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212B1 - 포장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포장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212B1
KR100909212B1 KR20080034658A KR20080034658A KR100909212B1 KR 100909212 B1 KR100909212 B1 KR 100909212B1 KR 20080034658 A KR20080034658 A KR 20080034658A KR 20080034658 A KR20080034658 A KR 20080034658A KR 100909212 B1 KR100909212 B1 KR 100909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ncrete composition
fly ash
pavement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34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수안
남정희
전성일
안지환
윤경구
최판길
김기헌
배종오
김동호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삼우아이엠씨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삼우아이엠씨,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080034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10Lime cements or magnesium oxide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241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293Materials impermeable to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39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448Low heat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5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road constr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015Sulfate resi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023Resistance against alkali-aggregate re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038Resistance against physical degrad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속경시멘트 85~90 중량%, 고분말도 플라이 애시 10~15 중량%가 혼합된 바인더 17~19 중량%; 수산화칼슘(고분말도 플라이 애시 중량 대비) 5~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시함으로써, 조기강도 발현을 통해 신속한 교통개방을 이룰 수 있으면서도, 알카리 골재반응을 억제하고, 투수율 감소, 수화열 감소, 황산염에 대한 저항성 등 우수한 물성을 가짐에 따라, 도로포장 구조물의 내구성 증진과 수명연장의 효과를 얻도록 한다.
초속경, 시멘트, 플라이 애시, 분말도

Description

포장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CONCRETE COMPOSITION FOR REPAIR OF PAVEMENT}
본 발명은 토목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로보수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포장에는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교통하중 및 기후변화에 의한 환경하중 등의 작용으로 인하여 여러 형태의 파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파손이 발생한 도로포장은 서비스능력 향상 및 공용성 증진을 위해 주기적인 유지보수를 필요로 한다.
또한, 도로포장 구조물의 보수작업을 위해서는 교통의 폐쇄가 불가피한데, 이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빠른 시공이 가능하도록 초속경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취지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도로포장 단면보수재료로는 초속경시멘트, 가열형 폴리우레탄, 도로 봉합재 및 폴리머 콘크리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재료는 기본적으로 불안정하고, 구성물의 이질성으로 인하여 잦은 조기파손을 유발하는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기강도 발현을 통해 신속한 교통개방을 이룰 수 있으면서도, 알카리 골재반응을 억제하고, 투수율 감소, 수화열 감소, 황산염에 대한 저항성 등 우수한 물성을 가짐에 따라, 도로포장 구조물의 내구성 증진과 수명연장의 효과를 얻도록 하는 포장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시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속경시멘트 85~90 중량%, 고분말도 플라이 애시 10~15 중량%가 혼합된 바인더 17~19 중량%; 수산화칼슘(상기 고분말도 플라이 애시 중량 대비) 5~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시한다.
상기 고분말도 플라이 애시는 6,000 브레인 이상의 입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시멘트비는 44~48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잔골재는 32~37 중량%가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굵은골재는 36~41 중량%가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19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고성능감수제(상기 바인더 중량대비) 0.3~0.5 중량%가 더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AE제(상기 고성능감수제 중량대비) 0.6~0.8 중량%가 더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지연제(상기 바인더 중량대비) 0.2~0.5 중량%가 더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초속경시멘트 85~90 중량%, 6,000 브레인 이상의 입자를 갖는 고분말도 플라이 애시 10~15 중량%가 혼합된 바인더 17~19 중량%; 수산화칼슘(상기 고분말도 플라이 애시 중량 대비) 5~15 중량%; 잔골재 32~37 중량%; 최대치수 19mm인 굵은골재 36~41 중량%;를 포함하고, 물시멘트비는 44~48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시한다.
상기 조성물은 고성능감수제(상기 바인더 중량대비) 0.3~0.5 중량%가 더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AE제(상기 고성능감수제 중량대비) 0.6~0.8 중량%가 더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지연제(상기 바인더 중량대비) 0.2~0.5 중량%가 더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조기강도 발현을 통해 신속한 교통개방을 이룰 수 있으면서도, 알카리 골재반응을 억제하고, 투수율 감소, 수화열 감소, 황산염에 대한 저항성 등 우수한 물성을 가짐에 따라, 도로포장 구조물의 내구성 증진과 수명연장의 효과를 얻도록 하는 포장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시한다.
이하, 실험결과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표 1은 본 실험에 사용된 고분말도 플라이 애시와 초속경시멘트의 화학성분의 분석결과이다.
Figure 112008026736949-pat00001
표 2는 본 실험에서 사용한 배합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8026736949-pat00002
굵은골재는 최대치수 19mm의 것을 사용하였고, 고분말도 플라이 애시는 바인더 중량대비 0%~20%까지 변화를 주었고, 수산화칼슘은 고분말도 플라이 애시 중량대비 0~20%까지 변화를 주었다.
초속경 시멘트는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해 C3S와 C2S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1차 수화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수산화칼슘의 양이 적다.
플라이 애시의 SiO2, Al2O3 성분과 위 수산화칼슘의 반응에 의해 2차 포졸란 반응을 일으키는데, 초속경 시멘트는 위와 같이 생성되는 수산화칼슘의 양이 적으므로, 2차 포졸란 반응 또한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해 적게 나타난다.
이에 본 배합에서는 수산화칼슘을 추가로 첨가하여 포졸란 반응을 더 크게 발생시켜 콘크리트의 내구성 증진을 꾀하고자 하였다.
6,000 브레인 이상의 고분말도 플라이 애시를 적용한 것은 조기강도, 장기강도, 내구성 등의 측면에서 입자가 가는 것이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즉, 일반 플라이 애시(약 3,000 브레인 정도)를 적용할 경우에는 조기강도 기준을 만족시키기 어려우나, 고분말도 플라이 애시를 적용할 경우 일반 플라이 애시에 비하여 워커빌리티가 크게 향상되므로 더 낮은 물-시멘트비를 적용할 수 있고, 입자크기가 작아 초기에 충전효과 또한 개선되므로, 조기강도 기준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다.
내구성 측면에서도 고분말도 플라이 애시가 일반 플라이 애시에 비해 더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도 1은 슬럼프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슬럼프 실험은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배출시 슬럼프 값은 20cm이상, 작업성 확보를 위해 배출후 15분에 슬럼프 값은 15cm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본 배합은 기본적으로 예비실험을 통해 슬럼프 변화를 만족시키게 설계되었으며, 도 1은 위의 성능을 만족함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일반 플라이 애시를 고분말도 플라이 애시로 치환할 경우, 치환하지 않은 혼합물에 비해 워커빌리티가 크게 증진되고 초결 시점도 늦어지게 되나, 본 배합에서는 고분말도 플라이 애시 치환율별 물-시멘트비를 조정하여 동일한 슬럼프 변화를 유도하였다.
실험결과 수산화칼슘 첨가량 변화에 따른 슬럼프의 변화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도 1의 실시예는 일부만 도시하였다.
도 2는 공기량 실험결과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플라이 애시를 고분말도 플라이 애시로 치환할 경우 공기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본 배합에서는 이를 상쇄하기 위하여 AE제를 더 많이 첨가하였다.
그림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모든 배합은 공기량 기준 3~6%를 만족하도록 하였다.
수산화칼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른 공기량 변화는 크지 않았으므로, 본 실시예는 일부만을 나타내었다.
도 3은 압축강도 실험결과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이 애시를 첨가한 콘크리트는 첨가하지 않은 콘크리트에 비해 조기강도는 작게 나타나지만 장기강도는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플라이 애시 입자가 수화반응을 통해 생성된 수산화칼슘과 반응하여 2차 포졸란 반응을 일으켜 강도개선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도 3의 결과를 살펴보면, 비교예의 경우 고분말도 플라이 애시만을 첨가한 초속경시멘트 콘크리트 혼합물은 일반 초속경 콘크리트 혼합물에 비해 전반적으로 압축강도가 작게 나타나므로, 고분말도 플라이 애시 치환율에 따른 강도개선효과가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초속경 시멘트는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해 C3S와 C2S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지 않아 1차 수화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수산화칼슘의 양이 적으므로, 플라이 애시의 SiO2, Al2O3 성분과 위 수산화칼슘의 반응인 2차 포졸란 반응 또한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해 적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분말도 플라이 애시에 수산화칼슘을 첨가한 실시예의 경우, 수산화칼슘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와 비교하였을 때 강도가 증진되었으며, 특히 재령 28일에는 전반적으로 강도 증진 폭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수산화칼슘 첨가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전반적으로 강도가 증진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수산화칼슘을 첨가함으로써 포졸란 반응이 증진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3시간 교통개방을 위한 압축강도 기준은 210 kg/cm2으로 설정하였는데, 고분말도 플라이 애시 20%를 치환한 비교예 4의 경우 이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고분말도 플라이 애시 10%~15%, 수산화칼슘 5%~20% 범위의 실시예에서는 위 기준을 모두 만족하였다.
도 4는 염소이온침투저항성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다.
비교예의 경우, 통과 전하량이 재령 28일에서 약 1,500~2,000 쿨롱 정도로 나타나 KS F 2711 기준에 '낮음'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경우, 통과 전하량이 재령 28일에서 약 500~1,000 쿨롱 정도로 나타나 KS F 2711 기준에 '매우 낮음'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분말도 플라이 애시와 수산화칼슘을 첨가시킨 초속경 콘크리트 혼합물은 투수저항성이 매우 우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는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내구성이 대단히 우수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실험결과의 이유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산화칼슘의 첨가에 따른 포졸란 반응의 증진에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본 실험결과에서 수산화칼슘을 20% 첨가한 경우 그보다 적은 양을 첨가한 것과 비교하여 큰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므로, 수산화칼슘의 첨가량은 5%~15% 정도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물성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슬럼프 실험결과에 관한 그래프.
도 2는 공기량 실험결과에 관한 그래프.
도 3은 압축강도 실험결과에 관한 그래프.
도 4는 염소이온침투저항성 실험결과에 관한 그래프.

Claims (13)

  1. 삭제
  2. 초속경시멘트 85~90 중량%, 고분말도 플라이 애시 10~15 중량%가 혼합된 바인더 17~19 중량%;
    수산화칼슘(상기 고분말도 플라이 애시 중량 대비) 5~1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고분말도 플라이 애시는 6,000 브레인 이상의 입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물시멘트비는 44~48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잔골재는 32~37 중량%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굵은골재는 36~41 중량%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19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고성능감수제(상기 바인더 중량대비) 0.3~0.5 중량%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AE제(상기 고성능감수제 중량대비) 0.6~0.8 중량%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9. 제2항에 있어서,
    지연제(상기 바인더 중량대비) 0.2~0.5 중량%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20080034658A 2008-04-15 2008-04-15 포장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KR100909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4658A KR100909212B1 (ko) 2008-04-15 2008-04-15 포장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4658A KR100909212B1 (ko) 2008-04-15 2008-04-15 포장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9212B1 true KR100909212B1 (ko) 2009-07-23

Family

ID=41337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34658A KR100909212B1 (ko) 2008-04-15 2008-04-15 포장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21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368B1 (ko) * 2010-06-09 2011-12-0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급속경화 콘크리트 조성물
KR101466921B1 (ko) 2014-04-22 2014-12-03 주식회사 세민기공 도로포장보수 내지 단면복구보수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495585A (zh) * 2016-10-26 2017-03-15 中国地质大学(武汉) 地质聚合物基重载路面铺装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956633B1 (ko) 2018-07-16 2019-03-11 김종철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도로 포장 보수용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유지 보수·보강 공법
KR101956631B1 (ko) 2018-07-16 2019-03-11 김종철 도로 포장 보수용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유지 보수 공법
CN110981303A (zh) * 2019-12-13 2020-04-10 湖北环沙再生资源有限公司 一种掺矿粉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2348102B1 (ko) * 2021-02-04 2022-01-10 모아이엔씨 주식회사 작업성이 우수한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유지보수 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1531A (ja) * 2002-11-12 2004-06-10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急硬性高流動コンクリート
KR100464819B1 (ko) * 2002-02-16 2005-01-06 기초소재 주식회사 알칼리 활성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초속경성 무기결합재조성물
KR20050031097A (ko) * 2005-03-11 2005-04-01 (주)에이엠에스 엔지니어링 교면 재포장용 초속경 고인성 콘크리트 제조방법
KR20060070618A (ko) * 2004-12-21 2006-06-26 한일시멘트 (주) 보수/보강용 드라이 콘크리트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수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819B1 (ko) * 2002-02-16 2005-01-06 기초소재 주식회사 알칼리 활성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초속경성 무기결합재조성물
JP2004161531A (ja) * 2002-11-12 2004-06-10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急硬性高流動コンクリート
KR20060070618A (ko) * 2004-12-21 2006-06-26 한일시멘트 (주) 보수/보강용 드라이 콘크리트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수시공방법
KR20050031097A (ko) * 2005-03-11 2005-04-01 (주)에이엠에스 엔지니어링 교면 재포장용 초속경 고인성 콘크리트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368B1 (ko) * 2010-06-09 2011-12-0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급속경화 콘크리트 조성물
KR101466921B1 (ko) 2014-04-22 2014-12-03 주식회사 세민기공 도로포장보수 내지 단면복구보수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495585A (zh) * 2016-10-26 2017-03-15 中国地质大学(武汉) 地质聚合物基重载路面铺装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956633B1 (ko) 2018-07-16 2019-03-11 김종철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도로 포장 보수용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유지 보수·보강 공법
KR101956631B1 (ko) 2018-07-16 2019-03-11 김종철 도로 포장 보수용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유지 보수 공법
CN110981303A (zh) * 2019-12-13 2020-04-10 湖北环沙再生资源有限公司 一种掺矿粉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2348102B1 (ko) * 2021-02-04 2022-01-10 모아이엔씨 주식회사 작업성이 우수한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유지보수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212B1 (ko) 포장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US7465350B2 (en) Hydraulic composition
RU2649996C1 (ru) Мелкозернистая бетонная смесь
KR100873514B1 (ko) 초고강도 콘크리트용 결합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의제조방법
JP6732404B2 (ja) 繊維補強セメント複合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8912255B2 (en) Self-consolidating concrete (SCC) mixture having a compressive strength of at least 25 MPa at 28 days of age
Barbero-Barrera et al. Influence of the addition of waste graphite powder on the physical and microstructural performance of hydraulic lime pastes
JP2019011250A (ja) 高耐久性モルタル及び高耐久性コンクリート並びに高耐久性モルタルの製造方法
KR102424551B1 (ko) 조기강도 발현형 콘크리트 조성물
KR100697221B1 (ko)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고성능 숏크리트 조성물
KR101612113B1 (ko) 콘크리트용 결합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KR101121555B1 (ko) 조기교통개방을 위한 도로포장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Kaur et al. Reviewing some properties of concrete containing mineral admixtures
KR101985750B1 (ko) 유/무기계 상전이 물질이 포함된 초속성 및 초조강 폴리머개질 콘크리트 및 이를 사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RU2416588C1 (ru) Состав смеси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поробетона
JPH0680456A (ja) 流動性水硬性組成物
KR20170076146A (ko) 그래핀부산물이 혼입된 시멘트-모르타르 복합체
JP2016088778A (ja) 高耐久性コンクリート
Marushchak et al. Research of nanomodified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s
Sang et al. Experimental study on effect of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of strength and durability of sand concrete
JP6819740B1 (ja) コンクリート
JP2014034510A (ja) 軽量コンクリート製床版、道路構造
KR20120066145A (ko) 혼화재 사용율을 높인 콘크리트 조성물
Guneyisi et al. Laboratory investigation of chloride permeability for high performance concrete containing fly ash and silica fume
JP4137072B2 (ja) セメント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