 펌핑하여 농축장치본체(21)의 충전제(22) 상부에 분사함과 동시에, 습도 30~80%의 공기를 농축장치본체(21)의 충전제(22) 하부에서 상부로 유입시켜 폐액을 일정기간 농축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농축된 폐액탱크(23) 내의 폐액에 알카리액을 혼합하고 농축장치본체(21)의 충전제(22) 상부에 분사하며 pH조정수단(24)으로 폐액의 pH를 6.5~7.0이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황산암모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비료를 만드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처리방법.
  2. 충전제(12)가 다수 충전된 세정장치본체(11)와, 상기 세정장치본체(11) 하부에 구비되어 세정액을 저장하는 세정액탱크(13)와, 상기 세정액탱크(13)에 황산을 공급하기 위한 황산공급수단(14)과, 상기 세정액탱크(13) 내의 세정액을 펌핑하여 충전제(12) 상부에 분사하는 세정액분사수단(15)과, 상기 세정장치본체(11) 하부에 구비되어 암모니아 성분의 악취가 포함된 공기를 충전제(12) 하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입구(16)와, 상기 세정장치본체(11) 상부에 구비되어 충전제(12)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17)로 이루어지는 약액세정탑(10);
    상기 약액세정탑(10)의 장기간 사용으로 세정액이 오염되어 발생한 폐액을 세정액탱크(13)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폐액배출수단(18); 및
    상기 폐액배출수단(18)에 의해 약액세정탑(10)의 세정액탱크(13)로부터 이송된 폐액을 저장하는 폐액탱크(23)와, 상기 폐액탱크(23)의 상부에 배치되어 충전제(22)가 다수 충전된 농축장치본체(21)와, 상기 폐액탱크(23)에 알카리액을 공급하기 위한 pH조정수단(24)과, 상기 폐액탱크(23) 내의 폐액을 펌핑하여 농축장치본체(21)의 충전제(22) 상부에 분사하는 폐액분사수단(25)과, 상기 농축장치본체(21) 하부에 구비되어 외부 공기를 충전제(22) 하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입구(26)와, 상기 농축장치본체(21) 상부에 구비되어 충전제(22)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27)로 이루어지는 폐액농축탑(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처리장치.
KR1020090019739A 2009-03-09 2009-03-09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처리방법 및 장치 KR100911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739A KR100911176B1 (ko) 2009-03-09 2009-03-09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처리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739A KR100911176B1 (ko) 2009-03-09 2009-03-09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처리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1176B1 true KR100911176B1 (ko) 2009-08-06

Family

ID=41209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739A KR100911176B1 (ko) 2009-03-09 2009-03-09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처리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1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661B1 (ko) * 2013-02-15 2014-12-04 엔텍스 주식회사 악취가스의 탈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비 생산 방법
KR101577346B1 (ko) * 2013-11-13 2015-12-15 신도이앤씨 (주) 고효율 악취처리장치 및 악취처리방법
KR101747802B1 (ko) 2016-07-20 2017-06-16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이펀 원리를 이용한 황산희석장치가 포함된 복합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합악취제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1530A (ja) 1983-09-01 1985-03-23 Chisso Corp 有機化成肥料製造排ガスの脱臭法
JP2002053386A (ja) 2000-08-10 2002-02-19 Sumitomo Heavy Ind Ltd 液体有機肥料の製造システム及び製造方法
JP2002361038A (ja) 2001-06-11 2002-12-17 Kurita Water Ind Ltd アンモニア含有ガス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KR20030015805A (ko) * 2001-08-17 2003-02-25 (주)대덕바이오 고농도 악취가스의 제거 및 재이용을 위한 다단식악취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1530A (ja) 1983-09-01 1985-03-23 Chisso Corp 有機化成肥料製造排ガスの脱臭法
JP2002053386A (ja) 2000-08-10 2002-02-19 Sumitomo Heavy Ind Ltd 液体有機肥料の製造システム及び製造方法
JP2002361038A (ja) 2001-06-11 2002-12-17 Kurita Water Ind Ltd アンモニア含有ガス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KR20030015805A (ko) * 2001-08-17 2003-02-25 (주)대덕바이오 고농도 악취가스의 제거 및 재이용을 위한 다단식악취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661B1 (ko) * 2013-02-15 2014-12-04 엔텍스 주식회사 악취가스의 탈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비 생산 방법
KR101577346B1 (ko) * 2013-11-13 2015-12-15 신도이앤씨 (주) 고효율 악취처리장치 및 악취처리방법
KR101747802B1 (ko) 2016-07-20 2017-06-16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이펀 원리를 이용한 황산희석장치가 포함된 복합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합악취제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324593Y (zh) 湿式氨法烟气脱硫装置
JP5355459B2 (ja) 有機性排水の水処理システム
CN206746282U (zh) 一种煤化工行业废水池voc废气处理装置
CN102284239B (zh) 一种塔外循环加独立氧化双碱法脱硫工艺及装置
KR102202651B1 (ko) 악취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고온가열필터와 산,알카리용액을 사용하는 악취저감 시스템
CN102228776A (zh) 脱除硫酸工业尾气中二氧化硫、回收硫酸的方法及装置
KR100911176B1 (ko)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처리방법 및 장치
CN205672752U (zh) 臭气净化装置
KR101804116B1 (ko) 바이오가스 탈황장치
KR102170276B1 (ko) 탈황용 액상촉매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바이오가스 전처리 장치
CN208943827U (zh) 一种模块化空气净化系统
CN206381832U (zh) 一体化生物脱硫装置
KR100686937B1 (ko) 회전식 고압분사수단을 부착한 생물학적 탈취장치
KR20140102932A (ko) 악취가스의 탈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비 생산 방법
CN207760295U (zh) 一种沼气湿法脱硫装置
CN201214046Y (zh) 降低氨逃逸的氨法脱硫装置
CN209406063U (zh) 一种末端废气综合处理系统
KR101574926B1 (ko) 탈황장치
JP2007253046A (ja) 硫化物含有ガスの脱硫設備
CN105080312A (zh) 脱除黄磷尾气中磷化氢的装置及方法
CN203196524U (zh) 处置畜禽粪便生产有机肥的废气净化系统
KR200425412Y1 (ko) 탈취탑 및 믹싱 시스템을 이용한 오염기체정화장치
KR101864339B1 (ko) 구획된 수조를 갖는 약액세정탑
CN208943826U (zh) 一种模块化空气净化器
KR102181508B1 (ko) 복합탈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