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453B1 - 공동주택의 분전선 보호대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분전선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453B1
KR100908453B1 KR1020090003965A KR20090003965A KR100908453B1 KR 100908453 B1 KR100908453 B1 KR 100908453B1 KR 1020090003965 A KR1020090003965 A KR 1020090003965A KR 20090003965 A KR20090003965 A KR 20090003965A KR 100908453 B1 KR100908453 B1 KR 100908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edestal
distribution line
fixe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대진
Original Assignee
(주)한양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양기술단 filed Critical (주)한양기술단
Priority to KR1020090003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4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분전선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내측상부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고정대(110)를 갖춘 지지부(100)와; 전선배치홈(211)을 이루면서 고정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고정되는 다수개의 받침대(210)와, 받침대(210)의 전선배치홈(211)에 배치되는 절연재질의 제1안착러버(220)와, 고정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대(1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봉(231)과, 회전봉(231)에 고정되어 고정대(110)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연결봉(232)과, 받침대(210)의 전선배치홈(211)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다수개가 연결봉(232)에 일렬로 고정되어 받침대(210)의 전선배치홈(211)에 동시에 개폐가능하게 얹혀지는 덮개(233)를 갖춘 커버(230)와, 받침대(210)에 설치되어 연결봉(232)을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스토퍼(240)와, 덮개(233)의 하면에 배치되는 절연재질의 제2안착러버(250)가 구비된 분전선설치부(200)로 이루어져서, 분전선(C)의 위치이동이 방지되면서도 설치 및 유지보수작업이 편리하여 작업시간도 단축되는 효과가 예상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분전선 보호대{Cable Tray for an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분전선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분전선을 이격시켜 지지하는 공동주택의 분전선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지중 또는 가공전선으로부터 공동주택의 전력공급 및 통신을 위한 다양한 약전용 전선들이 외부로부터 건물의 내부로 인입된다. 그리고, 공동주택으로 인입된 각종 전선은 분전되어 다수의 수용가로 분배되며, 이렇게 공동주택 내부에서 분전되는 전선을 분전선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과 같은 건축 구조물 등에는 미관이나 수용가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분전선이 보호대에 배치고정되어 천정이나 바닥과 같은 건물의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분전선을 배치고정하는 보호대는 다양한 방식이 있는데, 등록특허 10-0709062와 같은 구조도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분전선을 배치고정하는 보호대는 다양한 방식이 있는데 특 히, 등록특허 10-0709062와 같은 구조도 있었다.
여기서, 등록특허 10-0709062는, 원형지지체의 외측에 원형지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케이블지지대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지지대의 수평대는 다수개가 원형지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분전선의 쳐짐을 방지하고, 케이블지지대의 케이블고정대가 수평대에 개별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수평대에 배치된 분전선을 고정한다. 따라서, 분전선을 설치할 경우에는, 모든 케이블고정대를 개별적으로 열고, 수평대에 분전선을 배치한 뒤, 다시 모든 케이블고정대를 개별적으로 닫아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였다.
또한, 분전선은 그 종류별로 다수 개가 인입되므로, 공간활용 및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하나의 수평대에 다수개의 분전선이 배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보호대는, 수평대에 배치된 다수개의 분전선 중, 하나의 분전선이 파손되어 교체할 때에도, 모든 케이블고정대를 일일이 열고, 분전선의 교체작업이 작업이 완료되면, 일일이 닫아야 하므로, 유지보수 시에도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수평대는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므로, 분전선의 설치 또는 유지보수시, 작업자와의 접촉으로 인해 기설치된 분전선의 위치이동이 발생된다. 특히, 수평대가 기울기를 가지도록 원형지지체에 설치되면, 분전선의 배치와 동시에 고정시키지 않으면 자중으로 인해 기울어진 수평대를 따라서 분전선이 위치이동되는 문제도 있었다. 이렇게, 분전선이 위치이동되면 다시 원위치시켜 고정해야 하므로, 분전선의 설치시 위치이동이 되지않도록 주의를 기울여 작업해야 하므로 분전선의 배치작업이 번거로운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분전선의 위치이동을 방지하면서 설치 및 유지보수작업이 편리한 공동주택의 분전선 보호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의 내측상부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고정대를 갖춘 지지부와; 전선배치홈을 이루면서 고정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고정되는 다수개의 받침대와, 받침대의 전선배치홈에 배치되는 절연재질의 제1안착러버와, 고정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봉과, 회전봉에 고정되어 고정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연결봉과, 받침대의 전선배치홈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다수개가 연결봉에 일렬로 고정되어 받침대의 전선배치홈에 동시에 개폐가능하게 얹혀지는 덮개를 갖춘 커버와, 받침대에 설치되어 연결봉을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스토퍼와, 덮개의 하면에 배치되는 절연재질의 제2안착러버가 구비된 분전선설치부로 된 구조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분전선의 위치이동이 방지되면서도 설치 및 유지보수작업이 편리하여 작업시간도 단축되는 효과가 예상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분전선 보호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분전선 보호대의 다른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분전선 보호대는, 지지부(100) 및 분전선설치부(200)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00)는 고정대(110)와 지지봉(1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대(110)는 원기둥 형상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내측상부 즉, 천정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천정의 하방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120)은 상단이 한 쌍의 고정부재(s1,s2)를 매개로 천정에 길이방향으로 수직하게 고정되고 하단은 고정대(110)에 고정되어, 고정대(110)가 천정으로부터 이격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고정대(110)를 지지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고정대(110)는 지지봉(120) 없이도 서로 마주하는 벽면의 상부에 브라켓을 매개로 양단이 각각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전선설치부(200)는 받침대(210), 제1안착러버(220), 커버(230), 스토퍼(240) 및 제2안착러버(250)로 구성되어, 고정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안정성을 위해 분전선설치부(200)가 고정대(110)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210)는 일단은 고정대(110)의 외주면에 맞대어져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고정되고, 타단은 하방으로 굽어 전선배치홈(211)을 이루어서 고정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고정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이격되어 나란히 고정된다.
상기 제1안착러버(220)는 합성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는 절연재질로 형성되어, 받침대(210)의 전선배치홈(211)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분전선(C)과 받침대(210)를 절연한다.
상기 커버(230)는 회전봉(231), 연결봉(232) 및 덮개(233)를 갖추고서, 분전선(C)을 배치하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개폐된다.
상기 회전봉(231)은, 고정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대(110)의 외측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회전축(h)을 매개로, 고정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연결봉(232)은 회전봉(231)의 자유단에 용접방식으로 고정되어, 고정대(110)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봉(232)은 고정대(110)의 양단에 설치된 받침대(210)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충분한 길이를 가진다. 또한, 상기 커버(230)를 편리하게 작동하기 위한 손잡이(232a)가 연결봉(232)의 양단에 형성된다.
상기 덮개(233)는 받침대(210)의 전선배치홈(211)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다수개가 연결봉(232)에 일렬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233)는 받침 대(210)에 개별적으로 얹혀져서, 연결봉(232)의 회전에 따라 다수의 덮개(233)들이 동시에 회전되면서 대응되는 전선배치홈(211)을 개폐한다. 여기서, 상기 덮개(233)는 각각의 일단에 연결봉(232)이 관통하여 용접되어서, 일렬로 연결되도록 고정된다.
상기 스토퍼(240)는 탄성을 지닌 금속재질로서, 양단이 상호 마주하도록 휘어지되, 외력이 가해지면 양단이 벌어지도록 받침대(21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240)는 양단 사이에 연결봉(232)을 안착시켜 탈착가능하게 고정하여, 커버(230)를 받침대(210)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240)는 고정대(110)의 전단과 후단에 배치된 받침대(210)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안착러버(250)는 덮개(233)의 하면에 개별적으로 부착되어, 분전선(C)과 덮개(233)를 절연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분전선 보호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분전선의 배치를 위해, 커버(230a,230b,230c)들이 받침대(210)에 3열을 이루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커버(230a,230b,230c)들의 설치 수는 얼마든지 변경가능하다. 이때, 상기 받침대(210)의 전선배치홈(211)은 커버(230a,230b,230c)들의 열에 대응되도록 다수개를 이룬다.
이때, 상기 제2커버(230b)의 회전봉(231)은 제1커버(230a)의 연결봉(232) 하측을 통과하여 제2커버(230b)의 연결봉(232)에 고정되고, 제3커버(230c)의 회전봉(231)은 제1커버(230a)의 연결봉(232)과 제2커버(230b)의 연결봉(232)의 하측을 통과하면서 제3커버(230c)의 연결봉(232)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스토 퍼(240)는 고정대(110)의 전단과 후단에 배치되는 받침대(210)에 3열을 이루면서 설치되어, 각 커버(230a,230b,230c)들을 받침대(210)에 탈착가능하게 고정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분전선 보호대의 작동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3커버(230a,230b,230c)들은 고정대(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3열씩 배치되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토퍼(240)에 의해 연결봉(232)이 고정된 상태로 천정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대(110)의 우측으로 분전선(C)을 배치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커버(230c)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면, 제3커버(230c)의 고정이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제3커버(230c)를 상방으로 더욱 밀어올린다. 이때, 상기 제3커버(230c)의 회전봉(231)은 제1커버(230a)의 연결봉(232)과 제2커버(230b)의 연결봉(232) 하측에 배치되므로, 제3커버(230c)가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면, 제3커버(230c)의 회전봉(231)이 제1커버(230a) 및 제2커버(230b)의 연결봉(232)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게 되어, 제1커버(230a), 제2커버(230b) 및 제3커버(230c)가 동시에 열리게 된다. 그러면, 막대나 끈 등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을 통해 상기 제1커버(230a), 제2커버(230b) 및 제3커버(230c)들의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서, 상기 제3커버(230c)의 전선배치홈(211)에 분전선(C)을 배치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커버(230c)의 전선배치홈(211)에 분전선(C)이 배치되면, 제3커버(230c)를 하방으로 내려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제1커버(230a) 및 제2커버(230b)의 연결봉(232)은, 제3커버(230c)의 회전봉(231) 상측으로 배치되므로, 제3커버(230c)가 하방으로 내려질 땐, 열린 상태의 제1커버(230a)와 제2커버(230b)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커버(230a)와 제2커버(230b)는 여전히 열린 상태이고, 제3커버(230c)만 닫히게 된다. 그리고서, 상기 제2커버(230b)에 해당하는 전선배치홈(211)에 분전선(C)을 배치한다.
계속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커버(230b)를 하방으로 내려 고정시키면, 제1커버(230a)는 여전히 열린 상태이고, 제2커버(230b)만 닫힌다.
그리고, 상기 제1커버(230a)의 전선배치홈(211)에 분전선(C)을 배치한 뒤, 제1커버(230a)를 닫아 고정하면 분전선(C)의 설치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대(110)의 좌측으로 분전선(C)을 배치하는 방법은 우측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분전선 보호대는, 상기 분전선(C)의 설치시, 다수의 덮개(233)들이 연결봉(232)에 일렬로 설치되어, 연결봉(232)만 상방으로 밀어 올리거나 내리면, 이에 따라 덮개(233)들도 동시에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거나 내려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230)가 손쉽게 개폐되므로, 분전선(C)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도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분전선 보호대는, 상기 분전선설치부(200)의 커버(230)가 다수의 열을 이루도록 설치된 경우, 일 예로, 제1커버(230a)의 연결봉(232)이 제2커버(230b)의 회전봉(231)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므로, 제2커버(230b)가 열리면 제1커버(230a)도 동시에 열리게 되고, 닫힐 땐 개별적으로 닫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230)가 다수의 열을 이루는 경우, 작업자의 일회 동작으로 커버(230a,230b,230c)들의 동시작동이 가능하여, 작업이 편리한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분전선 보호대는, 상기 받침대(210)에 전선배치홈(211)이 형성되어, 분전선(C)의 설치 및 유지보수 시, 분전선(C)의 위치이동이 발생되지 않아 설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상기 분전선(C)들이 설치되거나 교체 등 어떠한 상황에서도 해당 전선배치홈(211) 내부에 배치되어 상호 이격되므로, 시간이 경과하여도 분전선(C)간 상호 접촉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합선 등 각종 전기사고도 방지되는 장점도 있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분전선 보호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분전선 보호대의 다른 사시도이고,
도 4 ~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분전선 보호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지지부, 110:고정대,
120:지지봉, 200:분전선설치부,
210:받침대, 211:전선배치홈,
220:제1안착러버, 230:커버,
230a:제1커버, 230b:제2커버,
230c:제3커버, 231:회전봉,
232:연결봉, 232a:손잡이,
233:덮개, 240:스토퍼,
250:제2안착러버, h:회전축,
s1,s2:고정부재, C:분전선.

Claims (1)

  1. 건물의 내측상부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고정대(110)를 갖춘 지지부(100)와;
    전선배치홈(211)을 이루면서 고정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고정되는 다수개의 받침대(210)와, 받침대(210)의 전선배치홈(211)에 배치되는 절연재질의 제1안착러버(220)와, 고정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대(1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봉(231)과, 회전봉(231)에 고정되어 고정대(110)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연결봉(232)과, 받침대(210)의 전선배치홈(211)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다수개가 연결봉(232)에 일렬로 고정되어 받침대(210)의 전선배치홈(211)에 동시에 개폐가능하게 얹혀지는 덮개(233)를 갖춘 커버(230)와, 받침대(210)에 설치되어 연결봉(232)을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스토퍼(240)와, 덮개(233)의 하면에 배치되는 절연재질의 제2안착러버(250)가 구비된 분전선설치부(2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분전선 보호대.
KR1020090003965A 2009-01-17 2009-01-17 공동주택의 분전선 보호대 KR100908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965A KR100908453B1 (ko) 2009-01-17 2009-01-17 공동주택의 분전선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965A KR100908453B1 (ko) 2009-01-17 2009-01-17 공동주택의 분전선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453B1 true KR100908453B1 (ko) 2009-07-24

Family

ID=41337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965A KR100908453B1 (ko) 2009-01-17 2009-01-17 공동주택의 분전선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4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4454A (zh) * 2017-09-29 2018-03-23 芜湖市振华戎科智能科技有限公司 安防高清摄像头的保护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921Y1 (ko) 2003-12-30 2004-04-03 주식회사 성진기업 케이블 트레이
JP2004120955A (ja) * 2002-09-27 2004-04-15 Kono Denki Kk ケーブル結束保持具
KR100691394B1 (ko) 2006-12-29 2007-03-12 주식회사 정명기술단 공동주택 및 건축물용 합성수지재 케이블 트레이
KR100709062B1 (ko) 2007-01-10 2007-04-18 석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동주택용 조립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0955A (ja) * 2002-09-27 2004-04-15 Kono Denki Kk ケーブル結束保持具
KR200346921Y1 (ko) 2003-12-30 2004-04-03 주식회사 성진기업 케이블 트레이
KR100691394B1 (ko) 2006-12-29 2007-03-12 주식회사 정명기술단 공동주택 및 건축물용 합성수지재 케이블 트레이
KR100709062B1 (ko) 2007-01-10 2007-04-18 석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동주택용 조립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4454A (zh) * 2017-09-29 2018-03-23 芜湖市振华戎科智能科技有限公司 安防高清摄像头的保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0348B2 (en) Bilateral rotation apparatus and furniture including the same
KR200448709Y1 (ko) 고압케이블의 처짐 방지장치
ES2337746T3 (es) Bastidor para una caja de pruebas.
KR101127551B1 (ko) 세대 통합형 단자함
KR101367430B1 (ko) 회전과 복원력을 갖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JP6642963B2 (ja) 溶接棒乾燥機の払出装置
KR100892142B1 (ko) 공동주택의 배전용 인입내선 연결대
KR100908453B1 (ko) 공동주택의 분전선 보호대
JP6182860B2 (ja) 配線機能付きテーブル
GB2451109A (en) Electrically heated towel rack
KR101987135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선로 안정장치
KR101366896B1 (ko)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안착장치
CN206180526U (zh) 一种网络工程用分线盒
ITRM20070056A1 (it) Montante per quadro elettrico e quadro elettrico includente tale montante
CN210723822U (zh) 一种电力系统高压配电箱
PT1137142E (pt) Caixa para aparelhagem destinada a ser colocada ao longo de uma calha, nomeadamente para aparelhagem eléctrica
RU143193U1 (ru) Наружная коробк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устройств
KR100986608B1 (ko) 공동주택 배전용 인입내선 연결대
KR200451508Y1 (ko) 무정전식 전기계량기함
CN206181663U (zh) 模块安装板及移动智能终端设备充电、网络服务装置
JP6380926B2 (ja) 床用配線器具
CN216489031U (zh) 一种用于供配电线路的安全配电装置
KR102221440B1 (ko)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고정장치에 결착되는 충격흡수와 선택적으로 방향조절이 가능한 고정부재
KR101149551B1 (ko) 배선덕트용 분기체
KR100940823B1 (ko) 사무기기용 케이블 덕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