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323B1 - 오수받이 - Google Patents

오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323B1
KR100908323B1 KR1020090013891A KR20090013891A KR100908323B1 KR 100908323 B1 KR100908323 B1 KR 100908323B1 KR 1020090013891 A KR1020090013891 A KR 1020090013891A KR 20090013891 A KR20090013891 A KR 20090013891A KR 100908323 B1 KR100908323 B1 KR 100908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opening
sewage
pipe coupl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헌홍
Original Assignee
(주)홍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홍일산업 filed Critical (주)홍일산업
Priority to KR1020090013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2005/028Sealing joints between manhole seg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받이와 우수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의 제1배관커플링과 제2배관커플링을 면대면으로 체결하여 제1배관커플링과 제2배관커플링의 전체 높이를 작게 할 수 있어 제2배관커플링에 연결되는 배관을 지면으로부터 더 깊게 묻을 수 있어 동파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일단부가 오수받이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개구된 제1개구부(21)와, 상기 제1개구부의 외부로 돌출된 "ㄷ"형상으로 상부면, 하부면 및 측면으로 이루어지며 결합홈(22)과, 상기 결합홈의 일측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26)과, 상기 결합홈의 일측 하부면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27)를 구비하는 제1배관커플링(20)과; 일단부가 오수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개구된 제2개구부(31)와, 상기 제2개구부의 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결합홈에 결합하는 체결돌기(32)를 구비하는 제2배관커플링(30)으로 이루어지는 유입부를 구비하는 통상의 오수받이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32)의 높이+이탈방지돌기(27)의 중앙 높이는 결합홈(22)의 내부 높이 보다 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수받이, 오수관, 연결부, 배관커플링, 체결돌기

Description

오수받이{DRAIN SEWAGE}
본 발명은 오수받이와 우수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의 제1배관커플링과 제2배관커플링을 면대면으로 체결하여 제1배관커플링과 제2배관커플링의 전체 높이를 작게 할 수 있어 제2배관커플링에 연결되는 배관을 지면으로부터 더 깊게 묻을 수 있어 동파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받이는 가정하수, 공장폐수 등의 오수를 처리장으로 유입하기 전에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오수받이(1)는 뚜껑이 구비된 사각형상의 통에 다수개의 유입부(2)와 하나의 유출부(5)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유입부(2)에는 오수를 유입하는 오수관(6)이 연결되고, 유출부(5)에는 하수처리장 등으로 이송하는 배출관(7)이 각각 연결되도록 매설된다.
이러한 오수받이의 유입부(2)는 오수받이로 유입된 오물 및 냄새가 유입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ㄱ"자 형상으로서 일단부가 오수받이에 결합되는 제1배관커플링(3)의 타단부를 일단부가 오수관에 연결되는 제2배관커플링(4)의 타단부 내부로 삽입하여 오수받로 유입되는 부분과 오수관의 높이차를 갖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유입부 형성방법은 제2배관커플링(4)의 타단부를 제1배관커플링(3)의 타단부에 삽입하여 연결되기 때문에 제2배관커플링(4)의 유입부분과 제1배관커플링(3)의 배출부의 높이 차이가 많이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즉, 제2배관커플링(4)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제1배관커플링(3)의 타단부가 필수적으로 존재할 수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이, 제2배관커플링(4)의 유입부분과 제1배관커플링(3)의 배출부분의 높이 차이가 많을수록 오수받이의 크기는 일정하기 때문에 제2배관커플링(4)에 연결된 오수관(6)이 지면으로부터 낮은 곳에 위치하여 겨울철에 동파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수받이와 우수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의 제1배관커플링과 제2배관커플링을 면대면으로 체결하여 제1배관커플링과 제2배관커플링의 전체 높이를 최소화시켜 제2배관커플링에 연결되는 배관을 지면으로부터 더 깊게 묻을 수 있어 동파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오수받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배관커플링과 제2배관커플링의 밀착시켜 회전시키면서 면대면으로 체결하여 간단하게 결합시키면서 결합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오수받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일단부가 오수받이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개구된 제1개구부(21)와, 상기 제1개구부의 외부로 돌출된 "ㄷ"형상으로 상부면, 하부면 및 측면으로 이루어지며 결합홈(22)과, 상기 결합홈의 일측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26)과, 상기 결합홈의 일측 하부면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27)를 구비하는 제1배관커플링(20)과; 일단부가 오수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개구된 제2개구부(31)와, 상기 제2개구부의 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결합홈에 결합하는 체결돌기(32)를 구비하는 제2배관커플링(30)으로 이루어지는 유입부를 구비하는 통상의 오수받이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32)의 높이+이탈방지돌기(27)의 중앙 높이는 결합홈(22)의 내부 높이 보다 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제2개구부의 단부면에는 밀봉홈이 형성되고, 밀봉홈에는 밀봉링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는 제1배관커플링 및 제2배관커플링의 외주면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오수받이는 제1배관커플링과 제2배관커플링의 각각의 개구부를 배관커플링의 외주면과 동일한 위치하게 형성된 상태에서 면대면으로 체결되기 때문에 제2배관커플링에 연결되는 배관을 지면으로부터 더 깊게 묻을 수 있어 동파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배관커플링과 제2배관커플링의 체결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회전방식으로 체결되기 때문에 현장에서 즉석으로 필요한 각도로 조절하면서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에 사용된 배관 커플링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에 사용된 배관 커플링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배관커플링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배관커플링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10)는 부엌이나 욕실 등에서 배출되는 기타 잡배수 또는 분뇨를 위한 유입부(11)와 유출부(12)에는 하수처리장 등으로 이송하는 배출관(14)로 이루어져 있는데, 오수의 출처 및 종류에 따라 상기 유입부(12)의 수는 증감될 수 있다.
유입부(11)와 상기 유출부(12)는 격벽에 의하여 분리되어 방취부(15)를 형성하며, 상기 방취부(15)로부터 격벽을 넘어 월류된 오수는 유출부(12)로 배출된다.
유입부(11)는 오수 출처(부엌, 욕실 등)와 이어진 하수관의 직경, 경사도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형상과 각도가 정해질 것인데 일반적으로 자연적으로 맨홀에 유입될 수 있도록 약간의 경사를 갖는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11)는 일단부가 오수받이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개구된 제1개구부(21)를 갖는 제1배관커플링(20)과 일단부가 오수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개구된 제2개구부(31)를 갖는 제2배관커플링(30)으로 이루어지며, 제1배관커플링(20)의 제1개구부와 제2배관커플링(30)의 제2개구부는 동일한 외주면의 크기를 갖으면서 서로 면대면으로 체결된다. 이러한 제1배관커플링과 제2배관커플링이 오수받이 및 오수관에 연결되는 방법은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제1개구부(21) 및 제2개구부(31)는 제1배관커플링(20) 및 제2배관커플 링(30)의 외주면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배관커플링(20) 및 제2배관커플링(30)의 제1 및 2개구부가 면대면으로 체결되기 때문에 종래의 유입부처림 제2배관커플링(30)의 제2개구부를 제1배관커플링(20)의 제1개구부에 삽입하여 체결할 때 필요한 제1개구부의 높이와 제2개구부의 높이가 필요없어 제1배관커플링과 제2배관커플링의 전체 높이를 작게 할 수 있어 제2배관커플링에 연결되는 배관을 지면으로부터 더 깊게 묻을 수 있어 동파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배관커플링(20)은 제1개구부의 외부로 돌출된 "ㄷ"형상이 되도록 상부면(23), 하부면(24) 및 측면(25)으로 이루어진 결합홈(22)과, 결합홈(22)의 일측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26)과, 결합홈(22)의 일측 하부면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27)로 이루어진다. 제2배관커플링(30)은 제2개구부(31)의 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며 결합홈(22)에 결합하는 체결돌기(32)를 구비한다.
제1배관커플링의 삽입홈(26)은 제2배관커플링의 체결돌기(32)가 통과할 수 있도록 체결돌기(32)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며 제1배관커플링(20)과 제2배관커플링(30)의 체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2개 이상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방지돌기(27)는 결합홈(22)의 하부면에 형성되는데 삽입홈(26)의 양말단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배관커플링의 체결돌기(32)를 삽입홈(26)으로 밀어넣은 후에 회전시키면 체결돌기(32)가 이탈방지돌기(27)를 타고 넘어 "ㄷ"형상의 결합홈(22) 내부에 위치하면서 체결된다. 이때, 이탈방지돌기(27)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되면서 체결되는 경우에는 쉽게 타고 넘어갈 수 있으나 반대방향으로 회전될때에는 쉽게 타고 넘을 수 없도록 형성된다.
체결돌기(32)는 양말단부위가 중앙부위보다 순차적으로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회전시 쉽게 이탈방지돌기(27)를 타고 넘어 결합홈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체결돌기(32)의 높이+이탈방지돌기(27)의 높이는 결합홈(22)의 내부 높이 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쉽게 체결돌기가 힘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 이탈방지돌기를 넘나들지 못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및 제2배관커플링(20,30)은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힘을 가하면 탄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돌기는 결합홈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배관커플링(30)은 체결한 후에 각도를 보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쉽게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제2개구부(31)의 단부면에는 밀봉홈(33)이 형성되고, 밀봉홈(33)의 내부에는 밀봉링(40)이 위치한다. 이러한 밀봉링에 의해 제1배관커플링의 결합홈(22) 하부면에 맞닿는 제2배관커플링의 제2개구부(31) 단부면이 완전히 밀착되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도 1은 종래의 오수받이에 대한 전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의 전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에 사용된 배관 커플링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에 사용된 배관 커플링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배관커플링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배관커플링의 단면도.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오수받이 11 : 유입부
12 : 유출부 15 : 방취부
20 : 제1배관커플링 21 : 제1개구부
22 : 결합홈 26 : 삽입홈
27 : 이탈방지돌기 30 : 제2배관커플링
31 : 제2개구부 32 : 체결돌기
33 : 밀봉홈 40 : 밀봉링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일단부가 오수받이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개구된 제1개구부(21)와, 상기 제1개구부의 외부로 돌출된 "ㄷ"형상으로 상부면, 하부면 및 측면으로 이루어지며 결합홈(22)과, 상기 결합홈의 일측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26)과, 상기 결합홈의 일측 하부면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27)를 구비하는 제1배관커플링(20)과; 일단부가 오수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개구된 제2개구부(31)와, 상기 제2개구부의 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결합홈에 결합하는 체결돌기(32)를 구비하는 제2배관커플링(30)으로 이루어지는 유입부를 구비하는 통상의 오수받이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32)의 높이+이탈방지돌기(27)의 중앙 높이는 결합홈(22)의 내부 높이 보다 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구부의 단부면에는 밀봉홈이 형성되고, 밀봉홈에는 밀봉링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는 제1배관커플링 및 제2배관커플링의 외주면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돌기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KR1020090013891A 2009-02-19 2009-02-19 오수받이 KR100908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891A KR100908323B1 (ko) 2009-02-19 2009-02-19 오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891A KR100908323B1 (ko) 2009-02-19 2009-02-19 오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323B1 true KR100908323B1 (ko) 2009-07-17

Family

ID=41337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891A KR100908323B1 (ko) 2009-02-19 2009-02-19 오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3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0277A (en) 1984-02-13 1986-07-15 Murray Jr Joseph E Telescope with multiple image-viewing assemblies
JPH07269768A (ja) * 1994-03-31 1995-10-20 Wada Stainless Kogyo Kk カップリング構造
JPH11192396A (ja) * 1997-11-05 1999-07-21 Kana Flex Corporation Kk 洗濯機における内部ホースの接続構造
KR100806547B1 (ko) 2007-08-06 2008-02-26 주식회사 고리 가변연결부를 구비한 오수받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0277A (en) 1984-02-13 1986-07-15 Murray Jr Joseph E Telescope with multiple image-viewing assemblies
JPH07269768A (ja) * 1994-03-31 1995-10-20 Wada Stainless Kogyo Kk カップリング構造
JPH11192396A (ja) * 1997-11-05 1999-07-21 Kana Flex Corporation Kk 洗濯機における内部ホースの接続構造
KR100806547B1 (ko) 2007-08-06 2008-02-26 주식회사 고리 가변연결부를 구비한 오수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5721C2 (ru) Гибкий сливной сифон
KR100892620B1 (ko) 오수받이
KR101847554B1 (ko) 수로변경형 오수받이
KR100806547B1 (ko) 가변연결부를 구비한 오수받이
KR100908323B1 (ko) 오수받이
KR20060095233A (ko) 악취 차단 오수받이
KR100658160B1 (ko) 공동주택 베란다의 배수구조
KR101126336B1 (ko) 싱크대 배수유닛
KR100495394B1 (ko)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
KR101729274B1 (ko) 착탈형 트랩부재를 구비하는 오수받이
KR100923133B1 (ko)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101562940B1 (ko) 유속을 빠르게 하는 유선형 트랩을 갖는 오수받이
KR100905412B1 (ko) 소켓용 악취차단장치
KR100950542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0811125B1 (ko) 오수받이
KR100670838B1 (ko) 가변이음부를 구비한 트랩 내장형 오수받이장치
KR101194420B1 (ko) 공동주택의 배수구 악취 제한용 하수관 구조물
KR100740525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210116911A (ko) 트랩 설치가 자유로운 오수받이
KR200265310Y1 (ko)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
KR20120131951A (ko) 다용도 배수트랩장치
KR101186960B1 (ko) 멀티트랩 오수받이
KR20090105045A (ko) 오수받이장치 및 이에 장착 가능한 악취차단장치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KR200392301Y1 (ko) 오수받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