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191B1 -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 및 이를 이용한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 및 이를 이용한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191B1
KR100908191B1 KR1020070089976A KR20070089976A KR100908191B1 KR 100908191 B1 KR100908191 B1 KR 100908191B1 KR 1020070089976 A KR1020070089976 A KR 1020070089976A KR 20070089976 A KR20070089976 A KR 20070089976A KR 100908191 B1 KR100908191 B1 KR 100908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tent
height
fixed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4974A (ko
Inventor
우준식
Original Assignee
우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준식 filed Critical 우준식
Priority to KR1020070089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191B1/ko
Priority to PCT/KR2008/005078 priority patent/WO2009031786A2/en
Publication of KR20090024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8Umbrella type 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세워지는 고정폴과; 고정폴의 상부에 형성되어 고정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폴; 이동폴의 하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일측에 고정폴이 관통 삽입되는 이동캡; 이동캡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텐트천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연결부; 이동폴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경사진 곳에 텐트를 설치할 경우에도 텐트의 설치 상태를 항상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텐트천이 폴대와 함께 이동하여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폴대의 높이를 조절한 후에 텐트천의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The pole structure of tent adjustable height and t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진 곳에 텐트를 설치할 경우에도 텐트가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야외에서 야영 등을 위해 필요한 물품으로서, 폴대를 하나씩 결합시켜 완성하는 수동식 텐트나 우산과 유사한 작동을 취하여 용이한 설치 및 해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자동식 텐트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수동식 텐트나 자동식 텐트의 폴대는 모두 길이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항상 평지(平地)에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수동식 텐트나 자동식 텐트의 폴대는 고정체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텐트를 기울기가 있는 비탈진 곳 또는 바닷가 등의 경사진 것에 곳에 설치 시 상기 텐트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쉽게 넘어져 해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써, 본 발명의 출원인이 2005 년 4월 25일자로 출원하여 특허등록된 특허출원 제2005-33972호(발명의 명칭: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가 있는데, 상기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가 채용된 텐트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수동식 텐트나 자동식 텐트(이하, 텐트라 함)에 있어서, 하부 지지폴을 길이 가변식으로 구성하여 상기 하부 지지폴의 설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경사진 곳에 텐트의 설치 시 상기 텐트가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에 관한 것인데, 이에 대해 아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하부 지지폴(50)은 지면에 세워지는 고정폴(54)과, 일측은 상기 상부 연결폴(1)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폴(54)에 출입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폴(52) 및, 상기 고정폴(54)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폴(52)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56)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토퍼(56)는 이동폴(52)이 고정폴(54)의 내부로 출입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구(56a)와 상기 안내구(56a)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편심 회동구(56b)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텐트 원단(75)의 길이 조절기는, 상기 하부 지지폴(50) 측에 결합된 텐트 원단(75)의 하부에 결착되되, 그 출발점에서 최종점까지 갈수록 확장된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퍼(90,96)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경사진 곳에 텐트를 설치할 경우, 텐트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높은 곳에 위치하는 길이 가변식 하부 지지폴의 길이를 축소시킴으로써, 경사면에서 텐트를 설치할 경우, 상기 텐트의 설치 상태를 항상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텐트의 설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텐트 원단은 그대로 두고 길이가 가변되는 텐트의 하부 지지폴 일부에 대해서만 그 길이를 줄여서 텐트의 수평을 맞추게 되는데, 이처럼 하부 지지폴의 길이만 줄어들게 되면 텐트 원단에는 주름이 형성되고, 이러한 텐트 원단의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원단 길이 조절 수단을 더 구성해야 한다.
이처럼 텐트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텐트에 길이가 가변되는 하부 지지폴 이외에 텐트의 원단 길이 조절 수단까지 더 구성하게 되면, 텐트의 제작 비용이 증가되고, 텐트를 설치할 때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경사진 곳에서도 텐트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별도의 텐트 원단의 길이 조절 수단이 없어도 텐트 원단에 주름이 그다지 크게 생성되지 않도록 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는, 텐트의 골격을 형성하는 폴대와, 상기 폴대에 결합되어 텐트의 외형을 형성하는 텐트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텐트에 있어서, 지면에 세워지는 고정폴과; 고정폴의 상부에 형성되어 고정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폴; 이동폴의 하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일측에 고정폴이 관통 삽입되는 이동캡; 이동캡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텐트천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연결부; 이동폴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는, 고정폴의 상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일측에 이동폴이 관통 삽입되는 고정캡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에서, 상기 고정폴은 한 쌍의 폴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는, 텐트의 골격을 형성하는 폴대와, 상기 폴대에 결합되어 텐트의 외형을 형성하는 텐트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텐트에 있어서, 지면에 세워지는 고정폴과; 고정폴의 상부에 형성되어 고정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고, 고정폴이 내부에 안테나 방식으로 삽입되는 이동폴; 이동폴의 하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이동캡; 이동캡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텐트천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연결부; 이동폴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는, 상기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는, 고정폴에 인접한 텐트천의 가장자리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어 텐트천의 가장자리 하단부를 탄력적으로 수축시키는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에 의하면, 경사진 곳에 텐트를 설치할 경우에도 텐트의 설치 상태를 항상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텐트의 설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폴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텐트천이 폴대와 함께 이동하여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폴대의 높이를 조절한 후에 텐트천의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텐트의 생산 비용 이 감소하고, 텐트의 설치 과정이 단순화되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사용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는 크게 텐트의 골격을 형성하는 폴대와, 상기 폴대에 결합되어 텐트의 외형을 형성하는 텐트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에서 폴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의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상부 폴대(10)와, 상부 폴대(10)의 하측 단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폴대(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부 폴대(10)와 하부 폴대(20)의 구분없이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폴대가 상부 폴대(10)와 하부 폴대(20)로 구분되는 텐트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는, 크게 텐트의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상부 폴대(10)와, 상부 폴대(10)의 하측 단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하부 폴대(20) 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길이가 가변되는 하부 폴대(20)는, 지면에 세워지는 고정폴(24)과, 고정폴(24)의 상부에 형성되어 고정폴(24)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폴(22), 고정폴(24)의 상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캡(25), 이동폴(22)의 하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이동캡(26), 이동캡(26)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텐트천(4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연결부(27), 그리고 이동폴(22)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폴(24)은 한 쌍의 폴대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한 쌍의 고정폴(24)은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캡(25)에 의해 상호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폴(24)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캡(25)의 일측에는 이동폴(22)이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캡(25)의 중심부에 이동폴(22)이 관통하여 지나가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양측은 고정폴(24)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폴(22)은, 그 상측 단부가 상부 폴대(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측 단부가 고정캡(25)을 관통하여 지나가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폴(22)의 하측 단부에는 이동캡(26)이 고정 결합되고, 이동캡(26)의 일측에는 고정폴(24)이 관통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캡(26)의 중심부는 이동폴(22)의 하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이동캡(26)의 중심부 양측에는 고정폴(24)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동캡(26)의 일측에 고정 형성된 연결부(27)가 텐트천(40)의 가장자리에 체결된다. 예를 들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캡(26)의 일측에 고리 모양의 연결부(27)가 고정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캡(26)에 대응하는 텐트천(40)의 가장자리에는 연결 고리(42)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텐트천(40)의 연결 고리(42)가 이동캡(26)의 연결부(27)에 체결됨으로써 텐트천(40)의 가장자리가 이동캡(26)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동캡(26)의 일측에는 이동폴(22)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8)가 더 형성된다. 본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토퍼(28)가 이동캡(26)의 일측에 형성되었지만, 고정캡(25)의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28)는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칭함)라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정도의 공지 기술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출원인이 2005년 4월 25일자로 출원하여 특허등록된 특허출원 제2005-33972호(발명의 명칭: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에 게재된 스토퍼 구성이 본 발명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에 있어서, 이동폴(22)이 고정캡(25)을 관통하여 하향 이동되면 하부 폴대(20)의 전체 길이가 축소될 수 있다. 이때, 텐트천(40)의 가장자리 중심부에서 연장 형성된 연결 고리(42)가 이동캡(26)의 연결부(27)에 결합되어 있어서, 이동폴(22)과 함께 이동캡(26)이 하향 이동하더라도, 텐트천(40)의 가장자리 상부, 즉 연결부(27)에 결 합되는 텐트천(40)의 연결 고리(42)를 중심으로 가장자리 상측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텐트천(40)의 가장자리 하부, 즉 연결부(27)에 결합되는 텐트천(40)의 연결 고리(42)를 중심으로 가장자리 하측은 텐트천(40)이 겹쳐지면서 주름이 크게 형성되어 바람에 펄럭이는 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텐트천(40)의 가장자리 하부, 즉 연결부(27)에 결합되는 텐트천(40)의 연결 고리(42)를 중심으로 가장자리 하측에 탄성밴드(44)가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동폴(22)이 하향 이동하더라도 텐트천(40)의 가장자리 하부는 상기 탄성밴드(44)에 의해 바람에 펄럭일 정도의 큰 구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폴(22)이 상향 이동하는 경우에도 탄성밴드(44)가 인장되면서 텐트천(40)이 팽팽한 상태가 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도 6을 참조하면, 경사진 곳에 텐트를 설치할 경우, 텐트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평지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하부 폴대(20)의 길이를 축소시켜서 텐트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즉, 이동폴(22)을 고정캡(25)을 관통하여 적당히 하향 이동시켜서 하부 폴대(20)의 전체 길이를 축소시킨 후, 스토퍼(28)를 이용하여 이동폴(22)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록킹시킨다.
그리고 이처럼 이동폴(22)이 하향 이동할 때, 텐트천(40)의 가장자리 중심부에서 연장 형성된 연결 고리(42)가 이동캡(26)의 연결부(27)에 결합되어 이동캡(26)과 함께 하향 이동하게 되므로, 텐트천(40)의 가장자리 상부는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텐트천(40)의 가장자리 하부에는 내측에 수직하게 삽입된 탄성밴드(44)에 의해 큰 구김이나 펄럭임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는 상기 제1실시예의 텐트와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고, 다만 길이가 가변되는 하부 폴대(60)의 일부 구성이 상기 제1실시예와 다르게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길이가 가변되는 하부 폴대(60)는, 지면에 세워지는 고정폴(64)과, 고정폴(64)의 상부에 형성되어 고정폴(64)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폴(62), 고정폴(64)의 상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캡(65), 이동폴(62)의 하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이동캡(66), 이동캡(66)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텐트천(4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연결부(67), 그리고 이동폴(62)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6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제2실시예의 하부 폴대(60)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하부 폴대(20)와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고, 다만 제1실시예와 달리 고정폴(64)이 하나의 폴대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고정폴(64)의 상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캡(65)의 일측에는 이동폴(62)이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캡(65)의 일측에는 이동폴(62)이 관통하여 지나가는 관통공이 형성 되고, 고정캡(65)의 타측은 고정폴(64)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동폴(62)의 하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이동캡(66)의 일측에는 고정폴(64)이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캡(66)의 일측에는 고정폴(64)이 관통하여 지나가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동캡(66)의 타측은 이동폴(62)의 하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동캡(66)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연결부(67)가 텐트천(4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이동캡(66) 또는 고정캡(65)의 일측에는 이동폴(62)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68)가 형성된다. 한편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상기 연결부(67)와 스토퍼(68)는 상기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 역시 상기 제1실시예의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와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본 제2실시예에 대한 자세한 동작 설명 역시 생략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사용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는, 길이가 가변되는 하부 폴대(30) 구조를 제외하고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높낮이 조절 가능 한 텐트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는, 크게 텐트의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상부 폴대(10)와, 상부 폴대(10)의 하측 단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하부 폴대(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길이가 가변되는 하부 폴대(30)는, 지면에 세워지는 고정폴(34)과, 고정폴(34)의 상부에 형성되어 고정폴(34)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폴(32), 이동폴(32)의 하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이동캡(36), 이동캡(36)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텐트천(4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연결부(37), 그리고 이동폴(32)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폴(32)은, 그 상측 단부가 상부 폴대(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측 단부에 고정폴(34)이 안테나 방식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정폴(34)의 외경이 이동폴(32)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폴(32)의 하측 단부에는 이동캡(36)이 고정 결합되고, 이동캡(36)의 일측에 고정 형성된 연결부(37)가 텐트천(40)의 가장자리에 체결된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캡(36)의 일측에 고리 모양의 연결부(37)가 고정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캡(36)에 대응하는 텐트천(40)의 가장자리에는 연결 고리(42)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텐트천(40)의 연결 고리(42)가 이동캡(36)의 연결부(37)에 체결됨으로써 텐트천(40)의 가장자리가 이동캡(36)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동캡(36)의 일측에는 이동폴(32)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38)가 형성되는데, 본 제3실시예의 스토퍼(38)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의 스토퍼(28)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제3실시예에서도, 텐트천(40)의 가장자리 하부에 탄성밴드(44)가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도 10을 참조하면, 경사진 곳에 텐트를 설치할 경우, 텐트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평지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하부 폴대(30)의 길이를 축소시켜서 텐트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즉, 이동폴(32)을 적당히 하향 이동시켜서 하부 폴대(30)의 전체 길이를 축소시킨 후, 스토퍼(38)를 이용하여 이동폴(32)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록킹시킨다.
그리고 이처럼 이동폴(32)이 하향 이동할 때, 텐트천(40)의 가장자리 중심부에서 연장 형성된 연결 고리(42)가 이동캡(36)의 연결부(37)에 결합되어 이동캡(36)과 함께 하향 이동하게 되므로, 텐트천(40)의 가장자리 상부는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텐트천(40)의 가장자리 하부에는 내측에 수직하게 삽입된 탄성밴드(44)에 의해 큰 구김이나 펄럭임 등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채용된 텐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사용 상태를 나태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사용 상태를 나태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 폴대 20, 30, 60; 하부 폴대
22, 32, 62; 이동폴 24, 34, 64; 고정폴
25. 65; 고정캡 26, 36, 66; 이동캡
27, 37, 67; 연결부 28, 38, 68; 스토퍼
40; 텐트천 42; 연결 고리
44; 탄성밴드

Claims (6)

  1. 폴대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경사진 곳에서도 텐트가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에 있어서,
    지면에 세워지는 고정폴과;
    고정폴의 상부에 형성되어 고정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폴;
    이동폴의 하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고정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고, 일측에 고정폴이 관통되는 이동캡;
    이동캡의 일측에 고정 형성되어 텐트천의 가장자리에 체결되고, 이동폴의 이동에 따라 체결된 텐트천의 가장자리를 잡아당기는 연결부;
    상승 또는 하강 이동한 이동폴을 고정폴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폴의 상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일측에 이동폴이 관통 삽입되는 고정캡;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폴은 한 쌍의 폴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
  4. 폴대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경사진 곳에서도 텐트가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에 있어서,
    지면에 세워지는 고정폴과;
    고정폴의 상부에 형성되어 고정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고, 고정폴이 내부에 안테나 방식으로 삽입되는 이동폴;
    이동폴의 하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고정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캡;
    이동캡의 일측에 고정 형성되어 텐트천의 가장자리에 체결되고, 이동폴의 이동에 따라 체결된 텐트천의 가장자리를 잡아당기는 연결부;
    상승 또는 하강 이동한 이동폴을 고정폴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의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폴에 인접한 텐트천의 가장자리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어 텐트천의 가장자리 하단부를 탄력적으로 수축시키는 탄성밴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
KR1020070089976A 2007-09-05 2007-09-05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 및 이를 이용한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 KR100908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976A KR100908191B1 (ko) 2007-09-05 2007-09-05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 및 이를 이용한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
PCT/KR2008/005078 WO2009031786A2 (en) 2007-09-05 2008-08-29 Pole structure and height-adjustable ten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976A KR100908191B1 (ko) 2007-09-05 2007-09-05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 및 이를 이용한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974A KR20090024974A (ko) 2009-03-10
KR100908191B1 true KR100908191B1 (ko) 2009-07-16

Family

ID=40429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976A KR100908191B1 (ko) 2007-09-05 2007-09-05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 및 이를 이용한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08191B1 (ko)
WO (1) WO200903178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43595B (zh) * 2020-08-25 2022-04-08 北京英茂药业有限公司 一种自动清洗有孔包衣锅设备
KR102494839B1 (ko) * 2021-02-08 2023-02-06 박상수 실내용 텐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00215A1 (fr) * 1988-06-28 1990-01-11 Leclercq Jean Louis Abri repliable, tel que parasol, abri de marche, abri de camping ou analogue
KR200413226Y1 (ko) * 2006-01-25 2006-04-05 박상용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텐트
KR200418581Y1 (ko) * 2006-03-20 2006-06-13 김용희 텐트 폴의 결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5220B1 (en) * 2000-10-11 2003-07-01 Daniel T. Shemuga Support apparatus for rollout awnings
US6666223B2 (en) * 2001-08-13 2003-12-23 Walter L. Price Collapsible fr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00215A1 (fr) * 1988-06-28 1990-01-11 Leclercq Jean Louis Abri repliable, tel que parasol, abri de marche, abri de camping ou analogue
KR200413226Y1 (ko) * 2006-01-25 2006-04-05 박상용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텐트
KR200418581Y1 (ko) * 2006-03-20 2006-06-13 김용희 텐트 폴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31786A2 (en) 2009-03-12
WO2009031786A3 (en) 2009-04-30
KR20090024974A (ko) 2009-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51397A1 (en) foldable corniced tent
KR101796394B1 (ko) 접이식 대형 파라솔
KR100649607B1 (ko) 자동 절첩식 텐트
KR100908191B1 (ko)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 및 이를 이용한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
JP2020076301A (ja) 二つのアンブレラ構造を備えた折り畳み式テント
GB2410260A (en) Umbrella style tent
CN201953140U (zh) 一种调节顶部开窗的帐篷
AU2020200095B2 (en) Portable sun-shade assembly
KR100431410B1 (ko) 원터치 절첩식 텐트
KR101228542B1 (ko)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
KR20080065797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텐트의 원단 길이 조절기
CN109380830A (zh) 一种组合式手推开合吊伞
KR200404998Y1 (ko) 폭가변형 파라솔
KR20040058126A (ko) 자동 우산식 프레임 구조를 갖는 캐노피 텐트
KR100963663B1 (ko) 정자형 파라솔
KR100700022B1 (ko)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
JPH0884616A (ja)
KR200391967Y1 (ko) 텐트의 차양막 설치 구조
KR200400436Y1 (ko) 절첩식 천막의 지지장치
JP2023550670A (ja) ルーフトップテント{roof-top tent}
KR200390141Y1 (ko) 자동 절첩식 텐트
KR200408381Y1 (ko) 파라솔
KR200463429Y1 (ko) 접이식 자동 캐노피 텐트
KR20230001695U (ko) 텐트
KR20050035847A (ko) 자동 우산식 프레임 구조를 갖는 캐노피 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