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022B1 -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 - Google Patents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022B1
KR100700022B1 KR1020050033972A KR20050033972A KR100700022B1 KR 100700022 B1 KR100700022 B1 KR 100700022B1 KR 1020050033972 A KR1020050033972 A KR 1020050033972A KR 20050033972 A KR20050033972 A KR 20050033972A KR 100700022 B1 KR100700022 B1 KR 100700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pole
lower support
coupl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2278A (ko
Inventor
우준식
Original Assignee
우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준식 filed Critical 우준식
Priority to KR1020050033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022B1/ko
Publication of KR20060112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9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printed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산비탈 등의 경사면에서 텐트의 설치 시에도 상기 텐트의 설치 상태를 항상 수평하게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방사상 확장이 가능한 상부 연결폴과, 상부 연결폴에 결합되어 지면에 세워지는 하부 지지폴과, 상부 연결폴의 방사상 확장을 돕는 지지대 및, 상부 및 하부 지지폴에 결합되는 원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텐트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폴은 길이 가변식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길이 가변식 구조의 하부 지지폴 측에 결합되는 텐트 원단 또한 길이 조절기에 의하여 길이 가변식 구조로 이루어 짐에 따라, 경사면에 텐트의 설치 시 텐트가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의하여, 경사면에서의 텐트 설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텐트 원단의 길이 축소 시 남는 원단의 별도 마무리 처리가 생략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텐트, 높낮이 조절, 상부 연결폴, 가변식 지지폴, 이동폴, 지퍼, 고무줄

Description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The Tent and Height Adjusting Device for T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중 길이 가변식 하부 지지폴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a는 길이 가변식 하부 지지폴이 스토퍼의 동작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3b는 스토퍼의 해제에 의하여 길이 가변식 하부 지지폴의 위치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높낮이 조절장치를 채용한 텐트의 경사진 곳에서의 설치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높낮이 조절장치를 채용한 텐트의 경사진 곳에서의 설치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 연결폴 13 : 지지대
50 : 하부 지지폴 52 : 이동폴
54 : 고정폴 56 : 스토퍼
56a : 안내구 56b : 편심 회동구
70 : 텐트 75 : 텐트 원단
90 : 제1 슬라이더 92 : 제1 이(齒)
94 : 제2 이 96 : 제2 슬라이더
98 : 제3 이 99 : 제4 이
100 : 고무줄 접이식 구조
본 발명은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비탈 등의 경사진 곳에서도 안정적으로 설치 가능하도록 한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야외에서 야영 등을 위해 필요한 물품으로서, 폴대를 하나씩 결합시켜 완성하는 수동식 텐트나 우산과 유사한 작동을 취하여 용이한 설치 및 해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자동식 텐트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수동식 텐트나 자동식 텐트의 폴대는 모두 길이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항상 평지(平地)에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수동식 텐트나 자동식 텐트의 폴대는 고정체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텐트를 기울기가 있는 비탈진 곳이나 또는 바닷가 등의 경사진 것에 곳에 설치 시 상기 텐트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쉽게 넘어져 해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동식 텐트나 자동식 텐트(이하, 텐트라 함)에 있어서, 하부 지지폴을 길이 가변식으로 구성하여 상기 하부 지지폴의 설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경사진 곳에 텐트의 설치 시 상기 텐트가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길이 가변식 하부 지지폴에 결합되는 텐트 원단 또한 길이 조절기에 의해 길이 가변식으로 구성하여 상기 하부 지지폴의 설치 높이 조절 시 함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텐트 원단의 별도 마무리 처리가 생략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방사상 확장이 가능한 상부 연결폴과, 상부 연결폴에 결합되어 지면에 세워지는 하부 지지폴과, 상부 연결폴의 방사상 확장을 돕는 지지대 및, 상부 및 하부 지지폴에 결합되는 원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텐트에 있어서,
하부 지지폴은 길이 가변식 구조로 이루어지며, 길이 가변식 구조의 하부 지지폴 측에 결합되는 텐트 원단 또한 길이 조절기에 의하여 길이 가변식 구조로 이루어져, 경사면에 텐트의 설치 시 텐트가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구성되는 하부 지지폴은, 지면에 세워지는 고정폴과, 일측은 상부 연결폴에 결합되고 타측은 고정폴에 출입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폴 및, 고정폴의 상단에 고정되어 이동폴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지되, 스토퍼는 이동폴이 고정폴의 내부로 출입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구와 이 안내구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편심 회동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구성되는 텐트 원단의 길이 조절기는, 하부 지지폴 측에 결합된 텐트 원단의 하부에 결착되되, 그 출발점에서 최종점까지 갈 수록 확장된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구성되는 텐트 원단의 길이 조절기는, 하부 지지폴 측에 결합된 텐트 원단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무줄 접이식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텐트는 상기한 구조를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는, 상부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상부 연결폴(1)이 연결되고, 하부에는 스토퍼(3)가 고정되며, 상기 스토퍼(3)의 하단에 연결구(5)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연결부재(10)와, 상기 연결부재(10)에 상, 하로 승하강을 이루도록 결합되고, 그 외주연에는 상기 상부 연결폴(1)과 힌지 연결되는 지지대(13)가 결합되는 슬라이딩 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10)에 삽입되어 텐트의 설치 시 상기 슬라이딩 부재(20)와 연결부재(10)의 일정유격을 형성토록 하는 탄성스프링(30)과, 상기 상부 연결폴(1)과 접하도록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지지폴(50) 및, 상기 상부 연결폴(1) 및 하부 지지폴(50)에 각각 외주부가 결합되고, 연결끈(77)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재(10)의 연결구(5)에 그 최상단 중심부가 결합되는 원단(75)을 포함하여 구성된 종래의 자동식 텐트(70)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폴(50)은 길이 가변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길이 가변식 하부 지지폴(50) 측에 결합되는 텐트 원단(75) 또한 길이 가변식으로 구성되어, 경사진 곳에 텐트의 설치 시 상기 텐트가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길이 가변식 하부 지지폴(50)과, 상기 하부 지지폴(50)을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텐트의 원단(75) 길이 조절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중 길이 가변식 하부 지지폴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는 길이 가변식 하부 지지폴이 스토퍼의 동작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며, 도 3b는 스토퍼의 해제에 의하여 길이 가변식 하부 지지폴의 위치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길이 가변식 하부 지지폴(50)은, 지면에 세워지는 고정폴(54)과, 일측은 상부 연결폴(1)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폴(54)에 출입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폴(52) 및, 상기 고정폴(54)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폴(52)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56)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스토퍼(56)는 고정폴(54)의 상단에 고정되어 이동폴(52)이 상기 고정폴(54)의 내부로 출입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구(56a)와 상기 안내구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편심 회동구(56b)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텐트의 원단(75) 길이 조절기는, 상기 텐트 원단(75)의 하부에 천 부분인 테이프(Tape)(미도시)가 봉재 또는 접착제에 의하여 결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퍼에 의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퍼는 통상의 것으로서, 하부의 제1 이(齒 : Teeth or Elements)(92)와 상부의 제2 이(94), 그리고 상기 이(92, 94)들을 서로 결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제1 슬라이더(Slider)(90) 및 상기 이(92, 94)들의 고정수단으로서 천이나 얇은 필름 등으로 형성된 테이프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의 제1 이(92)는 테이프의 봉재에 의하여 텐트 원단(75)의 하단면과 평행하게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의 제2 이(94)는 제1 이(92)와 대략 "V"자 형상을 이루어 상기 제1 슬라이더(90)의 출발점에서 최종점까지의 이(92, 94)들이 이루는 각도가 점점 커지도록 테이프의 봉재에 의하여 사선으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텐트의 원단(75) 길이 조절기가 2개일 경우 제2 슬라이더(96)는 상기 제1 슬라이더(90)의 출발점 위치와 반대의 위치에 놓이게 되고, 하부의 제3 이(98)는 사선으로 형성된 상기 제2 이(94)와 평행하도록 사선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부의 제4 이(99)는 상기 제1 이(92)와 평행하게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텐트의 설치 상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높낮이 조절장치를 채용한 텐트의 경사진 곳에서의 설치 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진 곳에 텐트(70)를 설치할 경우, 텐트(7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높은 곳에 위치하는 길이 가변식 하부 지지폴(50)의 길이를 축소시킨다.
즉, 상부 연결폴(1)에 힌지 연결된 이동폴(52)을 스토퍼(56)의 안내구(56a)(도 2에 도시)를 통해 고정폴(54)의 내부로 이동시켜, 상기 이동폴(52)의 길이를 축소시킨 후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56)의 편심 회동구(56b)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폴(52)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록킹시킨다.
이어서, 상기 이동폴(52)의 축소된 길이만큼 텐트의 원단(75) 하부 또한 길이가 축소되도록, 제1 슬라이더(90)를 출발점에서 최종점까지 이동시키게 되면, 제1 이(92)와 제2 이(94)가 서로 결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이(92)와 제2 이(94) 사이에 위치한 텐트 원단(75)의 길이가 경사진 곳의 경사면을 따라 축소된다.
상기와 같은 설치 동작에 의하여 경사면에서 텐트를 설치할 경우에도 상기 텐트의 설치 상태를 항상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텐트의 설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도면과 반대로 우측면이 높고 좌측면이 낮은 경사면일 경우에는, 위의 경우와 반대로 우측면에 위치한 길이 가변식 하부 지지폴(50)의 길이를 축소시키 며, 도 1의 상태에서 제2 슬라이더(96)를 이동시켜 제3 이(98)와 제4 이(99)를 서로 결착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3 이(98)와 제4 이(99) 사이에 위치한 텐트 원단(75)의 길이가 경사진 곳의 경사면을 따라 축소됨에 따라, 텐트의 설치 상태를 항상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자동식 텐트(70)에 적용된 것으로만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 연결폴(1)에 수작업에 의하여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어떠한 하부 지지폴(50)에도 모두 적용 가능함을 밝혀 둔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겐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부 지지폴(50)이 길이 가변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길이 가변식 하부 지지폴(50) 측에 결합되는 텐트 원단(75) 또한 길이 가변식으로 구성되어, 경사진 곳에 텐트의 설치 시 상기 텐트가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길이 가변식 하부 지지폴(50)과, 상기 하부 지지폴(50)을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텐트의 원단 (75) 길이 조절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길이 가변식 하부 지지폴(50)은 상기한 제1 실시예의 하부 지지폴(5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텐트의 원단(75) 길이 조절기는 상기 텐트 원단(75)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일명 자바라 형태의 고무줄 접이식 구조(10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무줄 접이식 구조(100)는 상기 텐트 원단(75)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고무줄이 봉재 등에 의하여 내장되어 상기 텐트 원단(75)의 하부가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텐트의 설치 상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높낮이 조절장치를 채용한 텐트의 경사진 곳에서의 설치 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진 곳에 텐트(70)를 설치할 경우, 텐트(7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높은 곳에 위치하는 길이 가변식 하부 지지폴(50)의 길이를 축소시킨다. 이는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즉, 상부 연결폴(1)에 힌지 연결된 이동폴(52)을 스토퍼(56)의 안내구(56a)(도 2에 도시)를 통해 고정폴(54)의 내부로 이동시켜, 상기 이동폴(52)의 길이를 축소시킨 후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56)의 편심 회동구(56b)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폴(52)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록킹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동폴(52)의 길이가 축소되면, 상기 이동폴(52) 측에서 확장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텐트 원단(75)의 하부가 고무줄 접이식 구조(100)에 의하여 경사면을 따라 자동적으로 축소된다.
상기와 같은 설치 동작에 의하여 경사면에서 텐트를 설치할 경우에도 상기 텐트의 설치 상태를 항상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텐트의 설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도면과 반대로 우측면이 높고 좌측면이 낮은 경사면일 경우에는, 위의 경우와 반대로 우측면에 위치한 길이 가변식 하부 지지폴(50)의 길이를 축소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위의 경우와는 반대로 우측에 위치한 텐트 원단(75)의 하부가 고무줄 접이식 구조(100)에 의하여 경사면을 따라 자동적으로 축소되어, 텐트의 설치 상태를 항상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중 텐트 원단의 길이 조절기는, 지퍼와 고무줄 접이식 구조만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벨크로테이프나 일명 똑닥이 단추 또는 후크 형태의 고리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는, 하부 지지폴과 상기 하부 지지폴에 결합되는 텐트 원단의 하부가 길이 가변식으로 구성됨으로써, 경사진 곳에 텐트의 설치 시에도 상기 텐트의 설치 상태를 항상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텐트의 설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텐트 원단의 길이 축소 시 남는 원단을 끈으로 묶어 처리하는 등의 별도 마무리 처리가 생략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5)

  1. 방사상 확장이 가능한 상부 연결폴과, 상기 상부 연결폴에 결합되어 지면에 세워지는 하부 지지폴과, 상기 상부 연결폴의 방사상 확장을 돕는 지지대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지지폴에 결합되는 원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텐트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폴은 길이 가변식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길이 가변식 구조의 하부 지지폴 측에 결합되는 텐트 원단 또한 길이 조절기에 의하여 길이 가변식 구조로 이루어져, 경사면에 텐트의 설치 시 상기 텐트가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폴은, 지면에 세워지는 고정폴과, 일측은 상기 상부 연결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폴에 출입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폴 및, 상기 고정폴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폴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토퍼는 이동폴이 고정폴의 내부로 출입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구와 상기 안내구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편심 회동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 원단의 길이 조절기는, 상기 하부 지지폴 측에 결합된 텐트 원단의 하부에 결착되되, 그 출발점에서 최종점까지 갈 수록 확장된 형태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의 높낮 이 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 원단의 길이 조절기는, 상기 하부 지지폴 측에 결합된 텐트 원단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무줄 접이식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의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KR1020050033972A 2005-04-25 2005-04-25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 KR100700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972A KR100700022B1 (ko) 2005-04-25 2005-04-25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972A KR100700022B1 (ko) 2005-04-25 2005-04-25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278A KR20060112278A (ko) 2006-10-31
KR100700022B1 true KR100700022B1 (ko) 2007-03-26

Family

ID=3762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972A KR100700022B1 (ko) 2005-04-25 2005-04-25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0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5797A (ko) * 2007-01-10 2008-07-15 우준식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텐트의 원단 길이 조절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8918A (zh) * 2014-04-03 2014-07-23 成都绿迪科技有限公司 帐篷连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61797A (en) 1924-04-18 1925-11-17 Rumpel Julius Combined tent and bed
KR960029572A (ko) * 1995-01-18 1996-08-17 이윤재 텐트용 중심지주의 고정구조
KR970002486Y1 (ko) * 1994-03-11 1997-03-24 연안정밀주식회사 다단식 지주의 높이조절 장치
KR20000020220U (ko) * 1999-04-30 2000-11-25 이구택 책걸상의 높낮이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61797A (en) 1924-04-18 1925-11-17 Rumpel Julius Combined tent and bed
KR970002486Y1 (ko) * 1994-03-11 1997-03-24 연안정밀주식회사 다단식 지주의 높이조절 장치
KR960029572A (ko) * 1995-01-18 1996-08-17 이윤재 텐트용 중심지주의 고정구조
KR20000020220U (ko) * 1999-04-30 2000-11-25 이구택 책걸상의 높낮이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5797A (ko) * 2007-01-10 2008-07-15 우준식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텐트의 원단 길이 조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278A (ko) 2006-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20849A1 (zh) 折叠屏及折叠显示终端
US7748433B2 (en) Clip for collapsible auto shade
US9167873B2 (en) Cantilever parasol
JP2003511593A (ja) 折畳み式テント
GB2259927A (en) Umbrella-like tent
US11346123B2 (en) Rooftop tent for vehicle
US20120012144A1 (en) Mini Cabana for Lounging at the Pool or Beach
US10160298B1 (en) Portable rain and sun shield for a covered golf cart
JP2015532849A (ja) マットレスカバー組立体及び方法
KR100700022B1 (ko) 텐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채용한 텐트
US9629470B2 (en) Compactly collapsible chair canopy
US20210178876A1 (en) Method of enhancing rain and sun protection using a rain and sun shield for golf carts
KR101215137B1 (ko) 복합 지주구조를 갖춘 파라솔
KR20080065797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텐트의 원단 길이 조절기
JP7166236B2 (ja) 二つのアンブレラ構造を備えた折り畳み式テント
US20120180832A1 (en) Umbrella with offset shaft
JP2001003604A (ja) 折り畳み式テントの屋根の支持構造
US7448399B2 (en) Umbrella
KR101468013B1 (ko) 돔형 텐트의 폴대구조
KR20200000596U (ko) 차량용 텐트
JP2003227249A (ja) 折り畳み式テント
KR200416808Y1 (ko) 텐트
KR20090024974A (ko) 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의 폴대 구조 및 이를 이용한높낮이 조절 가능한 텐트
KR200289419Y1 (ko) 천막용 차양막
KR200315843Y1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