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480B1 - 부직포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부직포 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480B1
KR100906480B1 KR1020080138260A KR20080138260A KR100906480B1 KR 100906480 B1 KR100906480 B1 KR 100906480B1 KR 1020080138260 A KR1020080138260 A KR 1020080138260A KR 20080138260 A KR20080138260 A KR 20080138260A KR 100906480 B1 KR100906480 B1 KR 100906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nveying direction
nonwoven fabric
roller
direction ch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배
Original Assignee
남양부직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부직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부직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8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7/00Felting apparatus
    • D04H17/10Felting apparatus for felting between rollers, e.g. heated rollers
    • D04H17/12Multi-roller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00Severing continuous filaments or long fibres, e.g. stapling
    • D01G1/02Severing continuous filaments or long fibres, e.g. stapling to form staple fibres not delivered in strand form
    • D01G1/04Severing continuous filaments or long fibres, e.g. stapling to form staple fibres not delivered in strand form by cutt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3/00Mixing, e.g. blending, fibres; Mixing non-fibrous materials with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01G15/02Card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34Driving arrangements of machines or apparatus
    • D06B3/36Driv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직포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재료공급부로부터 이송된 원재료를 혼합하며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재료혼합부와; 상기 한 쌍의 재료혼합부로부터 공급된 재료를 각각 상호 분리하는 한 쌍의 호퍼부와; 상기 한 쌍의 호퍼부에서 상호 분리된 재료를 일정 두께로 가공하여 이송하는 한 쌍의 카딩부와; 상기 한 쌍의 카딩부로부터 일정두께로 가공되어 이송되는 재료를 왕복이송시켜 복수겹의 부직포원단으로 형성하는 한 쌍의 랩핑부와; 상기 한 쌍의 랩핑부로부터 공급된 복수겹의 부직포원단의 이송방향을 변경하여 이송하는 한 쌍의 이송방향변경부와; 상기 이송방향변경부로부터 이송된 복수겹의 부직포원단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결합부에서 결합된 부직포원단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부직포원단의 얽힘방향을 한 개의 부직포제조시스템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부직포, 이송방향변경, 사선롤러

Description

부직포 제조시스템{NON-WOVEN TEXTILES PRODUCTING SYSTEM}
본 발명은 부직포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부직포 제조라인의 배치에 따라 부직포의 이송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하여 생산할 수 있는 부직포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는 원사를 직조하지 않은 형태로 원사가 상호 얽혀있으므로 종횡의 방향성이 없다. 그리고 부직포는 특유의 신축성과 통기성, 가장자리의 올풀림이 없는 점, 그리고 부드러운 촉감 등에 의해 일상 생활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부직포는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특성이 다양화되어가고, 이런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원사의 얽혀있는 방향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종래 부직포 제조시스템에서는 호퍼기에서의 해면과 카딩기에서의 성형을 통해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그런데, 카딩기로부터 성형이 완료된 부직포는 원사의 얽힘방향이 한 방향이므로 다양한 방향의 원사의 얽힘이 요구될 경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원사가 성형된 복수개의 부직포 제조시스템에서 개별적으로 형성된 부직포를 본딩 등에 의해 결합하는 과정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의 원사가 결합된 부직포의 경우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제조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부직포 제조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모듈들을 공장 내부에 배치할 경우 공간적인 제약에 의해 생산 라인이 일렬로 배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부직포의 이송방향이 변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이송방향이 변경되는 부분에는 이송방향이 상이한 부직포 이송벨트를 복수개 배치해야 하였다. 그러나, 복수개의 이송벨트를 배치하더라도 부직포의 이송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 문제점은 여전히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직포 제조시 생산라인의 방향을 원활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부직포를 이송하는 이송방향변경부를 포함하는 부직포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원사의 얽힘방향이 상이한 부직포를 한 개의 생산 라인에서 제조할 수 있는 부직포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부직포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재료공급부로부터 이송된 원재료를 혼합하며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재료혼합부와; 상기 한 쌍의 재료혼합부로부터 공급된 재료를 각각 상호 분리하는 한 쌍의 호퍼부와; 상기 한 쌍의 호퍼부에서 상호 분리된 재료를 일정 두께로 가공하여 이송하는 한 쌍의 카딩부와; 상기 한 쌍의 카딩부로부터 일정두께로 가공되어 이송되는 재료를 왕복이송시켜 복수겹의 부직포원단으로 형성 하는 한 쌍의 랩핑부와; 상기 한 쌍의 랩핑부로부터 공급된 복수겹의 부직포원단의 이송방향을 변경하여 이송하는 한 쌍의 이송방향변경부와; 상기 이송방향변경부로부터 이송된 복수겹의 부직포원단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결합된 부직포원단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재료혼합부, 상기 한 쌍의 카딩부, 상기 한 쌍의 랩핑부 및 상기 한 쌍의 이송방향변경부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부직포원단의 얽힘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방향변경부는, 상기 랩핑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부직포원단이 이송되도록 배치된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방향변경벨트와;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 사이에 사선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송방향변경벨트의 이송방향을 변경시키는 이송방향변경롤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방향변경롤러는 고정되게 배치되고, 상기 이송방향변경롤러의 표면에는 상기 부직포이송벨트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열배출공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부직포 제조시스템은 부직포를 제조하는 호퍼부, 카딩부 및 랩핑부가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원사가 얽히도록 제조하여 이들을 결합하여 한 개의 시스템 내에서 원사의 방향이 다른 부직포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이송방향이 변경되어야 하는 영역에 이송방향변경롤러를 사선으로 배치하여 이송방향변경벨트의 이송방향을 한번에 변경하므로 전체 구성이 간소화되고 부직포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제조시스템(10)의 구성과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제조시스템(10)은 각각 제1부직포층(M1)과 제2부직포층(M2)을 형성하는 좌측 부직포 제조장치(10a)와 우측 부직포 제조장치(10b)를 포함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부직포 제조장치(10a, 10b)는 부직포의 원사(M)를 공급하는 한 쌍의 재료공급부(100, 100a)와, 각각 뭉쳐있는 서로 다른 종류의 원사(M)를 상호 혼합하는 한 쌍의 재료혼합부(200, 200a)와, 재 료혼합부(100, 100a)에서 상호 혼합되어 뭉쳐있는 원사(M)를 해면하는 한 쌍의 호퍼부(300, 300a)와, 분리된 원사(M)를 일정 두께로 펼쳐 얇은 막형태로 형성하는 한 쌍의 카딩부(400)와, 한 쌍의 카딩부(400)로부터 공급된 단일층 형태의 부직포층(M1, M2)를 좌우로 이동하며 복수의 층으로 적층시켜 일정 두께의 부직포층(M1, M2)을 형성하는 랩핑부(500, 500a)와, 한 쌍의 랩핑부(500, 500a)에서 복수의 층으로 적층된 부직포층(M1, M2)의 이송방향을 변경하여 결합부(700)로 이송하는 이송방향변경부(600, 600a)와, 한 쌍의 랩핑부(500, 500a)로부터 성형되어 이송방향변경부(600, 600a)를 통해 이송된 제1부직포층(M1)과 제2부직포층(M2)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부(700)와, 결합부(700)에서 결합이 완료된 부직포(MC)를 절단하는 절단부(80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재료공급부(100,100a)는 부직포를 형성하는 원사를 공급한다. 부직포는 한 개 종류의 원사가 얽혀져서 이루어지거나 두 개 이상의 이종재료의 원사가 얽혀져서 형성되기도 한다. 통상 원재료는 원사의 형태로 솜덩어리와 같이 상호 뭉쳐져 있고, 뭉쳐져 있는 원사를 작업자가 이송수레 등을 통해 저장하우징(110)으로 이송한다. 저장하우징(110)에 적재된 원재료들은 덕트(120)를 통해 이송된다. 덕트(120) 내부의 공압에 의해 강제 이송된 원재료들은 무게측정부(130)에서 일정 중량으로 분할되고 믹싱부(200)로 이송된다. 여기서, 복수의 종류의 원재료가 사용될 경우 각각의 원재료들의 중량비율에 따라 무게측정부(130)에서 분할된다. 무게측정부(130)는 저울(140) 등에 의해 원재료의 무게를 측정하고, 정해진 비율만큼의 원재료만 후공정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한 쌍의 믹싱부(200,200a)는 각각 한 쌍의 재료공급부(100,100a)로부터 이어지게 배치되며 정해진 비율만큼 이송된 복수의 원재료의 원사를 상호 혼합한다. 믹싱부(200,200a)는 제1이송벨트(210), 제2이송벨트(220) 및 제3이송벨트(230)를 따라 이송되고, 제2이송벨트(220)와 제3이송벨트(230)의 높이에 의한 낙차에 따라 상호 혼합된다.
한 쌍의 호퍼부(300,300a)는 한 쌍의 믹싱부(200,200a)에서 상호 혼합된 복수의 원재료를 작은 단위로 원사로 해면한다. 믹싱부(200,200a)에서 공급된 원사들은 상호 뭉쳐져서 일정크기의 솜과 같은 형태를 띈다. 호퍼부(300,300a)는 솜형태의 원재료를 이송하면서 작은 크기의 원사로 해면하고, 해면된 원사를 분리하여 카딩부(400,400a)로 공급한다.
한 쌍의 카딩부(400,400a)는 한 쌍의 호퍼부(300,300a)로부터 각각 공급된 원재료를 최소단위의 원사로 해면하고 해면된 원사가 상호 얽히게 하여 얇은 부직포층(M1,M2)을 형성한다. 카딩부(400,400a)는 복수의 롤러(410,411,420,421)들이 상호 맞물려 회전하면서 원재료를 분해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롤러(410,411,420,421) 표면에는 소정길이의 얇은 바늘이 돌출되어 있어 솜형태의 원재료를 뜯어내어 원사로 분해하여 얇게 편다. 이 때 가닥가닥의 원사는 복수의 롤러(410,411,420,421) 사이를 경유하며 상호 얽혀져 부직포층(M1,M2)을 형성한다. 한편, 카딩부(400,400a)에서는 얇게 펼쳐진 부직포층(M1,M2)을 상하로 구분하여 랩핑부(500,500a)로 공급한다. 카딩부(400,400a)의 제1이송벨트(430)와 제2이송벨트(440)는 상하로 배치되어 각각 복수의 롤러(410,411,420,421)로부터 공급 된 부직포층(M1,M2)을 랩핑부(500,500a)로 공급한다. 제1이송벨트(430)로부터 공급된 부직포층(M1,M2)은 랩핑부(500,500a)의 하부이송벨트(530)로 공급되고, 제2이송벨트(440)로부터 공급된 부직포층(M1,M2)은 랩핑부(500,500a)의 수직랩핑기(560)로 공급되어 하부이송벨트(530) 위에 적층된다.
한 쌍의 랩핑부(500,500a)는 한 쌍의 카딩부(400,400a)에서 공급된 한 겹의 부직포층(M1,M2)을 적층하여 부직포의 두께를 조절한다. 랩핑부(500,500a)는 제2이송벨트(440)로부터 부직포층(M1,M2)을 공급받아 이송하는 하부이송벨트(530)와, 하부이송벨트(530)의 상부에 마련되어 제1이송벨트(430)로부터 공급되는 부직포층(MP)을 하부이송벨트(530)의 상부로 공급하는 공급벨트(510)와, 공급벨트()의 단부영역에 수직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공급벨트(510)로부터 공급되는 부직포층(M1,M2)을 하부이송벨트(530)의 상면에 적층하는 수직랩핑기(5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직랩핑기(560)의 왕복이동횟수에 따라 부직포층(M1,M2)의 전체 두께가 결정된다. 수직랩핑기(560)의 왕복이동횟수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 또는 작업자의 설정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 쌍의 랩핑부(500,500a)는 부직포의 성형방향을 서로 동일하게 하거나, 서로 상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즉, 좌측 랩핑부(500,500a)와 우측 랩핑부(500,500a)의 부직포 성형??향을 서로 상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랩핑부(500,500a)는 수직랩핑기(560)가 수직으로 좌우로 왕복이동하는 형태를 띄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랩핑기가 수평하게 마련되어 좌우로 이동하며 부직포층을 적층할 수도 있다.
이송방향변경부(600,600a)는 도2와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딩부(400,400a)와 결합부(700)의 배치가 상호 일렬로 배치되지 않고 수직하게 배치된 경우 랩핑부(500,500a)에서 복수의 층으로 성형된 제1부직포층(M1)과 제2부직포층(M2)의 이송방향을 변경하여 결합부(700)로 이송한다. 이송방향변경부(600,600a)는 좌측 랩핑부(500)의 하측에 마련되어 좌측 랩핑부(500)에서 성형된 제1부직포층(M1)을 이송하는 좌측 이송방향변경부(600)와, 우측 랩핑부(500a)의 하측에 마련되어 우측 랩핑부(500a)에서 성형된 제2부직포층(M2)을 이송하는 우측 이송방향변경부(600a)를 포함한다.
좌측 이송방향변경부(600)와 우측 이송방향변경부(600a)는 각각 랩핑부(500,500a)에서 성형이 완료된 부직포층(M1,M2)의 이송방향을 변경하여 이송하는 이송방향변경벨트부(610)와, 이송방향변경벨트부(610)로부터 이송방향이 변경되어 이송되는 부직포를 결합부(700)로 이송하는 결합부이송벨트(650)를 포함한다.
이송방향변경벨트부(610)는 랩핑부(500,500a)와 나란하게 배치된 제1롤러와(611), 제1롤러(611)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2롤러(613)와, 제1롤러(611) 및 제2롤러(613)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방향변경벨트(615)와, 제1롤러(611)와 제2롤러(613) 사이에 사선방향으로 배치되어 이송방향변경벨트(615)의 이송방향을 변경시키는 이송방향변경롤러(617)를 포함한다.
제1롤러(611)와 제2롤러(613)는 모터와 같은 구동원에 연결되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제1롤러(611)와 제2롤러(613)는 함께 구동되며 이송방향변경벨트(615)를 회전시켜 부직포층(M1,M2)을 이송한다. 이송방향변경롤 러(617)는 사선으로 고정배치된다. 이송방향변경롤러(617)는 스스로 회전하지 않고 고정배치되어 이송방향변경벨트(615)의 이송방향만 변경한다. 일단부가 제1롤러(611)에 결합된 이송방향변경벨트(615)는 이송방향변경롤러(617)의 외주연을 따라 방향이 변경되어 제2롤러(613)에 결합된다.
여기서, 이송방향변경롤러(617)는 외주연을 따라 이송방향변경벨트(615)가 접촉 이송되므로 이송방향변경벨트(615)와의 연속적인 접촉에 의해 표면에 마찰열이 발생한다. 이송방향변경롤러(617)는 마찰열을 외부로 발산하기 위해 표면에 열배출공(618)이 복수개 마련된다.
한편, 결합부이송벨트(65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방향변경벨트(615)로부터 방향이 변경되어 이송되는 부직포층(M1, M2)를 전달받아 결합부(700)로 이송한다. 결합부이송벨트(650)는 이송방향변경벨트(615)의 하측에 마련되어 이송방향변경롤러(617)에 의해 방향이 변경된 이송방향변경벨트(615)로부터 하측으로 이송되는 부직포층(M1,M2)을 전달받는다. 여기서, 이송방향변경롤러(617)에 의해 방향이 변경되는 이송방향변경벨트(615) 영영에는 부직포층(M1, M2)가 이송방향변경벨트(615)와 함께 이송되지 않고 분리되어 결합부이송벨트(650)로 전달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670)가 마련된다. 가이드부재(670)는 이송방향변경벨트(615)의 접선방향으로 수직하게 마련되어 이송방향변경벨트(615) 표면의 부직포층(M1,M2)이 결합부이송벨트(650)로 이송되도록 안내한다.
한편, 좌측 이송방향변경벨트부(600)의 좌측 결합부이송벨트(650)와 우측 이송방향변경벨트부(600a)의 우측 결합부이송벨트(650a)는 개별적으로 마련되거나 좌 측 결합부이송벨트(650)가 우측 이송방향변경벨트(615a)로부터 이송된 제2부직포층(M1,M2)도 함께 결합부(700)로 이송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랩핑부(500,500a)와 한 쌍의 이송방향변경벨트부(600, 600a)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제어부(미도시)는 요구되는 부직포의 특성에 따라 한 쌍의 랩핑부(500,500a)의 원사의 얽힘방향을 상이하게 하거나 동일하게 하여 제조된 부직포의 얽힘방향을 제어한다. 일례로, 양쪽의 랩핑부(500,500a)에서 가로방향으로 원사가 얽히게 또는 세로 방향으로 원사가 얽히게 제1부직포층(M1,M2)과 제2부직포층(M1,M2)을 성형한 경우 결합부(700)에서 결합된 부직포는 도4a와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방향으로 얽히게 된다. 반면, 양쪽의 랩핑부(500,500a)에서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원사가 얽히게 제1부직포층(M1,M2)과 제2부직포층(M1,M2)을 성형한 경우 결합부(700)에서 결합된 부직포는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얽히게 된다.
또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직포층(M1,M2)과 제2부직포층(M1,M2)이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경우에도 좌측 결합부이송벨트(650)와 우측 결합부이송벨트(650a)가 결합부(700)로 이송되는 높이를 다르게하여 부직포(MC)의 특성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즉, 가로방향으로 얽힌 제1부직포층(M1,M2)과 세로방향으로 얽힌 제2부직포층(M1,M2) 중 어느 것이 위쪽에 배치되느냐를 조절하여 결합된 부직포(MC)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결합부(700)는 좌측 결합부이송벨트(650)와 우측 결합부이송벨트(650a)로부터 각각 이송된 제1부직포층(M1)과 제2부직포층(M1)을 상호 결합하여 부직포(MC)를 완성한다. 결합부(700)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1부직포층(M1)과 제2부직포층(M2)을 결합하거나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제1부직포층(M1)과 제2부직포층(M2)을 융착할 수 있다.
결합부(700)를 경유하여 결합이 완료된 부직포(MC)는 절단부(800)를 통과하며 적절한 크기로 절단되고, 절단된 부직포(MC)는 권취부(900)에서 권취되어 제조가 완료된다.
본 발명의 부직포 제조시스템은 부직포를 제조하는 호퍼부, 카딩부 및 랩핑부가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원사가 얽히도록 제조하여 이들을 결합하여 한 개의 시스템 내에서 원사의 방향이 다른 부직포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이송방향이 변경되어야 하는 영역에 이송방향변경롤러를 사선으로 배치하여 이송방향변경벨트의 이송방향을 한번에 변경하므로 전체 구성이 간소화되고 부직포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부직포 제조시스템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직포 제조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송방향변경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와 도3b는 본 발명의 이송방향변경부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
도 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제조시스템으로 제조한 부직포의 얽힘 방향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직포 제조시스템 100 : 재료공급부
200 : 믹싱부 300 : 호퍼부
400 : 카딩부 500 : 랩핑부
600 : 이송방향변경부 700 : 결합부

Claims (4)

  1. 재료공급부로부터 이송된 원재료를 혼합하며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재료혼합부와;
    상기 한 쌍의 재료혼합부로부터 공급된 재료를 각각 상호 분리하는 한 쌍의 호퍼부와;
    상기 한 쌍의 호퍼부에서 상호 분리된 재료를 일정 두께로 가공하여 이송하는 한 쌍의 카딩부와;
    상기 한 쌍의 카딩부로부터 일정두께로 가공되어 이송되는 재료를 왕복이송시켜 복수겹의 부직포원단으로 형성하는 한 쌍의 랩핑부와;
    상기 한 쌍의 랩핑부로부터 공급된 복수겹의 부직포원단의 이송방향을 변경하여 이송하는 한 쌍의 이송방향변경부와;
    상기 이송방향변경부로부터 이송된 복수겹의 부직포원단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결합된 부직포원단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제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랩핑부와 상기 한 쌍의 이송방향변경부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부직포원단의 얽힘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제조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방향변경부는,
    상기 랩핑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부직포원단이 이송되도록 배치된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방향변경벨트와;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 사이에 사선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송방향변경벨트의 이송방향을 변경시키는 이송방향변경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제조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방향변경롤러는 고정되게 배치되고,
    상기 이송방향변경롤러의 표면에는 상기 이송방향변경벨트와의 접촉에 의해 생성된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열배출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제조시스템.
KR1020080138260A 2008-12-31 2008-12-31 부직포 제조시스템 KR100906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260A KR100906480B1 (ko) 2008-12-31 2008-12-31 부직포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260A KR100906480B1 (ko) 2008-12-31 2008-12-31 부직포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6480B1 true KR100906480B1 (ko) 2009-07-08

Family

ID=41337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260A KR100906480B1 (ko) 2008-12-31 2008-12-31 부직포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4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6716A (zh) * 2012-07-11 2012-11-14 常熟市飞龙无纺机械有限公司 气流填充式汽车内饰件预成型机
KR101266979B1 (ko) 2011-02-22 2013-05-30 (주) 금토일산업 자동차 내장재 가공용 필라멘트 혼합물의 시트가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5903A (en) 1994-09-19 1995-12-19 American Nonwovens Corporation Composite nonwoven fabric and method
KR20010105638A (ko) * 2000-05-17 2001-11-29 조민호 부직포가 부착된 견면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20073634A (ko) * 2001-03-15 2002-09-28 서연권 기능성부직포와 그 부직포의 표면처리방법 및 장치
US20070042663A1 (en) 2005-08-18 2007-02-22 Gerndt Robert J Cross-direction elasticized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5903A (en) 1994-09-19 1995-12-19 American Nonwovens Corporation Composite nonwoven fabric and method
KR20010105638A (ko) * 2000-05-17 2001-11-29 조민호 부직포가 부착된 견면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20073634A (ko) * 2001-03-15 2002-09-28 서연권 기능성부직포와 그 부직포의 표면처리방법 및 장치
US20070042663A1 (en) 2005-08-18 2007-02-22 Gerndt Robert J Cross-direction elasticized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979B1 (ko) 2011-02-22 2013-05-30 (주) 금토일산업 자동차 내장재 가공용 필라멘트 혼합물의 시트가공방법
CN102776716A (zh) * 2012-07-11 2012-11-14 常熟市飞龙无纺机械有限公司 气流填充式汽车内饰件预成型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16788B (zh) 用于制造纤维板坯的设备和方法
RU2178027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мпозит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US20170066613A1 (en) Sheet manufacturing apparatus
CN101400840B (zh) 用于制造多向织物幅面的方法
CN104695136B (zh) 交叉铺网机
KR100906480B1 (ko) 부직포 제조시스템
CN107438682A (zh) 纤维材料网与非织造物结合或强化的设备和方法
US3340584A (en) Apparatus for cross-laying fibrous material
KR101631430B1 (ko) 부직포 제조장치
CN105780236B (zh) 多功能纱线机械包覆机
CN105506793B (zh) 纺纱机中的特殊纱线纺织设备
KR100923418B1 (ko) 부직포 결합장치
KR101752768B1 (ko) 볼 형 섬유 완충제를 포함하는 부직포의 제조장치,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볼 형 섬유 완충제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41794A (ko) 재료 웹들을 후속 처리 장치에 공급하는 장치 및 방법
JP2022521613A (ja) ニードルパンチ不織布の製造のための装置
KR100906477B1 (ko) 부직포 제조시스템
US34440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oss-laying fibrous material
KR20100005646A (ko)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786555B1 (ko) 완충재와 완충재가 수용되는 포켓을 형성하는 물결형상 중심재를 포함하는 완충 레이어를 포함하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완충재와 완충재가 수용되는 포켓을 형성하는 물결형상 중심재를 포함하는 완충 레이어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장치
CN113165824B (zh) 用于在用以生产层状复合制品的设备和过程中给送弹性线的方法和装置
CN104903103B (zh) 复合材料制备装置和由此制成的复合材料、复合材料的制备方法
KR101858130B1 (ko) 불규칙망사형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347613B1 (ko) 부직포가 부착된 견면의 제조방법 및 장치
TWI710679B (zh) 連續式地毯墊體之製造方法
JP6796872B2 (ja) 植生体の製造装置及び植生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