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682B1 -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가 구비된 방음패널을 이용한 방음벽 - Google Patents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가 구비된 방음패널을 이용한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682B1
KR100908682B1 KR1020080067283A KR20080067283A KR100908682B1 KR 100908682 B1 KR100908682 B1 KR 100908682B1 KR 1020080067283 A KR1020080067283 A KR 1020080067283A KR 20080067283 A KR20080067283 A KR 20080067283A KR 100908682 B1 KR100908682 B1 KR 100908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pressure
casing
soundproof wall
fan
noise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이석
Original Assignee
최이석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이석,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filed Critical 최이석
Priority to KR1020080067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88Suspended, e.g. ropes or mesh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64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in systems with fluid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방음벽의 하중을 저감시키거나 최소화하면 방음벽의 내구성이 증가되는 동시에 하중감소에 따라 방음벽을 지지하는 기초 또는 설치 구조물에 미치는 풍하중의 영향이 줄어듦으로써 방음벽 및 지지구조물의 진동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안정성 및 내구성을 높이며 궁극적으로는 구조물의 신축시 규모가 적게되어 공사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와 이를 일체화한 방음패널을 이용한 방음벽을 개시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소음을 차폐하도록 소음과 직접 면하는 부위에 장착되는 발포 알루미늄판 및 상기 발포 알루미늄과 대향된 측에 부착된 알루미늄시트를 포함하는 통상의 방음패널로 구성된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방음패널에는 일정치 이상의 풍압이 작용했을 때 회전되어 풍압을 감소하기 위한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가 구비된 다수개의 방음패널들을 쌓거나, 통상의 방음패널과 혼합하여 축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 일체형 방음패널, 방음벽, 풍압, 케이싱, 공기 유출입공, 팬, 날개, 베어링, 단부캡, 흡음재

Description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가 구비된 방음패널을 이용한 방음벽{Soundproofing wall using an apparatus for absorbed of wind pressure and sundproofing Panel with the intergrated apparatus}
본 발명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방음벽에 풍압 발생시 팬이 회전되면서 풍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가 구비된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회전을 하지 않은 상태로 있다가 일정치 이상의 풍압이 작용할 때 팬이 회전함으로써 방음벽에 가해지는 풍압이 감쇄되도록 하여 풍압 및 방음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방음벽의 하중 감소로 공사비를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가 구비된 방음패널을 이용한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상 주변에는 각종 기계 설비의 가동, 자동차, 철도, 지하철, 항공기 등 교통 수단의 운행, 중장비를 이용한 각종 공사,또는 각종 음향 기기의 작동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바람직하지 않은 소리, 즉 소음이 발생되기 마련이다. 이런 소음은 개인적으로는 난청, 스트레스, 집중력 감소, 불안감 등을 유발하여 생활 안정성과 건강을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산업 현장에서는 열악한 작업환경을 조성하 고 진동을 발생시켜 생산성의 저하와 제품의 품질저하를 야기한다.
따라서, 소음 유발원들은 가능한 한 적은 소음이 발생되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불가피하게 발생된 소음이라면 가능한 한 소음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이런 방음의 필요성은, 작업장, 도로변, 철도변, 공항주변, 건설현장, 중장비, 아파트나 사무실과 같은 공동 주거시설,음악당이나 극장과 같은 공연장, 실내스포츠 시설, 및 각종 위락시설과 같은 거의 모든 주변 생활환경에 요구되고 있다.
통상적인 방음 방법으로서는, 흡음 또는 차음 성능이 있는 소재로 만들어진 각종 방음재를 사용하여, 방음벽, 방음 칸막이, 방음실, 음향처리용 마감재 등과 같은 방음 구조물을 설치하므로써, 소음을 흡수하고 그 전파 경로를 차단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도로변의 방음벽은 알루미늄, 콘크리트, 목재, 플라스틱류 등을 소재로 하여 단독 또는 복합적인 것들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우수한 흡차음성, 내구성, 열적특성등을 구비하면서도 시공원가가 저렴하여 시야차단 및 도시 미관을 해치며 장기적으로는 구조적인 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고가교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방음벽은 지역별 설계풍속을 고려하여 표준 풍하중을 적용하였으나, 바람의 많은 변수와 강풍등에 대하여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즉, 방음벽의 풍하중에 대하여 별도의 적절한 기술적 대안이 없다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방음벽 및 구조물의 안정성, 내구성이 저하되고 있다.
또한 도시의 고층 아파트 밀집지역에 고가교 등의 방음벽 설치시 방음벽의 풍압에 따른 구조물의 풍하중 문제로 인하여 방음벽을 적정 높이로 설치하지 못하여 소음 기준치를 지키지 못함으로써 교통소음에 시달린 주민들의 민원이 야기되고 있으나 이를 해소시켜줄 수 있는 뚜렷하고 현실적인 기술적 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또한 방음벽을 추가하여 설치하여야 할 곳에 풍하중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기존 교각의 구조물에 대한 안정성 때문에 방음벽을 설치하지 못하여 방음벽용 교각을 별도로 세우려고 하는 대안 검토를 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시 완전고정과 풍동시 회전시키는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를 구비한 방음패널을 이용한 방음벽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갖고 유지보수 없이 긴 수명을 갖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를 구비한 방음패널을 이용한 방음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은, 다수개의 방음패널이 축조되어 이루어지는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방음패널 중 하나 이상의 방음패널에는 일정치 이상의 풍압이 작용했을 때 회전되어 풍압을 감소하기 위한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상기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는, 다수의 공기 유입공과 유출공을 구비하며, 풍압 발생시 공기 유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소정 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풍압의 발생시 상기 공기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유출공을 통해 배출하도록 한 팬과; 상기 팬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 및 상기 케이싱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팬의 회전축을 고정하기 위한 단부캡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방음패널은,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가 일체로 구비되거나 분리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방음벽은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가 구비된 1개의 방음패널을 상기 방음벽의 상부 근처에만 수평으로 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싱은 4각 단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 또는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체로서, 팬의 회전시 소음을 경감시키기 위한 가스켓이 케이싱의 내부 상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스켓은 케이싱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싱은 다수의 유입공 및 유출공을 구비함에 있어서,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중 2 개 이상을 조합하여 혼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가스켓은 경질 또는 연질로 제작된 다수의 고정형 돌기 또는 착탈식 돌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는 방음벽용 방음패널의 상단 또는 하단부중 어느 한곳에 다수의 공기 유입공과 유출공을 구비하며, 풍압 발생시 공기 유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소정 형상의 내부공간부를 구비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공기 유입공과 유출공이 형성된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풍압의 발생시 상기 공기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유출공을 통해 배출하도록 한 팬과; 상기 팬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 상기 케이싱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팬의 회전축을 고정하기 위한 단부캡;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팬의 회전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흡음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공기 유입공과 유출공을 구비하며, 풍압 발생시 공기 유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소정 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풍압의 발생시 상기 공기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유출공을 통해 배출하도록 한 팬과; 상기 팬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 및 상기 케이싱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팬의 회전축을 고정하기 위한 단부캡으로 구성된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를 방음패널의 상단 또는 하단부에 삽입하여서된 방음패널을 축조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회전을 하지 않은 상태로 있다가 일정치 이상의 풍압이 작용할 때 팬이 회전함으로써 방음벽에 가해지는 풍압이 감쇄되도록 하여 풍압 및 방음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방음벽의 하중 감소로 공사비를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 일체형 방음패널을 이용하여 방음벽을 구성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사시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한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10)를 다수 개 쌓아서 방음벽(1)을 형성한 것이다. 이 방음벽(1)은 다수의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10)와, 이들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10)의 측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주용 프레임들(2)을 포함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10)는 다수의 공기 유입공과 유출공(11b)(도 3에는 유입공 만이 표시됨)을 구비하며, 풍압 발생시 공기 유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4각 단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11)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입공과 유출공(11b)에는 공기포집용 날개(11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싱(11)의 내부에는 도 4에서와 같이 풍압의 발생시 공기 유입공(11b)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유출공(11b)을 통해 배출하도록 한 팬(12)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팬(1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30)을 구비하고, 케이싱(11)의 양단부에는 단부캡(13)이 장착되어 팬(12)의 회전축(120)을 고정하도록 하였다.
도 5a 내지 도 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1)은 팬(12)의 회전시 소음을 경감시키기 위한 가스켓이 케이싱(11)의 내부 상하측에 형성되어 있는바, 가스켓(11c, 11d)은 도 5a 및 5b와 같이 고정형으로 돌출시켜서 케이싱(1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5f와 같이 유동형으로 분리되는 가스켓(11g)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d 및 5e는 브러쉬(11e)(11f)가 내장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f는 경연질의 플라스틱(11g)이 내장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가스켓(11c~11g)은 연질로 형성되어 팬(12)의 경, 연질 날개 몸체(12a)와 부딪혔을 경우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한편, 도 5c에 도시된 것은 별도의 가스켓이 없이 경, 연질의 날개 몸체(12a)가 케이싱(11)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a 내지 도 5f의 오른쪽에는 가스켓과 날개의 조합예를 설명한 것으로서, 도 5a와 도 5b는 가스켓(11c)(11d)이 알루미늄 또는 경,연질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고정형이고, 날개 몸체(12a)의 끝단부에는 브러쉬 또는 경연질 플라스틱재로 제작된 부위(12b)가 장착되는 것이고, 도 5c는 별도의 가스켓이 없이 경,연질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d는 케이싱의 내부 표면 전체에 브러쉬(11e)를 구비한 소재를 부착하고, 날개 몸체(12a)는 경, 연질로 제작한 것을 도시하였으며, 도 5e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브러쉬(11f)를 내장하고 경, 연질의 날개 몸체(12a)와 조합되도록 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f는 가스켓에 대하여, 유동형으로서 분리가능한 경, 연질의 플라스틱(11g)이 내장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5a 내지 도 5f 이외에 다양한 케이싱과 날개의 조합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g 내지 도 5i에는 케이싱(11)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바, 케이싱(11)의 공기 유입구 및 유출구(11b)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으나, 도 5g에서와 같이 케이싱(11)의 안쪽으로 돌출된 내협외광(內狹外廣)의 단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케이싱의 안쪽으로 타공된 형태가 바람을 흡수하기에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도 5h를 참조하면, 케이싱(11)의 표면은 사각, 상하 경사면을 갖거나 상하 원형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타공된 형상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반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형이 가능하고, 2 이상의 서로 다른 형상의 조합도 가능하다.
도 5i에는 이들의 타공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을 보여준 것이다.
도 6a 내지도 6h에는 팬(12)의 날개 몸체와 끝부분의 상세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a의 팬(12)은 날개 몸체(12a) 및 끝부분 일체형으로서 이는 알루미늄이나 경연질 플라스틱으로 제작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b 내지 도 6f는 날개 몸체(12a)(12c)(12d)(12e)(12f)와 날개의 끝부분(12b)(12i)(12j)(12k)(12l)이 분리형으로 제작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끝부분이 브러쉬 및 경연질플라스틱으로 제작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도 6c와 도 6d는 내장 삽입형이고, 도 6e와 도 6f는 외장 삽입형이다.
또한 도 6g에는 날개 몸체(12g)와 끝부분 일체형이지만 내부 공간을 구비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6h에는 날개 몸체(12h)를 날개 바람을 잘 받아들이도록 끝부분을 눈썹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흡음재부착을 용이하게 하여 회전시 원심력에 의한 흡음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도 8a 내지 도 8f에는 팬(12)의 날개 형상의 단면도들이 도시되어 있는바, 도 8a에 도시된 것을 기본으로 하고 이에는 흡음재(12p)가 부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들 날개의 형상과 흡음재(12p)의 부착 및 날개의 형태별 혼합활용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으므로 각각의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팬(12)은 방음벽용 패널의 폭(약 1~3m)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럴 경우 휨이 발생하거나 제작상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다수개 예컨대 3~7개로 분할하여 차음력을 증가시키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직사각형상의 케이싱(111)으로 구성하되, 가스켓(111c)의 형상이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이때 도면부호 111a는 공기포집용 날개, 111b는 공기 유입공 및 유출공이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2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원통형의 케이싱(211)으로 구성하되, 가스켓(211c)의 형상은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도면부호 211a는 공기포집용 날개, 211b는 공기 유입공 및 유출공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풍압의 발생시 각각의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10)가 회전하게 되는바, 도 7에서와 같이 바람이 유입공(11b)을 통해 유입되면 각각의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10)가 회전하게 되어 유출공(11b)으로 빠져나가게 됨으로써 풍압을 감소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방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일정치 이상의 풍압이 작용해서 팬(12)이 회전될 때 발생되는 간섭을 제거하면서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1에는 도 3에 도시한 제1실시예에 따른 1개의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10)를 기존 방음패널(700) 상부에 쌓아서 축조한 방음벽(6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방음패널(700)중 상층부에 있는 1개의 방음패널에는 풍압의 힘을 최소화하기 위한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10)를 삽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기능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와 도 13에는 도 10에 도시한 제3실시예에 따른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200)를 다수 개 쌓아서 축조한 방음벽(800)의 사시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방음벽(800)은 다수의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200)를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방음벽과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와 도 15에는 도 10에 도시한 제3실시예에 따른 1개의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200)를 기존 방음패널(700) 상부에 쌓아서 축조한 방음벽(900)의 사시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방음패널(200) 중 상층부에 있는 1개의 방음패널에는 풍압의 힘을 최소화하기 위한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200)를 삽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기능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 일체형 방음패널(10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도 17에서와 같이 방음벽용 방음패널 케이싱(1002)의 내부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공간부(1002d)(도 18 참조)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1002d)에는 풍압 및 소음 저감장치(1004)를 내장하며, 이 풍압 및 소음 저감장치(1004)가 수용되는 방음패널의 전후면에는 다수의 공기 유입공과 유출공(1002c)을 구비하여 풍압 발생시 상기 풍압 및 소음 저감장치(1004)의 작동에 의해 공기 유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케이싱(1004a)을 구비하였다.
도 1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싱(1004a)의 내부 공간부(1002d)에는 풍압의 발생시 공기 유입공(1002c)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공기 유출공(1002c)을 통해 배출하도록 한 팬(1004e)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바, 팬에는 그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이 축설되어 있다. 또한 공간부(1002d)가 위치된 케이싱(1004a)에는 공기 유입및 유출을 위한 구멍(1002b)이 다수 개 천공되어 있는바, 이 구멍들은 원형 사각형, 직사각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또한 이들을 취합 선택해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7에 도시된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1004)는 본 출원인에 의한 특허출원 제10-2008-0067276호에 따른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를 이용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인용하며, 본 발명에서는 팬은 1004e, 내부케이스는 1004a, 공기유입공은 1004c, 가스켓은 1004d, 단부캡은 1004b로 표시하였으며, 기타의 기능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스켓(1004d)은 내부케이싱(1004a)과 분리형 및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기존의 케이싱(1002)의 상부 또는 하부에 풍압 및 소음 저감장치(1004)를 통째로 삽입한 후 흡음재(1003)를 채워넣어 방음패널(1000)을 제작한 것이다.
도 19에는 도 16에 도시된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 일체형 방음패널(1000)을 다수개 쌓아 축조한 방음벽(11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방음벽(1110)은 다수의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 일체형 방음패널(1000)과, 이들 방음패널(1000)의 측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주용 프레임들(1011)을 포함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압의 발생시 각각의 팬(1004)이 회전하게 되는바, 바람이 유입공(1002c)을 통해 유입되면 각각의 팬(1004e)이 회전하게 되어 유출공(1002b)으로 빠져나가게 됨으로써 풍압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일정치 이상의 풍압이 작용해서 팬(1004e)이 회전될 때 발생되는 간섭을 제거하면서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1과 도 22에는 도 16에 도시한 제5실시예에 따른 1개의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 일체형 방음패널(1000)을 기존 방음패널(1030) 상부에 쌓아서 축조한 방음벽(1200)의 사시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방음패널(1030)중 상층부에는 풍압의 힘을 최소화하기 위한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 일체형 방음패널(1000)를 삽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와 기능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에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2개의 풍압 및 소음감소장치(1004)를 구비한 방음패널(13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있는바, 이는 케이싱(1002)의 내부에 공간부(1002d)가 2개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공간부(1002d)에는 풍압 및 소음 저감장치(1004)가 각각 삽입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4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4 내지 도 26에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 일체형 방음패널(2200)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바, 제7실시예는 케이싱(2201a)의 내부공간(2201d)에 회전팬(2210)이 단순히 삽입되고, 단부캡(2201)의 회전팬(2210)을 잡아주며, 유입공(1002b)이 없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4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7에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2개의 회전팬(2210)을 구비한 방음패널의 단면도가 도시되어있는바, 이는 케이싱의 내부에 공간부(2201d)가 2개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공간부(2201d)에는 회전팬(2210)이 각각 삽입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8내지 도 3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10)와 이를 일체화한 방음패널(1000,1300,2200)을 조합하여 축조한 방음벽의 측단면도인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은 도시된 것 이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축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가 구비된 방음패널 자체 만으로도 방음벽을 구성할 수도 있고, 기존의 방음벽의 상부에 별도로 방음패널을 설치함으로써 방음벽을 축조할 수 있고, 평상시에는 회전을 하지 않은 상태로 있다가 일정치 이상의 풍압이 작용할 때 팬이 회전함으로써 방음벽에 가해지는 풍압이 감쇄되도록 하여 풍압 및 방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방음벽의 하중 감소로 공사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 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케이싱은 직육면체 원통형 이외에 8각형등 다양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대체될 수도 있고, 팬의 날개의 갯수는 2개 이상 16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한 방음벽의 축조방식은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와 이를 일체화한 방음패널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축조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를 다수 개 쌓아서 축조한 방음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도 1에 이용되는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가스켓들의 부분 확대단면도;
도 5g 내지 도 5i는 케이싱의 공기유입 및 유출공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h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팬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7은 풍압 발생시 공기의 흐름상태를 도시한 도 3에서의 Ⅶ-Ⅶ선 단면도;
도 8a 내지 도8h는 팬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도 3에 도시한 제1실시예에 따른 1개의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를 기존 방음벽 상부에 쌓아서 축조한 방음벽의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제3실시예에 따른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를 다수 개 쌓아서 축조한 방음벽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서의 ⅩⅢ-ⅩⅢ선 단면도;
도 14는 도 10에 도시한 제3실시예에 따른 1개의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를 기존 방음벽 상부에 쌓아서 축조한 방음벽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서의 ⅩⅤ-ⅩⅤ선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 일체형 방음패널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 일체형 방음패널의 분해사시도;
도 18은 도 16에서의 XⅢ-XⅢ선 단면도;
도 19는 도 16에 도시한 제4실시예에 따른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 일체형 방음패널을 다수 개 쌓아서 축조한 방음벽의 사시도;
도 20는 도 19에서의 XX-XX선 단면도;
도 21은 도 16에 도시한 제4실시예에 따른 1개의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 일체형 방음패널을 기존 방음패널과 혼합하여 축조한 방음벽의 사시도;
도 22는 도 21에서의 XXⅡ-XXⅡ선 단면도;
도 23은 제4실시예에 따른 2개의 풍압 및 소음감소장치를 구비한 방음패널의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 일체형 방음패널의 사시도;
도 25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 일체형 방음패널의 분해사시도;
도 26은 도 25에서의 ⅩⅩⅥ-ⅩⅩⅥ선 단면도;
도 27는 제5실시예에 따른 2개의 풍압 및 소음감소장치를 구비한 방음패널의 단면도;
도 28 내지 도 31는 본 발명에 따른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와 이를 일체화한 방음패널을 조합하여 축조한 방음벽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0,500,800,900: 방음벽 2: 지주형 프레임
10,100,200,600: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 11,111,211: 케이싱
11c,11d,11e: 가스켓 12,22,620: 팬
13,613: 단부캡 30,630: 베어링

Claims (31)

  1. 다수개의 방음패널이 축조되어 이루어지는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방음패널 중 하나 이상의 방음패널에는 일정치 이상의 풍압이 작용했을 때 회전되어 풍압을 감소하기 위한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가 구비된 방음패널은 상기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가 일체로 구비되거나 분리형으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는,
    다수의 공기 유입공과 유출공을 구비하며, 풍압 발생시 공기 유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소정 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풍압의 발생시 상기 공기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유출공을 통해 배출하도록 한 팬과;
    상기 팬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 및
    상기 케이싱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팬의 회전축을 고정하기 위한 단부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벽은 ,
    상기 다수개의 방음패널 중 하나의 방음패널에만 상기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가 구비된 하나의 방음패널은 상기 방음벽의 상부 근처에 수평으로 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다수의 유입공 및 유출공을 구비함에 있어서,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중 2 개 이상을 조합하여 혼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4각 단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팬의 회전시 소음을 경감시키기 위한 가스켓이 케이싱의 내부 상하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상기 케이싱과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다수의 유입공 및 유출공을 구비함에 있어서,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중 2 개 이상을 조합하여 혼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경질 또는 연질로 제작된 다수의 고정형 돌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경질 또는 연질로 제작된 다수의 유동형 착탈식 돌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4개 이상의 날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경질의 재질로 제작되되, 그의 날개부는 경연질의 재질이 부착된 고정형 단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경질의 재질로 제작되되, 그의 날개 끝단부는 경연질의 재질이 부착된 탈착형 단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다수개의 팬들을 연결하여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다수의 유입공 및 유출공을 구비함에 있어서,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중 2 개 이상을 조합하여 혼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19. 방음벽용 방음패널의 내부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는 풍압 및 소음 저감장치를 내장하며;
    상기 풍압및 소음 저감장치가 수용되는 방음패널의 전후면에는 다수의 공기 유입공과 유출공을 구비하여 풍압 발생시 상기 풍압 및 소음 저감장치의 작동에 의해 공기 유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케이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는,
    다수의 공기 유입공과 유출공을 구비하며, 풍압 발생시 공기 유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소정 형상의 내부케이싱과;
    상기 내부케이싱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풍압의 발생시 상기 공기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유출공을 통해 배출하도록 한 팬과;
    상기 팬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 및
    상기 내부케이싱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팬의 회전축을 고정하기 위한 단부캡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케이싱은,
    상기 다수의 유입공 및 유출공을 구비함에 있어서,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중 2 개 이상을 조합하여 혼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측 하부에 1개만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1개의 풍압 및 소음 저감장치가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2개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공간부에는 풍압 및 소음 저감장치가 각각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가 위치된 케이싱에는 공기 유입 및 유출을 위한 구멍이 다수개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23. 삭제
  24. 삭제
  25. 방음벽용 방음패널의 내부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는 풍압 및 소음 저감장치를 내장하며;
    상기 풍압및 소음 저감장치가 수용되는 방음패널의 전후면에는 다수의 공기 유입공과 유출공을 구비하여 풍압 발생시 상기 풍압 및 소음 저감장치의 작동에 의해 공기 유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케이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는,
    다수의 공기 유입공과 유출공을 구비하며, 풍압 발생시 공기 유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소정 형상의 내부케이싱과;
    상기 내부케이싱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풍압의 발생시 상기 공기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유출공을 통해 배출하도록 한 팬과;
    상기 팬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 및
    상기 내부케이싱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팬의 회전축을 고정하기 위한 단부캡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내부케이싱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팬의 회전시 소음을 경감시키기 위한 가스켓이 내부케이싱의 내부 상하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상기 내부케이싱과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27. 제25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케이싱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28. 방음벽용 방음패널의 내부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는 회전팬을 내장하며;
    상기 회전팬이 수용되는 방음패널의 전후면에는 다수의 공기 유입공과 유출공을 구비하여 풍압 발생시 상기 회전팬의 작동에 의해 공기 유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케이싱을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유입공 및 유출공을 구비함에 있어서,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중 2 개 이상을 조합하여 혼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측 하부에 1개만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1개의 회전팬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2개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공간부에는 회전팬이 각각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31. 삭제
KR1020080067283A 2008-07-10 2008-07-10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가 구비된 방음패널을 이용한 방음벽 KR100908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283A KR100908682B1 (ko) 2008-07-10 2008-07-10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가 구비된 방음패널을 이용한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283A KR100908682B1 (ko) 2008-07-10 2008-07-10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가 구비된 방음패널을 이용한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682B1 true KR100908682B1 (ko) 2009-07-22

Family

ID=4133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283A KR100908682B1 (ko) 2008-07-10 2008-07-10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가 구비된 방음패널을 이용한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6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0923A (ja) 2003-10-17 2005-05-12 Systec:Kk 風緩和装置
KR20060055482A (ko) * 2006-02-13 2006-05-23 정택수 도로의 방풍시설
KR100746972B1 (ko) * 2006-10-11 2007-08-07 안승철 자동회전 흡음형 방음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0923A (ja) 2003-10-17 2005-05-12 Systec:Kk 風緩和装置
KR20060055482A (ko) * 2006-02-13 2006-05-23 정택수 도로의 방풍시설
KR100746972B1 (ko) * 2006-10-11 2007-08-07 안승철 자동회전 흡음형 방음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972B1 (ko) 자동회전 흡음형 방음판
KR101836367B1 (ko) 소음 제거 성능이 향상된 흡음형 방음판 및 그것이 적용된 방음벽
KR100908682B1 (ko)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가 구비된 방음패널을 이용한 방음벽
KR100886467B1 (ko) 방음통풍패널
KR20170075036A (ko) 분진제거기능 패널을 결합한 형상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708856B1 (ko) 봉형상의 흡음재를 이용한 풍하중 저감형 방음패널, 이를 구비한 회전식 방음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100892091B1 (ko)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
KR100875478B1 (ko) 도로 방음벽
KR101610841B1 (ko) 부상 흡음재 내장형 회전식 방음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CN205205707U (zh) 一种具有积水导排功能的声屏障单元板
KR100892092B1 (ko) 풍압 및 소음저감장치 일체형 방음패널
KR102521552B1 (ko) 공중화장실의 칸막이 이격공간의 차단부재
KR100986316B1 (ko) 흡음형 투명 동심원 경관조명 방음벽
KR100746977B1 (ko) 자동회전 투명 방음판
KR101019296B1 (ko) 투명 원통 풍도 흡음형 방음벽
KR101425782B1 (ko) 통풍형 흡음 방음판
KR100412068B1 (ko) 일체형 플라스틱 청정 방음벽
KR100378634B1 (ko) 흡음벽
KR200230651Y1 (ko) 흡음벽
KR20060022450A (ko) 방음판넬
KR100557749B1 (ko) 조립식 도로방음벽
JP2005030116A (ja) 移動音源用可視型防音壁及び防音ユニット
KR200265871Y1 (ko) 일체형 플라스틱 청정 방음벽
KR101456821B1 (ko) 조립식 방음 파티션
KR200323069Y1 (ko) 오프셋형 방음루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