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542B1 -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 - Google Patents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542B1
KR101228542B1 KR1020090119623A KR20090119623A KR101228542B1 KR 101228542 B1 KR101228542 B1 KR 101228542B1 KR 1020090119623 A KR1020090119623 A KR 1020090119623A KR 20090119623 A KR20090119623 A KR 20090119623A KR 101228542 B1 KR101228542 B1 KR 101228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tent
circular frame
pole
central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2790A (ko
Inventor
송광재
송세진
Original Assignee
송세진
송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세진, 송광재 filed Critical 송세진
Priority to KR1020090119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542B1/ko
Publication of KR20110062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4Ventilating
    • E04H15/16Ventilating of tent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6Centre-pole supported 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붕을 이중으로 형성하고 그 중심측에 환기구를 형성함으로써 외부 날씨의 영향을 최대한 받지 않으면서 텐트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지붕의 크기와 벽면의 높낮이를 다양한 조합으로 조절함으로써 그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하나의 텐트를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지붕과 벽면을 원추형상으로 형성하여 외부 바람의 저항을 최대한으로 줄 일 수 있어 안전하게 텐트 생활을 할 수 있으며, 다수의 폴대를 텐트 내부로 내삽할 필요 없이 중앙폴대, 상, 하부 원형프레임, 탄성로프 및 고정부재 만으로 텐트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는 지중에 삽입 고정되는 중앙폴대와, 상기 중앙폴대의 상, 하부에 크기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원형프레임과, 일측은 상기 중앙폴대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상부 원형프레임에 지지되어 이중지붕을 형성하며 중심측에는 환기구가 형성되되 상기 원형프레임의 직경조절에 따라 크기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붕본체와, 일측은 상기 지붕본체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부 원형프레임에 연결되는 외벽부재 및 상기 중앙폴대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가려주는 환기구 가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중지붕, 텐트, 중앙폴대, 원형프레임, 외벽부재, 환기구

Description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TENT HAVING DOUBLE ROOF}
본 발명은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붕을 이중으로 형성하고 그 중심측에 환기구를 형성함으로써 외부 날씨의 영향을 최대한 받지 않으면서 텐트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지붕의 크기와 벽면의 높낮이를 다양한 조합으로 조절함으로써 그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하나의 텐트를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지붕과 벽면을 원추형상으로 형성하여 외부 바람의 저항을 최대한으로 줄 일 수 있어 안전하게 텐트 생활을 할 수 있으며, 다수의 폴대를 텐트 내부로 내삽할 필요 없이 중앙폴대, 상, 하부 원형프레임, 탄성로프 및 고정부재 만으로 텐트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야외용 텐트는 설치, 휴대 및 이동의 편의를 위해 가볍고 부피가 작고 얇은 직물부재와, 크기가 각각 다른 다양한 폴대와, 고정용 로프 및 팩을 이용해 지붕 및 벽면의 형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으로 4 내지 6인용 또는 10인용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텐트는 다수의 폴대, 로프 및 팩을 이용해 설치됨에 따라 설치 및 해체가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었고, 실내 온도유지를 위해서 한여름이나 한겨울철에는 한겹의 직물부재를 텐트 상에 덧씌워 보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텐트별로 수용 가능한 인원이 정해져 있어 상황에 따른 신속한 크기조절이 어렵고, 크기가 큰 텐트일수록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람과 같은 외부 영향을 크게 받을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붕을 이중으로 형성하고 그 중심측에 환기구를 형성함으로써 외부 날씨의 영향을 최대한 받지 않으면서 텐트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붕의 크기와 벽면의 높낮이를 다양한 조합으로 조절함으로써 그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하나의 텐트를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붕과 벽면을 원추형상으로 형성하여 외부 바람의 저항을 최대한으로 줄 일 수 있어 안전하게 텐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폴대를 텐트 내부로 내삽할 필요 없이 중앙폴대, 상, 하부 원형프레임, 탄성로프 및 고정부재 만으로 텐트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지중에 삽입 고정되는 중앙폴대와, 상기 중앙폴대의 상, 하부에 크기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원형프레임과, 일측은 상기 중앙폴대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상부 원형프레임에 지지되어 이중지붕을 형성하며 중심측에는 환기구가 형성되되 상기 원형프레임의 직경조절에 따라 크기조절 가능 하게 구비되는 지붕본체와, 일측은 상기 지붕본체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부 원형프레임에 연결되는 외벽부재 및 상기 중앙폴대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가려주는 환기구 가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중앙폴대 상에는, 일단은 상기 중앙폴대 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 원형프레임 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탄성로프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지붕본체는, 일단이 상기 중앙폴대 측에 연결되는 제 1 지붕부재와, 일단이 상기 중앙폴대 측에 연결되되 상기 제 1 지붕부재 하측에 위치되는 제 2 지붕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 1 지붕부재의 타단에 연결된 후 상기 상부 원형프레임에 감겨져 팽팽하게 지지된 다음 타단이 상기 제 2 지붕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3 지붕부재와, 양단이 상기 제 1 지붕부재 및 제 2 지붕부재의 일단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중앙폴대를 중심으로 환기구를 형성하는 환기구 형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제 1 지붕부재는 상기 상부 원형프레임의 직경조절에 따라 제 2 지붕부재 및 제 3 지붕부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외벽부재는, 상기 제 2 지붕부재 및 제 3 지붕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높이별로 구비되는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하부 원형프레임 상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며, 그 단부는 상기 중 앙폴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에 따르면 첫째, 지붕을 이중으로 형성하고 그 중심측에 환기구를 형성함으로써 외부 날씨의 영향을 최대한 받지 않으면서 텐트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지붕의 크기와 벽면의 높낮이를 다양한 조합으로 조절함으로써 그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하나의 텐트를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셋째, 지붕과 벽면을 원추형상으로 형성하여 외부 바람의 저항을 최대한으로 줄 일 수 있어 안전하게 텐트 생활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다수의 폴대를 텐트 내부로 내삽할 필요 없이 중앙폴대, 상, 하부 원형프레임, 탄성로프 및 고정부재 만으로 텐트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2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의 지붕본체에 대한 부분확대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 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의 중앙폴대에 대한 부분확대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의 외벽부재에 대한 부분확대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의 다른 사용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1)는 지중에 삽입 고정되는 중앙폴대(100)와, 중앙폴대(100)의 상, 하부에 크기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원형프레임(200)과, 일측은 중앙폴대(100)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부 원형프레임(200)에 지지되어 이중지붕을 형성하며 중심측에는 환기구가 형성되되 원형프레임(200)의 직경조절에 따라 크기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붕본체(300)와, 일측은 지붕본체(300)에 연결되고 타측은 하부 원형프레임(200)에 연결된 다음 중앙폴대(100)의 하측에 고정되는 외벽부재(400 및 중앙폴대(100)의 상단에 구비되며 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가려주는 환기구 가림부재(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앙폴대(100)는 텐트의 중심에 위치되어 추후에 설명될 지붕 및 외벽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자형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하단이 지중에 삽입 가능하도록 뾰족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중앙폴대(100)의 상단에는 다수의 탄성로프(101)가 구비되는데, 이 탄성로프(101)는 추후에 설명될 상부 원형프레임(200)에 연결되어 이 원형프레임(200)을 탄성적으로 당겨줌으로써 지붕 전체가 텐션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단부에는 고정후크(101a)가 구비되어 상부 원형프레임(200) 상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탄성로프(101)가 연결되는 중앙폴대(100) 상측에는 상부 고정링(103)과 하부 고정링(105)이 각각 구비되는데, 이 상부 고정링(103) 및 하부 고정링(105)은 추후에 설명될 제 1 지붕부재(301) 및 제 2 지붕부재(303) 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결로프(309)가 고정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지붕본체(300) 전체가 중앙폴대(100) 및 상부 원형프레임(200) 상에 팽행하게 연결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술한 상부 고정링(103)과 하부 고정링(105)은 연결로프(309)가 고정되는 위치마다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 그 내부에 연결로프(309)가 삽입 고정되거나, 연결로프(309)가 고정되는 위치마다 다수의 절단선이 형성되어있어 단부에 매듭이 형성된 연결로프(309)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중앙폴대(100)의 상, 하측에는 각각 원형프레임(200)이 크기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상부 원형프레임(200)은 추후에 설명될 지붕본체(300)로 이루어지는 지붕 전체를 형성 및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하부 원형프레임(200)과 함께 외벽부재(400)를 형성 및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 하부 원형프레임(200)은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수의 호형프레임이 상호 결합되어 원형프레임(200)을 이루는 것으로 하는데, 결합된 호형프레임의 갯수에 따라서 원형프레임(200) 전체 크기가 결정되며, 원형프레임(200) 크기 에 따라서 추후에 설명될 지붕본체(300)의 길이도 변경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원형프레임(200)은 종래기술에 따른 텐트에 사용되는 폴대와 동일한 것으로 하며 탄성력이 좋아 휨새와 복원력이 좋고 외력에 파손되지 않도록 강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상부 원형프레임(200)은 전술한 탄성로프(101) 및 지붕본체(300)에 의해 중앙폴대(100)의 상측에 배치되며, 하부 원형프레임(200)은 텐트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안착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중앙폴대(100)와 상부 원형프레임(200) 사이에는 지붕본체(300)가 형성되는데, 이 지붕본체(300)는 일측은 중앙폴대(100)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부 원형프레임(200)에 지지되어 이중지붕을 형성하며 중심측에는 환기구가 형성되되 원형프레임(200)의 직경조절에 따라 크기조절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지붕본체(300)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단이 중앙폴대(100) 측에 연결되는 제 1 지붕부재(301)와, 일단이 중앙폴대(100) 측에 연결되되 제 1 지붕부재(301) 하측에 위치되는 제 2 지붕부재(303)와, 일단이 제 1 지붕부재(301)의 타단에 연결된 후 상부 원형프레임(200)에 감겨져 팽팽하게 지지된 다음 타단이 제 2 지붕부재(303)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3 지붕부재(305)와, 양단이 제 1 지붕부재(301) 및 제 2 지붕부재(303)의 일단측에 각각 연결되어 중앙폴대(100)를 중심으로 환기구를 형성하는 환기구 형성부재(30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전술한 제 1 지붕부재(301)는 그 일단에 연결로프(309)가 연장 형성되어 중 앙폴대(100)에 구비된 상측 고정링에 고정되고 타측에는 제 1 연결부(301a)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하측으로 제 3 연결부(301b)가 절곡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제 3 지붕부재(305)는 그 일단에 제 1 연결부(301a)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연결부(305a)가 형성되고 그 중앙측이 상부 원형프레임(200) 상에 감겨 지지되되 그 하측으로 추후에 설명될 외벽부재(400)의 제 5 연결부(400a)와 연결될 제 4 연결부(305b)가 돌출 형성되며, 타단에는 제 6 연결부(305c)가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제 2 지붕부재(303)는 그 일단에 전술한 제 6 연결부(305c)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7 연결부(303a)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하측으로 제 8 연결부(303b)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에는 연결로프(309)가 연장 형성되어 중앙폴대(100)에 구비된 하측 고정링(105)에 고정된다.
한편, 연결로프(309)가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 1 지붕부재(301)의 일단과 제 2 지붕부재(303)의 타단측에는 환기구 형성부재(307)가 각각 연결 형성된다.
정리하면, 제 1 지붕부재(301)가 상측 고정링(103)에 연결된 다음 상부 원형프레임(200) 상으로 당겨지고, 당겨진 측은 제 3 지붕부재(305)에 연결된 다음 상부 원형프레임(200)에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감겨진 후 다시 중앙폴대(100) 측으로 당겨지고, 당겨진 측은 다시 제 2 지붕부재(303)에 연결되며 제 2 지붕부재(303)는 중앙폴대(100)의 하측 고정링(105)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연결된 지붕본체(300)는 중앙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중으로 형성되는데, 그 재질은 종래기술에 따른 텐트의 재질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이때 추후에 설명될 외벽부재(400)의 제 5 연결부(400a)를 포함한 제 1 연결부(301a) 내지 제 8 연결부(303b)는 상호 개폐 가능한 지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제 1 지붕부재(301), 제 2 지붕부재(303), 제 3 지붕부재(305) 및 외벽부재(40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목적으로 전술한 지퍼 외에도 단추 또는 스냅단추(똑딱이 단추)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 1 지붕부재(301)는 상부 원형프레임(200)의 직경조절에 따라 제 2 지붕부재(303) 및 제 3 지붕부재(305)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측 원평프레임의 직경이 크게 형성될 경우 제 1 지붕부재(301), 제 2 지붕부재(303) 및 제 3 지붕부재(305)가 모두 연결되어 지붕이 형성되지만,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원형프레임(200)의 직경이 전술한 경우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제 1 지붕부재(301) 및 제 2 지붕부재(303) 만으로 지붕이 형성된다.
이때 먼저 제 1 지붕부재(301)의 제 1 연결부(301a)가 제 3 지붕부재(305)의 제 2 연결부(305a)와 분리되고, 제 3 연결부(301b)재의 제 6 연결부(305c)와 제 2 연결부(305a)재의 제 7 연결부(303a)가 상호 분리된다.
그런 다음, 제 1 지붕부재(301)의 제 3 연결부(301b)가 제 2 지붕부재(303)의 제 7 연결부(303a)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부 원형프레임(200) 상에 감겨져 지지되고 제 2 지붕부재(303)의 제 8 연결부(303b)가 추후에 설명될 외벽부재(400)의 제 5 연결부(400a)재와 연결되게 된다.
제 3 지붕부재(305)가 분리된 만큼 각각의 지붕본체(300) 길이가 짧아지게 되며 전체적으로 지붕의 크기도 작아지게 된다.
한편, 중앙폴대(100) 및 상부 원형프레임(200) 상에 고정 설치된 지붕본체(300)에는 외벽부재(400)가 연결되는데, 이 외벽부재(400)는 텐트의 외부 벽체를 형성함으로써 텐트 내부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설치 위치에 따라 내부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전술한 외벽부재(400)는 그 상단에 제 5 연결부(400a)가 형성되어 제 2 지붕부재(303)의 제 8 연결부(303b) 또는 제 3 지붕부재(305)의 제 4 연결부(305b)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중앙폴대(100) 측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하부 원형프레임(200)에 지지된 다음 그 끝단이 중앙폴대(100)의 하측에 고정되는 과정을 통해서 텐트 내부 공간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외벽부재(400)에는 높이별로 고정부재(401)가 구비되는데, 이 고정부재(401)는 외벽부재(400)를 하부 원형프레임(200)에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부재(401)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 고정용 팩(403)이 끼워져 지중에 삽입 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고정편(401a)과, 하부 원형프레임(200) 상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후크(401b)로 이루어져, 어떠한 높이의 고정부재(401)를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외벽부재(400)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중앙폴대(100)의 상단에는 환기구 가림부재(500)가 구비되는데, 이 환기구 가림부재(500)는 환기구 형성부재(307)에 의해 형성되는 관기구 내로 빗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환기구 가림부재(500)는 우산과 같이 접었다 폈다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데 폈을때 그 직경이 환기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빗물 또는 이물질이 환기구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환기구 가림부재(500)는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중앙폴대(100) 상에 접었다 폈다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1)의 전체적인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텐트가 설치될 위치의 지면 중앙측에 중앙폴대(100)를 삽입 고정해 주는데, 이때 중앙폴대(100)의 상부 및 하부측에는 각각 원형프레임(200)이 구비되어 있다.
이 원형프레임(200)은 지붕의 전체적인 크기를 결정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결합되는 호형프레임(도시되지 않음) 갯수를 조절해서 그 크기를 결정하게 되며, 상부 원형프레임(200)의 경우 탄성로프(101)에 의해 중앙폴대(100)와 탄성적으로 연결 배치된다.
그런 다음, 제 1 지붕부재(301), 제 2 지붕부재(303) 및 제 3 지붕부재(305) 를 연결해 주는데, 먼저 제 1 지붕부재(301)의 연결로프(309)를 상부 고정링(103) 상에 고정하고 제 1 연결부(301a)를 제 3 지붕부재(305)의 제 2 연결부(305a)와 연결해 준다.
그런 다음, 제 3 연결부(301b)재를 상부 원형프레임(200)에 위에서 아래로 감아 지지토록 한후 팽팽하게 잡아당긴 상태에서 제 6 연결부(305c)를 제 2 지붕부재(303)의 제 7 연결부(303a)와 연결한 다음, 제 2 지붕부재(303)의 연결로프(309)를 하부 고정링(105) 상에 고정해 지붕본체(300)를 형성하는데, 이때 중앙측에 위치된 환기구 형성부재(307)에 의해 환기구가 형성된다.
그런 다음, 외벽부재(400)의 제 5 연결부(400a)를 제 3 지붕부재(305)의 제 4 연결부(305b)에 연결한 후, 형성될 외벽부재(400)의 높이에 따라 고정후크(401b)를 하부 원형프레임(200)에 고정해 주고 프레임 고정용 팩(403)을 고정편(401a)에 관통시켜 지중에 삽입해 고정해 외벽부재(400)가 하부 원형프레임(200)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해준다.
외벽부재(400)가 하부 원형프레임(200) 측에 지지되면 이 외벽부재(400)를 중앙폴대(100)의 하측으로 팽팽하게 잡아당겨 고정해 바닥면을 형성해 준다.
그런 다음, 필요에 따라서 환기구 가림부재(500)를 접거나 펼쳐서 내부 환기 및 온도저절을 해준다.
또한,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붕은 제 1 지붕부재(301) 내지 제 3 지붕부재(305) 모두를 사용하여 형성한 다음, 외벽부재(400)의 제 5 연결부(400a)를 제 2 지붕부재(303)의 제 8 연결부(303b)에 연결해 지붕은 크게 형성하고 텐트 내부의 공간은 작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붕은 제 1 지붕부재(301) 및 제 2 지붕부재(303) 만으로 형성하고, 외벽부재(400) 역시 제 5 연결부(400a)를 제 2 지붕부재(303)의 제 8 연결부(303b)에 연결해 지붕의 크기 및 텐트 내부의 공간 모두를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의 사용상태도.
도 2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의 지붕본체에 대한 부분확대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의 중앙폴대에 대한 부분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의 외벽부재에 대한 부분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 100 : 중앙폴대
101 : 탄성로프 101a : 고정후크
103 : 상부 고정링 105 : 하부 고정링
200a : 상부 원형프레임 200b : 하부 원형프레임
300 : 지붕본체
301 : 제 1 지붕부재 303 : 제 2 지붕부재
305 : 제 3 지붕부재 307 : 환기구 형성부재
309 : 연결로프 400 : 외벽부재
401 : 고정부재 401a : 고정편
401b : 고정후크 403 : 프레임 고정용 팩
500 : 환기구 가림부재

Claims (5)

  1. 수직방향으로 직립되도록 하단 부분이 지중에 삽입 고정되는 중앙폴대(100);
    상기 중앙폴대(100)의 외측 상부에 크기조절 가능하게 관통 위치되는 상부 원형프레임(200a);
    상기 중앙폴대(100)의 외측 하부에 크기조절 가능하게 관통 위치되되 지면에 안착 배치되는 하부 원형프레임(200b);
    일단은 상기 중앙폴대(100) 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 원형프레임(200a)에 지지된 다음 재차 상기 중앙폴대(100) 측에 연결되어 이중지붕을 형성하되 중심부에는 환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원형프레임(200a)의 직경조절에 따라 크기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붕본체(300);
    일측은 상기 지붕본체(3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부 원형프레임(200b)에 지지된 다음 상기 중앙폴대(100)의 하측에 고정되는 외벽부재(400); 및
    상기 중앙폴대(100)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가려주는 환기구 가림부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폴대(100) 상에는, 일단은 상기 중앙폴대(100) 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 원형프레임(200a) 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탄성로프(10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
  3. 청구항 1 또는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붕본체(300)는, 일단이 상기 중앙폴대(100) 측에 연결되는 제 1 지붕부재(301)와, 일단이 상기 중앙폴대(100) 측에 연결되되 상기 제 1 지붕부재(301) 하측에 위치되는 제 2 지붕부재(303)와, 일단이 상기 제 1 지붕부재(301)의 타단에 연결된 후 상기 상부 원형프레임(200a)에 감겨져 팽팽하게 지지된 다음 타단이 상기 제 2 지붕부재(303)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3 지붕부재(305)와, 양단이 상기 제 1 지붕부재(301) 및 제 2 지붕부재(303)의 일단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중앙폴대(100)를 중심으로 환기구를 형성하는 환기구 형성부재(30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붕부재(301)는 상기 상부 원형프레임(200a)의 직경조절에 따라 제 2 지붕부재(303) 및 제 3 지붕부재(305)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재(400)는, 상기 제 2 지붕부재(303) 및 제 3 지붕부재(305)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높이별로 구비되는 고정부재(401)를 통해 상기 하부 원형프레임(200b) 상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며, 그 단부는 상기 중앙폴대(100)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
KR1020090119623A 2009-12-04 2009-12-04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 KR101228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623A KR101228542B1 (ko) 2009-12-04 2009-12-04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623A KR101228542B1 (ko) 2009-12-04 2009-12-04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790A KR20110062790A (ko) 2011-06-10
KR101228542B1 true KR101228542B1 (ko) 2013-01-31

Family

ID=44396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623A KR101228542B1 (ko) 2009-12-04 2009-12-04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5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728B1 (ko) * 2013-04-09 2013-11-14 (주)에스플러스 캐노피 기능을 갖는 천막형 체육시설용 출입구 개폐구조
KR20190094652A (ko) * 2018-02-05 2019-08-14 권광희 조명장치 및 자동 개폐식 환기구를 구비한 캠핑용 천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5738B (zh) * 2015-01-12 2017-01-18 河南龙都文化娱乐有限公司 流动式钢结构剧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051A (ko) * 1993-06-08 1995-01-03 이치건 텐트구조체 및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051A (ko) * 1993-06-08 1995-01-03 이치건 텐트구조체 및 조립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728B1 (ko) * 2013-04-09 2013-11-14 (주)에스플러스 캐노피 기능을 갖는 천막형 체육시설용 출입구 개폐구조
KR20190094652A (ko) * 2018-02-05 2019-08-14 권광희 조명장치 및 자동 개폐식 환기구를 구비한 캠핑용 천막
KR102072006B1 (ko) * 2018-02-05 2020-01-31 권광희 조명장치 및 자동 개폐식 환기구를 구비한 캠핑용 천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790A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1688B2 (en) Vent for a tent or shelter
US8156952B2 (en) Portable tent
US20040238021A1 (en) Modular tent system
AU2005215605A1 (en) Gutter and downspout system for a tent or shelter
KR101228542B1 (ko)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
US20190203497A1 (en) Combination Umbrella and Cover
KR100926452B1 (ko) 텐트의 차양막 구조
KR101618302B1 (ko) 텐트용 차광막 받침대
US20050066591A1 (en) Vent stay for a canopy or tent
US20050178421A1 (en) Tent with asymmetrical pole sleeves
KR20120051467A (ko) 낚시텐트의 플라이
KR200390657Y1 (ko) 낚시용 텐트
KR100908191B1 (ko)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 및 이를 이용한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
KR101061823B1 (ko) 조립식 천막
KR200406921Y1 (ko) 텐트
JP5984034B1 (ja) テントおよびテントの組立方法
KR20200081118A (ko) 타프 설치식 텐트
WO2009014454A1 (en) Tent device
KR200408381Y1 (ko) 파라솔
KR20130003115U (ko) 다기능 대형 텐트
CN203613869U (zh) 一种拆装方便的帐篷
KR20110001773U (ko) 레저용 천막
TWI638623B (zh) 多功能帳篷水箱結構
KR20230080894A (ko) 착탈 가능한 메쉬스크린이 구비된 사계절용 텐트
KR20150026599A (ko) 다단 절첩식 조립 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