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626B1 - 음식물 받침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음식물 받침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626B1
KR100906626B1 KR1020077028753A KR20077028753A KR100906626B1 KR 100906626 B1 KR100906626 B1 KR 100906626B1 KR 1020077028753 A KR1020077028753 A KR 1020077028753A KR 20077028753 A KR20077028753 A KR 20077028753A KR 100906626 B1 KR100906626 B1 KR 100906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side member
support
food support
surfac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8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8867A (ko
Inventor
오정진
Original Assignee
오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진 filed Critical 오정진
Priority to KR1020077028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626B1/ko
Publication of KR20080028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01Holders or wrappers as eating aids for fast food, e.g. hambur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Equipment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음식물의 일부를 수용하여 음식물을 파지할 수 있는 기구에 있어서, 사용자가 음식물을 직접 손에 접촉하지 않고 음식물을 파지하는 음식물 받침구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음식물 받침구는 일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인 하면부재와 상기 하면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되, 하단부가 상기 하면부재의 양 측변과 일체로 오목한 방향으로 형성된 측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재와 하면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음식물의 일부와 상응되게 형성되어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음식물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로 음식물을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음식물을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음식물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에 묻을 수 있는 음식 부스러기나 소스 등이 첨가된 음식물의 경우에도 음식물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받침구 및 이의 제조방법{DEVICE FOR SUPPORTING FOOD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음식물 받침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특히, 햄버거, 토스트 또는 삼각 김밥 등 패스트푸드의 일부를 수용하여 사용자가 음식물에 직접 접촉하는 일 없이 상기 음식물을 용이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음식물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받침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전반의 급속한 성장과 발전에 따라 소비자의 욕구는 점점 복잡해지고 다양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가운데 현대 생활은 현대인들의 식 문화를 크게 변화시켜 왔고, 그 결과 이러한 현대인들에게 알맞도록 먹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음식을 제공하면서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기 위해 개발된 음식이 패스트푸드이다.
이러한 현상은 바쁜 일상을 영위하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한끼 식사의 대용으로서나 간식거리로서의 패스트푸드가 갖는 장점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아침을 거른 사람들이 출근시간에 아침식사 대용으로, 점심 식사 후 출출할 때의 간식용으로 샌드위치, 토스트, 삼각김밥 또는 햄버거 등을 즉석에서 먹거나, 또는 길을 걸으면서 먹는 일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패스트푸드를 먹을 때, 기존에는 직접 손에 들고 먹거나, 종이컵 또는 포장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방법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 번째로, 특히, 토스트, 삼각김밥이나 샌드위치를 손으로 잡고 먹는 경우 손에 기름 혹은 김 부스러기가 묻거나, 소스나 내용물이 흘러내려 손에 묻는 경우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로, 외부에서 즉석으로 패스트푸드 류를 먹는 경우, 손이 깨끗하지 못한 것이 일반적이므로 위생상 문제가 있다.
세 번째로,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패스트푸드 류를 먹는 경우, 뜨거운 음식물을 손으로 잡고 먹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기술적 과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음식물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받침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 또는 음식물에 첨가된 소스나 내용물이 사용자의 손에 묻지 않도록 하는 음식물 받침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을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음식물의 일부를 수용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손으로 직접 음식물을 잡고 먹을 때 생길 수 있는 위생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음식물 받침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의 일부를 수용하면서도, 음식물을 용이하게 파지하고, 상기 음식물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받침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기술적 해결방법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을 사용자의 손에 직접 접촉함이 없이 음식물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음식물 받침구는 일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 또는 각진 형상의 하면부재와 하단부가 상기 하면부재의 양 측변과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하면부재의 오목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측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면부재 및 측면부재에 의해 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는 음식물의 일부와 상응되게 형성되어 음식물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음식물의 전부를 수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부재는 직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부채꼴 또는 상기 측면부재의 일 측면이 원호의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측면부재는 상기 하면부재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더 두껍거나, 또는 복수개의 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재는 그 내측부에 상기 수용부의 내부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음식물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돌기부는 라인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세모꼴의 형상을 가지거나, 수직의 형상 또는 도트 형상으로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직선, 곡선, 또는 연속적인 패턴을 가진 라인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재는 그 외측부에 상기 음식물이 수용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지지부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면부재와 연결되지 않는 상기 측면부재의 외측변에는 상기 수용부의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환턱부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받침구 제조방법은 원단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원단을 진공 성형하여 하면부재 및 측면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진공성형된 원단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성형을 통해 형성된 상기 하면부재 및 측면부재에 의해 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는 음식물의 일부와 상응되게 형성되어 음식물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음식물 받침구 제조방법은 상기 경화된 원단을 커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측면부재를 복수개의 층으로 구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받침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부분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Ⅱ부분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1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받침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Ⅲ부분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원호형 음식물 받침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음식물 받침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직사각형 음식물 받침구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받침구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이하 설명에서는 구성 및 기능이 거의 동일하여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는 요소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한 참조번호로 특정될 수 있다.
제 1실시예
제 1실시예로서 도1 내지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받침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받침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방향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Ⅱ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식물 받침구(10)는 하면부재(110),제 1측면부재(130), 제 2측면부재(140) 및 음식물 수용부(105)를 포함한다.
상기 하면부재(110)는 일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면부재(110)는 양 측부에 상기 제 1측면부재(130) 및 상기 제 2측면부재(140)를 연장형 성하고, 일체로 형성된 상기 하면부재(110)와 제 1측면부재(130) 및 상기 제 2측면부재(140)에 의해 상기 음식물 수용부(105)가 형성된다.
상기 제 1측면부재(110)는 지지부(132) 및 돌기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32)는 상기 제 1측면부재(110)의 외측부에 형성되며, 음식물이 수용되는 방향과 나란하거나 또는 일정 각도를 이루며 복수개가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1측면부재(110)가 음식물이 수용되었을 때, 음식물이 수용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수직력에 대한 저항을 갖고, 사용자가 음식물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132)의 방향이 음식물이 수용되는 방향과 나란하거나 일정 각도를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음식물이 수용되는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파지를 용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돌기부(135)는 상기 제 1측면부재(110)의 내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135)는 라인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음식물이 수용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135)는 직선, 곡선, 또는 연속적인 패턴의 라인형상이 모두 가능하며, 음식물이 수용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음식물이 상기 음식물 받침구(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측면부재(130, 140)는 직각 삼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재료비를 절감하고, 음식물 일부의 형태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음식 물의 수용 및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측면부재(140)는 상기 제 1측면부재(130)의 반대편에 상기 제 1측면부재(130)에 포함된 지지부(135) 및 돌기부(132)와 동일한 구조로 지지부(145) 및 돌기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들(135, 145) 및 상기 돌기부들(132, 142)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기부(135)는 상기 제 1측면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05)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돌기부(135)가 외부측으로 돌출된 형태도 형성되거나, 별도 제작되어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돌기부(135)는 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연속되지 않은 형태로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수용부(105) 방향으로 돌출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돌기의 형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32)도 상기 제 1측면부재(1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제시하였지만, 예를 들면, 상기 제 1측면부재(130)의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측면부재(130, 140)의 두께(t2)는 상기 하면부재(110)의 두께(t1)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껍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측면부재(130, 140)는 음식물이 삽입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부분으로 상대적으로 휨이 많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예를 들어, 부재를 단순보, 사용자가 부재의 중앙에 가하는 힘을 집중하중(W) 이라 가정하고, 부재의 탄성계수를 E, 부재의 단면 2차 모멘트를 I, 부재의 길이를 L이라 하면, 부재의 최대휨(δmax)을 수식으로 나타낸 수학식 1은 다음과 같다.
[수학식 1]
Figure 112007088369757-pct00001
이다.
상기의 수학식1에서 최대휨(δmax)은 탄성계수(E)와 단면 2차 모멘트(I)의 곱에 반비례하고, 집중하중(W)과 부재의 길이(L)의 세제곱의 곱에 비례한다.
상기 제 1 및 제 2측면부재(130, 140)에 가해지는 집중하중(W)과 상기 하면부재(110)에 가해지는 집중하중(W)이 같고, 그 단면적이 서로 같다고 가정하면, 같은 재질로 형성되었으므로, 탄성계수(E)와 단면 2차 모멘트(I)는 서로 같다. 따라서, 최대휨(δmax)은 부재의 길이(L)에 의해 정해지고, 상기 최대 휨(δmax)은 상기 부재의 길이(L)의 세제곱에 비례하므로, 상기 제 1 및 제 2측면부재(130, 140)의 최대휨(δmax)을 줄이기 위해 부재의 길이(L)를 줄여야 하지만, 상기 수용부(105)는 음식물의 일부 형상과 상호 대응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부재의 길이(L)를 줄이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단면 2차 모멘트(I)를 줄여야 하고, 상기 단면 2차 모멘트(I)는 상기 제 1 및 제 2측면부재(130, 140)의 단면의 중심에서의 거리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상기 제 1 및 제 2측면부재(130, 140)의 단면을 상대적으로 더 넓게 형성하면, 이에 따라 상기 단면 2차 모멘트가 증가하게 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측면부재(130, 140)의 최대휨(δmax) 또한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측면부재(130, 140)의 두께를 상기 하면부재(110)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하여 음식물을 수용했을 때에도, 상기 제 1및 제 2측면부재(130, 140)가 상기 수용부(105) 방향으로 휘는 것을 부분적으로 방지하여 상기 음식물을 파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측면부재(130, 14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때에는, 본 실시예와 같이,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132, 142)를 형성하는 것이 재료를 더 적게 소비하면서도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돌기부(135, 145) 및 상기 지지부(132, 142)를 포함하는 것과 상기 측면부재(130, 140)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패스트푸드 류 등을 사용자가 섭취할 때, 음식물의 열이 사용자의 손에 전도되는 것을 상당부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뜨거운 음식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제 1 실시예의 변형실시예로서 도 4 및 도 5는 환턱부와 다층측면부재를 더 포함한 음식물 받침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받침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Ⅲ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식물 받침구(20)는 하면부재(160), 제 1다층측면부재(170), 제 2다층측면부재(180) 및 음식물 수용부(105)를 포함한다. 여기서, 변형 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제시된 요소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1및 제 2다층측면부재(170, 180)는 복수레이어(173, 183), 지지부(172, 182) 및 돌기부(175, 185)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레이어(173, 183)는 단일 겹의 측면부재를 복수 개 겹쳐서 형성된다. 상기 복수레이어(173, 183)는 상기 돌기부(175,185)와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돌기부(175,185)는 복수개가 선형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05)에 음식물이 삽입되는 방향과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돌기부(175, 185)는 곡선의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음식물이 상기 수용부(105)에 삽입된 후에 상기 수용부(105)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음식물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층측면부재(170,180)의 상단에는 외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환턱부(190)를 구비한다. 상기 환턱부(190)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에 첨가된 액체형 소스나, 음식 부스러기가 상기 음식물 받침구(2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음식물 받침구(20)로 음식물을 파지하고 먹는 과정에서 상기 음식물 또는 음식물첨가물이 사용자의 손이나 신체의 일부 또는 옷에 묻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환턱부(190)는 상기 다층측면부재(170, 180)의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제시되었지만, 예를 들어 상방향의 외부로 연장되어 음식물의 방향으로 점점 더 넓이가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실시예
제 2실시예로서 도 6은 원호형 음식물 받침구(3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호형 음식물 받침구(30)는 하면부재(210), 제 1측면부재(230), 제 2측면부재(240), 음식물 수용부(105) 및 환턱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측면부재(230, 240)는 각각 지지부(232, 242) 및 돌기부(235, 245)를 포함하며, 상기 제 1및 제 2측면부재(230, 240)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제 1측면부재(230)의 구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제 2측면부재(240)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필요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면부재(210)는 일면의 방향으로 오목하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오목한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 1측면부재(230)는, 이에 따라 일측변이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면부재(210)와 연결되며, 이는 햄버거 또는 원형의 음식물 등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이다.
상기 제 2측면부재(240)는 돌기부(245)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부(245)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햄버거와 같은 원형의 음식물을 파지할 때, 상기 수용부(105)로 수용된 상기 음식물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돌기부 (245)는 연속적으로 꺾인 직선의 조합으로 일정한 패턴을 지니며 선형으로 형성된다.
제 3실시예
제 3실시예로서 도 7 및 도 8은 직사각형 음식물 받침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직사각형 음식물 받침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직사각형 음식물 받침구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음식물 받침구(40)는 하면부재(320), 제 1측면부재(330)와 제 2측면부재(340), 음식물 수용부(105) 및 환턱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하면부재(320)는 일면 방향으로 "ㄴ"자 형태로 일 측변부가 상부로 90도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어 형성되며, 타 측변부에는 연장 형성된 커버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부재(330, 340)는 상기 "ㄴ" 형태의 하부 면의 측변과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310)와는 해제가 용이하도록 연결부분에 연결해제부(315)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해제부(315)는 천공된 홀이 선형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구비되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얇은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측면부재(330, 340)는 지지부(332)와 선형의 돌기부(345)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음식물(500)의 일부만을 남기고 상기 음식물(500)을 먹었 을 때, 도 7에 도시된 상기 직사각형 음식물 받침구(40)에서 남은 상기 음식물(500)을 꺼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해제부(315)의 결합을 해제하고 상기 직사각형 음식물 받침구(40)의 커버부(310)를 외부 방향(317)으로 개방하여 상기 개방된 커버부(310) 방향(501)으로 상기 음식물(500)을 꺼내 사용자가 용이하게 먹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310)는 90도 이상 270도 이하로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음식물(500)을 섭취할 때, 상기 사용자의 입안으로 상기 커버부(310)가 같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345)는 상기 음식물(500)이 상기 커버부 방향(501)으로 배출되는 과정이 용이하도록 상기 커버부방향(501)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 변형 실시예, 제 2실시예 및 제 3실시예에서는 제시하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음식물의 형태에 따라서 음식물 받침구는 그 형상을 달리 할 수 있는 것은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예를 들면 하면부재와 측면부재를 구별하지 않고,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구형의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내부에 빈 공간을 포함하고, 일 측이 막히고, 타측은 연통된 파이프형태의 형상을 지니도록 형성되어 바게트 빵 또는 길이가 긴 음식물을 수용하도록 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에 따른 음식물 받침구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원단을 음식물 일부의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 상부에 제공한다(S1). 상기 음식물 받침구의 재료가 되는 원단으로 열가소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종이나 전분을 사용할 수 있고, 환경적인 영향을 고려하여 환경친화성 재료, 환경분해성 재료, 생분해성 재료 또는 생붕괴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원단을 진공 성형하여, 하면부재와 측면부재를 형성하여 음식물받침구를 형성한다(S2). 상기 측면부재는 상기 프레임에서 진공 성형되는 단계를 거치며 돌기부와 지지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재의 상부에는 환턱부가 형성된다.
다음, 측면부재를 복수개의 층으로 구비한다(S3). 상기 복수개의 층으로 구비된 측면부재는 상기 하면부재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하면부재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측면부재를 복수개의 층으로 구비하는 단계는 상기 측면부재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단계로 대체되거나 생략될 수도 있다.
다음, 진공성형된 상기 음식물 받침구를 경화시킨다(S4).
다음, 상기 경화된 상기 음식물 받침구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음식물 받침구를 각기 하나씩 분리되도록 원단을 절단한다(S5). 본 음식물 받침구 제조방법(50)에서는 상기 원단을 절단하는 단계(S5)는 상기 음식물 받침구를 경화시키는 단계(S4) 후에 실시하는 것으로 제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원단을 제공하는 단계(S1) 이전에 실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경화된 음식물 받침구를 배출한다(S6).
상기 음식물 받침구 제조방법(50)은 진공성형을 통해 상기 음식물 받침구를 제조하므로, 냉각이 용이한 원단을 사용할 때 유리하다. 또한, 빠르게 변화하는 식 문화에 따라 패스트푸드 류도 빠르게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음식물 받침구의 형상도 변화하여야 하는데, 진공성형의 프레임 제작 기간이 일반적으로 일주일 정도로 짧기 때문에 상기의 변화를 수용하여 음식물 받침구를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음식물 받침구 제조방법(50)에서 진공성형을 예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출성형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때에도 금형을 변화시키는 것이 용이하여 유사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토스트, 삼각김밥 및 샌드위치 등을 손으로 직접 잡고 먹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나 의복에 음식물이 묻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두 번째로, 외부에서 손이 깨끗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음식물을 직접 접촉하지 않고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생상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세 번째로,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패스트푸드 류를 먹는 경우에도, 돌기부 와 지지부를 통해 열이 잘 전도되지 않으므로 인해 뜨거운 음식을 손으로 잡고 먹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네 번째로, 진공성형을 통해 음식물 받침구를 제조함으로써, 빠르게 변화하는 식 문화의 변화에 따라 음식물의 형상도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변화되어야만 하는 음식물 받침구도 진공성형 프레임을 단시간에 변경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음식물 받침구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다섯 번째로, 진공성형뿐만 아니라, 범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사출성형 등 의 제조과정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진공성형 시 얻을 수 있는 이점과 유사하게 금형의 형상을 단기간에 변화시킬 수 있어 상기 음식물 받침구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며, 여러 가지 제조공정을 채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일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 또는 각진 형상의 하면부재; 및
    하단부가 상기 하면부재의 양 측변과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하면부재의 오목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측면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하면부재 및 측면부재에 의해 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는 음식물의 일부와 상응되게 형성되어 음식물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측면부재는 그 내측부가 상기 수용부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받침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는 직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부채꼴 또는 상기 측면부재의 일 측변이 원호의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받침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는 상기 하면부재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받침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는 복수개의 층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받침구.
  5. 삭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라인 형상으로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받침구.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삼각형, 사각형, 원형 또는 비연속적 도트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받침구.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직선, 곡선 또는 연속적인 패턴의 라인형상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받침구.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받침구.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는 그 외측부가 상기 음식물이 수용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받침구.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재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측면부재의 외측변에는 상기 측면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환턱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받침구.
  12. 원단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원단을 진공 성형하여 하면부재 및 측면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진공 성형된 원단을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성형을 통해 형성된 상기 하면부재 및 측면부재에 의해 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는 음식물의 일부와 상응되게 형성되어 음식물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측면부재는 그 내측부가 상기 수용부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받침구 제조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을 커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받침구 제조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를 복수개의 층으로 구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받침구 제조방법.
KR1020077028753A 2007-12-07 2007-01-26 음식물 받침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06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28753A KR100906626B1 (ko) 2007-12-07 2007-01-26 음식물 받침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28753A KR100906626B1 (ko) 2007-12-07 2007-01-26 음식물 받침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867A KR20080028867A (ko) 2008-04-02
KR100906626B1 true KR100906626B1 (ko) 2009-07-10

Family

ID=39531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753A KR100906626B1 (ko) 2007-12-07 2007-01-26 음식물 받침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6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562B1 (ko) * 2018-02-05 2019-07-16 강영모 햄버거 홀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3249A (en) * 1974-10-10 1981-06-16 Mobil Oil Corporation Sandwich contai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3249A (en) * 1974-10-10 1981-06-16 Mobil Oil Corporation Sandwich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867A (ko) 200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16289B1 (en) Packages for consumable product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0906626B1 (ko) 음식물 받침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014714A (ja) 衛生的な一体型匙と箸
KR102104010B1 (ko) 시니어용 배려식 도시락 용기
TWM248392U (en) Rice scoop
JP3226254U (ja) 木製食器
JP2012020781A (ja) 食材用容器及び食材が収容された食材用容器
JP2004261337A (ja) 食卓用器具複合体
JP4988387B2 (ja) 包装用容器
CN209152220U (zh) 一种板状巧克力结构
KR200391143Y1 (ko) 빵 포장용 고체 케이크
JP6987370B2 (ja) 梱包容器
KR102672875B1 (ko) 건더기와 국물의 분리가 가능한 용기 구조체
JPS5836693Y2 (ja) カレ−等の容器
JP2005067632A (ja) 食品容器
WO2008016206A1 (en) Food container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S63138978A (ja) 容器
JP3217855U (ja) 固形状の食品入りの袋
KR200188658Y1 (ko) 케이크 컵
JPS591932Y2 (ja) プラスチックシ−ト成形容器
USD499854S1 (en) Load back rest for a material handling vehicle
JP3905892B2 (ja) 菓子用の包装体
JP2021137245A (ja) 木製食器
EP1477089A1 (en) Container for foodstuff
JP2002114272A (ja) 食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917

Effective date: 2008121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