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431B1 - 극세동축케이블 - Google Patents

극세동축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431B1
KR100910431B1 KR1020080027983A KR20080027983A KR100910431B1 KR 100910431 B1 KR100910431 B1 KR 100910431B1 KR 1020080027983 A KR1020080027983 A KR 1020080027983A KR 20080027983 A KR20080027983 A KR 20080027983A KR 100910431 B1 KR100910431 B1 KR 100910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coaxial cable
shielding layer
prese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윤학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7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06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of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disturbances, e.g.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08Construction of th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69Construction of the layers o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95Particular featur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극세동축케이블은 두 개 이상의 극세금속선으로 이루어진 중심도체; 중심도체를 둘러 감싸는 절연층; 절연층을 두 개 이상의 평각 형상의 금속선으로 횡권하여 둘러 감싸는 금속차폐층; 및 금속차폐층을 둘러 감싸는 쉬스층을 포함하되, 금속차폐층을 이루는 두 개 이상의 평각 형상의 금속선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각 성형된 금속선을 횡권하여 금속차폐층을 구성함으로써, 케이블의 차폐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동축, 케이블, 차폐

Description

극세동축케이블{Micro coaxial cable}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폐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극세동축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동축케이블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중심도체와 중심도체의 동축상에 외부도체(금속차폐층)가 형성되는 구조의 케이블로서, 크기별/종류별로 많은 제품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주로 건물 지하의 안테나 또는 CATV 등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용도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내시경 등 의료기기 등의 극소형화가 진행되어, 이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직경 1mm 이하의 극세동축케이블의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극세동축케이블은 일반적으로 전기 전도도가 우수한 구리, 구리합금 등의 재질의 원형 선재로 이루어진 중심도체, 중심도체의 외주면을 감싸며 형성된 절연층, 절연층을 원형의 선재로 15~40 횡권하여 차폐특성을 갖는 금속차폐층 및 이를 보호하는 쉬스층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극세동축케이블은 전자기신호(Electromagnetic Signal)가 손 실되지 않도록 절연층의 외주면에 원형의 금속선을 횡권하여 완전히 감싸지도록 금속차폐층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휴대폰이나 전자제품의 슬림화 및 소형화로 케이블의 사이즈를 줄이기 위해서는 금속차폐층을 이루는 원형의 금속선의 직경도 줄어야 하기 때문에 횡권 시 선재의 단선율이 높아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차폐층을 이루는 원형의 금속선은 횡권 시 금속선이 올라타는 경우가 발생하고, 금속선과 금속선 사이의 틈이 발생하여 차폐특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횡권 시 금속선이 올라타는 현상이나 금속선과 금속선 사이에 발생하는 틈을 제어하여 차폐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극세동축케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극세동축케이블은 사다리꼴 형태로 평각 성형된 금속선을 횡권하여 금속차폐층을 구성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극세동축케이블은 두 개 이상의 극세금속선으로 이루어진 중심도체; 중심도체를 둘러 감싸는 절연층; 절연층을 두 개 이상의 평각 형상의 금속선으로 횡권하여 둘러 감싸는 금속차폐층; 및 금속차폐층을 둘러 감싸는 쉬스층을 포함하되, 금속차폐층을 이루는 두 개 이상의 평각 형상의 금속선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각 성형된 금속선을 횡권하여 금속차폐층을 구성함으로써, 횡권 시 금속선이 올라타는 현상이나 금속선과 금속선 사이에 발생하는 틈을 용이하게 제어하고, 금속차폐층의 점적율을 높여 차폐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선을 평각 성형하여 금속차폐층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기존 대비 케이블의 최종선경을 세경화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극세동축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극세동축케이블은 중심도체(1)와 중심도체(1)에 면하면서 중심도체(1)를 감싸며 형성된 절연층(2), 절연층(2)에 면하면서 절연층(2)을 감싸도록 형성된 금속차폐층(3) 및 금속차폐층(3)에 면하면서 감싸도록 형성된 쉬스층(4)으로 구성된다.
중심도체(1)는 두 개 이상의 극세금속선으로 이루어지며, 극세금속선들은 소정의 피치로 꼬여서 중심도체(1)를 형성하게 된다. 극세금속선의 직경은 주파수 특 성(RF: Radio Frequency)을 고려할 때 0.016~0.0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극세금속선은 전기전도성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구리 또는 구리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도체(1) 외주면에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지는 절연층(2)이 압출기를 이용하여 피복된다. 고분자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용융 점도가 낮아 가공이 용이한 불소계 수지가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 PFA(PerFluoroAlkoxy)가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절연층(2)에는 유전율을 더욱 낮게 하기 위하여 고분자를 발포하여 절연층(2) 내에 발포셀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절연층(2)의 외주에는 전자기신호(Electromagnetic Signal)가 손실되지 않도록 구리 또는 구리합금으로 이루어진 두 개 이상의 금속선을 횡권하여 절연층(2)이 완전히 감싸지도록 금속차폐층(3)을 형성한다. 이러한 금속차폐층(3)은 도체의 점유면적[(도체 평균외경)2×π/4]에 대한 실도체 단면적(공칭단면적)의 비인 점적율이 높을수록 차폐특성이 향상되며, 동일 단면적 대비 도체 점적율이 높은 경우 차폐특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극세동축케이블은 금속차폐층(3)을 이루는 금속선을 평각 형상으로 가공하여 횡권함으로써, 원형과 동일 단면적 대비 약 20% 이상의 점적율을 높일 수 있으며, 최종 케이블 선경 또한 줄일 수 있다. 여기서, 금속선의 평각 형상은 가공이 용이하고, 원형의 절연층(2)을 조밀하게 감쌀 수 있는 사다리꼴 형태가 바람직하나, 목적에 따라 여러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원형 선재로 구성된 차폐층과 사다리꼴 형태로 구성된 차폐층의 차폐특성은 종래의 원형의 선재가 10㎒에서 0.8dB/m인 것과 비교할 때 약 10%이상의 감쇠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42AWG 사이즈(직경 0.31㎜)와 비교시 사다리꼴 형태로 평각 성형된 금속선으로 횡권할 경우 케이블의 직경이 0.26㎜로 약 20% 감소한 케이블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사다리꼴 형태로 평각 성형된 금속선을 횡권할 경우 횡권 시 금속선이 올라타는 현성이나 금속선과 금속선 사이에 발생하는 틈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금속차폐층(3)을 이루는 금속선의 횡권 방향은 중심도체(1)를 이루는 극세금속선의 꼬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권 방향을 상기와 같이 할 경우, 임피던스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굽힘에 의한 기계적 특성도 양호하며, 한쪽 방향으로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극세동축케이블의 단면도이다.

Claims (1)

  1. 두 개 이상의 극세금속선으로 이루어진 중심도체;
    상기 중심도체를 둘러 감싸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을 두 개 이상의 평각 형상의 금속선으로 횡권하여 둘러 감싸는 금속차폐층; 및
    상기 금속차폐층을 둘러 감싸는 쉬스층을 포함하되,
    상기 금속차폐층을 이루는 두 개 이상의 평각 형상의 금속선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동축케이블.
KR1020080027983A 2008-03-26 2008-03-26 극세동축케이블 KR100910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983A KR100910431B1 (ko) 2008-03-26 2008-03-26 극세동축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983A KR100910431B1 (ko) 2008-03-26 2008-03-26 극세동축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0431B1 true KR100910431B1 (ko) 2009-08-04

Family

ID=41209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983A KR100910431B1 (ko) 2008-03-26 2008-03-26 극세동축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4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235A (ko) 2017-10-31 2019-05-09 태양쓰리시 주식회사 동축 케이블 제조방법
KR102594352B1 (ko) 2022-10-13 2023-10-26 주식회사 유라 전자파 차폐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고속통신 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0829A (ja) 1997-10-14 1999-04-30 Harness Syst Tech Res Ltd 圧接用フラットケーブル電線
JP2005093368A (ja) * 2003-09-19 2005-04-07 Hitachi Cable Ltd 同軸ケーブル、同軸ケーブルの製造装置、及び同軸ケーブル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0829A (ja) 1997-10-14 1999-04-30 Harness Syst Tech Res Ltd 圧接用フラットケーブル電線
JP2005093368A (ja) * 2003-09-19 2005-04-07 Hitachi Cable Ltd 同軸ケーブル、同軸ケーブルの製造装置、及び同軸ケーブル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235A (ko) 2017-10-31 2019-05-09 태양쓰리시 주식회사 동축 케이블 제조방법
KR102594352B1 (ko) 2022-10-13 2023-10-26 주식회사 유라 전자파 차폐성능이 개선된 자동차용 고속통신 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2358B2 (en) Micro coaxial cable for high bending performance
JP4229124B2 (ja) 同軸ケーブル
KR102548464B1 (ko) 실드 케이블
CN112447325B (zh) 同轴线缆
JP2010080097A (ja) 同軸ケーブル
KR100842986B1 (ko) 극세동축케이블
JP5454648B2 (ja) 差動信号用ケーブル及びこれを用いた伝送ケーブル、並びに差動信号用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6164844B2 (ja) 絶縁電線、同軸ケーブル及び多心ケーブル
TW200837778A (en) A coaxial cable
JP3994698B2 (ja) セミフレキシブル極細同軸線及びその端末接続方法
KR100910431B1 (ko) 극세동축케이블
JP2014191884A (ja) 同軸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14337A (ja) 極細多心同軸ケーブル
CN110268483B (zh) 同轴电缆
JP2006351414A (ja) 同軸ケーブル
CN111599528B (zh) 同轴电缆
JP5315815B2 (ja) 細径同軸ケーブル
JP2010103685A (ja) 漏洩同軸ケーブル
JP5224843B2 (ja) 同軸ケーブル
JP2003123555A (ja) 極細漏洩同軸線
KR101120365B1 (ko) 코팅형 금속 차폐층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동축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JP6640289B1 (ja) 同軸ケーブル
JP2012174635A (ja) 同軸ケーブルとそれを用いたケーブルハーネス
JP2023009377A (ja) 信号伝送用ケーブル
JP2006032073A (ja) 細径同軸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