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695U - 텐트 - Google Patents
텐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01695U KR20230001695U KR2020220000442U KR20220000442U KR20230001695U KR 20230001695 U KR20230001695 U KR 20230001695U KR 2020220000442 U KR2020220000442 U KR 2020220000442U KR 20220000442 U KR20220000442 U KR 20220000442U KR 20230001695 U KR20230001695 U KR 2023000169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pole
- tent
- coupled
- rai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4—Tents or canopies, in general cone shaped, e.g. teepe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2—Supporting means, e.g. frames external type, e.g. frame outside cov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설치가 용이한 텐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텐트 내부에 중앙폴대를 제거하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고, 다수개의 폴대를 조립 및 설치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텐트 설치시 드는 힘과 시간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텐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설치가 용이한 텐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텐트 내부에 중앙폴대를 제거하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고, 다수개의 폴대를 조립 및 설치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텐트 설치시 드는 힘과 시간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인디언 텐트는 놀이텐트라고도 불리며, 주로 원목이나 금속재 등으로 이루어진 봉과 면 소재의 원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디언 텐트는 아늑한 곳을 좋아하는 유아에게 자신만의 놀이 공간을 만들어줘서 독립적인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인디언 텐트의 경우 도 1과 같이 텐트 내부 중앙에 폴대가 세워지고 이러한 중앙 폴대를 중심으로 보조 폴대와 텐트 천막이 원뿔 또는 각뿔 형태로 펼쳐져 설치되는 형태를 가진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인디언 텐트의 경우 내부 공간 중앙에 폴대가 위치하기 때문에 공간이 협소하고, 텐트 내부에서 활동하는 사람이 이동 도중 중앙 폴대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 텐트 전체가 균형을 잃고 쓰러져 재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중앙 폴대를 제거하고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폴대를 설치 후 천막과 결합시켜 텐트를 설치하는 조립식 텐트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조립식 텐트의 경우 설치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며, 폴대를 바닥면에 결합된 클립 등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큰 힘이 필요하여 놀이용 텐트를 주로 이용하는 유아가 쉽게 설치하기 어렵고, 성인의 힘으로 설치해야한다는 번거로움 또한 존재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텐트 내부에 중앙폴대를 제거하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고, 다수개의 폴대를 조립 및 설치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텐트 설치시 드는 힘과 시간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텐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텐트를 구성하는 텐트 스킨과 폴대가 일체화되어 별도의 결합이나 분리 과정이 불필요하고, 하나의 폴대가 가변하여 용이하게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길이조절을 포함한 설치과정에서 조립이 불필요하며, 보관이 쉬운 설치가 용이한 텐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텐트를 쉽게 펼침 또는 접힘 동작으로 설치와 보관이 용이하며, 일정각도 이상으로 좁혀지지 않고, 폴대프레임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외력에도 쉽게 텐트가 접히거나 과도하게 펼쳐지지 않아 설치 후 형태유지력이 향상된 설치가 용이한 텐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되어 텐트 설치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천막 스킨을 구비하는 텐트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원통형상을 가지는 중앙프레임; 및 상기 중앙프레임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다수개의 폴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폴대프레임은 다단의 폴대를 포함하고, 상기 폴대는 상기 중앙프레임과 이격될수록 외경이 줄어들어 각각 연결된 상기 폴대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외측으로 연장되어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천막 스킨은, 상기 중앙프레임 하면과 결합되는 결합고리; 및 상기 폴대프레임과 결합되는 끼움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프레임은, 원통형상을 가지며 하면이 상측으로 함몰된 상단프레임; 상기 상단프레임에 상단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고정되고, 외주면을 따라 톱니 형상의 다수개의 레일이 형성된 레일프레임; 및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면이 하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레일프레임 하면에 결합고정되는 하단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폴대프레임은, 일단에 상기 레일과 맞물리며 상하면이 상기 상단프레임과 상기 하단프레임 내측에 인입되는 레일결합홈이 형성되고, 타단은 내측에 상기 폴대의 일단이 인입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폴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회동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단프레임은, 하면 중앙에 관통형성된 고리관통홀; 및 상기 고리관통홀을 가로질러 상기 고리관통홀을 나누는 바 형상의 걸이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고리는 상기 걸이대로 나뉘어진 상기 고리관통홀 중 일측으로 인입된 후 타측으로 배출되어 상기 걸이대에 걸려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대프레임은 상기 중앙프레임과 가장 이격된 상기 폴대 하단에 결합버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폴대프레임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접힘 상태 유지시 상기 결합버클이 서로 결합되어 상기 폴대프레임이 접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끼움구는 다단으로 이루어진 상기 폴대 외주면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며, 탄성복원력을 가지며, C 형상을 가져 내측에 상기 폴대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폴대 외주면에 밀착결합되며,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폴대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텐트 내부에 중앙폴대를 제거하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고, 다수개의 폴대를 조립 및 설치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텐트 설치시 드는 힘과 시간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텐트를 구성하는 텐트 스킨과 폴대가 일체화되어 별도의 결합이나 분리 과정이 불필요하고, 하나의 폴대가 가변하여 용이하게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길이조절을 포함한 설치과정에서 조립이 불필요하며, 보관이 쉽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텐트를 쉽게 펼침 또는 접힘 동작으로 설치와 보관이 용이하며, 일정각도 이상으로 좁혀지지 않고, 폴대프레임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외력에도 쉽게 텐트가 접히거나 과도하게 펼쳐지지 않아 설치 후 형태유지력이 향상된 효과를 보유한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인디언 텐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텐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부의 접힘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부의 펼침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중앙프레임을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일프레임과 하단프레임을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하단프레임에 천막 스킨의 결합고리가 결합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일프레임에 폴대프레임이 결합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다수개의 폴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중앙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텐트의 플라이 적용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텐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부의 접힘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부의 펼침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중앙프레임을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일프레임과 하단프레임을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하단프레임에 천막 스킨의 결합고리가 결합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일프레임에 폴대프레임이 결합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다수개의 폴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중앙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텐트의 플라이 적용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텐트는 텐트 내부에 중앙폴대를 제거하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고, 다수개의 폴대를 조립 및 설치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텐트 설치시 드는 힘과 시간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텐트에 관한 것이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에 따른 텐트는 인디언 텐트 또는 놀이텐트로 한정된 것이 아니며 그 외에도 기존의 캠핑용 텐트 등 다양한 용도의 텐트로도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텐트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부의 접힘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부의 펼침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중앙프레임을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일프레임과 하단프레임을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하단프레임에 천막 스킨의 결합고리가 결합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일프레임에 폴대프레임이 결합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다수개의 폴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텐트(1)는 프레임부(100) 및 천막 스킨(200)을 포함한다. 프레임부(100)는 텐트의 폴대 역할을 수행하며 지면상에 설치되고, 천막 스킨(200)은 프레임부(100)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먼저, 프레임부(100)는 도 3 및 4와 같이 중앙프레임(110) 및 폴대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중앙프레임(110)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 해당되는 측면에 다수개의 폴대프레임(120)의 말단이 결합되어 상기 폴대프레임(120)이 중앙프레임(1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프레임(110)은 상단프레임(111), 레일프레임(112) 및 하단프레임(113)으로 구성되어 원통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단프레임(111)은 레일프레임(112) 상단에 구비되며, 후술된 힌지구(121)가 레일프레임(112) 외주면에 결합된 후 상측으로 이동되어 레일프레임(112)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단프레임(111)의 상면에는 십자가 형상의 돌출돌기(111a)가 형성되고, 상단프레임(111)은 하면에 레일프레임(112) 상단 일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단프레임(111)의 외경은 레일프레임(11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힌지구(121)의 상면 또한 상단프레임(111) 하면 내측으로 인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레일프레임(112)은 원통형상을 가지며, 힌지구(121)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레일프레임(112)의 외주면을 따라 레일(112a)이 다수개 형성되는데 이러한 레일(112a)은 톱니 형상을 가지며 레일프레임(112) 외주면, 즉 측면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후술된 폴대프레임(120)이 레일프레임(112)에 결합시 상기 레일(112a)에 기어결합되듯 톱니 형상의 레일(112a)이 힌지구(121)에 맞물려 결합고정되고,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3개부터 6개 이상 등 다양한 형태로 중앙프레임(110)에 결합될 폴대프레임(120)을 선택하여 다각형의 뿔 형상의 텐트나 다수개의 폴대프레임(120)을 이용하여 돔(dome)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의 텐트(1)를 제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단프레임(111)과 레일프레임(112)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단프레임(113)은 레일프레임(112)의 하면에 구비되되, 상단프레임(11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단프레임(111)과 상하방향으로 대칭되어 배치된다. 하단프레임(113)의 상면에는 레일프레임(112)의 하단 일부가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측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하단프레임(113)은 레일프레임(112)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다수개의 결합홀(113a)이 하단프레임(113) 중앙에 형성된 고리관통홀(114)을 중심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타공형성되며, 이러한 결합홀(113a)은 레일프레임(112) 하단에 하단프레임(113)이 결합시 결합홀(113a)과 동일한 위치에 레일프레임(112) 하면에도 동일하게 홀(112b)이 형성되어 외부에서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홀(113a) 및 홀(112b)을 관통하여 결합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결합홀(113a)을 통해 하단프레임(113)을 레일프레임(112) 하단에 결합고정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고, 하단프레임(113)이 레일프레임(112)과 분리되는 경우 제작자는 레일프레임(112)의 레일(112a)위치에 따라 후술된 폴대프레임(120)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결합한 뒤 하단프레임(113)을 레일프레임(112) 하단에 결합하여 폴대프레임(120)이 레일프레임(11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하단프레임(113)의 중앙에는 천막 스킨(200)의 결합고리(210)가 결합될 수 있는 고리관통홀(114)이 형성되며, 이러한 고리관통홀(114)의 중앙에는 고리관통홀(114)을 가로지르는 걸이대(115)가 바(bar) 형상으로 구비되어 결합고리(210)가 걸이대(115)를 중심으로 일측의 고리관통홀(114)로 인입되어 걸이대(115)에 걸린 후 타측 고리관통홀(114)로 나와 걸이대(115)에 묶음 결합함으로써 천막 스킨(200)의 상단이 중앙프레임(110)에 결합고정되어 천막 스킨(200)이 텐트 형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레일프레임(112)에 결합된 폴대프레임(120)은 하강시 수직하강되는 것이 아닌 일정 각도 이상 하다가 하단프레임(113)의 상면에 걸려 일정각도 이상 하측으로 회동되지 않아 텐트 형상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하단프레임(113)의 원통 형상의 상면은 폴대프레임(120)이 펼쳐진 상태로 지면상에 거치될 수 있도록 일정각도 이상 벌어지지 않게 제조단계서부터 조절되어 제작될 수 있는데 설치자가 폴대프레임(120)간의 이격거리가 넓어져 텐트(1) 높이는 낮아지게 설치하여 텐트(1) 내부 공간은 측면방향으로 확장되어 하측 회동각도가 상대적으로 줄어들 필요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중앙프레임(110)의 다른 실시예로 하단프레임(113)과 레일프레임(112)이 결합시 하단프레임(113) 상면 중앙에는 원통 형상을 가지되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기둥(116)이 추가로 형성되며, 레일프레임(112)의 하면 중앙에는 상기 조절기둥(116)이 삽입관통되며, 내측면이 조절기둥(116)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에 따라 레일프레임(112)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중앙홀(112c)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0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중앙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도 10의 (A)와 같이 있다가 길이조절을 원할 때에는 도 10의 (B)와 같이 하단프레임(113) 또는 레일프레임(112)을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 방향에 따라 조절기둥(116)이 중앙홀(112c)에 삽입되는 길이가 변화되고, 이로 인해 하단프레임(113)의 위치 또한 상하방향으로 변화되고, 폴대(120a)가 거치되는 하단프레임(113) 상면 가장자리의 위치 또한 변화하기 때문에 설치시 하측으로 회동되는 폴대프레임(120)의 정지 위치가 변화하여 텐트(1) 내부 면적, 즉 높이나 측면너비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조절기둥(116)은 중앙홀(112c)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절기둥(116)의 하단 외경과 중앙홀(112c)의 하단 내측은 줄어들어 조절기둥(116)이 하측으로 이동하다가 중앙홀(112c) 하단 내측에 걸려 더이상 하측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대프레임(120)은 원통형상의 다수개의 폴대(120a,120b,120c)로 이루어지며, 상기 폴대(120a,120b,120c)는 연결된 중앙프레임(110)과 이격될수록 외경이 좁아지며, 중앙프레임(110)과 인접한 다른 폴대(120a,120b,120c) 내측으로 인입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다단으로 이루어진 폴대(120a,120b,120c)가 중앙프레임(110)측과 인접한 각각의 폴대 내측으로 인입되어 길이가 줄어들거나 인력을 통해 중앙프레임(110) 반대측으로 폴대(120a,120b,120c)를 잡아당겨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폴대프레임(120)을 구성하는 폴대(120a,120b,120c) 중 가장 중앙프레임(110)과 인접하며 중앙프레임(110)과 연결되는 폴대(120a,120b,120c)의 일단에는 힌지구(121)가 형성된다.
힌지구(121)는 일단이 레일프레임(11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레일(112a)과 맞물려 결합되며, 타단은 폴대(120a,120b,120c)와 결합되어 상기 결합된 폴대(120a,120b,120c)가 힌지구(121)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텐트(1)가 접힘 또는 펼침 상태로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힌지구(121)의 일단에는 레일결합홈(122)이 형성되며, 레일결합홈(122) 내측에는 레일프레임(112)에 형성된 레일(112a)과 동일한 형상으로 레일이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고, 이러한 레일결합홈(122) 내 레일은 레일결합홈(122) 외측면에 형성된 레일(112a)과 맞물려 견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힌지구(121)의 레일결합홈(122)이 형성된 일측의 상하면은 각각 상단프레임(111)과 하단프레임(113)의 함몰된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힌지구(121)를 포함한 폴대프레임(12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힌지구(121)의 레일결합홈(122)이 형성된 일측면은 레일결합홈(122)이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되, 상단프레임(111)과 하단프레임(113)간에 레일결합홈(122)이 돌출될 수 있도록 인입턱(121b)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인입턱(121b)을 포함한 회동홀(121a)이 상단프레임(111) 및 하단프레임(113) 사이에 위치하여 레일프레임(112)의 레일(112a)과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일측에 레일결합홈(122)이 형성된 힌지구(121)의 타측에는 폴대(120a)가 결합되는 회동홀(121a)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회동홀(121a)에는 다수개의 폴대(120a,120b,120c) 중 외경 및 내경이 가장 큰 폴대(120a)의 말단이 결합되어 상기 회동홀(121a) 내측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텐트(1)의 접힘 또는 펼침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폴대(120a,120b,120c)의 하측 말단에는 외경이 확장된 마감구(123)가 형성되어 각각 연결된 폴대로 서로 인입되어 접힘상태가 될 때 일정길이 이상으로 삽입되거나 일정길이 이상으로 연장되어 폴대(120a,120b,120c)끼리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마감구(123)는 각각의 폴대(120a,120b,120c)가 일정길이 이상으로 연장되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후술된 천막 스킨(200)의 결합고리(210)가 하중 등에 의해 폴대(120a,120b,120c)의 외주면을 타고 과도하게 하측으로 흘러내려 텐트(1)의 상측 형상이 과도하게 내측 중앙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프레임부(100)는 후술된 천막 스킨(200)과 결합되어 일체형인 상태로 유지되고, 쉽게 접힘 또는 펼침 상태로 설치자가 프레임부(100)를 조작하여 텐트(1)의 사용(설치)여부에 따른 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
천막 스킨(200)은 종래의 텐트의 천막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러한 천막 스킨(200)은 방수재질의 천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프레임부(100)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별도의 조립이나 폴대프레임(120)의 관통과정없이 쉽게 프레임부(100)를 펼쳐 설치함과 동시에 천막 스킨(200) 또한 펼쳐져 텐트(1)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천막 스킨(200)의 최상단에는 고리 형상의 결합고리(210)가 형성되는데 결합고리(21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중앙프레임(110)의 고리관통홀(114)을 관통하여 걸이대(115)에 결합고정됨으로써 천막 스킨(200)이 중앙프레임(110)과 결합될 수 있고, 천막 스킨(200)의 측면, 즉 텐트(1)의 외측면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다수개의 폴대(120a,120b,120c)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끼움구(220)가 다수개 형성된다.
즉, 끼움구(220)는 도 1과 같이 일단은 천막 스킨(200) 중 설치시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면에 형성되며, 타단은 'C'자 형태의 고리가 형성되되 강한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내측에 형성된 끼움홈(221)을 통해 폴대(120a,120b,120c) 외주면에 끼움결합시켜 끼움구(220)가 폴대(120a,120b,120c)에 결합고정된다.
따라서, 다수개로 이루어진 폴대(120a,120b,120c)에 각각 다수개의 끼움구(220)가 개별적으로 끼움결합되고, 폴대프레임(120)의 연장정도에 따라 끼움구(220)가 폴대(120a,120b,120c)상에 결합된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하여 천막 스킨(200)이 폴대프레임(120)의 길이에 맞게 천막 스킨(200)의 측면 또한 조절하여 텐트(1)가 주름지거나 원치 않는 형상을 이루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끼움구(220)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되 일정 강도를 가져 쉽게 폴대(120a,120b,120c)에 탈부착되지 않도록 하며, 폴대(120a,120b,120c) 외주면에 결합된 상태로 탄성복원력에 의해 끼움홈(221)이 줄어들어 끼움홈(221) 내측면이 폴대(120a,120b,120c) 외주면에 밀착고정되어 쉽게 폴대(120a,120b,120c)를 따라 미끄러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도록 제작한다.
또한 천막 스킨(200)의 가장자리는 해당 텐트(1) 내 폴대프레임(120) 개수 및 위치에 맞춰 결합버클(23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버클(230)은 다수개의 폴대(120a,120b,120c) 중 연장시 최하단에 위치하여 지면과 맞닿는 폴대(120c)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며, 다른측에 구비된 폴대(120c)에 구비된 다른 결합버클(230)과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버클(230)은 폴대프레임(120)이 중앙프레임(110)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되어 접힘상태를 유지하거나 후술된 플라이(300)에 형성된 외부버클(310)과 체결되어 플라이(300)가 텐트(1) 외측에 구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결합버클(230)은 일측에 링 형상의 관통구(231)가 구비되며 이러한 관통구(231)는 지면과 가장 가까운 폴대(120c)를 관통하여 끼움결합되고, 이러한 관통구(231)를 통해 천막 스킨(200)의 가장자리 또한 끼움구(220)와 같이 폴대프레임(120)에 결합되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텐트(1)가 장기가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텐트(1)의 사용을 마친 후 각 폴대(120a,120b,120c)를 서로 겹쳐 폴대프레임(120)의 길이를 최소화하게되면 끼움구(220)는 중앙측에 위치한 폴대(120b)와 지면과 인접한 폴대(120c) 하측 말단에 각각 형성된 마감구(123) 사이에 끼워져 천막 스킨(200)이 접힘상태에서 과도하게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폴대프레임(120)의 접힘과 동시에 천막 스킨(200) 또한 접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결합버클(230)을 통해 천막 스킨(200)을 포함한 텐트(1)의 접힘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러한 천막 스킨(200)은 평상시에는 프레임부(1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되 천막 스킨(200)의 손상 등으로 교체가 필요하거나 세탁이 필요한 경우 결합고리(210), 끼움구(220) 및 결합버클(230)을 각각 중앙프레임(110)과 폴대프레임(120)으로부터 분리하여 쉽게 교체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끼움구(220)와 관통구(231)는 각각 천막 스킨(200) 외측면에 별도의 조임끈(도면에 미도시)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텐트(1) 설치시 형상이나 천막 스킨(200)의 펼침정도 등을 조절하기 위해 조임끈을 조이거나 풀어 천막 스킨(200)과 폴대프레임(120)간의 밀착정도를 달리할 수 있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텐트(1)를 통해 사용자는 쉽게 설치하거나 용이하게 접힘상태를 유지하여 휴대 및 보관을 쉽게 할 수 있고, 기존의 텐트 내부 중앙에 구비되는 기둥을 제거하여 내부 활용 공간을 확장시키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높이조절을 할 뿐만 아니라 제작자가 중앙프레임(110)에 결합할 폴대프레임(120)의 수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원하는 형상의 텐트(1)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폴대프레임(120)이 하강하여 텐트(1) 내부 측면 너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형상의 텐트(1)를 설치하여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300)를 추가로 구비하여 기존에 설치된 텐트(1)에 플라이(300)를 덮어 우천시 텐트(1)를 보호할 수 있다. 이를 도 11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텐트의 플라이 적용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과 같이 폴대프레임(120) 내측으로 천막 스킨(200)이 구비되기 때문에 플라이(300)는 설치완료된 텐트(1)의 외형과 동일한 재질의 천으로 이루어지며, 플라이(300)의 가장자리 중 폴대프레임(120) 말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외부버클(310)이 형성되고, 이는 결합버클(230)에 체결됨으로써 플라이(300)가 텐트(1) 외측에 구비된 상태로 고정되어 강풍 등으로 인해 텐트(1)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외부버클(310)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끈으로 이루어져 텐트(1)의 높이에 따라 외부버클(310)과 플라이(300) 가장자리를 연결한 끈의 길이조절을 통해 다양한 높이의 텐트(1)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텐트
100: 프레임부 110: 중앙프레임
111: 상단프레임 111a: 돌출돌기
112: 레일프레임 112a: 레일
112b: 홀 112c: 중앙홀
113: 하단프레임 113a: 결합홀
114: 고리관통홀 115: 걸이대
116: 조절기둥 120: 폴대프레임
120a,120b,120c: 폴대 121: 힌지구
121a: 회동홀 121b: 인입턱
122: 레일결합홈 123: 마감구
200: 천막 스킨 210: 결합고리
220: 끼움구 221: 끼움홈
230: 결합버클 231: 관통구
300: 플라이 310: 외부버클
100: 프레임부 110: 중앙프레임
111: 상단프레임 111a: 돌출돌기
112: 레일프레임 112a: 레일
112b: 홀 112c: 중앙홀
113: 하단프레임 113a: 결합홀
114: 고리관통홀 115: 걸이대
116: 조절기둥 120: 폴대프레임
120a,120b,120c: 폴대 121: 힌지구
121a: 회동홀 121b: 인입턱
122: 레일결합홈 123: 마감구
200: 천막 스킨 210: 결합고리
220: 끼움구 221: 끼움홈
230: 결합버클 231: 관통구
300: 플라이 310: 외부버클
Claims (5)
-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되어 텐트 설치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천막 스킨을 구비하는 텐트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원통형상을 가지는 중앙프레임; 및
상기 중앙프레임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다수개의 폴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폴대프레임은 다단의 폴대를 포함하고,
상기 폴대는 상기 중앙프레임과 이격될수록 외경이 줄어들어 각각 연결된 상기 폴대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외측으로 연장되어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천막 스킨은,
상기 중앙프레임 하면과 결합되는 결합고리; 및
상기 폴대프레임과 결합되는 끼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텐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프레임은,
원통형상을 가지며 하면이 상측으로 함몰된 상단프레임;
상기 상단프레임에 상단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고정되고, 외주면을 따라 톱니 형상의 다수개의 레일이 형성된 레일프레임; 및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면이 하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레일프레임 하면에 결합고정되는 하단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폴대프레임은,
일단에 상기 레일과 맞물리며 상하면이 상기 상단프레임과 상기 하단프레임 내측에 인입되는 레일결합홈이 형성되고,
타단은 내측에 상기 폴대의 일단이 인입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폴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회동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텐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프레임은,
하면 중앙에 관통형성된 고리관통홀; 및
상기 고리관통홀을 가로질러 상기 고리관통홀을 나누는 바 형상의 걸이대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고리는 상기 걸이대로 나뉘어진 상기 고리관통홀 중 일측으로 인입된 후 타측으로 배출되어 상기 걸이대에 걸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텐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프레임은 상기 중앙프레임과 가장 이격된 상기 폴대 하단에 결합버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폴대프레임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접힘 상태 유지시 상기 결합버클이 서로 결합되어 상기 폴대프레임이 접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텐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는 다단으로 이루어진 상기 폴대 외주면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며, 탄성복원력을 가지며, C 형상을 가져 내측에 상기 폴대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폴대 외주면에 밀착결합되며,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폴대 외주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텐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0442U KR20230001695U (ko) | 2022-02-16 | 2022-02-16 | 텐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0442U KR20230001695U (ko) | 2022-02-16 | 2022-02-16 | 텐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1695U true KR20230001695U (ko) | 2023-08-23 |
Family
ID=87799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20000442U KR20230001695U (ko) | 2022-02-16 | 2022-02-16 | 텐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01695U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1832Y1 (ko) | 2013-01-18 | 2014-03-17 | 서호준 |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
-
2022
- 2022-02-16 KR KR2020220000442U patent/KR20230001695U/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1832Y1 (ko) | 2013-01-18 | 2014-03-17 | 서호준 |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43424B2 (en) | Hub assembly for a foldable tent | |
RU2725992C1 (ru) | Складная шестиугольная палатка | |
US5482069A (en) | Sunshade | |
WO2006080750A1 (en) | The tent and frame for one touch type tent | |
CA2784162A1 (en) | Foldable tent | |
KR100906020B1 (ko) | 절첩식 텐트 | |
KR20230001695U (ko) | 텐트 | |
KR101425756B1 (ko) | 높이 조정이 용이한 접이식 텐트 | |
US20160290002A1 (en) | Shelter deployment handles | |
JP5984034B1 (ja) | テントおよびテントの組立方法 | |
KR101614648B1 (ko) | 멀티 차양 파라솔 | |
KR100908191B1 (ko) |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 및 이를 이용한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 | |
KR200361483Y1 (ko) |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구조 | |
KR200406921Y1 (ko) | 텐트 | |
KR20100081574A (ko) | 자동텐트의 프레임 연결장치 | |
KR20180011922A (ko) | 텐트 | |
KR200272635Y1 (ko) | 절첩식 텐트용 폴 | |
JP3013187U (ja) | 折畳み形テント | |
KR101111991B1 (ko) | 로프작동형 접이식 텐트 | |
KR102691921B1 (ko) | 육각 텐트용 지주 및 육각 텐트 | |
KR101610674B1 (ko) | 조립식 파라솔의 방사형 살 | |
KR200282006Y1 (ko) | 받침살 | |
KR200317318Y1 (ko) | 탄력성과 안정감이 우수한 천막 | |
KR101483884B1 (ko) | 조립식 평상 | |
KR101148633B1 (ko) | 절첩식 캐노피 텐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