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839B1 - 실내용 텐트 - Google Patents

실내용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839B1
KR102494839B1 KR1020210017901A KR20210017901A KR102494839B1 KR 102494839 B1 KR102494839 B1 KR 102494839B1 KR 1020210017901 A KR1020210017901 A KR 1020210017901A KR 20210017901 A KR20210017901 A KR 20210017901A KR 102494839 B1 KR102494839 B1 KR 102494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pole
indoor
pillars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4421A (ko
Inventor
박상수
Original Assignee
박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수 filed Critical 박상수
Priority to KR1020210017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839B1/ko
Priority to PCT/KR2021/018441 priority patent/WO2022169086A1/ko
Publication of KR20220114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날씨가 추울 때는 방한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날씨가 더울 때는 방충 목적으로 사용되는 실내용 텐트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하단은 실내 바닥에 고정되고 상단은 실내 천장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일정간격 유지하는 2개의 기둥; 상기 2개의 기둥 하부에 회동폴대의 하단부를 고정하며 회동 가능하게 하는 고정수단; 상기 고정수단에 하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향 기울기를 갖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세워지는 회동폴대; 상기 2개의 기둥과 회동폴대에 고정 지지되어 텐트(T)의 천장과 전·후·좌·우 측면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는 텐트커버; 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폴대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텐트를 치거나 걷을 수 있도록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실내용 텐트{Indoor Tent}
본 발명은 2개의 기둥을 이용하여 실내에 설치하여 날씨가 추울 때에는 방한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날씨가 더울 때에는 모기를 포함하는 각종 해충의 방충 목적으로 사용되는 실내용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천막이라고도 하며, 주로 산이나 바닷가 등의 야외 활동시 눈, 비, 바람을 막거나 햇빛 등을 가리는 등의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기둥을 세우거나 말뚝을 박고, 상부에 천재질의 커버를 씌워 막처럼 만든 것으로 주로 캠핑에 이용되고 있다.
한편, 통계청의 2016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전국 1인 가구수는 539만 8000가구로 전체 일반가구 중 27.9%를 차지하며, 이는 26.2%의 2인 가구, 21.4%의 3인 가구, 18.3%의 4인 가구보다도 높은 수치이고, 향후 1인 가구 비중이 2022년에는 30%에 달하고, 2035년에는 현재의 1.5배 이상인 76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기준 국내 총인구는 5,145만명이며 이중 65세 이상의 고령자 인구는 708만명으로 고령자 인구가 전체인구의 약 13.8%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2017년 기준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386만 7,000가구이며, 이중 고령자 1인 혼자만 거주하는 가구는 전체의 33.5%로 조사되어 전체 고령자 가구 3곳 중에 1곳은 1인 가구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혼자 사는 1인 가구와 독거노인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혼밥, 혼술 등의 다양한 사회문화가 만들어지고 있지만, 이로 인한 부작용도 만만치 않게 발생하여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으며, 그 일 예로 대부분의 독거노인의 경우 소득이 없는 상황에서 비좁은 단칸방에 혼자 생활하고 있으므로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추운 겨울에는 홀로 동사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난방용으로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수의 선행기술들이 개시되었으며, 그 중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 20-0477691호는 실내에 설치되는 텐트로서 방충망과 착탈식의 단열재를 구비하여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함을 제공할 수 있는 실내용 텐트를 제공하였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421518호는 외풍을 차단함과 아울러, 실내 바닥과 실내 바닥에서 일정 높이에 있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온도차를 최소화하여, 포근한 실내 온도를 유지하게 하는 실내용 난방텐트를 제공하였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724121호는 텐트를 이루는 막체를 복사 차폐층이 구비된 복합 다층 단열재를 사용함으로써 복사열 손실을 최소화하여 실내용 텐트의 보온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복합 다층 단열재를 이용한 실내용 난방텐트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실내온도를 높여 난방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실제로 난방용 실내텐트가 필요한 저소득층이나 독거노인 또는 혼자 사는 1인 가구의 경우 방이 비좁을 뿐만 아니라 주거환경이 매우 열악하므로 텐트를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또 보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열재 등을 사용하지만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추운 겨울에는 난방효과가 미미하여 그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들은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큰 사이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독거노인이나 저소득층 등의 1인 가구에게는 불필요하게 사이즈가 큰 문제가 있었고, 또 이로 인해 난방효율이 떨어지므로 불필요하게 많은 난방비용이 소비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소득이 없이 혼자 사는 독거노인의 경우 난방비를 해결하지 못해 보일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수면 중에 동사하는 경우가 심심치 않게 보도되고 있다.
따라서 독거노인이나 저소득층, 또는 1인 가구의 실내에 설치하여 겨울에는 저비용으로 효율적인 냉난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여름에는 방충의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한 실내텐트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934230(공고일 : 2018.12.31.) 한국등록특허 10-1421518(공고일 : 2014.07.22.) 한국등록특허 10-1724121(공고일 : 2017.04.07.)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실내의 바닥과 천장 간에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는 2개의 기둥이 일정간격 유지되도록 설치되고 그 일정간격 유지되도록 설치된 2개의 기둥을 이용하여 텐트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고, 또 날씨가 추울 때에는 방한용으로 사용하고, 날씨가 더운 여름에는 모기를 포함하는 각종 해충의 방충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실내용 텐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내용 텐트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내부가 중공이며 외경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파이프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여 길이 조절되게 구성되고, 길이 조절된 후에는 조절된 길이가 변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락킹수단(110)이 마련되며, 상/하단부에는 실내바닥과 천장 간의 접촉 력을 향상시키며 기둥의 상/하단부 및 실내바닥과 천장을 보호하는 보호 캡(120)이 설치된 일정간격 유지하는 2개의 기둥(100);
상기 2개의 기둥 하부에 기둥을 따라 높낮이 조절과 기둥으로부터 분리결합 되고, 일측에는 기둥과 회동폴대의 하단이 일정간격 유지되게 하는 연장 편(220)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연장 편의 선단에는 회동폴대의 하단이 회동되게 하는 고정부재(210)가 형성된 고정수단(200);
상기 고정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하단에 결합부(320)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향 기울기를 갖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세워지는 하나의 "
Figure 112022078851669-pat00023
" 자형 회동폴대(300);
상기 2개의 기둥과 회동폴대에 고정 지지되어 텐트(T)의 천장과 전·후·좌·우 측면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는 모기장 형태의 망사 또는 단열기능을 갖는 섬유 또는 합성수지재의 시트로 형성된 텐트커버(400); 로 이루어져
상기 텐트커버를 걷고자 회동폴대를 기둥 쪽으로 회동시켰을 때 상기 연장 편에 의해 회동폴대가 기둥 쪽으로 기울어져 텐트커버의 걷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내용 텐트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내의 바닥과 천장 간에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는 2개의 기둥이 일정간격 유지되도록 설치되고 그 일정간격 유지되도록 설치된 2개의 기둥을 이용하여 텐트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고, 또 날씨가 추울 때에는 방한용으로 사용하고, 날씨가 더운 여름에는 모기를 포함하는 각종 해충의 방충 목적으로 사용하며 편안하고 안락한 수면 및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 실내용 텐트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 실내용 텐트 개폐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실내용 텐트 골격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내용 텐트 제1실시 예의 고정수단과 회동폴대 간의 분해 및 결합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내용 텐트 제2실시 예의 고정수단과 회동폴대 간의 분해 및 결합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내용 텐트를 형성하는 기둥의 길이조절 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발췌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내용 텐트를 형성하는 기둥의 단부에 설치되는 보호 캡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발췌 단면도.
본 발명은 2개의 기둥을 이용하여 실내에 설치하여 날씨가 추울 때에는 방한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날씨가 더울 때에는 모기를 포함하는 각종 해충의 방충 목적으로 사용되는 실내용 텐트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내부가 중공이며 외경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파이프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여 길이 조절되게 구성되고, 길이 조절된 후에는 조절된 길이가 변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락킹수단(110)이 마련되며, 상/하단부에는 실내바닥과 천장 간의 접촉 력을 향상시키며 기둥의 상/하단부 및 실내바닥과 천장을 보호하는 보호 캡(120)이 설치된 일정간격 유지하는 2개의 기둥(100);
상기 2개의 기둥 하부에 기둥을 따라 높낮이 조절과 기둥으로부터 분리결합 되고, 일측에는 기둥과 회동폴대의 하단이 일정간격 유지되게 하는 연장 편(220)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연장 편의 선단에는 회동폴대의 하단이 회동되게 하는 고정부재(210)가 형성된 고정수단(200);
상기 고정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하단에 결합부(320)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향 기울기를 갖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세워지는 하나의 "
Figure 112022078851669-pat00024
" 자형 회동폴대(300);
상기 2개의 기둥과 회동폴대에 고정 지지되어 텐트(T)의 천장과 전·후·좌·우 측면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는 모기장 형태의 망사 또는 단열기능을 갖는 섬유 또는 합성수지재의 시트로 형성된 텐트커버(400); 로 이루어져
상기 텐트커버를 걷고자 회동폴대를 기둥 쪽으로 회동시켰을 때 상기 연장 편에 의해 회동폴대가 기둥 쪽으로 기울어져 텐트커버의 걷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삭제
상기의 구성에서 2개의 기둥(100) 간 거리는 텐트(T)의 일 측면 폭과 준하는 폭을 유지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2개의 기둥(100) 하단은 실내 바닥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은 실내 천장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기둥(100) 하부에는 회동폴대(300)의 하단부를 고정하며 회동 가능하게 하는 고정수단(200)이 설치되고, 그 고정수단(200)에는 하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향 기울기를 갖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세워 설치되는 회동폴대(300)가 설치된다.
또 상기 2개의 기둥(100)과 회동폴대(300)에 상부가 고정 지지되어 텐트(T)의 천장과 전·후·좌·우 측면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는 텐트커버(400)가 마련되는데, 상기 텐트커버(400)는 텐트(T)의 전·후·좌·우 각 측면과 텐트(T)의 천장의 형성하는 상면을 형성하도록 정 또는 직 5면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텐트커버(400) 상부를 상기 2개의 기둥(100)과 회동폴대(300)에 고정하는 방법은, 상기 천장의 형성하는 상면과 측면이 만나는 상부 가장자리 또는 모서리부분을 기둥(100)과 회동폴대(300)에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내용 텐트에서 2개의 기둥(100)은, 길이조절 가능하게 형성시켜 기둥(100)을 설치할 때는 실내 바닥과 천장 간에 견고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기둥(100)을 철거할 때는 길이를 축소시켜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기둥(1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실내 바닥과 천장 간에 견고하게 고정설치 하거나 또는 철거할 때 길이를 축소시켜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일실시 예의 구성은, 복수 개의 수직파이프 단부에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호 나사 결합 되도록 암나사와 숫 나사를 형성시켜 그 암나사와 숫 나사를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방법으로 길이를 연장 또는 축소시킨다.
상기의 실시 예 구성에서 기둥(100)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은, 나사결합의 정도에 따라 기둥(100)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의 기둥 조정 방법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이며 외경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파이프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여 길이 조절하고, 그 길이 조절된 후에는 락킹수단(110)에 의해 상기 조절된 길이가 변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의 락킹수단(110) 일실시 예는, 슬라이딩 되는 일 측의 파이프 길이 방향을 따라 홈(114)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타 측의 파이프에 상기 홈에 끼워 결합되는 락커(113)가 형성된 버튼(112)가 형성된 고정체(111)가 형성되어 상기 홈이 형성된 일 측의 파이프가 타 측의 파이프로부터 슬라이딩 되며 길이 조절된 후 버튼(112)의 작동과 함께 락커(113)가 홈(114)에 결합되어 락킹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111)는 타 측의 파이프 끝단 부분에 형성된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기둥(100)의 길이 조절방법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이고, 그 외에도 기둥(100)의 길이를 조절하고 그 조절된 길이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둥(100) 상/하단부에는,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바닥과 천장 간의 접촉 력을 향상키며 기둥(100)의 상/하단부 및 실내바닥과 천장을 보호하는 보호 캡(120)을 설치하여 기둥(100)의 상/하단부 및 실내바닥과 천장을 보호함과 동시에 실내바닥과 천장 간의 접촉 력을 향상시켜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설명한 보호 캡(120)은, 기둥(100)의 상/하단부로부터 높낮이 조절되게 형성시켜 실내의 층고가 다른 경우 그 다른 층고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상기 보호 캡(120)과 기둥(100)의 상/하단부로부터 높낮이 조절되게 한 실시 예의 구성은, 기둥(100)의 상/하단부에 설치되는 보호 캡(120)이 기둥(100)의 상/하단부로부터 슬라이딩 되며 상/하 높이 조절되는 높이조절부재(121)을 설치하여 보호 캡(120)이 기둥(100) 쪽으로 압을 받으면 높이조절부재(121)가 압축되면서 높이가 낮아지고 압이 해제되면 원상복원 되는 쇽업쇼바, 탄성스프링 등 압력에 따라 압축 및 복원되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높이조절부재(121)는, 상기 기둥(100)의 상/하단부와 보호 캡(120) 간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기둥(100)의 상/하단부 내측에 높이조절부재(121)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121)의 상단은 보호 캡(120)과 결합되며, 상기 보호 캡(120)은 기둥(100)의 상/하단부 일부를 수용하며 결합되는 결합부(122)가 형성되고 그 결합구(122)의 일 측 끝 단부에는 실내바닥과 천장에 접촉되는 지지부(123)를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23)는 신축성을 갖는 탄성재질의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결합부(122)는 높이조절부재(121)가 완전히 복원되었을 때 기둥(100)의 상/하단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깊이를 갖도록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정간격 유지되게 설치된 2개의 기둥(100) 간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평 바(130)를 설치하여 상기 2개의 기둥(100)이 안정적으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텐트커버(100)에 설치된 걸이부재(420)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걸이부재(420)가 형성되는 텐트커버(100)의 위치는, 텐트(T)의 천장과 전·후 측면이 만나는 텐트커버(400)의 변 또는 모서리에 형성되고 이와 같은 상기의 걸이부재(420)는 회동폴대(300)의 상부와 상기 기둥(100)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이부재고정구(430) 또는 상기 기둥(100) 간에 연결하는 수평 바(130)에 걸이 고정한다.
상기 걸이부재고정구(430)를 기둥(100)으로부터 위치 조절 가능하게 하는 이유는, 텐트(T)의 높이 또는 크기가 다를 경우 그 다른 텐트에 대응할 수 잇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재고정구(430)는 기둥(100)을 따라 위치 조절한 후 그 조절 위치로부터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둥(100)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수단(200)은, 상기 기둥(100)을 따라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하였는데, 그 이유는, 텐트(T)가 설치되는 실내 바닥에 침구(B)가 깔려질 때 그 깔려지는 침구(B)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수단(200)을 기둥(100)을 따라 위치 조절되게 하는 실시 예의 구성은,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브 형태의 고정수단(200)이 기둥(100)에 끼워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피스로 고정하는 방법과,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래킷 형태의 고정수단(200)이 기둥(100)에 결합되어 후단부에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이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침구(B)는, 실내 바닥에 깔려지는 요, 침대 메트리스 등 실내 바닥에 깔고 눕거나 취침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200)에는, 상기 회동폴대(300)의 하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 고정하는 고정부재(210)가 형성되어 회동폴대(300)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부(320)와 결합된 후 회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회동폴대(300)가 회동되게 하는 이유는, 회동폴대(300)의 회동방향에 따라 텐트(T)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10)는 회동폴대(300)의 하부 일부를 수용하며 끼워 결합되어 회동하는 고정부재(210) 이거나, 또는 상기 회동폴대(30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부(320)인 링이 끼워 결합되는 고리형태의 고정부재(210)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고정부재(2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이고, 그 외에도 회동폴대(300)의 하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될 수 있는 구조면 모두 가능하다.
또 상기 고정수단(200)에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동폴대(300)의 하단과 기둥(100) 하부 간을 일정간격 유지되게 하는 연장 편(220)이 설치되고, 그 연장 편(220)의 선단에는 회동폴대(300)의 하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 고정하는 고정부재(210)가 설치되는데, 상기 연장 편(220)의 선단에 고정부재(210)를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에서 설명한 회동폴대(300)를 회동시키기 위함이고, 상기 연장 편(220)을 형성시킨 이유는, 텐트(T)를 개(開) 하고자 회동폴대(300)를 기둥(100) 쪽으로 회동시켰을 때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텐트(T)의 접어지는 공간을 확보함은 물론, 회동폴대(300)가 기둥(100) 쪽으로 기울어져 안정적인 개(開)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연장 편(220)이 없이 회동폴대(300)의 하단부가 기둥(100)의 하부와 근접되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폴대(300)를 기둥(100) 쪽으로 회동시킨 후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회동폴대(300)의 상부를 기둥(100) 또는 수평 바(130)에 고정해야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연장 편(220)은, 고정수단(200)과 고정부재(210)로부터 분리결합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길이가 다른 연장 편(220)을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회동폴대(300)는, "
Figure 112021016119106-pat00001
" 자형으로 형성시켜 양 하단부를 고정수단(200) 고정시켜 회동되게 하거나, 또는 "
Figure 112021016119106-pat00002
"자형으로 형성시키되 그 "
Figure 112021016119106-pat00003
"자형의 양측 하부를 고정수단(200) 고정시켜 회동되게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회동폴대(300)의 상부에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폴대(300)를 작동시키는 손잡이(310)를 설치하여 회동폴대(300)의 회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손잡이(310)는 회동폴대(300)의 상부 중앙부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310)의 길이는 하단이 실내바닥에 위치하도록 하여 텐트의 일 측면을 지지하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텐트의 천장과 전·후·좌·우·측면을 형성하는 텐트커버(400)의 선택된 부분에는 투시 창(410)을 형성시켜 텐트 내에서 텐트 외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투시 창(410)에 개폐 가능한 커튼을 설치하여 투시 창(41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텐트커버(400)의 재질은, 모기장 형태의 망사 또는 단열기능을 갖는 섬유 또는 합성수지재의 시트로 형성시켜 날씨가 추울 때에는 방한용으로 사용하고, 날씨가 더운 여름에는 모기를 포함하는 각종 해충의 방충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또 본 발명은 기둥(100) 또는 수평 바(130) 중 어느 한 곳에 선단이 회동폴대(300)의 상부와 연결 설치되는 와이어(W)를 감거나 풀어주는 정역모터(M)가 설치되어 그 정역모터(M)의 회전방향에 따라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주면서 회동폴대(300)를 회동시켜 텐트(T)를 자동으로 치거나 걷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내용 텐트는 실내의 바닥과 천장 간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는 2개의 기둥이 일정간격 유지되도록 설치되고 그 일정간격 유지되도록 설치된 2개의 기둥을 이용하여 텐트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고, 또 날씨가 추울 때에는 방한용으로 사용하고, 날씨가 더운 여름에는 모기를 포함하는 각종 해충의 방충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기둥 110 : 락킹수단
120, 보호 캡 130 : 수평 바
200 : 고정수단 210 : 고정부재
220 : 연장 편 300 : 회동폴대
310 : 손잡이 400 : 텐트커버
410 : 투시 창 420 : 걸이부재
B : 침구 M : 정역모터
T : 텐트 W : 와이어

Claims (19)

  1. 내부가 중공이며 외경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파이프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여 길이 조절되게 구성되고, 길이 조절된 후에는 조절된 길이가 변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락킹수단(110)이 마련되며, 상/하단부에는 실내바닥과 천장 간의 접촉 력을 향상시키며 기둥의 상/하단부 및 실내바닥과 천장을 보호하는 보호 캡(120)이 설치된 일정간격 유지하는 2개의 기둥(100);
    상기 2개의 기둥 하부에 기둥을 따라 높낮이 조절과 기둥으로부터 분리결합 되고, 일측에는 기둥과 회동폴대의 하단이 일정간격 유지되게 하는 연장 편(220)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연장 편의 선단에는 회동폴대의 하단이 회동되게 하는 고정부재(210)가 형성된 고정수단(200);
    상기 고정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하단에 결합부(320)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향 기울기를 갖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세워지는 하나의 "
    Figure 112022078851669-pat00022
    " 자형 회동폴대(300);
    상기 2개의 기둥과 회동폴대에 고정 지지되어 텐트(T)의 천장과 전·후·좌·우 측면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는 모기장 형태의 망사 또는 단열기능을 갖는 섬유 또는 합성수지재의 시트로 형성된 텐트커버(400); 로 이루어져
    상기 텐트커버를 걷고자 회동폴대를 기둥 쪽으로 회동시켰을 때 상기 연장 편에 의해 회동폴대가 기둥 쪽으로 기울어져 텐트커버의 걷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텐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100)에 설치된 보호 캡(120)은, 기둥의 상/하단부로부터 높낮이 조절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텐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간격 유지되게 설치된 2개의 기둥(100) 간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평 바(1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텐트.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폴대(300)의 상부에는, 회동폴대를 작동시키는 손잡이(31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텐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의 천장과 전·후·좌·우·측면을 형성하는 텐트커버(400)의 선택된 부분에는 투시 창(4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텐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 창(410)에는 그 투시 창을 개폐하는 커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텐트.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의 천장과 전·후 측면이 만나는 텐트커버의 변에는 걸이부재(420)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부재는 회동폴대의 상부와 상기 기둥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이부재고정구(430) 또는 기둥 간에 연결하는 수평 바(130)에 걸이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텐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100) 또는 수평 바(130) 중 어느 한 곳에는, 선단이 회동폴대의 상부와 연결 설치되는 와이어(W)를 감거나 풀어주는 정역모터(M)가 설치되어 그 정역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주면서 회동폴대를 회동시켜 텐트를 치거나 걷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텐트.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T)는, 실내 바닥 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실내 바닥에 위치하는 침구(B) 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텐트.
KR1020210017901A 2021-02-08 2021-02-08 실내용 텐트 KR102494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901A KR102494839B1 (ko) 2021-02-08 2021-02-08 실내용 텐트
PCT/KR2021/018441 WO2022169086A1 (ko) 2021-02-08 2021-12-07 실내용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901A KR102494839B1 (ko) 2021-02-08 2021-02-08 실내용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421A KR20220114421A (ko) 2022-08-17
KR102494839B1 true KR102494839B1 (ko) 2023-02-06

Family

ID=82742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901A KR102494839B1 (ko) 2021-02-08 2021-02-08 실내용 텐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4839B1 (ko)
WO (1) WO202216908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3642A (ja) * 1999-04-20 2000-10-31 Meihou Sangyo Kk 木製オーニング
US20050103371A1 (en) * 2003-11-17 2005-05-19 Gary D. Childres Retractable terrace canop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191B1 (ko) * 2007-09-05 2009-07-16 우준식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 및 이를 이용한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
KR101181029B1 (ko) * 2010-02-16 2012-09-07 반도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을 이루는 탄성 기둥 고정캡 및 이를 포함하는 커튼봉 고정용 횡바 구조체
KR101249509B1 (ko) * 2010-11-10 2013-04-01 김동춘 접이식 텐트형 간이창고
KR101421518B1 (ko) 2012-12-26 2014-07-22 김용철 실내용 난방 텐트
KR101724121B1 (ko) 2015-09-02 2017-04-07 주식회사 하이낸드 복합 다층 단열재를 이용한 실내용 난방 텐트
KR101934230B1 (ko) 2018-01-30 2018-12-31 김영철 냉난방이 가능한 1인용 실내텐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3642A (ja) * 1999-04-20 2000-10-31 Meihou Sangyo Kk 木製オーニング
US20050103371A1 (en) * 2003-11-17 2005-05-19 Gary D. Childres Retractable terrace canop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421A (ko) 2022-08-17
WO2022169086A1 (ko)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2315B2 (en) Pet house
US8161991B2 (en) Multipurpose camping hammock
AU2011372144B2 (en) Architectural structure
KR101487714B1 (ko) 난방시설이 갖추어진 야외 캠핑용 텐트
US11788736B2 (en) Solar air heater
KR101934230B1 (ko) 냉난방이 가능한 1인용 실내텐트
CN203985279U (zh) 一种种植养殖生态温室大棚
KR102494839B1 (ko) 실내용 텐트
CN205976710U (zh) 一种固定式帐篷
CN205955368U (zh) 一种帐篷篷架
US20050268562A1 (en) Secondary roof structure for insulating, cooling and protecting a house
US20070044388A1 (en) Configurable isolation system
GB2442816A (en) Opensided shelter with roof hole
KR20220100316A (ko) 실내용 텐트
KR20220105884A (ko) 벽 이용형 실내텐트
KR102459670B1 (ko) 동물용 그늘막 하우스
KR102030503B1 (ko) 텐트
CN216740945U (zh) 一种户外庇护装置
FR2619701A1 (fr) Combine cuisine, salle a manger avec foyer central, a hauteur reglable pour l'interieur ou l'exterieur sous abri destine aux loisirs et a la detente
DE102005000958B4 (de) Portable Sauna
CA2505778A1 (en) Multi-purpose ocst tents
US20030046880A1 (en) Egg shaped house
CN214546365U (zh) 一种畜牧养殖用阳光棚舍
CN213980194U (zh) 一种具有降温制冷功能的帐篷
CN213837977U (zh) 一种具有防虫功能的帐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