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978B1 -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978B1
KR101839978B1 KR1020130028614A KR20130028614A KR101839978B1 KR 101839978 B1 KR101839978 B1 KR 101839978B1 KR 1020130028614 A KR1020130028614 A KR 1020130028614A KR 20130028614 A KR20130028614 A KR 20130028614A KR 101839978 B1 KR101839978 B1 KR 101839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yaw rate
information
alarm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4152A (ko
Inventor
정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30028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978B1/ko
Publication of KR20140114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5Predicting travel path or likelihood of collision
    • B60W30/0956Predicting travel path or likelihood of collision the prediction being responsive to traffic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55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control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e.g. taking into account yaw rate or transverse acceleration in a curve
    • B60T8/17551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control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e.g. taking into account yaw rate or transverse acceleration in a curve determining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vehicle stability used in the regulation, e.g. by calculations involving measured or detected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08G1/096844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where the complete route is dynamically recomputed based on new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50/00Monitoring, detecting, estimating vehicle conditions
    • B60T2250/03Vehicle yaw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8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 B60Y2300/095Predicting travel path or likelihood of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 정보의 노드의 개수 및 차량의 요레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선회 주행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종래의 후측방 경보 조건을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운전자에게 불필요한 경보 및 필요한 경보를 주행 상황에 맞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 정보 및 차량의 요레이트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도로 정보 및 차량의 요레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선회 주행 여부를 판단하는 주행 상태 판단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상태 판단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AVELING ST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종래의 후측방 경보 조건을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운전자에게 불필요한 경보 및 필요한 경보를 주행 상황에 맞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발되어 차량에 속속 탑재되고 있는 바, 그 예들로서 자차와 측후방물체와의 충돌위험성을 경보하는 측후방 경보시스템이 있다.
이 중에서, 측후방 경보시스템은 차량의 주행차선 변경시나 주차시 또는 주행시에 운전자의 시야가 미치지 못하는 사각지대에서의 차량 및 운전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제1998-021413호(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제2007-0004300호(문헌 2) 등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를 포함하는 종래 기술은 옆차선의 타겟 차량이 BSD 존(자차 후방 범퍼로부터 6.3m)에 위치하거나, LCA 조건(자차와의 충돌가능시간 <4.5s)을 만족하면 무조건적으로 경보를 하였다.
따라서 운전자는 실도로에서 경보가 필요없는 상황에 경보가 울려 불편함을 겪거나, 경보가 필요한 상황에서 미경보를 하여 위험 상황에 노출될 수 있어, 신뢰성이 떨어지며 편의성의 향상 효과를 미비하게 할 수 있다.
[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998-021413호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만도기계 주식회사외 1인) 1998.06.25 [문헌 2]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7-0004300호 영상인식을 이용한 후측방 접근 차량 경보 방법 및 시스템(현대자동차주식회사) 2007.01.09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 정보 및 차량의 요레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선회 주행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종래의 후측방 경보 조건을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운전자에게 불필요한 경보 및 필요한 경보를 주행 상황에 맞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 정보, 차량의 속도 정보, 차량의 요레이트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한 차량 부근 도로의 노드 개수,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 상기 차량의 요레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선회 주행 여부를 판단하는 주행 상태 판단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상태 판단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주행 상태 판단부는 상기 도로의 노드가 세 개 이상이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속도 임계치 미만이며, 상기 차량의 요레이트가 소정의 요레이트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차량이 교차로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 중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도로의 노드가 두 개 이하이고, 상기 차량의 요레이트가 소정의 요레이트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차량이 곡선로에서 선회 주행 중이라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 판단 장치는 차량의 사각 지대를 감시하여 차량과 타겟 물체 간 거리 또는 충돌 가능 시간이 미리 설정된 후측방 경보 조건을 만족하면 경보를 발생시키는 후측방 경보 시스템에 적용되되, 상기 후측방 경보 조건에 더하여,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한 차량 부근 도로의 노드 개수,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 상기 차량의 요레이트 정보를 이용하는 상황별 경보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에 따라 경보 발생을 제어하는 경보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보 발생부는 상기 도로의 노드가 세 개 이상이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속도 임계치 미만이며, 상기 차량의 요레이트가 소정의 요레이트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이 교차로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 중이라고 판단하여, 상기 후측방 경보 조건이 만족되더라도 경보를 발생시키지 않고, 상기 도로의 노드가 두 개 이하이고, 상기 차량의 요레이트가 소정의 요레이트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이 곡선로에서 선회 주행 중이라고 판단하여, 상기 후측방 경보 조건이 만족되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 정보, 차량의 속도 정보, 차량의 요레이트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단계; 및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한 차량 부근 도로의 노드 개수,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 상기 차량의 요레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선회 주행 여부를 판단하는 주행 상태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상태 판단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주행 상태 판단 단계는 상기 도로의 노드가 세 개 이상이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속도 임계치 미만이며, 상기 차량의 요레이트가 소정의 요레이트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차량이 교차로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 중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도로의 노드가 두 개 이하이고, 상기 차량의 요레이트가 소정의 요레이트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차량이 곡선로에서 선회 주행 중이라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 판단 방법은 차량의 사각 지대를 감시하여 차량과 타겟 물체 간 거리 또는 충돌 가능 시간이 미리 설정된 후측방 경보 조건을 만족하면 경보를 발생시키는 후측방 경보 시스템에 적용되되, 상기 후측방 경보 조건에 더하여,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한 차량 부근 도로의 노드 개수,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 상기 차량의 요레이트 정보를 이용하는 상황별 경보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에 따라 경보 발생을 제어하는 경보 발생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 정보의 노드의 개수 및 차량의 요레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선회 주행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종래의 후측방 경보 조건을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운전자에게 불필요한 경보 및 필요한 경보를 주행 상황에 맞게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교차로에서 좌회전/우회전을 할때 차선 변경의지가 없음에도 발생되는 불필요한 경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곡률 반경이 적은 구간에서 유발될 수 있는 미경보를 사전에 방지하여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후측방 경보 시스템을 운전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자 흐름도, 그리고
도 3은 자차 근방에 있는 노드의 개수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는 개략적으로,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 정보, 차량의 속도 정보, 차량의 요레이트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도로 정보에 기초한 차량 부근 도로의 노드 개수, 차량의 속도 정보, 차량의 요레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선회 주행 여부를 판단하는 주행 상태 판단부(또한 본 출원에서 전자제어유닛으로도 지칭됨)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한 후측방 경보 시스템(40)은 네비게이션 단말기(10), 요레이트 측정부(20) 및 차속 측정부(30)(이들은 또한 본 출원에서 정보 수집부로 총칭됨)와 연결되어, 상황별 경보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경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 고정되었던 후측방 경보 조건을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운전자에게 불필요한 경보 및 필요한 경보를 상황에 맞게 제어하여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삭제
상황별 경보조건은 교차로에서 차속이 일정차속미만이고 요레이트가 기준 요레이트보다 큰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조건과, 직진로의 커브 구간에서 요레이트가 기준 요레이트보다 큰 경우에 경보를 발생시키는 조건이고, 후측방 경보 조건은 옆차선의 타겟차량이 자차 후방범퍼로부터 예를 들면 6.3m에 위치하면 경보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자차와의 충돌가능시간이 예를 들면 4.5s보다 작으면 경보를 발생시키는 조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측방 경보 시스템(40)에 포함된 전자제어유닛(41)은 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부터 선정된 경로 정보를 수신한다. 경로 정보는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차선정보, 주변물체정보, 곡률정보 등을 포함한다.
네비게이션 단말기(10)는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를 설정하고 설정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선정된 경로 정보를 후측방 경보 시스템(40)에 제공한다. 특히 네비게이션 단말기(10)는 위성을 이용하여 실도로의 정보를 파악하여 다음의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경로 정보에는 주행중인 도로의 노드(선)의 개수를 포함하고 있다. 후측방 경보 시스템(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정보에 포함된 노드의 개수가 1인 경우 직선의 도로(도 3의 (a)에 해당)이고, 노드의 개수가 2인 경우 커브가 있는 곡선의 도로(도 3의 (b)에 해당)이며, 노드의 개수가 3개 이상인 경우 교차로(도 3의 (c)에 해당)로 판단한다. 즉, 후측방 경보 시스템(40)은 노드의 개수에 따라 직진로, 커브 구간 또는 교차로를 주행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차속 측정부(30)는 차량의 차속을 측정한다. 측정된 차속은 후측방 경보 시스템(40)에 제공된다.
후측방 경보 시스템(40)의 전자제어유닛(41)(Electronic Control Unit: ECU)은 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부터 제공받은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주행중인 도로에서 노드가 3개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노드가 3개 이상인 경우 차속이 일정 차속 예를 들면 50kph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차속이 일정 차속 미만인 경우 요레이트가 기준 요레이트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여, 요레이트가 기준 요레이트보다 크면 교차로에서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으로 판단하여 미 경보로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요레이트가 기준 요레이트보다 큰 경우는 곡률반경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 예를 들면 70m보다 작은 경우에 해당한다.
종래의 후측방 경보 시스템은 일정영역에 옆차선 차량이 위치하거나 옆차선 차량과의 충돌 가능시간을 파악하여 후측방 경보조건과 일치하면 경보를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할 수밖에 없었다. 즉, 종래의 후측방 경보 시스템은 자차가 교차로에서 예를 들면 좌회전 차선에 위치하여 좌회전 깜박이를 넣고 죄화전할 경우 의도치 않은 불필요한 경고가 유발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후측방 경보 시스템(40)은 네비게이션 목적지 경로에 좌회전/우회전 구간이 있을 경우 일정 차속 이하를 만족하면 HMI(Human Machine Interface)에서의 점등 및 점멸을 억제하여 운전자 또는 운전자의 주변 차량에서 느끼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후측방 경보 시스템(40)은 일정 차속 이하이면서 요레이트가 기준 요레이트보다 크면 급격한 곡률반경으로 후측방 경보 시스템(40)을 활성화시켜 운전자에게 적절한 경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교차로 주행이 아닌 커브 구간 주행시 후측방 경보 시스템(40)은 요레이트값이 기준 요레이트보다 큰 경우, 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부터 제공되는 실제 주행중인 경로 정보에 포함되는 곡률정보, 차선 정보를 기반으로 후측방 경보 조건을 활성화시켜 후측방 경보 조건을 만족하면 운전자에게 적절한 경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더 자세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측방 경보 시스템(40)은 요레이트 측정부(20)로부터 측정된 요레이트가 기준 요레이트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요레이트가 기준 요레이트보다 크면 후측방 경보 조건을 활성화시킨다. 즉 후측방 경보 시스템(40)은 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부터 제공되는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후측방 경보 조건이 만족되면 경보를 발생시켜 자차가 커브 반경이 적은 도로에 위치한 경우 정상적인 경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상술된 후측방 경보조건을 만족하면 경보를 발생시켜 안정적으로 커브를 주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의 차량의 주행 상태 판단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은 개략적으로,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 정보, 차량의 속도 정보, 차량의 요레이트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단계; 및 도로 정보에 기초한 차량 부근 도로의 노드 개수, 차량의 속도 정보, 차량의 요레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선회 주행 여부를 판단하는 주행 상태 판단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자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후측방 경보 시스템(40)은 네비게이션 단말기(10)와 연결되어 있어, 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부터 선정된 경로 정보를 수신한다(S11). 네비게이션 단말기(10)는 지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참고하여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를 선정한다.
후측방 경보 시스템(40)은 경로 정보를 근거로 주행중인 도로에서 노드가 3개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
상기 S13 단계의 판단결과, 주행중인 도로에서 노드가 3개 이상이 아닌 경우, 즉 2개 이하인 경우 후측방 경보 시스템(40)은 요레이트 측정부(20)로부터 측정된 요레이트가 기준 요레이트보다 크고 네비게이션 단말기(10)부터 수신되는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후측방 경보 조건을 만족하면 경보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S14). 이에 따라 종래에 곡률 반경이 적은 경우 후측방 경보 시스템(40)을 오프시켜 위험한 상황에서의 미경보를 본 발명에서처럼 곡률반경이 적은 경우에 네비게이션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경로 정보에 기반하여 후측방 경보 조건을 만족하면 경보를 울릴 수 있도록 하여, 운전상황에 맞게 운전자에게 적절한 경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S13 단계의 판단결과, 주행중인 도로에서 노드가 3개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즉 교차로를 주행중인 경우로 판단된 경우 후측방 경보 시스템(40)은 차속 측정부(30)에서 측정된 차속이 일정 차속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5).
상기 S15 단계의 판단결과, 차속이 일정 차속 미만이 아닌 경우 후측방 경보 시스템(40)은 후측방 경보 조건을 만족하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S16). 즉 후측방 경보 시스템(40)은 해당 후측방 경보 시스템(40)의 미리 설정된 후측방 경보 조건을 활성화시켜 후측방 경보 조건을 만족하면 경보를 울리도록 한다.
상기 S15 단계의 판단결과, 차속이 일정 차속 미만인 경우 후측방 경보 시스템(40)은 요레이트 측정부(20)로부터 측정된 요레이트가 기준 요레이트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17).
상기 S17 단계의 판단결과, 요레이트가 기준 요레이트보다 큰 경우 후측방 경보 시스템(40)은 교차로에서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으로 판단하여 미경보로 동작되도록 제어한다(S19). 이에 따라 교차로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할때에 불필요한 경보가 유발되어 운전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S17 단계의 판단결과, 요레이트가 기준 요레이트보다 작은 경우 후측방 경보 시스템(40)은 상술된 S16 단계로 프로세스를 이동하여 후측방 경보 조건을 만족하면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10 : 네비게이션 단말기 20 : 요레이트 측정부
30 : 차속 측정부 40 : 후측방 경보 시스템
41 : 전자제어유닛

Claims (12)

  1.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 정보, 차량의 속도 정보, 차량의 요레이트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한 차량 부근 도로의 노드 개수,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 상기 차량의 요레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선회 주행 여부를 판단하는 주행 상태 판단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상태 판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행 상태 판단부는:
    상기 도로의 노드가 세 개 이상이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속도 임계치 미만이며, 상기 차량의 요레이트가 소정의 요레이트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차량이 교차로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 중이라고 판단하는, 차량의 주행 상태 판단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행 상태 판단부는:
    상기 도로의 노드가 두 개 이하이고, 상기 차량의 요레이트가 소정의 요레이트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차량이 곡선로에서 선회 주행 중이라고 판단하는, 차량의 주행 상태 판단 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의 사각 지대를 감시하여 차량과 타겟 물체 간 거리 또는 충돌 가능 시간이 미리 설정된 후측방 경보 조건을 만족하면 경보를 발생시키는 후측방 경보 시스템에 적용되되,
    상기 후측방 경보 조건에 더하여,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한 차량 부근 도로의 노드 개수,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 상기 차량의 요레이트 정보를 이용하는 상황별 경보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에 따라 경보 발생을 제어하는 경보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상태 판단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경보 발생부는:
    상기 도로의 노드가 세 개 이상이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속도 임계치 미만이며, 상기 차량의 요레이트가 소정의 요레이트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이 교차로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 중이라고 판단하여, 상기 후측방 경보 조건이 만족되더라도 경보를 발생시키지 않는, 차량의 주행 상태 판단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경보 발생부는:
    상기 도로의 노드가 두 개 이하이고, 상기 차량의 요레이트가 소정의 요레이트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이 곡선로에서 선회 주행 중이라고 판단하여, 상기 후측방 경보 조건이 만족되면 경보를 발생시키는, 차량의 주행 상태 판단 장치.
  7.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 정보, 차량의 속도 정보, 차량의 요레이트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단계; 및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한 차량 부근 도로의 노드 개수,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 상기 차량의 요레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선회 주행 여부를 판단하는 주행 상태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상태 판단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주행 상태 판단 단계는:
    상기 도로의 노드가 세 개 이상이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속도 임계치 미만이며, 상기 차량의 요레이트가 소정의 요레이트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차량이 교차로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 중이라고 판단하는, 차량의 주행 상태 판단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주행 상태 판단 단계는:
    상기 도로의 노드가 두 개 이하이고, 상기 차량의 요레이트가 소정의 요레이트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차량이 곡선로에서 선회 주행 중이라고 판단하는, 차량의 주행 상태 판단 방법.
  10. 청구항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의 사각 지대를 감시하여 차량과 타겟 물체 간 거리 또는 충돌 가능 시간이 미리 설정된 후측방 경보 조건을 만족하면 경보를 발생시키는 후측방 경보 시스템에 적용되되,
    상기 후측방 경보 조건에 더하여,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한 차량 부근 도로의 노드 개수,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 상기 차량의 요레이트 정보를 이용하는 상황별 경보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에 따라 경보 발생을 제어하는 경보 발생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상태 판단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경보 발생 제어 단계는:
    차량과 타겟 물체 간 거리 또는 충돌 가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상기 후측방 경보 조건을 만족하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도로의 노드가 세 개 이상이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속도 임계치 미만이며, 상기 차량의 요레이트가 소정의 요레이트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이 교차로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 중이라고 판단하여, 상기 후측방 경보 조건이 만족된다고 결정되더라도 경보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상태 판단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경보 발생 제어 단계는:
    차량과 타겟 물체 간 거리 또는 충돌 가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상기 후측방 경보 조건을 만족하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도로의 노드가 두 개 이하이고, 상기 차량의 요레이트가 소정의 요레이트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이 곡선로에서 선회 주행 중이라고 판단하여, 상기 후측방 경보 조건이 만족된다고 결정되면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상태 판단 방법.
KR1020130028614A 2013-03-18 2013-03-18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39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614A KR101839978B1 (ko) 2013-03-18 2013-03-18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614A KR101839978B1 (ko) 2013-03-18 2013-03-18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152A KR20140114152A (ko) 2014-09-26
KR101839978B1 true KR101839978B1 (ko) 2018-04-26

Family

ID=51758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614A KR101839978B1 (ko) 2013-03-18 2013-03-18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9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360A (ko) 2018-10-08 2020-04-20 주식회사 만도 차량 곡률 제어 장치, 차량 곡률 제어 방법 및 차량 곡률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2623A1 (ja) * 2016-09-02 2018-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通信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通信端末の制御方法
KR102663017B1 (ko) 2016-11-24 2024-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08928345B (zh) * 2018-07-18 2020-07-31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车辆横向侦测系统及其操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1739A (ja) * 2005-06-09 2006-12-21 Nissan Motor Co Ltd 車線推定装置
KR101097063B1 (ko) * 2010-12-30 2011-12-22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사각 지대 표시 장치 및 방법
JP4990629B2 (ja) * 2003-12-24 2012-08-01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 ラボラトリ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道路曲率推定システム
JP2012248011A (ja) * 2011-05-27 2012-12-13 Denso Corp 画像認識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0629B2 (ja) * 2003-12-24 2012-08-01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 ラボラトリ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道路曲率推定システム
JP5265787B2 (ja) * 2003-12-24 2013-08-14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 ラボラトリ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道路曲率推定システム
JP2006341739A (ja) * 2005-06-09 2006-12-21 Nissan Motor Co Ltd 車線推定装置
KR101097063B1 (ko) * 2010-12-30 2011-12-22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사각 지대 표시 장치 및 방법
JP2012248011A (ja) * 2011-05-27 2012-12-13 Denso Corp 画像認識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360A (ko) 2018-10-08 2020-04-20 주식회사 만도 차량 곡률 제어 장치, 차량 곡률 제어 방법 및 차량 곡률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152A (ko) 2014-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2513B (zh) 行驶辅助装置
US9415776B2 (en) Enhanced lane departure system
JP6460008B2 (ja) 自動運転装置
US11884277B2 (en) Method for producing a model of the surroundings of a vehicle
JP6269606B2 (ja) 車両制御装置
JP5429180B2 (ja) 運転支援装置及び方法
JP5004865B2 (ja) 自動車用障害物検知装置
JP6407431B2 (ja) 後方から急接近中の車両を示す出力、又は、後方から極度に急接近中の車両を示す出力に応答して、ホスト車両の運転者に警告を与える、又は、ホスト車両を自律制御するためのレーンアシストシステム及び方法
JP5233432B2 (ja) 運転支援システム、運転支援方法及び運転支援プログラム
WO2016170647A1 (ja) オクルージョン制御装置
WO2016049812A1 (en) Automatic parking warning system
JP2016132374A (ja) 衝突回避制御装置
US20190147267A1 (en) Distracted driving determination apparatus, distracted driving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for distracted driving determination
JP6304220B2 (ja) 運転支援装置
US20170080941A1 (en) Vehicle speed control device
CN103562980A (zh) 用于支持机动车的驾驶员的方法
CN108860161A (zh) 停车意图判断装置以及停车意图判断方法
CN109987095B (zh) 驾驶辅助系统和方法
CN105408181A (zh) 用于运行汽车的驾驶员辅助系统的方法和用于汽车的驾驶员辅助系统
KR101839978B1 (ko)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21026241A (ja) 車両の注意喚起装置
JP2006072617A (ja) 車両用運転支援システム
KR101735080B1 (ko) 주행 구간 내 위험 정보 알람 시스템 및 방법
US10926778B2 (en) Autonomous vehicle control device
JP2019139401A (ja) 衝突回避支援装置、プログラム、衝突回避支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