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672B1 - 후측방 경보시스템 - Google Patents

후측방 경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672B1
KR100906672B1 KR1020080047267A KR20080047267A KR100906672B1 KR 100906672 B1 KR100906672 B1 KR 100906672B1 KR 1020080047267 A KR1020080047267 A KR 1020080047267A KR 20080047267 A KR20080047267 A KR 20080047267A KR 100906672 B1 KR100906672 B1 KR 100906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de
rear side
sensor unit
alarm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7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6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rearward traffic

Abstract

본 발명의 후측방 경보시스템은 차량의 후측방을 감시하는 센서부와,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센서부를 BSD 영역을 감시하는 단거리용 모드 또는 LCA/RPC 영역을 감시하는 장거리용 모드로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발명은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후측방 경보시스템의 감시 영역을 변경시켜줌으로써, 주행시 차량의 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경보, 후측방, BSD, LCA, RPC

Description

후측방 경보시스템{BACK-SIDEWAYS ALARMING SYSTEM OF VEHICLE}
본 발명은 후측방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후방의 감시 영역을 변경해 주기 위한 후측방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측방 경보시스템은 차량 주행 중 후측방의 사각 지역에 장애물이 존재하거나 차선 변경 시 사각 지역의 장애물 또는 좌/우측 차석 후방으로부터 고속으로 접근하는 차량에 의해 차선 변경 시 충돌 위험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운전자에게 경보하여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주는 시스템이다.
도 1은 종래 후측방 경보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의 주행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측방 경보시스템은 차량(10)의 후방에 센서(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센서(20)는 차량의 후측방 사각 지역(Blind Spot Detection Zone, BSD), 후측방 지역(Lane Change Assist Zone, LCA), 정후방 지역(Rear Pre Crash Zone, RPC) 지역을 감시하고, 이와 같이 설정된 영역에 차량이 접근하면 경보등을 사용하여 운전자에게 위험을 알려주고 있다.
하지만, 종래 후측방 경보시스템은 차량의 후방으로부터 최대 70m 까지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차량이 40km로 주행하고 접근 차량이 110km 로 주행할 경우, 접근 차량의 감지하기 위한 거리는 약 80mm 이상 검지해야 하기 때문에 사고날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고속도로 진입 구간에서 고속도로 진입시 상대 속도가 클 경우 최소 필요 감지 거리는 더욱 필요해 진다.
또한, BSD 영역을 감시할 경우, 종래 후측방 경보시스템은 접근 차량이 +50~-50도 외의 영역에서 접근시 감지가 어렵기 때문에 두 차선 떨어진 차선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지 못해, 사고날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후방에서 접근해오는 차량의 감지 영역을 확대하여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후측방 경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사고율을 줄이기 위한 후측방 경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후측방 경보시스템은 차량의 후측방을 감시하는 센서부와,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센서부를 BSD 영역을 감시하는 단거리용 모드 또는 LCA/RPC 영역을 감시하는 장거리용 모드로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거리용 모드는 차량이 차선을 변경하거나 차선의 변경이 예측되는 경우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단거리용 모드는 주행 차선으로부터 +50도 내지 -50도 이상 감시할 수 있다.
상기 장거리용 모드는 차량이 차선 변경 없이 주행할 경우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장거리용 모드는 차량 후방의 70m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후방에서 접근해오는 차량의 감지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후측방 경보시스템의 감시 영역을 변경시켜줌으로써, 주행시 차량의 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측방 경보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측방 경보시스템의 감지 영역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측방 경보시스템의 모드에 따른 감지 영역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후측방 경보시스템과 종래 후측방 경보시스템의 실제 주행시 상황에 따른 감지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후측방 경보시스템은 차량(100)의 후측방을 감시하는 센서부(200)와, 차량(100)의 주행 상태에 따라 센서부(200)를 BSD 영역을 감시하는 단거리용 모드 또는 LCA/RPC 영역을 감시하는 장거리용 모드로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서부(200)가 감시하는 영역에 다른 차량이 접근할 경우, 운전자에게 위험을 알리도록 차량(100)에는 경보부(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보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센서부(200)는 차량(100)이 도로를 주행할 시 차량(100)의 후측방을 감시하는 역할을 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100)의 후측방의 사각 지대 영역인 BSD 영역과, 후방 영역인 LCA 영역 및 RPC 영역을 감시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200)는 차량(100)의 후방에 설치되며, 센서부(200)로는 레이더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레이더 센서 외에 초음파 센서 또는 카메라 센서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센서부(200)는 장거리용 모드와 단거리용 모드로 변환되어 차량(100)의 후방을 감시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거리용 모드로 전환되면, LCA/BPC 영역을 감시할 수 있도록 A 영역을 센싱하게 되며, 단거리용 모드로 전환되면, BSD 영역을 감시할 수 있도록 B 영역을 센싱하게 된다.
센서부(200)가 장거리용 모드로 전환될 경우, A 영역을 감시하는 센서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거리(L2) 이상 예컨데, 70m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m 이상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셋팅되며, 이때, 측정할 수 있는 각도는 +8 내지 -8도로 셋팅된다.
이와 같이 센서부(200)가 장거리용 모드로 전환될 경우, 종래 후측방 경보 시스템의 후방을 측정할 수 있는 최대 거리가 70m 인 경우와 비교하면 더욱 넓은 영역 즉, 긴 거리를 측정가능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안정성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측정 길이가 길어지게 됨에 따라, 후방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 각도는 작게 되므로 차량(100) 후방의 BSD 영역을 측정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센서부(200)는 단거리용 모드로 전환된다.
이러한 단거리용 모드는 후방을 측정할 수 있는 각도를 +70 내지 -70도로 설정하고 측정 길이(L1)는 약 30m를 측정함으로써, 종래 BSD 영역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 각도인 +50 내지 -50인 경우와 비교하면 더욱 넓은 영역을 측정할 수 있다. 특히, 두 차선 옆에 있는 차량이 접근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후측방 경보시스템은 접근 차량을 센싱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차선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부(200)는 장거리용 모드와 단거리용 모드로 전환 가능함으로써, 더욱 넓은 영역을 측정할 수 있게 되며, 시스템의 안정성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센서부(200)를 장거리용 모드 또는 단거리용 모드로 선택적으로 변경하기 위해 제어부(300)가 마련되며, 이러한 제어부(300)는 차량(100)의 주행 상태에 따라 센서부(200)를 장거리용 모드 또는 단거리용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컨데, 차선을 변경하지 않고, 한 차선으로만 직진해서 주행할 경우, 제어부(300)는 센서부(200)를 장거리용 모드로 선택하고, 이에 의해 후방의 RPC 영역과 LCA 영역을 먼거리에서부터 감시할 수 있다. 또한, 한 차선에서 주행하다가 차선을 변경할 경우, 제어부(300)는 센서부(200)를 단거리용 모드로 전환하고, 이에 의해 후방의 BSD 영역을 넓은 영역에서 감시할 수 있어 차선 변경 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차량(100)이 차선을 변경하지 않고 주행할 것인지, 차선을 변경할 것인지의 판단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컨데, 운전자가 방향 지시등(Turn Signal)을 온하면, 제어부(300)는 차량(100)이 차선을 변경할 것이라 예측 판단하여 센서부(300)를 단거리용 모드로 전환하고, 운전자가 방향 지시등을 오프 하면 장거리용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방향 지시등의 조작에 의해 차량(100)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퀴의 조향각 등에 의해 판단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얼굴 위치를 검출하여 차량(100)의 주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방향 지시등의 조작에 의해 차량(100)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여 센서부(300)를 단거리용 모드 또는 장거리용 모드로 전환하였지만, 차량(100) 내부에 장착된 전방 카메라의 인식 화면을 통해 현재 차량(100)의 차선 이탈 여부와도 연동하여 차량(100)의 주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예컨데, 전방 카메라의 인식 화면에서 차량(100)이 차선을 이탈할 경우 센서부(300)를 단거리용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컨데, 차량(100)이 차선 변경 없이 주행할 경우, 제어부(300)는 RPC 영역 및 LCA 영역을 감시하도록 센서부(200)를 장거리용 모드로 선택하고, 이에 의해 차량(100) 후방의 RPC 영역 및 LCA 영역(A)을 감시하게 된다.
이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후측방 경보시스템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후측방 경보시스템에 비해 그 측정 거리가 넓기 때문에 먼 거리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감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스템의 성능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예컨데, 차량(100)의 속도와 접근 차량의 상대 속도가 70km/h 이상일 경우, 후방 접근 차량을 70m 이상 측정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이 차선을 변경할 경우, 제어부(300)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 한 방향 지시등의 조작 신호를 받아 센서부를 단거리용 모드로 선택하고, 이로 인해 차량 후방의 BSD 영역(B)을 감시하게 된다.
이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후측방 경보시스템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후측방 경보시스템에 비해 그 측정 각도가 크기 때문에 넓은 영역을 감시할 수 있고, 예컨데, 두 차선 옆에서 접근해오는 차량까지 센싱할 수 있어,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는 동시에 차량의 차선 변경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이 고속화 도로의 교차로 진입시 고속화 도로 진입 전 차량이 차선 변경 없이 주행할 경우 제어부(300)는 센서부(200)를 장거리용 모드로 선택하고, 이로 인해 차량(100)의 후방 LCA 영역(A)을 감시하게 된다.
이때,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측방 경보시스템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후측방 경보시스템에 비해 측정할 수 있는 영역이 넓기 때문에 LCA 영역에서 고속으로 접근하는 차량을 먼 거리에서부터 감시할 수 있어 시스템의 신뢰성이 높이는 동시에 차선 변경 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어서, 차선의 변경을 위해 운전자가 방향 지시등을 온 상태로 하고 제어부(300)가 이를 수신하여 센서부(200)를 단거리용 모드로 전환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영역의 BSD 영역을 감시할 수 있어, 고속화 도로 진입 시 더욱 안전하게 차선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측방 경보시스템은 넓은 영역을 감지함으로써, 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이고 차량의 사고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후측방 경보시스템은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차량 후방의 감시 영역을 변경해줌으로써, 차선 변경 시 접근하는 차량을 정확하게 감시할 수 있어 사고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후측방 경보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의 주행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측방 경보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측방 경보시스템의 감지 영역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측방 경보시스템의 모드에 따른 감지 영역을 나타낸 평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후측방 경보시스템과 종래 후측방 경보시스템의 실제 주행시 상황에 따른 감지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차량 200: 센서부
300: 제어부

Claims (5)

  1. 차량(100)의 후측방을 감시하는 센서부(200); 및
    차량(100)의 주행 상태에 따라 센서부(200)를 BSD 영역을 감시하는 단거리용 모드 또는 LCA/RPC 영역을 감시하는 장거리용 모드로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단거리용 모드는 차량(100)이 차선을 변경하거나 차선의 변경이 예측되는 경우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측방 경보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거리용 모드는 주행 차선으로부터 +50도 내지 -50도 이상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측방 경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거리용 모드는 차량(100)이 차선 변경 없이 주행할 경우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측방 경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장거리용 모드는 차량(100) 후방의 70m 이상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측방 경보 시스템.
KR1020080047267A 2008-05-21 2008-05-21 후측방 경보시스템 KR100906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267A KR100906672B1 (ko) 2008-05-21 2008-05-21 후측방 경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267A KR100906672B1 (ko) 2008-05-21 2008-05-21 후측방 경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6672B1 true KR100906672B1 (ko) 2009-07-07

Family

ID=41337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267A KR100906672B1 (ko) 2008-05-21 2008-05-21 후측방 경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67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510A (ko) * 2012-04-12 2013-10-22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Mimo 신호처리 기법을 이용한 다중빔 방식의 후측방 레이더
KR20130121227A (ko) * 2012-04-27 2013-11-06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디지털빔형성 신호처리 기법을 이용한 다중빔 방식의 후측방 레이더
KR20130129591A (ko) * 2012-05-21 2013-11-29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이중 송신빔 방식의 후측방 레이더
KR101371746B1 (ko) * 2012-10-26 2014-03-12 현대자동차(주) 차량의 차선변경 가능여부 판단 방법
KR20140078379A (ko) 2012-12-17 2014-06-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후측방 경보모듈
CN104007441A (zh) * 2014-05-12 2014-08-27 格利尔数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全景雷达监测方法及系统
KR101487937B1 (ko) * 2013-04-11 2015-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차량 주변 물체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200068807A (ko) 2018-12-05 2020-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후측방 경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25597A (ko) * 2020-08-24 2022-03-03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레이더 기반 테일 게이트 제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232U (ko) * 1997-11-29 1999-06-25 양재신 차량의 차선변경 경고장치
KR20050103204A (ko) * 2003-01-30 2005-10-27 쉐프네커 비젼 시스템즈 저머니 게엠베하 하나 이상의 측방 및 후방 주위 환경 탐지 유닛을 구비한차량용 위험 인지 시스템
KR100533527B1 (ko) 2004-07-12 2005-12-05 학교법인 영남학원 퍼지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한 차량 충돌 경보장치
US7245231B2 (en) * 2004-05-18 2007-07-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ollision avoidanc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232U (ko) * 1997-11-29 1999-06-25 양재신 차량의 차선변경 경고장치
KR20050103204A (ko) * 2003-01-30 2005-10-27 쉐프네커 비젼 시스템즈 저머니 게엠베하 하나 이상의 측방 및 후방 주위 환경 탐지 유닛을 구비한차량용 위험 인지 시스템
US7245231B2 (en) * 2004-05-18 2007-07-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ollision avoidance system
KR100533527B1 (ko) 2004-07-12 2005-12-05 학교법인 영남학원 퍼지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한 차량 충돌 경보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194B1 (ko) 2012-04-12 2016-07-27 한화탈레스 주식회사 Mimo 신호처리 기법을 이용한 다중빔 방식의 후측방 레이더
KR20130115510A (ko) * 2012-04-12 2013-10-22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Mimo 신호처리 기법을 이용한 다중빔 방식의 후측방 레이더
KR20130121227A (ko) * 2012-04-27 2013-11-06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디지털빔형성 신호처리 기법을 이용한 다중빔 방식의 후측방 레이더
KR101643197B1 (ko) 2012-04-27 2016-07-27 한화탈레스 주식회사 디지털빔형성 신호처리 기법을 이용한 다중빔 방식의 후측방 레이더
KR20130129591A (ko) * 2012-05-21 2013-11-29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이중 송신빔 방식의 후측방 레이더
KR101654252B1 (ko) * 2012-05-21 2016-09-05 한화탈레스 주식회사 이중 송신빔 방식의 후측방 레이더
KR101371746B1 (ko) * 2012-10-26 2014-03-12 현대자동차(주) 차량의 차선변경 가능여부 판단 방법
KR20140078379A (ko) 2012-12-17 2014-06-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후측방 경보모듈
KR101487937B1 (ko) * 2013-04-11 2015-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차량 주변 물체 감지 장치 및 방법
CN104007441A (zh) * 2014-05-12 2014-08-27 格利尔数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全景雷达监测方法及系统
KR20200068807A (ko) 2018-12-05 2020-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후측방 경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25597A (ko) * 2020-08-24 2022-03-03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레이더 기반 테일 게이트 제어 장치
KR102436203B1 (ko) * 2020-08-24 2022-08-29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레이더 기반 테일 게이트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672B1 (ko) 후측방 경보시스템
KR101619599B1 (ko) 융합 레이더 센서 기반 저전력 차량 충돌 방지 방법 및 장치
US10901078B2 (en) Monitoring device and monitoring method
US7830243B2 (en) Dual mode vehicle blind spot system
EP2753523B1 (en)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reducing blind-spot-detection false alerts
EP2151809B1 (en) Object detecting device, and object detecting method
US20120101711A1 (en) Collision Warning Apparatus
US20070179712A1 (en) Blind spot sensor system
CN203666504U (zh) 一种汽车盲区雷达警示装置
US20180025645A1 (en) Lane assistance system responsive to extremely fast approaching vehicles
JP4604691B2 (ja) 車両用警報装置、車両周囲状況の警報方法
WO2014006919A1 (ja) 並走車検出装置
CN103562980A (zh) 用于支持机动车的驾驶员的方法
JP2010500678A (ja) 車両の衝突警告装置
JP2011210102A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CN105408181A (zh) 用于运行汽车的驾驶员辅助系统的方法和用于汽车的驾驶员辅助系统
JP2019211926A (ja) 車両用警報システム
WO2021020022A1 (ja) 車両注意喚起装置
KR102022539B1 (ko)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
JP3672914B2 (ja) 車両用警報装置
EP2279889B1 (en) Method and system for shoulder departure assistance in an automotive vehicle
CN201272317Y (zh) 汽车侧向距离监测警示系统
CN201272316Y (zh) 汽车侧向距离监测警示系统
KR101839978B1 (ko)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3802723B2 (ja) 車両前方状況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