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069B1 - 화상생성장치, 하중표시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상생성장치, 하중표시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069B1
KR100906069B1 KR1020077005218A KR20077005218A KR100906069B1 KR 100906069 B1 KR100906069 B1 KR 100906069B1 KR 1020077005218 A KR1020077005218 A KR 1020077005218A KR 20077005218 A KR20077005218 A KR 20077005218A KR 100906069 B1 KR100906069 B1 KR 100906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oad
unit
tire
virtu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4482A (ko
Inventor
다케시 오쿠보
유타카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ublication of KR20070044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G09B9/05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the view from a vehicle being simulat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2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spects of the displayed game sce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7Simulating properties, behaviour or motion of objects in the game world, e.g. computing tyre load in a car race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03Driving vehicles or craft, e.g. cars, airplanes, ships, robots or tan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7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3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 A63F2300/303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for displaying additional data, e.g. simulating a Head Up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009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importing or creating game content, e.g. authoring tools during game development, adapting content to different platforms, use of a scripting language to create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4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computing dynamical parameters of game objects, e.g. motion determination or computation of frictional forces for a virtual ca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6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rendering three dimensional im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17Driving on land or water; Flying

Abstract

주행 상황에 따른 하중을 적절히 시각화하는 것으로, 가상 차량의 거동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화상생성장치 등을 제공하기 위해, 조작입력접수부(201)는 해당 주행로를 주행시키는 가상차량을 향한 조작입력을 받아들인다. 또, 주행상황관리부(203)는 접수된 해당 조작입력에 의거해서 해당 가상차량의 주행상황을 관리한다. 한편, 하중산정부(205)는 관리되는 해당 주행상황에 의거해서, 가상차량에 있어서의 가상의 조종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을 산정한다. 한편, 심볼묘화부(401)는 산정된 하중에 따라서, 표시위치가 다른 하중 심볼을 묘화한다. 또, 타이어화상묘화부(402)는 산정된 하중에 따라서 표시형태가 다른 타이어화상을 묘화한다. 미터화상생성부(403)는 묘화된 하중심볼과 타이어화상을 포함하는 미터화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표시제어부(207)는 생성된 미터화상을 소정의 모니터에 표시한다.
Figure R1020077005218
미터화상, 타이어화상, 묘화부, 가상차량, 하중

Description

화상생성장치, 하중표시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IMAGE CREATING DEVICE, LOAD DISPLAY METHOD, AND MEDIUM FOR RECORDING THE PROGRAM}
본 발명은 가상공간에 있어서의 가상차량의 주행상황에 수반해서 생기는 하중 등을 적절히 시각화하는 것에 적합한 화상생성장치, 하중표시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업무용이나 가정용의 게임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게임장치에서는 일예로서 자동차 등의 탈 것에 의한 레이스게임을 즐길 수 있다.
이러한 레이스게임은 예를 들면, 이용자(플레이어)가 콘트롤러 등을 조작해서, 가상공간내를 주행하는 가상차량(F1머신이나 시판차 등)을 소정의 골지점까지 운전하고, 소요 시간이나 다른 가상차량과의 앞뒤를 겨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게임조작에 서투른 이용자라도 비교적 간단한 조작으로 레이스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경쟁게임장치의 기술도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11-114222호 공보(제2-3쪽, 도 1)
그러나, 레이스게임을 즐길 수 있는 종래의 게임장치에서는 플레이중에 가상 차량의 거동을 충분히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즉, 현실의 차량이면, 가속시나 감속시 등에는 관성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드라이버들은 뒷방향의 하중이나 앞방향의 하중을 체감하게 된다. 또, 코너 등의 선회시에는 원심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선회방향과 역방향의 하중을 체감하게 된다. 이러한 하중의 체감에 의해, 드라이버들은 차량의 거동이나 주행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레이스게임의 플레이중에는 표시되는 영상으로부터 어떠한 하중도 체감할 수 없기 때문에, 이용자는 가상차량의 거동을 충분히 파악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가상공간에 있어서의 가상차량의 주행상황에 수반해서 생기는 하중 등을 적절히 시각화할 수 있는 화상생성장치, 하중표시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관한 화상생성장치는 조작입력접수부, 주행상황관리부, 심볼묘화부, 타이어화상묘화부, 미터화상생성부 및 표시제어부를 구비하고, 이하와 같이 구성한다.
우선, 조작입력접수부는 가상공간내를 이동시키는 가상차량을 향한 조작입력을 접수한다. 또, 주행상황관리부는 접수된 조작입력에 의거해서, 가상차량의 주행상황을 관리한다. 그리고, 심볼묘화부는 관리되는 주행상황에 의거하는 하중에 따라서, 표시위치가 다른 하중심볼을 묘화한다.
한편, 타이어화상묘화부는 관리되는 주행상황에 의거하는 하중에 따라서, 표시형태가 다른 타이어화상을 묘화한다. 또, 미터화상생성부는 산정된 하중에 의거해서, 묘화된 하중심볼과 타이어화상을 포함하는 미터화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표시제어부는 생성된 미터화상을 표시한다.
즉, 하중의 방향 및 크기를 나타내는 하중심볼과, 하중에 따라서 표시형태가 다른 타이어화상을 포함하는 미터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자기의 조작에 의해 생긴 하중을 인식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상차량의 주행상황에 수반해서 생기는 하중 등을 적절하게 시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관한 화상생성장치는 화상정보 기억부, 조작입력접수부, 주행상황관리부, 하중산정부, 심볼묘화부, 타이어화상묘화부, 미터화상생성부 및 표시제어부를 구비하고, 이하와 같이 구성한다.
우선, 화상정보 기억부는 가상공간내에 배치되는 풍경화상을 포함하는 화상정보를 기억한다. 또, 조작입력접수부는 가상공간내를 이동시키는 가상차량을 향한 조작입력을 접수한다. 또, 주행상황관리부는 접수된 조작입력에 의거해서, 가상차량의 주행상황을 관리한다. 그리고, 하중산정부는 관리되는 주행상황에 의거해서, 가상차량에 가해지는 하중을 산정한다.
한편, 심볼묘화부는 산정된 하중에 의거해서, 표시위치가 다른 하중심볼을 묘화한다. 또, 타이어화상묘화부는 산정된 하중에 의거해서, 표시형태가 다른 타이어화상을 묘화한다. 또, 미터화상생성부는 묘화된 하중심볼과 타이어화상을 포함하는 미터화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표시제어부는 생성된 미터화상을 표시한다.
즉, 하중의 방향 및 크기를 나타내는 하중심볼과, 하중에 따라서 표시형태가 다른 타이어화상을 포함하는 미터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자기의 조작에 의해 생긴 하중을 인식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상차량의 주행상황에 수반해서 생기는 하중 등을 적절하게 시각화할 수 있다.
또, 상기 타이어화상묘화부는 산정된 해당 하중에 따라서 소정색의 착색 면적이 다른 타이어화상을 묘화해도 좋다.
또, 상기 타이어화상묘화부는 산정된 해당 하중에 따라서 형상이 다른 타이어화상을 묘화해도 좋다.
또, 상기 타이어화상묘화부는 산정된 해당 하중이 소정의 한계하중을 넘은 경우에, 타이어화상의 외부프레임의 색을 변화시켜도 좋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관한 하중표시방법은 조작입력접수공정, 주행상황관리공정, 심볼묘화공정, 타이어화상묘화공정, 미터화상생성공정 및 표시제어공정을 구비하며, 이하와 같이 구성한다.
우선, 조작입력접수공정에서는 가상공간내를 이동시키는 가상차량을 향한 조작입력을 접수한다. 또, 주행상황관리공정에서는 접수된 조작입력에 의거해서, 가상차량의 주행상황을 관리한다. 그리고, 심볼묘화공정에서는 관리되는 주행상황에 의거하는 하중에 따라서, 표시위치가 다른 하중심볼을 묘화한다.
한편, 타이어화상묘화공정에서는 관리되는 주행상황에 의거하는 하중에 따라서, 표시형태가 다른 타이어화상을 묘화한다. 또, 미터화상생성공정에서는 묘화된 하중심볼과 타이어화상을 포함하는 미터화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표시제어공정에서는 생성된 미터화상을 소정의 표시제어부에 표시한다.
즉, 하중의 방향 및 크기를 나타내는 하중심볼과, 하중에 따라서 표시형태가 다른 타이어화상을 포함하는 미터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자기의 조작에 의해 생긴 하중을 인식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상차량의 주행상황에 수반해서 생기는 하중 등을 적절하게 시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관한 프로그램은 컴퓨터(게임장치 포함)를 상기의 화상생성장치로서 기능시키도록 구성한다.
이 프로그램은 컴팩트디스크, 플렉시블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디지탈비디오디스크, 자기테이프, 반도체메모리 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정보기록매체(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컴퓨터와는 독립적으로,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서 배포/판매할 수 있다. 또, 상기 정보기록매체는 해당 컴퓨터와는 독립적으로 배포/판매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가상공간에 있어서의 가상차량의 주행상황에 수반해서 생기는 하중 등을 적절히 시각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생성장치가 실현되는 전형적인 게임 장치의 개요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생성장치의 개요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3a는 해당 화상생성장치의 주행상황관리부에 의해 관리되는 정보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b는 해당 화상생성장치의 주행상황관리부에 의해 관리되는 정보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해당 화상생성장치의 화상생성부에 의해 묘화되는 시계화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a는 해당 화상생성장치의 미터묘화부에 의해 묘화되는 미터화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b는 해당 화상생성장치의 미터묘화부에 의해 묘화되는 미터화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c는 해당 화상생성장치의 미터묘화부에 의해 묘화되는 미터화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d는 해당 화상생성장치의 미터묘화부에 의해 묘화되는 미터화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e는 해당 화상생성장치의 미터묘화부에 의해 묘화되는 미터화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시계화상과 미터화상이 합성된 표시화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은 해당 화상생성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하중표시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a는 표시화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8b는 표시화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8c는 표시화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9a는 다른 미터화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9b는 헤드심볼의 궤적(잔상)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9c는 헤드심볼의 궤적(잔상)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생성장치의 개요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1a는 타이어의 하중의 표시변화의 상태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11b는 타이어의 하중표시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1c는 타이어의 하중표시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2a는 한계하중을 넘은 타이어의 표시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12b는 한계하중을 넘은 하중표시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2c는 한계하중을 넘은 하중표시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a는 타이어의 형상표시가 다른 또 다른 미터화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b는 타이어의 형상표시가 다른 또 다른 미터화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4a는 헤드심볼의 형상이 다른 또 다른 미터화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4b는 헤드심볼의 형상이 다른 또 다른 미터화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부호의 설명]
100; 게임 장치 101; CPU
102; ROM 103; RAM
104; 인터페이스 105; 콘트롤러
106; 외부 메모리 107; DVD-ROM 드라이브
108; 화상처리부 109; 음성처리부
110; NIC 200; 화상생성장치
201; 조작입력접수부 202; 화상정보 기억부
203; 주행상황관리부 204; 화상생성부
205; 하중산정부 206; 미터묘화부
207; 표시제어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생성장치가 실현되는 전형적인 게임 장치의 개요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게임장치(1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와, ROM(Read Only Memory)(102)과, RAM(Random Access Memory)(103)과, 인터페이스(104)와, 콘트롤러(105)와, 외부메모리(106)와, DVD(Digital Versatile Disk)-ROM 드라이브(107)와, 화상처리부(108)와, 음성처리부(109)와, NIC(Network Interface Card)(110)를 구비한다.
또한, 게임용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 DVD-ROM을 DVD-ROM 드라이브(107)에 장착하고 게임장치(100)의 전원을 투입하는 것에 의해,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되며, 본 실시형태의 화상생성장치가 실현된다.
CPU(101)는 게임장치(1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며, 각 구성요소와 접속되어 제어신호나 데이터를 수수한다.
ROM(102)에는 전원투입 직후에 실행되는 IPL(Initial Program Loader)이 기록되며, 이것이 실행되는 것에 의해, DVD-ROM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RAM(103)에 리드해서 CPU(101)에 의한 실행이 개시된다. 또, ROM(102)에는 게임장치(100) 전체의 동작제어에 필요한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가 기록된다.
RAM(103)은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것으로서, DVD-ROM으로부터 리드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그 밖의 게임의 진행이나 채팅통신에 필요한 데이터가 유지된다.
인터페이스(104)를 통해서 접속된 콘트롤러(105)는 사용자가 게임실행시에 실행하는 조작 입력을 접수한다.
인터페이스(104)를 통해서 착탈 자유롭게 접속된 외부메모리(106)에는 게임 의 진행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 채팅통신의 로그(기록)의 데이터 등이 리라이트 가능하게 기억된다. 사용자는 콘트롤러(105)를 통해서 지시입력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이들 데이터를 적절하게 외부메모리(106)에 기록할 수 있다.
DVD-ROM 드라이브(107)에 장착되는 DVD-ROM에는 게임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게임에 부수하는 화상데이터나 음성데이터가 기록된다. CPU(101)의 제어에 의해서, DVD-ROM 드라이브(107)는 이것에 장착된 DVD-ROM에 대한 리드처리를 실행하여,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리드하고, 이들은 RAM(103) 등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화상처리부(108)는 DVD-ROM으로부터 리드된 데이터를 CPU(101)나 화상처리부(108)가 구비하는 화상연산 프로세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가공 처리한 후, 이것을 화상처리부(108)가 구비하는 프레임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기록한다. 프레임메모리에 기록된 화상정보는 소정의 동기 타이밍에서 비디오신호로 변환되고 화상처리부(108)에 접속되는 모니터(도시하지 않음)로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각종의 화상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화상연산 프로세서는 2차원의 화상의 중첩연산이나 α블렌딩 등의 투과연산, 각종의 포화연산을 고속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 가상 3차원 공간에 배치되고, 각종의 텍스쳐정보가 부가된 폴리곤정보를 Z버퍼법에 의해 렌더링하고, 소정의 시점(視點)위치로부터 가상 3차원 공간에 배치된 폴리곤을 부감한 렌더링화상을 얻는 연산의 고속 실행도 가능하다.
또한, CPU(101)와 화상연산프로세서가 협조 동작하는 것에 의해, 문자의 형 상을 정의하는 폰트정보에 따라서, 문자열을 2차원 화상으로서 프레임메모리에 묘화하거나, 각 폴리곤 표면에 묘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폰트정보는 ROM(102)에 기록되어 있지만, DVD-ROM에 기록된 전용의 폰트정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음성처리부(109)는 DVD-ROM으로부터 리드한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이것에 접속된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출력시킨다. 또, CPU(101)의 제어하에서, 게임의 진행중에 발생시켜야 할 효과음이나 악곡데이터를 생성하고, 이것에 대응한 음성을 스피커로부터 출력시킨다.
NIC(110)는 게임장치(100)를 인터넷 등의 컴퓨터통신망(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LAN(Local Area Network)을 구성할 때에 이용되는 10BASE-T/100BASE-T규격에 따른 것이나, 전화회선을 이용해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아날로그 모뎀,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모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모뎀, 케이블 텔레비전 회선을 이용해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모뎀 등과, 이들과 CPU(101)의 중개를 실행하는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성된다.
그 밖에, 게임장치(100)는 하드디스크 등의 대용량 외부기억장치를 이용해서, ROM(102), RAM(103), 외부메모리(106), DVD-ROM 드라이브(107)에 장착되는 DVD-ROM 등과 동일한 기능을 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사용자로부터의 문자열의 편집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키보드나, 각종 위치의 지정 및 선택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마우스 등을 접속하는 형태도 채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게임장치(100) 대신에, 일반적인 컴퓨터(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컴퓨터는 상기 게임장치(100)와 마찬가지로, CPU, RAM, ROM, DVD-ROM 드라이브 및 NIC를 구비하고, 게임장치(100)보다 간이한 기능을 구비한 화상처리부를 구비하며, 외부기억장치로서 하드디스크를 갖는 것 이외에, 플렉시블디스크, 광자기디스크, 자기테이프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콘트롤러가 아닌, 키보드나 마우스 등을 입력장치로서 이용한다.
(화상생성장치의 개요 구성)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생성장치의 개요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화상생성장치(200)는 조작입력접수부(201)와, 화상정보 기억부(202)와, 주행상황관리부(203)와, 화상생성부(204)와, 하중산정부(205)와, 미터묘화부(206)와, 표시제어부(207)를 구비한다.
또한, 이 화상생성장치(200)는 예를 들면, 가상공간내의 서킷을 주행하는 레이싱카 등을 조작하는 레이싱게임에 적용된 경우를 설명하는 것이다.
우선, 조작입력접수부(201)는 가상공간내의 서킷을 주행시키는 레이싱카(가상차량)를 향한 조작입력을 접수한다.
예를 들면, 조작입력접수부(201)는 레이싱카를 주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브레이크조작, 액셀러레이터조작, 핸들조작 및 시프트레버조작 등의 조작입력을 접수한다.
또한, 콘트롤러(105)가 조작입력접수부(201)로서 기능할 수 있다.
화상정보 기억부(202)는 가상공간내의 서킷의 주행로가 포함되는 풍경화상 등을 규정하는 화상정보를 기억한다. 그 밖에도, 화상정보 기억부(202)는 이용자에게 조작되는 레이싱카를 포함하는 복수의 레이싱카를 규정하는 화상정보 등도 기억하고 있다.
또한, DVD-ROM 드라이브(107)에 장착된 DVD-ROM, 외부메모리(106) 등이 이러한 화상정보 기억부(202)로서 기능할 수 있다.
주행상황관리부(203)는 이용자가 조작하는 레이싱카의 주행상황 및, 다른 레이싱카의 주행상황을 관리한다.
예를 들면, 주행상황관리부(203)는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주행상황을 규정하는 정보를 관리한다.
도 3a에 나타내는 정보는 조작입력접수부(201)로부터 보내지는 각종 조작 정보에 따라서 적절히 갱신되는 정보이다. 즉, 도 3a의 정보에 의해, 이용자가 조작하는 레이싱카의 주행상황이 관리된다.
또, 도 3b에 나타내는 정보는 소정의 로직이나 파라미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갱신되는 정보이다. 즉, 도 3b의 정보에 의해, 자동 주행하는 다른 레이싱카의 주행상황이 관리된다.
또, 주행상황관리부(203)는 도 3a, 도 3b의 정보에 의거해서, 레이싱카끼리의 접촉이나 충돌 등도 관리한다.
또한, CPU(101)가 이러한 주행상황관리부(203)로서 기능할 수 있다.
화상생성부(204)는 화상정보 기억부(202)에 기억된 화상정보, 및 주행상황관리부(203)에 관리되어 있는 주행상황에 의거해서, 이용자가 조작하는 레이싱카의 전방화상(진행방향의 화상)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화상생성부(204)는 레이싱카의 운전석에서 차 밖을 바라본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시계(視界)화상(드라이버즈 뷰)을 묘화한다.
또한, 화상처리부(108)가 이러한 화상생성부(204)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하중산정부(205)는 주행상황관리부(203)에서 관리되는 주행상황에 의거해서 이용자가 조작하는 레이싱카(더욱 구체적으로는 가상의 조종자)에 가해지는 하중(방향과 크기)을 산정한다.
예를 들면, 하중산정부(205)는 관리되는 주행상황이 가감속인 경우에, 관성력 등에 의해 생긴 가상의 조종자에게 가해지는 전후방향의 하중과 그 크기를 산정한다. 구체적으로 하중산정부(205)는 가속도의 방향으로부터, 그 방향과 역방향으로 되는 하중의 방향을 산정하고, 또 가속도와 조종자의 체중을 곱해서 하중의 크기를 산정한다(일예로서 수식 1 참조). 또한, 가상의 조종자는 복수명 준비되어 있으며, 이용자가 임의로 선택이어도 좋다. 그리고, 각 조종자의 체중은 각각 달라도 좋다.
f = mα
f: 하중
m: 조종자의 체중(질량)
α: 가속도
또, 하중산정부(205)는 관리되는 주행상황이 선회인 경우에, 원심력 등에 의해 생긴 가상의 조종자에게 가해지는 좌우방향의 하중과 그 크기를 산정한다. 구체적으로 하중산정부(205)는 조타각 등으로부터 선회반경을 구하고, 원호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하중의 방향으로 산정하며, 또, 속도와 선회반경으로부터 각속도를 구하고, 이 각속도의 제곱에 선회반경과 조종자의 체중을 곱해서 하중의 크기를 산정한다(일예로서 수학식 2 참조).
f = mα= mrω2
f: 하중
m: 조종자의 체중(질량)
α: 가속도
r: 선회반경
ω: 각속도
또한, CPU(101)가 이러한 하중산정부(205)로서 기능할 수 있다.
미터묘화부(206)는 하중산정부(205)가 산정한 하중(방향과 크기)에 의거해서, 가상의 조종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을 알기 쉽게 나타내는 미터화상(인디케이터)을 생성한다. 일예로서 미터묘화부(206)는 가상의 조종자를 위에서 바라보아, 조종자의 머리가 하중에 의해서 이동하는(치우치는) 상태를 간략화해서 나타내는 미터 화상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미터묘화부(206)는 도 5a∼도 5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미터화상을 생성한다.
우선, 도 5a의 미터화상은 가상의 조종자에게 하중이 걸려 있지 않은 경우(정지시나 등속주행시 등)에 생성되는 일예이다. 즉, 조종자의 머리를 나타내는 헤드심볼 H가 콕크피트(cockpit)(조종석)를 나타내는 써클 S의 중심(원점)에 위치하고 있고, 조종자의 머리가 하중에 의해 치우쳐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미터화상에는 가상차량의 타이어를 나타내는 전륜 FT 및 후륜 RT도 포함되어 있다.
도 5b의 미터화상은 하중이 뒷방향에 걸려 있는 경우(가속 주행시나 다른 차량으로부터의 추돌시 등)에 생성되는 일예이다. 즉, 헤드심볼 H가 써클 S내의 뒤쪽(원점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조종자의 머리가 하중에 의해 뒷방향으로 치우쳐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헤드심볼 H의 위치는 적절히 변화한다. 또, 써클 S상에는 하중이 걸려 있는 방향을 강조하기 위해, 바퀴의 후부에 마커 M이 표시된다. 또한, 이 마커 M도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색 등을 변화시켜, 하중의 크기를 강조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한편, 도 5c의 미터화상은 하중이 앞방향에 걸려 있는 경우(브레이킹에 의한 감속주행시나 다른 차량 등으로의 추돌시 등)에 생성되는 일예이다. 즉, 헤드심볼 H가 써클 S내의 앞측(원점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조종자의 머리가 하중에 의해 앞방향으로 치우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써클 S의 바퀴의 앞부에는 마커 M이 표시된다.
도 5d의 미터화상은 하중이 우측방향에 걸려 있는 경우(좌측선회하면서의 등속주행시 등)에 생성되는 일예이다. 즉, 헤드심볼 H가 써클 S내의 우측(원점보다 우측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며, 조종자의 머리가 하중에 의해 우측방향으로 치우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써클 S의 바퀴의 우측부에는 마커 M이 표시된다. 또한, 전륜 FT는 핸들조작(좌측 선회)에 따른 타이어의 조향각(steering angle)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5e의 미터화상은 하중이 좌측앞쪽방향에 걸려 있는 경우(우측선회하면서의 감속주행시 등)에 생성되는 일예이다. 즉, 헤드심볼 H가 써클 S내의 자측앞쪽(원점보다 좌측앞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조종자의 머리가 하중에 의해 좌측앞쪽방향으로 치우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써클 S의 바퀴의 좌측앞부에는 마커 M이 표시된다. 또한, 전륜 FT는 핸들조작(우측선회)에 따른 타이어의 조향각을 나타내고 있다.
즉, 미터묘화부(206)는 하중이 걸려 있는 방향 및 그 크기에 따라서, 써클 S내의 대응위치(원점으로부터 대응하는 방향에 대향 거리만큼 어긋난 위치)로 헤드심볼 H를 이동시킨 미터화상을 생성한다. 이것에 의해, 조종자의 머리가 하중에 의해 어느 방향으로 얼마만큼 치우쳐 있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또, 미터묘화부(206)는 하중이 걸려 있는 방향 등을 강조하기 위해, 마커 M을 써클 S상에 적절히 표시시킨다. 또한, 핸들조작에 따른 타이어의 조향각을 나타내기 위해 전륜 FT도 기울여서 표시시킨다.
또한, 화상처리부(108)가 이러한 미터묘화부(206)로서 기능할 수 있다.
표시제어부(207)는 화상생성부(204)가 생성한 시계화상과, 미터묘화부(206)가 생성한 미터화상을 적절히 합성한 후, 소정의 화상신호로 변환하고, 외부의 모니터 등에 표시시킨다.
예를 들어, 표시제어부(207)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화상 V와 미터화상 Mt를 합성한 표시화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표시제어부(207)는 이와 같이 생성한 표시화상을 소정의 동기 타이밍에서 비디오신호로 변환하고, 외부의 모니터 등에 공급한다.
또한, 화상처리부(108)가 이러한 표시제어부(207)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7은 화상생성장치(200)에 있어서 실행되는 하중표시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 하중표시처리는 예를 들면, 카레이스 게임의 실행시에 있어서 게임의 진행과 함께 개시된다.
우선, 카레이스 게임이 시작되면(스텝 S301), 화상생성장치(200)는 조작입력을 접수하고, 레이싱카의 주행상황을 갱신한다(스텝 S302).
즉, 조작입력접수부(201)가 이용자에 의한 액셀러레이터 조작, 브레이크 조작, 핸들 조작, 및 시프트레버 조작 등을 접수하면, 주행상황관리부(203)는 조작에 따라서 주행상황(현재위치, 주행방향, 스피드 등)을 갱신한다.
화상생성장치(200)는 주행상황에 따라서 시계화상을 생성한다(스텝 S303).
즉, 화상생성부(204)는 화상정보 기억부(202)에 기억된 화상정보, 및 주행상황관리부(203)에 관리되어 있는 주행상황에 의거해서, 시계화상(드라이버즈 뷰)을 생성한다.
화상생성장치(200)는 주행상황에 의거해서 하중을 산정한다(스텝 S304).
즉, 하중산정부(205)는 주행상황관리부(203)에서 관리되는 주행상황에 의거해서, 이용자가 조작하는 레이싱카(조종자)에 가해지는 하중(방향과 크기)을 산정한다.
예를 들면, 하중산정부(205)는 관리되는 주행상황이 가감속인 경우에, 관성력에 의해 생긴 가상의 조종자에게 가해지는 전후방향의 하중과 그 크기를 산정한다. 또, 관리되는 주행상황이 선회인 경우에, 원심력에 의해 생긴 가상의 조종자에게 가해지는 좌우방향의 하중과 그 크기를 산정한다. 그리고, 관성력과 원심력이 동시에 생기고 있는 경우(선회중의 가속/감속 주행시 등)에는 그들을 합성한 하중(방향과 크기)을 산정한다.
화상생성장치(200)는 산정된 하중에 의거해서 미터화상을 묘화한다(스텝 S305).
즉, 미터묘화부(206)는 하중산정부(205)가 산정한 하중(방향과 크기)에 의거해서, 상술한 도 5a∼도 5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미터화상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하중이 걸려 있는 방향 및 그 크기에 따라서, 써클 S내의 중심으로부터 대응하는 방향에 대응 거리만큼 헤드심볼 H를 이동시킨 미터화상 등을 생성한다.
화상생성장치(200)는 시계화상과 미터화상을 합성한 표시화상을 표시한다(스텝 S306).
즉, 표시제어부(207)는 화상생성부(204)가 생성한 시계화상과, 미터묘화부(206)가 생성한 미터화상을 적절히 합성한 후, 소정의 화상신호로 변환하고, 외 부의 모니터 등에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조작하는 레이싱카가 완만한 좌측코너를 왼쪽으로 선회하면서 가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써클 S내의 우측뒤쪽(원점보다 우측후방)에 헤드심볼 H가 위치하고, 또, 써클 S의 우측후부에 마커 M이 점등되어 있는 미터화상 Mt가 표시된다. 이것은 좌측선회에 수반해서 원심력이 생기고, 또 가속에 수반해서 관성력이 생기며, 그리고 이들이 합성된 하중에 의해, 조종자의 머리가 우측뒤쪽방향으로 치우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전륜 FT의 경사에 의해, 좌측선회중에 있어서의 타이어의 잘림각도 표시된다.
즉, 이용자는 헤드심볼 H의 우측후방에의 이동 등에 의해, 우측후방에의 하중을 체감할 수 있다.
또, 레이싱카가 우측코너를 우측으로 등속으로 선회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써클 S내의 좌측(원점보다 좌측방향)에 헤드심볼 H가 위치하고, 또 써클 S의 좌측부에 마커 M이 점등하고 있는 미터화상 Mt가 표시된다. 이것은 우측선회에 수반해서 생긴 원심력에 의해, 조종자의 머리가 좌측방향으로 치우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전륜 FT의 경사에 의해, 우측선회중의 타이어의 조향각이 표시된다.
즉, 이용자는 헤드심볼 H의 좌측방향으로의 이동 등에 의해, 좌측방향으로의 하중을 체감할 수 있다.
또한, 레이싱카가 좌측코너를 드리프트 주행(차량의 방향을 우측 비스듬히 유지하고, 좌측앞쪽방향으로 타이어를 굴리게 하면서 감속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써클 S내의 좌측앞쪽(원점보다 좌측앞쪽방향)에 헤드심볼 H가 위치하고, 또, 써클 S의 좌측전부에 마커 M이 점등해 있는 미터화상 Mt가 표시된다. 이것은 우측으로 비스듬한 방향의 감속에 수반해서 생긴 관성력에 의해, 조종자의 머리가 좌측앞쪽방향으로 치우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전륜 FT의 경사에 의해, 드리프트중의 타이어의 조향각이 표시된다.
즉, 이용자는 헤드심볼 H의 좌측앞쪽방향으로의 이동 등에 의해, 좌측앞쪽방향으로의 하중을 체감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생성장치(200)는 게임이 완료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307).
화상생성장치(200)는 게임이 완료해 있지 않다고 판별한 경우에, 스텝 S302로 처리를 되돌리고, 상술한 스텝 S302∼S307의 처리를 반복해서 실행한다.
한편, 게임이 완료했다고 판별한 경우에 화상생성장치(200)는 하중표시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행상황에 의거하는 하중에 따라서, 헤드심볼 H가 원점으로부터 이동한(대응하는 방향으로 대응 거리만큼 이동한) 미터화상이 표시되고, 이용자는 이 미터화상으로부터 가상의 조종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을 체감하게 된다. 그 결과, 이동체의 이동상황에 수반해서 생기는 하중 등을 적절하게 시각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미터화상을 일예로 해서 설명했지만, 그 밖에, 가상차량의 구동방식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 헤드심볼 H의 움직임을 보다 알기 쉽게 하기 위해, 헤드심볼 H의 궤적(잔상)을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미터화상을 묘화하도록 해도 좋다. 이 미터화상에는 구동방식을 나타내는 차축 J가 포함되어 있다. 이 예의 경우, 후륜 구동이기 때문에, 후륜 RT의 사이에 차축 J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전륜구동인 경우에는 전륜 FT의 사이에 차축 J가 표시되게 되고, 또, 4륜 구동인 경우에는 전륜 FT 및 후륜 R의 사이에 차축 J가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이 미터화상중의 헤드심볼 H가 궤적(잔상)을 수반해서 표시된다.
예를 들면, 미터묘화부(206)는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궤적을 수반하는 헤드심볼 H를 묘화한다. 이 예의 경우, 미터묘화부(206)는 과거 소정수분(또는 소정 시간분)의 헤드심볼 H의 위치를 기억하도록 하고, 새로운 헤드심볼 H를 묘화할 때에 과거의 소정수분의 헤드심볼 H도 색이나 투명도 등을 순차 변화시켜 묘화한다. 즉, 과거의 헤드심볼 H가 궤적인 것이 명확하게 되도록 묘화한다.
또, 미터묘화부(206)는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궤적을 수반하는 헤드심볼 H를 묘화해도 좋다. 이 예의 경우, 미터묘화부(206)는 과거의 소정수분(또는 소정 시간분)의 위치를 덧그리도록(어긋나도록), 새로운 위치까지 이동시킨 헤드심볼 H를 묘화한다.
이들 도 9b, 도 9c와 같은, 궤적을 수반하는 헤드심볼 H가 표시되는 것에 의해, 이용자는 헤드심볼 H의 이동의 경과를 파악할 수 있어, 가상의 조종자에게 가 해지는 하중을 더욱 다이나믹하게(동적으로) 체감하게 된다. 그 결과, 이동체의 이동상황에 수반해서 생기는 하중 등을 적절하게 시각화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미터화상의 헤드심볼 H의 위치(궤적 등도 포함)에 의해, 가상의 조종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을 시각화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또한 가상차량(더욱 구체적으로는 전후 4개의 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을 시각화해도 좋다.
이하, 가상차량에 가해지는 하중을 적절하게 시각화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생성장치의 개요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화상생성장치(400)는 조작입력접수부(201)와, 화상정보 기억부(202)와, 주행상황관리부(203)와, 화상생성부(204)와, 하중산정부(205)와, 심볼묘화부(401)와, 타이어화상묘화부(402)와, 미터화상생성부(403)와, 표시제어부(207)를 구비한다.
즉, 도 2에 나타내는 화상생성장치(200)의 미터묘화부(206) 대신에, 심볼묘화부(401), 타이어화상묘화부(402) 및, 미터화상생성부(403)를 추가한 것이다.
심볼묘화부(401)는 하중산정부(205)에 의해 산정된 하중에 따라서, 표시위치가 다른 하중심볼을 묘화한다. 즉, 심볼묘화부(401)는 주행상황에 의거하는 하중에 따라서, 표시위치가 다른 상술한 헤드심볼 H를 묘화한다.
타이어화상묘화부(402)는 하중산정부(205)에 의해 산정된 하중에 따라서, 표시형태가 다른 타이어화상을 묘화한다.
예를 들면, 타이어화상묘화부(402)는 전류 FT 및 후륜 RT를 생성할 때, 산정된 하중의 크기에 의거해서,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시양태가 다른 타이어화상을 묘화한다. 즉,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타이어에 도포되는 착색(흑색 등) 면적이 차축을 중심으로 해서 전륜 긴쪽방향으로 변화시켜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타이어화상묘화부(402)는 하중이 앞방향에 걸려 있는 경우(브레이킹에 의한 감속주행시 등)에,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터화상에 있어서 전륜 FT의 착색면적이 후륜 RT의 착색면적보다 큰 타이어화상을 묘화한다.
또, 타이어화상묘화부(402)는 하중이 좌측앞쪽에 걸려 있는 경우(우측선회하면서의 감속주행시 등)에,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터화상에 있어서, 전륜 FT의 착색면적이 후륜 RT의 착색면적보다 크고, 또한 좌측의 전후륜 lt이 우측의 전후륜 rt보다 착색면적이 큰 타이어화상을 묘화한다.
즉, 타이어화상묘화부(402)는 하중산정부(205)가 산정한 하중(방향과 크기) 에 따라서, 각 타이어의 표시형태를 변화시킨 타이어화상을 묘화한다.
도 10으로 돌아가서, 미터화상생성부(403)는 상술한 심볼묘화부(401)가 묘화한 하중심볼 및 상술한 타이어화상묘화부(402)가 묘화한 타이어화상을 포함하는 미터화상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도 10에 나타내는 화상생성장치에 의해 미터화상에 포함되는 타이어화상으로부터도 이동체의 이동상황에 수반해서 생기는 하중 등을 적절히 시각화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의 한계하중을 넘은 상황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이어의 한계하중(하중방향에 따라서 달라도 좋고, 또 주회(周回)수 등에 따라서도 변화하는 것이어도 좋다)을 규정해 두고, 이 한계하중을 넘으면, 타이어화상 T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이어의 외부프레임의 색 등을 변화시킨다. 즉, 타이어에 걸리는 하중에 따라서 타이어의 착색면적을 변화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그 하중이 한계하중을 넘으면 그때까지 흑색이었던 프레임에서 적색의 프레임으로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 급브레이크에 의해, 앞방향의 하중이 각 타이어의 한계하중을 넘은 경우에, 타이어화상묘화부(402)는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터화상에 있어서, 전륜 FT 및 후륜 RT의 외부프레임의 색을 적색으로 변화시킨 타이어화상을 묘화한다.
또, 고속주행시의 급한 우측선회에 의해, 좌측방향의 하중이 좌측의 타이어(전후의 타이어)의 한계하중을 넘은 경우에, 타이어화상묘화부(402)는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터화상에 있어서 좌측의 전후륜 lt의 외부프레임의 색을 적색으로 변화시킨(우측의 전후륜 rt의 외부프레임의 색은 흑색인 채) 타이어화상을 묘화한다.
즉, 타이어화상묘화부(402)는 타이어에 걸리는 하중이 한계하중을 넘은 경우에, 그 타이어의 외부프레임의 색 등을 변화시킨다.
이것에 의해, 타이어의 그립이 극단적으로 저하된 것 등을 이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타이어의 외부프레임의 색 등을 변화시키는 것은 일예이며, 다른 표시 형태에 의해 타이어가 한계하중을 넘은 것을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타이어의 착색 자체를 적색 등으로 변화시켜도 좋다.
또, 타이어가 한계하중을 넘기 바로 전에, 이용자에게 주의를 환기할 수 있도록 별도의 표시를 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화상생성장치의 미터묘화부(206)는 타이어에 걸리는 하중이 한계하중보다 낮은 주의범위인 값으로 된 경우에, 타이어의 외부프레임을 흑색에서 희미한 적색으로 변화시킨다. 그리고, 하중이 한계하중에 가까워짐에 따라, 희미한 적색에서 진한 적색으로 변화시킨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는 타이어의 외부프레임의 색이 빨갛게(진한 적색) 되지 않도록, 핸들조작이나 브레이크조작을 함으로써, 타이어의 미끄러짐이나 스핀 등의 발생을 억제한 주행을 실행할 수 있다.
또, 타이어의 색 등을 바꾸는 대신, 타이어의 형상을 변화시키고, 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을 시각화해도 좋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나타내는 화상생성장치의 미터묘화부(206)는 하중이 전방향에 걸려 있는 경우(브레이킹에 의한 감속 주행시 등)에,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터화상에 있어서 전륜 FT의 세로폭을 늘린(확대한) 타이어화상을 묘화한다.
또, 미터묘화부(206)는 하중이 우측방향에 걸려 있는 경우(자측선회하면서의 등속주행시 등)에,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터화상에 있어서 좌측의 전후륜 lt의 가로폭을 줄이는(축소하는) 동시에, 우측의 전후륜 rt의 가로폭을 늘린 타 이어화상을 묘화한다.
즉, 미터묘화부(206)는 미터 화상에 있어서, 하중산정부(205)가 산정한 하중(방향과 크기)에 따라서, 세로폭 또는 가로폭을 변형시킨 타이어화상을 묘화한다.
이것에 의해, 형상을 변화시킨 타이어화상으로부터도, 이동체의 이동상황에 수반해서 생기는 하중 등을 적절히 시각화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동일 형상(원형)의 헤드심볼 H의 위치에 의해, 가상의 조종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을 시각화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헤드심볼 H의 형상을 변형시켜서, 조종자에 가해지는 하중을 시각화해도 좋다.
예를 들면, 헤드심볼 H가 써클 S의 중심(원점)을 기준으로, 물방울 등과 같이 변형해도 좋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나타내는 화상생성장치의 미터묘화부(206)는 하중이 뒤쪽방향에 걸려 있는 경우(가속주행시 등)에,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심볼 H를 중심에서 후방을 향해서 물방울과 같이 변형시킨 미터화상을 묘화한다.
또, 미터묘화부(206)는 하중이 좌측앞쪽방향에 걸려 있는 경우(우측선회하면서의 등감속주행시 등)에,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심볼 H를 중심에서 좌측앞쪽을 향해 물방울과 같이 변형시킨 미터화상을 묘화한다.
이 경우에도, 이동체의 이동상황에 수반해서 생기는 하중 등을 적절히 시각화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상공간내를 주행하는 가상차량(레이싱카)을 일예 로 설명했지만, 가상공간내를 이동하는 물체(가상이동체)이면 적절히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가상공간내를 비행하는 가상비행물체(제트기나 여객기 등)를 조작 대상으로 한 경우에 대해서, 이하,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 경우, 주행상황관리부(203)는 접수된 조작 입력에 의거해서, 가상공간을 이동하는 가상비행물체의 이동상황을 관리한다. 또한, 주행상황관리부(203)는 상기의 도 3a, 도 3b에서 관리되는 정보 이외에, 상승선회상태나 하강선회정보와 같은 비행물체 특유의 이동상황(주행상황)도 관리한다.
또, 화상생성부(204)는 기억된 화상정보 및 관리되어 있는 이동상황에 의거해서 가상의 조종자(파일럿)가 기내에서 바라본 시계화상을 생성한다.
한편, 하중산정부(205)는 관리되는 이동상황에 의거해서, 가상의 조종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을 산정한다. 예를 들면, 하중산정부(205)는 관리되는 이동상황이 가감속인 경우에, 관성력에 의해 생긴 가상의 조종자에게 가해지는 하중방향과 하중의 크기를 산정한다. 또, 관리되는 이동상황이 선회(상승선회나 하강선회도 포함됨)의 경우에, 원심력에 의해 생긴 가상의 조종자에게 가해지는 하중방향과 하중의 크기를 산정한다.
또, 미터묘화부(206)는 하중산정부(205)가 산정한 하중(방향과 크기)에 의거해서, 상술한 도 5a∼도 5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미터화상을 생성한다. 또한 도면중의 타이어 대신에, 예를 들면, 수직꼬리날개의 래더 등을 묘화해도 좋다.
그리고, 표시제어부(207)는 생성된 시계화상과, 묘화된 미터화상을 적절히 합성시킨 후, 소정의 화상 신호로 변환하고, 외부의 모니터 등에 표시시킨다.
즉, 가상비행물체가 좌측으로 선회하고 있는 경우에는 헤드심볼 H가 원점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한 미터화상이 시계화상과 함께 표시된다. 반대로 가상비행물체가 우측으로 선회하고 있는 경우에는 헤드심볼 H가 원점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한 미터화상이 시계화상과 함께 표시된다.
이와 같이, 가상의 비행물체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도 이동상황에 의거하는 하중에 따라서, 헤드심볼 H가 원점으로부터 이동한(대응하는 방향에 대응 거리만큼 이동한) 미터화상이 표시되고, 이용자는 이 미터화상으로부터 가상의 조종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을 체감하게 된다. 그 결과, 이동체의 이동상황에 수반해서 생기는 하중 등을 적절히 시각화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대해서는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4-262061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해당 기초출원의 내용을 모두 본원에 넣는 것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공간에 있어서의 이동체의 이동상황에 수반해서 생기는 하중 등을 적절히 시각화하는 것이 바람직한 화상생성장치, 하중표시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가상공간내를 이동시키는 가상차량을 향한 조작입력을 접수하는 조작입력접수부;
    접수된 상기 조작입력에 따라 주행하는 상기 가상차량을 기준으로 한 시계화상을 생성하는 시계화상생성부;
    상기 가상차량의 주행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가상차량에 가해지는 하중을 산정하는 하중산정부;
    하중심볼과 타이어화상을 포함하는 미터화상을 생성하는 미터화상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시계화상과 상기 미터화상을 합성해서 표시하는 표시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미터화상생성부는,
    산정된 상기 하중에 따라 소정의 원점으로부터 이동시킨 위치에 하중심볼을 묘화하는 심볼묘화부와,
    상기 가상차량의 각 타이어에 대응하고, 산정된 상기 하중에 따라 표시형태가 각각 다른 타이어화상을 묘화하는 타이어화상묘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생성장치.
  2. 가상공간내에 배치되는 풍경화상을 포함하는 화상정보를 기억하는 화상정보 기억부와,
    가상공간내를 이동시키는 가상차량을 향한 조작입력을 접수하는 조작입력접수부;
    접수된 상기 조작입력에 의거해서 상기 가상차량의 주행상황을 관리하는 주행상황관리부;
    관리되는 상기 주행상황에 의거해서 상기 가상차량에 가해지는 하중을 산정하는 하중산정부;
    기억된 상기 화상정보 및 관리되는 상기 주행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가상차량을 기준으로 한 시계화상을 생성하는 시계화상생성부;
    하중심볼과 타이어화상을 포함하는 미터화상을 생성하는 미터화상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시계화상과 상기 미터화상을 합성해서 표시하는 표시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미터화상생성부는
    산정된 상기 하중에 의거하여 소정의 평면영역내에서 원점으로부터 이동시킨 위치에 하중심볼을 묘화하는 심볼묘화부와,
    상기 가상차량의 4개의 타이어에 각각 대응하고, 산정된 상기 하중에 따라 표시형태가 각각 다른 타이어화상을 묘화하는 타이어화상 묘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생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화상묘화부는 산정된 상기 하중에 따라서 소정 색의 착색면적이 각각 다른 타이어화상을 묘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생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화상묘화부는 산정된 상기 하중에 따라서 형상이 각각 다른 타이어화상을 묘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생성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화상묘화부는 산정된 상기 하중이 소정의 한계 하중을 넘은 경우에 또한 외부프레임의 색을 변화시킨 타이어화상을 묘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생성장치.
  6. 제1항의 화상생성장치를 이용한 하중표시방법으로서,
    조작입력접수부가 실행하는 가상공간내를 이동시키는 가상차량을 향한 조작입력을 접수하는 조작입력접수공정;
    시계화상생성부가 실행하는 접수된 상기 조작입력에 따라 주행하는 상기 가상차량을 기준으로 한 시계화상을 생성하는 시계화상생성공정;
    하중산정부가 실행하는 상기 가상차량의 주행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가상차량에 가해지는 하중을 산정하는 하중산정공정;
    미터화상생성부가 실행하는 하중 심볼과 타이어화상을 포함하는 미터화상을 생성하는 미터화상생성공정;
    표시제어부가 실행하는 생성된 상기 시계화상과 상기 미터화상을 합성해서 표시하는 표시제어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미터화상생성부가 실행하는 상기 미터화상생성공정은
    심볼묘화부가 실행하는 산정된 상기 하중에 따라 소정의 원점으로부터 이동시킨 위치에 하중심볼을 묘화하는 심볼묘화공정과,
    타이어화상묘화부가 실행하는 상기 가상차량의 각 타이어에 대응하고, 산정된 상기 하중에 따라 표시형태가 각각 다른 타이어화상을 묘화하는 타이어화상묘화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표시방법.
  7. 컴퓨터를,
    가상공간내를 이동시키는 가상차량을 향한 조작입력을 접수하는 조작입력접수부;
    접수된 상기 조작입력에 따라 주행하는 상기 가상차량을 기준으로 한 시계화상을 생성하는 시계화상생성부;
    상기 가상차량의 주행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가상차량에 가해지는 하중을 산정하는 하중산정부;
    하중심볼과 타이어화상을 포함하는 미터화상을 생성하는 미터화상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시계화상과 상기 미터화상을 합성해서 표시하는 표시제어부;로서 기능시키고,
    상기 미터화상생성부는, 산정된 상기 하중에 따라 소정의 원점으로부터 이동시킨 위치에 하중심볼을 묘화하는 동시에, 상기 가상차량의 각 타이어에 대응하고, 산정된 상기 하중에 따라 표시형태가 각각 다른 타이어화상을 묘화하도록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8. 삭제
KR1020077005218A 2004-09-09 2005-09-05 화상생성장치, 하중표시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906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62061A JP3769286B2 (ja) 2004-09-09 2004-09-09 画像生成装置、荷重表示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4-00262061 2004-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482A KR20070044482A (ko) 2007-04-27
KR100906069B1 true KR100906069B1 (ko) 2009-07-03

Family

ID=36036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218A KR100906069B1 (ko) 2004-09-09 2005-09-05 화상생성장치, 하중표시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02397B2 (ko)
EP (1) EP1787697A4 (ko)
JP (1) JP3769286B2 (ko)
KR (1) KR100906069B1 (ko)
CN (1) CN101014393B (ko)
TW (1) TWI270400B (ko)
WO (1) WO20060280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5422B2 (ja) * 2004-04-28 2006-04-12 コナミ株式会社 画像生成装置、加速度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051500B2 (ja) * 2006-05-17 2012-10-17 株式会社セガ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装置におけるスキール音生成プログラムと生成方法
TWI450749B (zh) * 2007-11-21 2014-09-01 Mstar Semiconductor Inc 遊戲處理裝置
EP2104073A3 (en) * 2008-03-11 2010-11-10 Enphase Ener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al power visualization
DE102014208773A1 (de) * 2013-05-10 2014-11-13 Robert Bosch Gmbh Dynamische fahrzeuganzeige zum kommunizieren von mehreren fahrzeugparametern
CN112755531B (zh) 2018-11-28 2022-11-1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世界中的虚拟车辆漂移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9999499B (zh) * 2019-04-04 2021-05-1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对象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3858896B (zh) * 2021-09-28 2023-04-07 安徽佳通乘用子午线轮胎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法计算滚动轮胎下沉量和负载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6660B1 (ja) * 2003-03-31 2004-08-18 コナミ株式会社 画像生成装置、荷重表示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6252B2 (ja) 1994-08-22 1999-01-13 株式会社ナムコ 3次元シミュレータ装置及び画像合成方法
US5657460A (en) * 1995-04-11 1997-08-12 Data View, Inc.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data
US5921780A (en) * 1996-06-28 1999-07-13 Myers; Nicole J. Racecar simulator and driver training system and method
JP3747449B2 (ja) * 1996-07-25 2006-02-22 株式会社セガ ゲームの処理方法、ゲーム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H11128533A (ja) * 1997-10-30 1999-05-18 Nintendo Co Ltd ビデオゲーム装置およびその記憶媒体
AU3062101A (en) 2000-01-24 2001-07-31 Ock-Joon Kim Simulation game apparatus for motor race and its shaking device
US8784171B2 (en) * 2002-12-23 2014-07-22 Nintendo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deling a track in video games using arcs and splines that enables efficient collision detection
JP3527504B1 (ja) * 2003-03-31 2004-05-17 コナミ株式会社 ゲーム装置、ゲーム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6660B1 (ja) * 2003-03-31 2004-08-18 コナミ株式会社 画像生成装置、荷重表示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NTHUSIA", DENGEKI PlayStation Vol.273, Media works Inc., 11 June, 2004(11.06.04), Vol.10, No.15, Tsukan Vol.269, pages 254 to 255, '"G" Taikan System 'VGS' o Tosa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14393B (zh) 2011-06-01
US20080218529A1 (en) 2008-09-11
EP1787697A8 (en) 2007-06-27
WO2006028046A1 (ja) 2006-03-16
EP1787697A4 (en) 2008-01-16
US7602397B2 (en) 2009-10-13
JP2006075322A (ja) 2006-03-23
EP1787697A1 (en) 2007-05-23
KR20070044482A (ko) 2007-04-27
TWI270400B (en) 2007-01-11
JP3769286B2 (ja) 2006-04-19
CN101014393A (zh) 2007-08-08
TW200621341A (en) 200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069B1 (ko) 화상생성장치, 하중표시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871274B1 (ko) 화상생성장치, 가속도표시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정보기록매체
KR100921882B1 (ko) 화상생성장치, 하중표시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906068B1 (ko) 화상생성장치, 하중표시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JP2000296261A (ja) ゲーム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KR100823782B1 (ko) 화상생성장치, 속도표현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정보기록매체
JP3556660B1 (ja) 画像生成装置、荷重表示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3866743B2 (ja) ゲーム装置、オッズ提示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4886442B2 (ja) 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および情報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